KR20130126764A - 퀵보드 - Google Patents

퀵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764A
KR20130126764A KR1020120035891A KR20120035891A KR20130126764A KR 20130126764 A KR20130126764 A KR 20130126764A KR 1020120035891 A KR1020120035891 A KR 1020120035891A KR 20120035891 A KR20120035891 A KR 20120035891A KR 20130126764 A KR20130126764 A KR 2013012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ear
quick board
point
qu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593B1 (ko
Inventor
김자연
Original Assignee
김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자연 filed Critical 김자연
Priority to KR102012003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개의 전륜바퀴와, 두 개의 후륜바퀴와, 상기 두 개의 후륜바퀴 각각을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복원부와, 상기 제 2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복원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라인이 핸들부와 연결된 핸들 기둥 내부로 지나가는 퀵보드에 있어서, 나팔 형상의 음향 출력단과, 압축공기를 이용해 음향 출력단으로의 부저음이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 생성단을 포함하는 크락션;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상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상단 반쪽 형상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상부퀵보드 본체;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하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하단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하부퀵보드 본체; 및 우측 또는 좌측 핸들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한 단과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퀵보드{Quick board}
본 발명은 구동력과 복원력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진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판에 대한 복원력을 최적화함으로써, 퀵보드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진하도록 하기 위한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및 취미 생활의 일환으로 유아나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청소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스케이드 보드, 스노우 보드, 롤러브레이드, 그리고 퀵보드 등과 같이 인간이 자체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타는 도구를 이용한 여가생활이 증대되고 있다.
이 중에서는 퀵보드가 최근에 다른 인간이 구동력을 제공하는 타는 도구 중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퀵보드는 유희용 도구 또는 스포츠 운동기구로 유선형의 퀵보드 본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발판이 구비되어 발로 땅을 지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퀵보드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두 개의 발판을 퀵보드 본체의 전달을 중심축으로 각각 양측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전진하는 구동력을 얻는 제 1 방식의 퀵보드나, 두 개의 발판을 각각 교대로 상하로 밟음으로써 구동력을 얻는 제 2 방식의 퀵보드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중 제 1 방식은 회전반경이 크고 양발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서 사고의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으며, 구동력인가를 위해 회전시 이에 대한 복원력을 탑승자 스스로 해결해야 하여 효율성이 문제된다.
또한, 제 2 방식도 상하로의 힘을 가하는 방식에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 인한 주행 속도의 저하 문제, 그리고 추진력이 낮아지고, 주행거리가 짧아지게 된다는 단점 등이 있어왔다.
[관련기술문헌]
1. 발의 힘으로 구동하는 발 동력 퀵보드 및 이를 위한 방법(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63337호)
2.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Quick-Board for possible rotation running)(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11662호)
3. 페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퀵보드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A driving device and quick board thereof and bike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0407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진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판에 대한 복원력을 최적화함으로써, 퀵보드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진하도록 하기 위한 퀵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는 브레이크라인을 핸들 기둥의 외부로 빼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연결하는 구조여서 미관상 좋지않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탈 경우 외부에 걸려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해 브레이크라인을 핸들 기둥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퀵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를 최대화하여 유아나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을 최대로 수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퀵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한 개의 전륜바퀴와, 두 개의 후륜바퀴와, 상기 두 개의 후륜바퀴 각각을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복원부와, 상기 제 2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복원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라인이 핸들부와 연결된 핸들 기둥 내부로 지나가는 퀵보드에 있어서, 나팔 형상의 음향 출력단과, 압축공기를 이용해 음향 출력단으로의 부저음이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 생성단을 포함하는 크락션;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상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상단 반쪽 형상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상부퀵보드 본체;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하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하단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하부퀵보드 본체; 및 우측 또는 좌측 핸들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한 단과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크락션은, 상기 음향 출력단과 상기 음향 생성단을 합친 전체 길이가 15.5cm이며, 폭은 5.5c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상기 핸들 기둥의 앞편에 상기 핸들 기둥이 위치한 방향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 수납단와, 상기 핸들 기둥의 뒤편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 기둥이 위치한 방향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전면 수납단 보다 높이가 낮은 배면 수납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면 수납단의 양측이 상기 전면 수납단의 양측과 접하도록 퀵보드 본체 상면 상의 전단에 형성되는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수납될 물건을 받치기 위해 판 형상의 상기 배면 수납단과 직교하게 형성되는 수납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은, 상기 핸들 기둥과의 접합을 위해 상기 핸들 기둥이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의 최 전단은 상기 전면 수납단과 미세한 간격을 두거나 상기 전면 수납단의 판 형상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은, 최 전단이 상기 판 형상의 전면 수납단에 형성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배면 수납단은, 상기 핸들 기둥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라인은,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연결된 지점부터 상기 수납판이 형성된 지점(B)까지 상기 핸들 기둥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점(B)에서 상기 핸들 기둥의 홀을 통해 상기 핸들 기둥에서 빼져서 180도 회전된 뒤, 상기 제 1 구동부 또는 제 2 구동부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다른 쪽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납단은, 상기 퀵보드 본체로부터 최상단의 지점(A)에서의 단면의 길이가 상기 지점(B)에서의 단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지점(A)에서 상기 지점(B)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 라인인 연결된 한 단에서부터, 상기 지점(B)지점까지의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길이(T1)는, 상기 지점(B)에서부터 상기 핸들 기둥의 외부로 돌출되어 180도 회전된 지점(C)까지의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길이(T2)에 비해 2.3 내지 2.5 배로 형성되며, 상기 지점(A)에서 상기 지점(B)까지의 길이는 5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가 형성되며 하면의 한쪽 끝단에는 제 1 곡선기어의 한 단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발판;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곡선기어는, 곡선 형태의 내접기어로 내측으로 이가 형성되며, 제 1 전달기어와 일체로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외측으로 형성된 평기어인 제 1 내측기어의 외측으로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 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의 평기어로 상기 제 1 곡선기어의 하방으로의 곡선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내측기어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 동일한 회전 방향인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의 회전축을 공통의 회전축으로 사용하며, 외측에 형성된 제 1 후륜바퀴와의 상대적 거리에서 상기 제 1 내측기어 보다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외측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공통의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1 후륜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종동기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기어는,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시계방향(정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통의 회전축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후륜바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보다 직경이 짧은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있는 평기어이며,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보다 직경이 긴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있는 평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전륜바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부와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원부는, 상기 제 1 발판의 하면 상에서 상기 제 1 곡선기어과 결합된 한 단과 반대편 끝단에 상기 퀵보드 본체를 통과하며, 상기 제 1 발판이 상기 퀵보드 본체 상에서 고정 및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발판의 넓이 방향(L)에서의 양쪽 끝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고정단; 상기 제 1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부재의 한쪽 끝단이 감겨져 있는 제 1 수평바; 상기 제 1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수평바에 비해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수평바;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 상에서 양쪽 끝단이 돌출된 구조로 상기 제 1 고정단에 비해 상기 핸들부, 상기 핸들 기둥 또는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지점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 2 고정단; 및 상기 제 2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감겨져 있는 제 3 수평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단의 수직면상에서의 높이는, 상기 제 2 고정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끝단이 상기 제 1 수평바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상기 제 3 수평바에 감겨져 있는 형상에서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과 상기 탄성부재가 이루는 각도(α)는 15도 내지 18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상기 제 1 발판 위로 퀵보드 탑승자가 발을 올리고 중력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제 1 수평바에 감겨진 한쪽 끝단으로 상기 제 3 수평바에 감겨진 다른 쪽 끝단이 고정되어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원부는, 상기 전륜바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구동부와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수납부를 최대화하여 유아나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을 최대로 수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브레이크라인을 종래에는 핸들 기둥의 외부로 빼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연결하는 구조여서 미관상 좋지않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탈 경우 외부에 걸려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해 브레이크라인을 핸들 기둥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판에 대한 복원력을 최적화함으로써, 퀵보드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퀵보드의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해 핸들부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부가 분해된 상태를 다각도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a)와 우측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a)와 저면도(b)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퀵보드에서의 구동부 및 복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서의 브레이크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퀵보드의 핸들부(10)를 설명하기 위해 핸들부(10)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부(10)가 분해된 상태를 다각도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a)와 우측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a)와 저면도(b)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퀵보드에서의 구동부 및 복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에서의 브레이크라인(2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퀵보드는 전체적으로 핸들부(10), 핸들 기둥(20), 수납부(30), 퀵보드 본체(40), 전륜바퀴(50), 제 1 구동부(60a), 제 2 구동부(60b), 제 1 복원부(70a), 그리고 제 2 복원부(70b)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0)는 핸들 상부퀵보드 본체(11), 핸들 하부퀵보드 본체(12), 크락션(13), 그리고 브레이크 레버(14)를 구비한다.
핸들 상부퀵보드 본체(11)는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상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크락션(13)의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상단 반쪽 형상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핸들 하부퀵보드 본체(12)는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하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크락션(13)의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하단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크락션(13)은 음향 출력단(13a)과 음향 생성단(13b)을 포함하며, 음향 출력단(13a)은 나팔 형태로 형성되어 음향 생성단(13b)에서 생성된 부저음을 외부로 증폭시켜 출력한다. 한편, 음향 생성단(13b)은 전력 공급이 필요없이 압축공기를 이용한 원리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와 같은 탄력성 있는 재질로 중앙이 빈 원 형상의 일단이 절개되어 음향 출력단(13a)의 나팔 형상의 끝단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크락션(13)의 전체 길이는 15.5cm이며, 폭은 5.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레버(14)는 도면상에서는 우측 핸들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나 죄측 핸들 손잡이의 전단에도 형성가능하다. 브레이크 레버(14)는 핸들 기둥(20) 내부로 지나가는 브레이크라인(21)과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브레이크라인(21)은 핸들 기둥의 내부가 아닌 외부로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않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탈 경우 외부에 걸려 위험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라인(21)이 핸들 기둥(20)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수납부(30)는 핸들 기둥(20)의 앞편에 형성되는 전면 수납단(31), 핸들 기둥(20)의 뒤편에 형성되는 배면 수납단(32)을 포함한다. 수납부(30)는 추가적으로 LED램프(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LED램프(33)는 유아나 어린이를 위한 캐릭터 형상으로 구성가능하다.
전면 수납단(31)은 핸들 기둥(20)이 위치한 쪽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 수납단(32)에 비해 퀵보드 본체(40) 상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길게 형성된다.
배면 수납단(32)도 핸들 기둥(20)이 위치한 쪽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수납단(31)에 비해 퀵보드 본체(40) 상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짧게 형성되며, 배면 수납단(32)의 양측이 전면 수납단(31)의 양측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면 수납단(31)과 배면 수납단(32)의 하단에는 퀵보드 본체(40)의 전단의 상면과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판 형상의 배면 수납단(32)과 직교하게 수납판(33)이 형성되어 수납된 물건이 받쳐지는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납판(33)은 핸들 기둥(20)과의 접합을 위해 핸들 기둥(20)이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판(33)의 최 전단은 전면 수납단(31)과 미세한 간격을 두거나 전면 수납단(31)의 판 형상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면 수납단(31)의 최 전단은 판 형상의 전면 수납단(31)에 형성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판(33)이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배면 수납단(32)은 핸들 기둥(30)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와 상하로의 높이 조절 기능으로 인해 수납판(33)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종래의 퀵보드에 비해 대용량의 수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브레이크라인(21)은 브레이크 레버(14)와 연결된 지점부터 수납판(33)이 형성된 지점까지 핸들 기둥(20)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수납판(33)이 형성된 지점인 도 10의 B지점에서 핸들 기둥(20)의 홀을 통해 핸들 기둥(20)에서 빼져서 180도 회전된 뒤, 제 1 구동부(60a) 또는/및 제 2 구동부(60b)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퀵보드 본체(40)의 상면에 형성된 전면 수납단(31)의 최상단의 높이 지점을 A지점이라고 하면, A지점의 전면 수납단(31)의 단면의 길이는 B지점의 전면 수납단(31)의 단면의 길이 보다 짧으며,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라인(21)이 B지점에서 핸들 기둥(20)의 홀을 통해 빠져 나와 180도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납판(33)의 하부에 싣는 물건의 체적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퀵보드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한편, 브레이크 레버(14)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B지점까지의 브레이크라인(21)의 길이를 T1이라고 하고, B지점에서 핸들 기둥(20)의 외부로 돌출되어 180도 회전한 지점인 C지점까지의 브레이크라인(21)의 길이를 T2라고 하며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길이는 50cm라고 가정할 경우, T1 : T2는 2.3 내지 2.5 : 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율로 형성시, 핸들부(10)에 형성된 양측 핸들 손잡이의 회전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수납판(33)의 하부 상에서의 브레이크라인(21)의 꼬임이 최소화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나타났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구동부(60a)는 제 1 발판(61a), 제 1 곡선기어(62a), 제 1 전달기어(63a), 제 1 내측기어(63-1a), 제 1 종동기어(64a), 제 1 후륜바퀴(65a), 그리고 제 1 브레이크바퀴(66a)를 포함한다
제 1 발판(61a)은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가 형성되며 하면 상에서 핸들 기둥(20)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편 끝단에는 제 1 곡선기어(62a)의 한 단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곡선기어(62a)는 곡선 형태의 내접기어로 내측으로 이가 형성되며, 이것이 제 1 내측기어(63-1a)의 외측으로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 1 전달기어(63a)는 제 1 내측기어(63-1a)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곡선기어(62a)의 하방으로의 곡선 운동에 따라 제 1 내측기어(63-1a)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 동일한 회전 방향인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전달기어(63a)는 내측기어(63-1a) 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내측기어(63-1a)는 제 1 전달기어(63a)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사용하며, 외측에 형성된 제 1 후륜바퀴(65a)와의 상대적 거리에서 제 1 전달기어(63a)보다 인접하게 형성된다.
제 1 전달기어(63a)는 제 1 내측기어(63-1a)의 시계방향(정방향)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1 종동기어(64a)의 외측으로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종동기어(64a)는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 종동기어(64a)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 1 후륜바퀴(65a)를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력이 도 10 상의 오른편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퀵보드가 전진하도록 한다.
제 1 종동기어(64a)는 제 1 내측기어(64-1a)보다 직경이 짧은 원판 형상의 외측으로 이가 형성되는 구조의 평기어이다.
한편, 도 7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제 1 브레이크바퀴(66a)가 더 형성된다. 제 1 브레이크 바퀴(66a)는 제 1 후륜바퀴(65a)의 후단에 형성되어 퀵보드 탑승자가 밟는 경우 마찰력으로 인해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제 1 구동부(60a)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구동부(60b)도 전륜바퀴(50)를 기준으로 제 1 구동부(60a)와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 내측기어(64-1a)과 제 1 전달기어(63a)의 공통된 회전축 상에는 일 방향 클러치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구동부(60a)와 제 2 구동부(60b)를 받치는 퀵보드 본체(40)의 하부 영역에는 플레이트(41)를 결합시켜 제 1 구동부(60a) 및 제 2 구동부(60b)를 구성하는 유닛의 무게에 의해 퀵보드 본체(4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복원부(70a)는 제 1 고정단(71a), 제 1 수평바(72a), 제 2 수평파(73a), 제 2 고정단(74a), 제 3 수평바(75a), 그리고 탄성부재(76a)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단(71a)은 제 1 발판(61a)의 하면 중 제 1 곡선기어(62a)의 한 단과 결합된 반대편 끝단에 형성된다.
즉, 제 1 고정단(71a)은 제 1 발판(61a)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제 1 발판(61a)이 퀵보드 몸체(40)의 하면 상에서 고정 및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고정단(71a)은 퀵보드 본체(40)의 하면에 제 1 발판(61a)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발판(61a)의 넓이 방향(L)을 기준으로 양쪽 끝단에 돌출되며 퀵보드 본체(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 1 고정단(71a)은 제 1 수평바(72a)와 제 2 수평바(73a)가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제 1 발판(61a)의 넓이 방향(L)으로 삽입된다.
제 1 수평바(72a)는 제 1 고정단(71a)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제 2 수평바(73a)에 비해 퀵보드 본체(40)의 하면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탄성부재(76a)의 한쪽 끝단이 감겨져 있다.
제 2 수평바(73a)는 제 1 고정단(71a)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제 1 수평바(72a)에 비해 퀵보드 본체(40)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1 고정단(71a)의 돌출된 양쪽 끝단을 연결하여 견고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고정단(74a)은 퀵보드 본체(40)의 하면에서 제 1 고정단(71a)에 비해 핸들부(10), 핸들 기둥(20) 또는 수납부(30)가 형성된 지점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제 1 발판(61a)의 넓이 방향(L)을 기준으로 양쪽 끝단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제 3 수평바(75a)는 제 2 고정단(74a)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76a)의 다른 쪽 끝단이 감겨져 있다. 즉, 탄성부재(76a)는 한쪽 끝단이 제 1 수평바(72a)에 감겨져 있으며, 다른 쪽 끝단이 제 3 수평바(76a)에 감겨져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단(71a)의 높이는 제 2 고정단(74a)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76a)가 한쪽 끝단이 제 1 수평바(72a)에 감겨져 있으며, 다른 쪽 끝단이 제 3 수평바(76a)에 감겨져 있는 형상에서 퀵보드 본체(40)의 하면과 탄성부재(76a)가 이루는 각도(α)는 15도 내지 18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6a)는 제 1 발판(61a) 위로 퀵보드 탑승자가 발을 올리고 하부로 힘을 가할 경우, 제 1 수평바(72a)에 감겨진 한쪽 끝단으로 제 3 수평바(76a)에 감겨진 다른 쪽 끝단이 고정되어 장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장력은 퀵보드 탑승자가 제 1 발판(61a) 상면으로 가한 힘을 원래의 자리로 돌려보내기 위한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상술한 탄성부재(76a)와 퀵보드 본체(40)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α)는 15도 내지 18도로 형성되는 경우 하기의 표 1과 같이 제 1 발판(61a)에 대한 복원력의 속도가 0.1~0.2m/s로 최적화됨을 알 수 있다.
α 12 13 14 15 16 17 18 19
복원력의 속 0.03 0.04 0.07 0.1 0.14 0.17 0.2 0.26
도 9는 제 1 복원부(70a)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복원부(70b)도 전륜바퀴(50)를 기준으로 제 1 복원부(70a)와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핸들부
20: 핸들 기둥
30: 수납부
40: 퀵보드 본체
50: 전륜바퀴
60a: 제 1 구동부
60b: 제 2 구동부
70a: 제 1 복원부
70b: 제 2 복원부

Claims (22)

  1. 한 개의 전륜바퀴와, 두 개의 후륜바퀴와, 상기 두 개의 후륜바퀴 각각을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복원부와, 상기 제 2 구동부에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복원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라인이 핸들부와 연결된 핸들 기둥 내부로 지나가는 퀵보드에 있어서,
    나팔 형상의 음향 출력단과, 압축공기를 이용해 음향 출력단으로의 부저음이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 생성단을 포함하는 크락션;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상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상단 반쪽 형상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상부퀵보드 본체;
    양측에 핸들 손잡이의 하부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음향 출력단이 외부와 접하도록 반원의 하단 또는 타원의 상단 반쪽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핸들 하부퀵보드 본체; 및
    우측 또는 좌측 핸들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한단과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락션은,
    상기 음향 출력단과 상기 음향 생성단을 합친 전체 길이가 15.5cm이며, 폭은 5.5c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 기둥의 앞편에 상기 핸들 기둥이 위치한 방향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 수납단와, 상기 핸들 기둥의 뒤편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 기둥이 위치한 방향으로 양측이 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전면 수납단 보다 높이가 낮은 배면 수납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면 수납단의 양측이 상기 전면 수납단의 양측과 접하도록 퀵보드 본체 상면 상의 전단에 형성되는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수납될 물건을 받치기 위해 판 형상의 상기 배면 수납단과 직교하게 형성되는 수납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은,
    상기 핸들 기둥과의 접합을 위해 상기 핸들 기둥이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의 최 전단은 상기 전면 수납단과 미세한 간격을 두거나 상기 전면 수납단의 판 형상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은,
    최 전단이 상기 판 형상의 전면 수납단에 형성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면 수납단은,
    상기 핸들 기둥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라인은,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연결된 지점부터 상기 수납판이 형성된 지점(B)까지 상기 핸들 기둥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점(B)에서 상기 핸들 기둥의 홀을 통해 상기 핸들 기둥에서 빼져서 180도 회전된 뒤, 상기 제 1 구동부 또는 제 2 구동부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다른 쪽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납단은,
    상기 퀵보드 본체로부터 최상단의 지점(A)에서의 단면의 길이가 상기 지점(B)에서의 단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지점(A)에서 상기 지점(B)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 라인인 연결된 한 단에서부터, 상기 지점(B)지점까지의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길이(T1)는,
    상기 지점(B)에서부터 상기 핸들 기둥의 외부로 돌출되어 180도 회전된 지점(C)까지의 상기 브레이크라인의 길이(T2)에 비해 2.3 내지 2.5 배로 형성되며, 상기 지점(A)에서 상기 지점(B)까지의 길이는 5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가 형성되며 하면의 한쪽 끝단에는 제 1 곡선기어의 한 단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발판;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곡선기어는, 곡선 형태의 내접기어로 내측으로 이가 형성되며, 제 1 전달기어와 일체로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외측으로 형성된 평기어인 제 1 내측기어의 외측으로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 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의 평기어로 상기 제 1 곡선기어의 하방으로의 곡선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내측기어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 동일한 회전 방향인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의 회전축을 공통의 회전축으로 사용하며, 외측에 형성된 제 1 후륜바퀴와의 상대적 거리에서 상기 제 1 내측기어 보다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외측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공통의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1 후륜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종동기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기어는,
    상기 제 1 전달기어의 시계방향(정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통의 회전축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후륜바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보다 직경이 짧은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있는 평기어이며,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1 내측기어보다 직경이 긴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있는 평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전륜바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부와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원부는,
    상기 제 1 발판의 하면 상에서 상기 제 1 곡선기어과 결합된 한 단과 반대편 끝단에 상기 퀵보드 본체를 통과하며, 상기 제 1 발판이 상기 퀵보드 본체 상에서 고정 및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발판의 넓이 방향(L)에서의 양쪽 끝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고정단;
    상기 제 1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부재의 한쪽 끝단이 감겨져 있는 제 1 수평바;
    상기 제 1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수평바에 비해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수평바;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 상에서 양쪽 끝단이 돌출된 구조로 상기 제 1 고정단에 비해 상기 핸들부, 상기 핸들 기둥 또는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지점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 2 고정단; 및
    상기 제 2 고정단의 돌출된 양쪽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감겨져 있는 제 3 수평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단의 수직면상에서의 높이는, 상기 제 2 고정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끝단이 상기 제 1 수평바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상기 제 3 수평바에 감겨져 있는 형상에서 상기 퀵보드 본체의 하면과 상기 탄성부재가 이루는 각도(α)는 15도 내지 18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위로 퀵보드 탑승자가 발을 올리고 중력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제 1 수평바에 감겨진 한쪽 끝단으로 상기 제 3 수평바에 감겨진 다른 쪽 끝단이 고정되어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원부는,
    상기 전륜바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구동부와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KR1020120035891A 2012-04-06 2012-04-06 퀵보드 KR10140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91A KR101405593B1 (ko) 2012-04-06 2012-04-06 퀵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91A KR101405593B1 (ko) 2012-04-06 2012-04-06 퀵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548A Division KR20140066980A (ko) 2014-04-18 2014-04-18 퀵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64A true KR20130126764A (ko) 2013-11-21
KR101405593B1 KR101405593B1 (ko) 2014-06-27

Family

ID=4985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891A KR101405593B1 (ko) 2012-04-06 2012-04-06 퀵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23A (ko) 2016-12-09 2018-06-19 자이로베스트 주식회사 자동 전원 상태 변경 기능을 구비한 두발 전동휠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01950U (ko) * 2021-02-02 2022-08-09 김병연 전동 킥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834U (ja) * 2002-08-01 2003-02-21 遠大塑膠工業股▲分▼有限公司 音と光のハンドル構造
KR200416197Y1 (ko) * 2005-11-03 2006-05-12 곽영문 추진장치가 장착된 근거리 이동장치
JP5331628B2 (ja) * 2009-09-10 2013-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荷掛けフック
KR100975760B1 (ko) * 2010-03-31 2010-08-13 이정우 킥보드 타입 자전거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23A (ko) 2016-12-09 2018-06-19 자이로베스트 주식회사 자동 전원 상태 변경 기능을 구비한 두발 전동휠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01950U (ko) * 2021-02-02 2022-08-09 김병연 전동 킥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593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9225A1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US20120216347A1 (en) Reciprocating Rocking Device
US7980573B1 (en) Spring board
US20150040694A1 (en) Reciprocating rocking device
KR101405593B1 (ko) 퀵보드
WO2015184429A2 (en) Stepper exercise scooter
US8220813B2 (en) Pedal-driven scooter
KR101971864B1 (ko)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KR20140066980A (ko) 퀵보드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US20150217828A1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CN202911793U (zh) 一种新式卡丁车
WO2009087256A1 (es) Trineo motorizado de nieve
CN201647018U (zh) 一种自重式脚踏车
ES2395186B1 (es) Vehículo de impulsión mécanica
WO2003034968A1 (es) Silla motorizada conducida por el acompañante objeto
CN110789647A (zh) 一种滑板车
US9101844B1 (en) Around the world rotary toy system
JP2004010037A (ja) 駆動輪
KR100856011B1 (ko) 임시 정차용 자전거 스탠드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2578355B1 (ko) 운동방향의 전환 구조를 가지는 보드
CN108852664A (zh) 一种电动轮椅的扶手结构
JP2008136567A (ja) 自走式ローラ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