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512A -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512A
KR20130126512A KR1020130052594A KR20130052594A KR20130126512A KR 20130126512 A KR20130126512 A KR 20130126512A KR 1020130052594 A KR1020130052594 A KR 1020130052594A KR 20130052594 A KR20130052594 A KR 20130052594A KR 20130126512 A KR20130126512 A KR 2013012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nding
wound
pair
accum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676B1 (ko
Inventor
유지 히게타
Original Assignee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9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23/19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motor-controlled (Controlling electrical drive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1Physical features of handled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필름의 권취 장치(10)는,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권취 기구(13)와,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소정량의 필름(11)을 일정량으로 조출하는 조출 기구(12)와,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을 축적한 후에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는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구비한다.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킨다.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간을 통과하여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33)와, 가동 롤러(33)를 이동시키는 서보 모터(3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FILM}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 전기 기기, 산업 기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필름을 권회한 콘덴서나 전지 등을 제조할 때에 사용 가능한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모든 전기 기기가 인버터 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에너지 절약화, 고효율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업계에 있어서는, 전기 모터와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가 시장에 도입되는 등, 지구 환경에 친화적이고, 에너지 절약화, 고효율화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화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에 사용되는 전기 모터는 사용 전압 영역이 수백 볼트로 높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 모터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콘덴서로서, 고내전압(高耐電壓)이며 저손실의 전기 특성을 갖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름 상에 금속 증착 전극을 형성한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을 한 쌍의 금속 증착 전극이 유전체 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권회함으로써 콘덴서 소자를 형성하고, 이 콘덴서 소자의 양 단부면에 금속 용사에 의한 메탈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취출 전극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종래, 이러한 필름을 권취하여 콘덴서 소자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이 권회된 보빈 또는 릴을 장전 가능한 권출 축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9-94188A호 참조). 이 장치에서는, 2세트의 금속화 필름을 각각 장전할 수 있도록 권출 축이 2개 설치되고, 2개의 권출 축으로부터 각각 조출된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을 2매 1세트로서 겹쳐 권회하는 권취 기구와, 권출 축과 권취 기구의 중간에 설치되어 금속화 필름을 각각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복수의 반송 롤러는, 금속화 필름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위치 변동에 의해 권출 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필름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는 댄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종래의 필름의 권취 장치에서는, 회전 속도가 제어된 2개의 권출 축으로부터 조출되는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을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하여 권취 기구에 권회시키고 있어, 안정된 성능의 콘덴서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차에 사용되는 전기 모터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콘덴서로서, 그 단면 형상을 비원형으로 하고, 차량의 소정의 간극에 그러한 콘덴서를 수용시켜 부품의 탑재율을 높이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단면이 비원형인 콘덴서 등을 얻기 위해서는,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에 필름을 권회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이 경우에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를 등속으로 회전시키면, 그 와인딩 코어의 외주에 권취되는 필름의 속도는 변화되게 된다. 예를 들어, 필름이 권회되는 와인딩 코어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의 편평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사각 형상 단면의 긴 변이 짧은 변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긴 경우에, 그 와인딩 코어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 그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에 권취되는 필름의 속도는 현저하게 변화되어, 비교적 빠른 속도와 현저하게 느린 속도가 교대로 반복되게 된다.
권취되는 필름의 속도가 변화되면, 그 필름을 조출하는 측에 있어서도, 그 필름의 조출 속도를 그 필름이 권취되는 속도와 동일하도록, 필름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조출한 후에 그 조출 속도를 현저하게 느리게 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렇게 하면, 실질적으로 와인딩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는 속도가, 필름을 조출하는 측에 있어서, 그 필름 속도를 변화시켜 조출하는 속도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필름을 조출하는 측에 있어서, 조출하는 필름이 비교적 큰 스풀에 권회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스풀은 비교적 큰 관성력을 갖게 되므로, 그 관성의 크기로 인해 그 스풀의 회전의 가속 및 감속을 빠르게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신속한 필름의 조출이 곤란해져, 필름의 권취 속도를 높이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권취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그 필름을 권회하는 경우라도, 비교적 고속으로 그 필름을 권회할 수 있는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필름의 권취 장치는, 소정량의 필름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권취 기구와, 상기 권취 기구가 권취하는 상기 소정량의 필름을 일정량으로 조출하는 조출 기구와, 상기 권취 기구와 상기 조출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출 기구로부터 조출되는 상기 필름을 축적한 후에 상기 권취 기구를 향해 조출하는 어큐뮬레이트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트 기구는, 상기 권취 기구가 권취하는 상기 필름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필름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출 기구로부터 일정량으로 조출되는 필름을, 권취 기구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필름의 권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출 기구로부터 조출되는 상기 필름을 어큐뮬레이트 기구에 의해 축적한 후에 상기 권취 기구를 향해 조출하고, 상기 권취 기구가 권취하는 필름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트 기구에 의한 상기 필름의 축적량을 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와인딩 코어의 각도와 어큐뮬레이트 기구에 의한 필름의 축적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필름의 권취 속도와 어큐뮬레이트 기구에 의한 필름의 축적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반송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6은 가동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다른 반송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E-E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필름의 권취 장치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필름의 권취 장치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장치(10)를 도시한다. 이 권취 장치(10)는, 소정량의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11)을 일정량으로 조출하는 조출 기구(1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출 기구(12)는, 도시하지 않은 보빈 또는 릴에 금속화 필름(11)이 원형으로 권회된 필름 롤(11a)을 장전 가능하게 구성된 권출 축(12a)과, 그 권출 축(12a)을 그 필름 롤(11a)과 함께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11)을 2매 1세트로 하여 한 쌍으로 겹쳐 권회하는 권취 장치(10)를 도시한다. 이로 인해, 2세트의 띠 형상 금속화 필름(11)이 권회된 2개의 필름 롤(11a)을 각각 장전할 수 있도록, 조출 기구(12)를 구성하는 권출 축(12a) 및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도 각각 한 쌍, 즉, 2세트 구비된다.
그리고, 이 2개의 권출 축(12a)을 각각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는, 원형으로 권회된 필름 롤(11a)과 함께, 이 권출 축(12a)을 각각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하는 원형의 필름 롤(11a)로부터 소정량의 필름(11)을 등속이며 항상 일정량으로 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금속화 필름(11)으로서, 콘덴서용의 것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름의 한쪽 면에 금속 증착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폭 80㎜, 두께 3㎛인 것이 예시된다.
또한, 필름의 권취 장치(10)는,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을 권회하는 권취 기구(13)를 구비한다. 이 권취 기구(13)는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11)을 권회하는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와, 이 와인딩 코어(13a)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권취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권취 모터가,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그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와인딩 코어(13a)의 외주에 필름(11)을 권회함으로써, 권취 기구(13)는,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조출 기구(12)를 구성하는 권출 축(12a)과 권취 기구(13)를 구성하는 와인딩 코어(13a) 사이의 필름(11)의 반송 경로에는 복수의 반송 롤러(16)가 설치된다. 2개의 권출 축(12a)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필름의 권취 장치(10)에서는, 각각의 권출 축(12a)으로부터 와인딩 코어(13a)까지 동일 개수의 반송 롤러(16)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반송 롤러(16)는, 금속화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복수개 고정되어 설치되어 금속화 필름(11)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것이며, 이 복수의 반송 롤러(16)는, 필름(11)이 권취되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필름(11)을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반송 롤러(16)는 모두 동일 구조이며, 도 1에 있어서의 하나의 반송 롤러(16)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반송 롤러(16)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권취된 필름(11)을 부상 가능하게 구성된 통부(23)와, 그 통부(23)의 양측에 설치되어 통부(23)에 권취되어 부상하는 필름(11)의 폭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벽 부재(24, 25)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반송 롤러(16)는,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형물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통부(23)와 벽 부재(24, 25)가 각각 일체로 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통부(23)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 구멍(23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축 방향의 양단부를 밀봉하도록 벽 부재(24, 25)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 부재(24, 25)는 통부(2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그 통부(23)의 양측에 필름(11)의 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두고 그 통부(23)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통부(23)의 일단부측에 있어서의 벽 부재(24)에는, 통부(23)와 동축의 수나사(24a)가 형성되고, 권취 장치(10)의 패널(10a)에는 이 수나사(24a)를 장착하는 삽입 관통 구멍(10b)이 형성된다. 패널(10a)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10b)에 이 수나사(24a)를 삽입 관통하고, 와셔(26a)를 통해 너트(26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 반송 롤러(16)는 권취 장치(10)의 패널(10a)에 고정된다.
또한, 이 일단부측의 벽 부재(24)에는, 관통 구멍(23a)에 연통되는 연통 구멍(24b)이 중심축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연통 구멍(24b)의 일단부측에는 에어 공급용 제1 에어 튜브(27)를 고정 가능한 제1 커플러(28)가 설치된다. 또한, 통부(23)의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벽 부재(25)에는, 통부(2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3a)의 타단부측을 밀봉하는 덮개판(29a)이 수나사(29b)에 의해 장착된다. 벽 부재(24, 25) 사이에 있어서의 통부(23)에는 관통 구멍(23a)에 일단부가 연통되는 복수의 에어 구멍(23c)이, 그 타단부를 외주면에 개방시키도록 그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 복수의 에어 구멍(23c)은 필름(11)이 권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도 5에서는, 필름(11)이 되꺾이도록 권취되어 있으므로, 그 필름(11)이 권취되는 부분인 반주(半周)에 복수의 에어 구멍(23c)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지만, 권취된 필름(11)을 대략 90도 전향시키는 반송 롤러(16)에 있어서는, 그 필름(11)이 권취되는 부분인 중심으로부터 약 90도의 범위에 있어서 복수의 에어 구멍(23c)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의 에어 구멍(23c)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반송 롤러(16)에 있어서, 제1 에어 튜브(27)에 의해 공급되고 제1 커플러(28)를 통해 관통 구멍(23a)의 내부에 공급된 압축 에어는, 1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3a)을 통과한 후, 이 복수의 에어 구멍(23c)으로부터 반송 롤러(16)의 통부(23)에 있어서의 외표면에 분출되고, 이 분출된 에어에 의해 이 반송 롤러(16)에 권취된 필름(11)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통부(23)의 양측에 설치된 벽 부재(24, 25)는 통부(23)에 권취되어 부상하는 필름(11)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그 필름(11)의 폭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로 되돌아가, 그 필름(11)의 반송 경로의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16)와 와인딩 코어(13a)의 사이에는, 2개의 권출 축(12a)으로부터 각각 따로따로 조출되어 복수의 반송 롤러(16)에 의해 안내된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11)을 2매 1세트로 하여 한 쌍으로 겹친 상태에서 협압(挾壓)하는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가 설치된다. 이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는, 겹친 필름(11)을 협압하여, 그 필름(11)의 사이에 에어가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로, 우레탄 고무제의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이들 가압 롤러(17, 17)는 우레탄 고무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1에서는 권취 기구(13)를 구성하는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된 금속화 필름(11)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를 부호 14로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권취 장치(10)는, 권취 기구(13)와 조출 기구(12) 사이에, 그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을 축적한 후에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는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장치(10)에서는, 각각의 권출 축(12a)으로부터 와인딩 코어(13a)까지의 사이에 동일 구조의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은 동일 구조이므로, 그 한쪽의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간을 통과하여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33)와, 이 가동 롤러(33)를 이동시키는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롤(11a)로부터 조출된 필름(11)은 반송 롤러(16)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는 부위가 설치되고, 이 부위에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가 그 필름(11)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는, 필름(11)이 권회되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11)을 연직 방향으로 전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상술한 반송 롤러(16)와 동일 구조의 것이 사용되므로, 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상세한 구조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반송 롤러(16)와 동일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는 권취 장치(10)의 패널(10a)(도 4)에 직접 장착된다.
또한, 그 연직으로 연장되는 패널(10a)(도 4)에는,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볼 나사(36)가 설치되고, 이 볼 나사(36)를 회전 가능하게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의 회전축이 그 볼 나사(36)에 연결된다. 볼 나사(36)에는 가동대(37)가 나사 결합되고, 이 가동대(37)에 가동 롤러(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에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서는, 가동 롤러(33)에 권회된 필름(11)과 그 가동 롤러(33)와의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는 수단이 강구된다. 구체적으로,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가동 롤러(33)에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압축 에어 공급 펌프로부터 압축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그 압축 에어는, 가동 롤러(33)에 권회된 필름(11)을 그 가동 롤러(33)의 외주로부터 부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이 가동 롤러(33)는, 압축 에어 공급 펌프로부터 공급된 압축 에어를 그 외주로부터 분출하여, 그 외주에 권취된 필름(11)을 부상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롤러(33)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가동 롤러(33)는 전술한 반송 롤러(16)와 대략 동일 구조를 이루는 것이며,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권회된 필름(11)을 부상 가능하게 구성된 통부(33a)와, 그 통부(33a)의 양측에 설치되어 통부(33a)에 권회되어 부상하는 필름(11)의 폭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벽 부재(33b, 33c)를 구비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가동 롤러(33)는,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형물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통부(33a)와 벽 부재(33b, 33c)가 각각 일체로 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통부(33a)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 구멍(33d)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축 방향의 양단부를 밀봉하도록 벽 부재(33b, 33c)가 설치된다.
벽 부재(33b, 33c)는 통부(33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그 통부(33a)의 양측에 필름(11)의 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두고 그 통부(33a)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통부(33a)의 일단부측에 있어서의 벽 부재(33b)에는, 통부(33a)와 동축의 수나사(33e)가 형성되고, 가동대(37)에는 이 수나사(33e)를 설치하는 암나사(37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대(37)에 형성된 암나사(37a)에 이 수나사(33e)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 가동 롤러(33)는 이 가동대(37)에 고정된다.
또한, 이 일단부측의 벽 부재(33b)에는, 관통 구멍(33d)에 연통되는 연통 구멍(33f)이 중심축에 교차하여 형성되고, 그 연통 구멍(33f)의 일단부측에는 에어 공급용 제2 에어 튜브(38)를 고정 가능한 제2 커플러(39)가 설치된다. 또한, 통부(33a)의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벽 부재(33c)에는, 통부(33a)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33d)의 타단부측을 밀봉하는 덮개판(33h)이 수나사(33j)에 의해 장착된다. 벽 부재(33b, 33c) 사이에 있어서의 통부(33a)에는 관통 구멍(33d)에 일단부가 연통되는 복수의 에어 구멍(33k)이, 그 타단부를 외주면에 개방시키도록 그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복수의 에어 구멍(33k)은 필름(11)이 권취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압축 에어 공급 펌프로부터 제2 에어 튜브(38)에 의해 공급된 압축 에어는, 도 6에 도시하는 제2 커플러(39) 및 연통 구멍(33f)을 통해 관통 구멍(33d)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그 에어는, 그 후에 1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3d)을 통과하고, 그 후에 복수의 에어 구멍(33k)으로부터 가동 롤러(33)의 통부(33a)에 있어서의 외표면에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분출된 에어에 의해, 이 가동 롤러(33)에 권취된 필름(11)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시켜, 필름(11)과 그 가동 롤러(33)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통부(33a)의 양측에 설치된 벽 부재(33b, 33c)는 통부(33a)에 권취되어 부상하는 필름(11)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그 필름(11)의 폭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으로서 작용한다.
도 1로 되돌아가, 반송 롤러(16)에 의해 전향하여 수평 방향을 향하는 필름(11)은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상측에 걸쳐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사이의 필름(11)이 그것보다 하방에 존재하는 가동 롤러(33)에 하방으로부터 권취된다. 따라서,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서는,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 롤러(33)에 필름(11)을 권취함으로써, 필름(11)의 축적이 행해진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가 구동되어 볼 나사(36)를 회전시키면, 그것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가동대(37)가 가동 롤러(33)와 함께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가 구동되어 가동 롤러(33)가 하강하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확대되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의 2배의 길이의 필름(11)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 사이에 축적되게 된다. 반대로, 가동 롤러(33)가 상승하도록 어큐뮬레이트용 서보 모터(34)가 구동되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줄어들어, 그 축적된 필름(11)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필름(11)의 축적량의 변화는, 서보 모터(34)에 의해 가동 롤러(33)를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행해지게 된다.
또한,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의 외주에 필름(11)을 권회하면, 그 와인딩 코어(13a)가 일정 속도로 회전해도, 그 와인딩 코어(13a)를 갖는 권취 기구(13)는,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단면이 긴 원 형상을 이루는 와인딩 코어(13a)라면, 와인딩 코어(13a)가 회전하여 그 길이 방향 C가 그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과 평행하게 된 경우[도 2의 (a) 및 (g)]의 권취 속도는 현저하게 느려진다. 한편, 와인딩 코어(13a)가 회전하여 그 길이 방향 C가 그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과 대략 직교하게 된 경우[도 2의 (c) 및 (d)]의 권취 속도는 현저하게 빨라진다. 그리고, 이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가동 롤러(33)를 승강시켜, 그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권취 모터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단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의 회전 위치는, 그 컨트롤러에 의해 파악 가능하게 구성된다. 권취 장치(10)에서는, 와인딩 코어(13a)가 1회전함으로써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량과, 그 와인딩 코어(13a)가 1회전하는 동안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은 동일해진다. 그리고,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하고, 그 반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필름의 권취 장치(10)는,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어 권취 기구(13)까지 반송되는 필름(11)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 부여 장치(40)가 설치된다. 이 텐션 부여 장치(40)는, 어큐뮬레이트 기구(30)로부터 와인딩 코어(13a)를 향하는 필름(11)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와, 그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 사이에 설치되고 레버(43)에 의해 그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접근하도록 이동 가능한 댄서 롤러(44)를 구비하고, 그 댄서 롤러(44)를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6)이 설치된다. 이 스프링(46)에 의해 부여되는 댄서 롤러(44)의 가압력에 의해, 이 텐션 부여 장치(40)에서는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된 필름(11)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는, 필름(11)이 권취되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11)을 연직 방향으로 전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상술한 반송 롤러(16)와 동일 구조인 것이 사용되므로, 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의 상세한 구조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반송 롤러(16)와 동일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는 권취 장치(10)의 패널(10a)(도 4)에 직접 장착된다.
또한, 댄서 롤러(44)에 있어도, 필름(11)이 권취되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그 필름(11)을 부상시켜 필름(11)을 U자 형상으로 전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상술한 가동 롤러(33)와 동일 구조인 것이 사용되므로, 이 댄서 롤러(44)의 상세한 구조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댄서 롤러(44)가 일단부에 피봇 지지된 레버(43)의 타단부, 즉, 레버(43)의 패널(10a)(도 4)에 있어서의 피봇 지지점(43a)에는, 그 레버(43)의 요동 각도로부터 댄서 롤러(44)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용 각도 센서(47)가 설치되고, 이 각도 센서(47)의 검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출력된다. 조출 기구(12)에 있어서의 필름 롤(11a)은, 그 회전에 의해 필름(11)을 조출하는 것이므로, 필름(11)을 조출하면, 그 필름 롤(11a)의 외경은 서서히 감소하고,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위 시간에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이 감소하면, 그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하는 댄서 롤러(44)는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에 근접하게 된다. 이 댄서 롤러(44)의 이동은 위치 검출용 각도 센서(47)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는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를 제어하고, 필름 롤(11a)의 외경의 변화에 수반하여 필름 롤(11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단위 시간에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필름의 권취 장치(10)를 사용한 필름의 권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방법은, 조출 기구(12)로부터 일정량으로 조출되는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 기구(12)에 의한 필름(11)의 일정량의 조출은, 보빈 또는 릴에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된 필름 롤(11a)을 조출 축(12a)에 장전하고, 그 필름 롤(11a)을 조출 축(12a)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권출 축(12a)이 회전함으로써 띠 형상의 금속화 필름(11)은, 그 보빈 또는 릴로부터 조출되어, 반송 롤러(16)를 거쳐서, 권취 기구(13)인 와인딩 코어(13a)로 반송된다.
2개의 권출 축(12a)으로부터 각각 조출된 금속화 필름(11, 11)은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에 있어서 겹쳐지고, 권취 기구(13)에 의한 권취 속도를 변화시킨 필름(11)의 권취는,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에 그 필름(11)을 권회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권취 기구(13)의 와인딩 코어(13a)의 주위에는, 겹쳐진 상태의 2매의 금속화 필름(11, 11)을 한 쌍으로 하여 권회된다. 와인딩 코어(13a)는 회전함으로써 각각의 금속화 필름(11, 11)을, 한 쌍의 금속 증착 전극이 유전체 필름(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권회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방법에서는, 권취 기구(13)에 있어서의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가 1회전함으로써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량과, 그 와인딩 코어(13a)가 1회전하는 동안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은 동일해진다. 그리고,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한 후에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고, 그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한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와 역의 위상에서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하고, 그 반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필름(11)의 축적은,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 롤러(33)에 그 필름(11)을 권취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반송 롤러(16)에 의해 전향하여 수평 방향을 향하는 필름(11)은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상측에 걸쳐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 사이의 필름(11)이 그것보다 하방에 존재하는 가동 롤러(33)에 하방으로부터 권취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의 2배의 길이의 필름(11)을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축적한다.
한편, 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축적된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간에 있어서의 필름(11)이 권취되어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33)를 서보 모터(34)에 의해 승강시켜, 그 가동 롤러(33)를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이격시킨다. 예를 들어, 가동 롤러(33)가 하강하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확대되고,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의 2배의 길이의 필름(11)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사이에 축적된다. 반대로, 가동 롤러(33)가 상승하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줄어들어, 필름(11)의 축적량은 감소하게 된다.
도 2는, 단면이 긴 원 형상을 이루는 와인딩 코어(13a)가 반회전할 때의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필름(11)의 축적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의 (a)에서는, 와인딩 코어(13a)의 길이 방향 C가 그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그 와인딩 코어(13a)에 의한 필름(11)의 권취 속도는 현저하게 느린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한다.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필름(11)의 축적은,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그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간에 있어서의 필름(11)이 권취되어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33)를, 도 2의 (a)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확대되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의 2배의 길이이며,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사이에 축적되게 된다.
그곳으로부터 와인딩 코어(13a)가 회전한 도 2의 (b)의 상태에서는,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양은 증가하고, 조출 기구(12)가 조출하는 필름(11)의 양과 그 와인딩 코어(13a)가 권취하는 필름(11)의 양이 동일하게 된 상태에서, 가동 롤러(33)의 하강은 정지된다. 그 후, 와인딩 코어(13a)가 더 회전하여 도 2의 (c)의 상태에서는,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는 증가하여, 그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양은 조출 기구(12)가 조출하는 필름(11)의 양을 초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는, 가동 롤러(33)를 상승시켜, 도 2의 (c) 및 (d)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에 접근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가동 롤러(33)의 연직 거리는 감소하고,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 사이에 축적된 필름(11)이 조출되어 와인딩 코어(13a)에 권취되게 된다.
와인딩 코어(13a)가 더 회전하여 도 2의 (e)의 상태에서는,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양은 서서히 감소하여, 조출 기구(12)가 조출하는 필름(11)의 양과 그 와인딩 코어(13a)가 권취하는 필름(11)의 양이 동일해진 상태에서, 가동 롤러(33)의 상승은 정지되고, 조출 기구(12)(도 1)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을 초과하는 필름(11)의 어큐뮬레이트 기구(30)로부터의 조출은 정지된다. 그 후, 와인딩 코어(13a)가 더 회전하여 도 2의 (f) 및 (g)의 상태에서는,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가동 롤러(33)를,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이격시켜,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어도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지 않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축적한다. 이러한 도 2의 (a) 내지 (g)에 도시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출 기구(12)로부터 일정량으로 조출되는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한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하고, 그 반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함으로써, 조출 기구(12)로부터 일정량으로 필름(11)을 조출함에도 불구하고, 그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필름(11)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비교적 큰 필름 롤(11a)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 필름 롤(11a)이 비교적 큰 관성력을 갖게 되어도, 일정량의 필름(11)의 조출이 가능한 한, 결과적으로 신속한 필름(11)의 권취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11)의 권취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그 필름(11)을 권회하는 경우라도, 비교적 고속으로 그 필름(11)을 권회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에 대해 가동 롤러(33)를 이격 또는 접근시킴으로써 필름(11)의 축적과 배출을 행하므로, 그 가동 롤러(33)의 중량은, 조출 기구(12)에 있어서의 필름 롤(11a) 및 권취 기구(13)에 있어서의 와인딩 코어(13a)에 비교하여 가벼운 것이며, 그것에 가해지는 관성력은 각 필름 롤(11a, 11a)의 회전을 급가속 또는 급감속시키는 경우에 비교하여 작다. 또한, 실제로 조출되는 필름(11)에 있어서도, 그 필름(11)에 발생하는 관성력은 작으므로, 비교적 고속도로 그들 가동 롤러(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필름(11)의 축적 및 조출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출 기구(12)에서는, 필름 롤(11a)로부터 필름(11)을 항상 일정량으로 조출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필름 롤(11a, 11a)의 회전을 급가속하는 일이 없으면 급감속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각 필름 롤(11a, 11a)을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에 있어서는, 그 필름 롤(11a)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정도의 출력을 갖는 모터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필름 롤(11a, 11a)의 회전을 가속 및 감속하는 종래의 것과 같이 출력이 큰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권취 장치(10)의 대형화를 회피하는 동시에, 비교적 저렴한 권취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서는,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축적하고, 그 반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므로,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되는 필름(11)의 텐션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들 양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오차는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댄서 롤러(44)가 각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해, 또는 그들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11)의 텐션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소정량의 필름(11)을 소정의 시간마다 빠르게 권취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한편, 금속화 필름(11)을 와인딩 코어(13a)에 권회하여 콘덴서 소자(14)를 제작하면 그 외경은 서서히 커져, 권취되는 필름(11)의 양은 증가한다. 또한, 조출 기구(12)에 있어서의 필름 롤(11a)은, 그 회전에 의해 필름(11)을 조출하는 것이므로, 필름(11)을 조출하면 그 외경은 서서히 감소하여,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위 시간에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은 서서히 감소한다. 이와 같이, 권취되는 필름(11)의 양이 증가하는 동시에,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이 감소하면, 조출 기구(12)와 권취 기구(13) 사이에 있는 필름(11)의 전체 길이는 서서히 줄어, 그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댄서 롤러(44)는, 도 1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가이드 롤러(41, 42)에 근접한다. 그러면, 이 댄서 롤러(44)의 이동은 위치 검출용 각도 센서(47)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는 도시하지 않은 조출 모터를 제어하고, 필름 롤(11a)의 외경의 변화에 수반하여 필름 롤(11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단위 시간에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한다. 이에 의해 필름 롤(11a) 및 와인딩 코어에 권회된 필름(11)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14)의 외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조출되는 필름(11)의 양과 권취되는 필름(11)의 양을 항상 일정량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권출 축(12a)과 와인딩 코어(13a) 사이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16)나,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각 롤러(31∼33) 및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41, 42)나 댄서 롤러(44)에 있어서는, 띠 형상의 필름(11)이 권취되는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필름(11)을 조출 기구(12)로부터 권취 기구(13)까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름(11)의 반송 저항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에서는,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한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므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축적하고, 그 후의,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함으로써,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이 등속이며 일정량이었다고 해도, 그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조출 기구(12)에 있어서, 필름(11)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비교적 큰 스풀을 사용하여, 권취 기구(13)에 의한 권취 속도를 변화시킨 권취에 있어서도, 그 스풀의 회전 속도를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그 스풀이 비교적 큰 관성력을 갖게 되어도, 일정량의 필름(11)의 조출이 가능한 한, 권취 기구(13)에 의한 신속한 필름(11)의 권취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11)의 권취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그 필름(11)을 권회하는 경우라도, 그 권취 기구(13)에 의한 필름(11)의 권회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정된 성능의 콘덴서 소자(14)의 제조 효율을 종래보다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필름(11)을 조출 기구(12)로부터 권취 기구(13)까지 반송하는 반송 롤러(16)나,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각 롤러(31∼33) 및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41, 42)나 댄서 롤러(44)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23a, 33d)에 일단부가 연통되는 복수의 에어 구멍(23c, 33k)이 통부(23, 33a)에 형성된 반송 롤러(16, 31∼33, 41, 42, 44)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외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권취된 필름(11)을 부상 가능한 한, 통부(23, 33a)에 에어 구멍(23c, 33k)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송 롤러(16)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3a)으로부터 외주면에 에어가 통과 가능한 다공질 재료로부터 통부(23)를 형성하고, 그 통부(23)의 양측에 벽 부재(24, 25)를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벽 부재(24, 25)는 에어를 통과 불가능한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통부(23)의 필름(11)이 권취되는 일이 없는 외주 부분을 실드 부재(50)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반송 롤러(16)라도, 관통 구멍(23a)에 공급된 압축 에어는 그 관통 구멍(23a)으로부터 실드 부재(50)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 않은 통부(23)를 1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과하여, 필름(11)이 권취된 외주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출되어, 그 통부(23)에 권취된 필름(11)을 부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벽 부재(24, 25)에 의해 그 통부(23)에 권취되어 부상하는 필름(11)의 폭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롤러(17)를 제외하고, 반송 롤러(16)나,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각 롤러(31∼33) 및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41, 42)나 댄서 롤러(44)에 있어서는, 필름(11)을 부상시켜 그 필름(11)을 조출 기구(12)로부터 권취 기구(13)까지 반송하는 것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가압 롤러(17)로서, 필름(11)을 부상시키는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반송 롤러(16)나,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각 롤러(31∼33) 및 텐션 부여 장치(40)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41, 42)나 댄서 롤러(44)에 있어서도, 필름(11)을 반송 경로로부터 일탈시키지 않는 한,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이, 그 외주에 필름(11)을 접촉시켜 회전함으로써 그 필름을 반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화 필름(11)으로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름(11)의 한쪽면에 금속 증착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폭 80㎜, 두께 3㎛의 것을 사용한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체 필름(11)의 양면에 금속 증착 전극을 형성한 금속화 필름(11)과 세퍼레이터 필름(11)을 2매 1세트로 하여 한 쌍으로 사용하거나, 폭이나 두께가 다른 금속화 필름(1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금속 증착 전극을 갖지 않는 띠 형상의 필름(11)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기구(13)에 있어서의 와인딩 코어(13a)로서, 단면이 긴 원 형상을 이루는 와인딩 코어(13a)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와인딩 코어는 단면이 긴 원 형상을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와인딩 코어는,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한 한, 단면이 타원 형상을 갖고 있거나, 그 밖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권출 축(12a)과 각각의 텐션 부여 장치(40) 사이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권취 기구(13)와 조출 기구(12) 사이에 설치되는 한,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텐션 부여 장치(40)와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 사이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각각 설치해도 되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와 권취 기구(13) 사이에 단일의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설치하는 위치를 변경해도, 그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권취 기구(13)와 조출 기구(12) 사이에 설치되는 한,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느릴 때에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잉여의 필름(11)을 그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하고, 그 후의, 권취 기구(13)의 권취 속도가 빠를 때에 어큐뮬레이트 기구(30)가 축적한 잉여의 필름(11)을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함으로써,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필름(11)의 양이 등속이며 일정량이었다고 해도, 그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 롤러(17, 17)와 권취 기구(13) 사이에 설치하면, 그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단일의 것으로 되어,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Claims (6)

  1. 소정량의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권취 기구(13)와,
    상기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상기 소정량의 필름(11)을 일정량으로 조출하는 조출 기구(12)와,
    상기 권취 기구(13)와 상기 조출 기구(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상기 필름(11)을 축적한 후에 상기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는 어큐뮬레이트 기구(30)를 구비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상기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상기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필름의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트 기구(30)는,
    상기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상기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의 중간을 통과하여 상기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33)와,
    상기 가동 롤러(33)를 이동시키는 서보 모터(34)를 구비하는, 필름의 권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 기구(12)는, 상기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된 필름 롤(11a)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름(11)의 일정량의 조출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취 기구(13)는,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에 상기 필름(11)을 권회함으로써 상기 필름(11)을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도록 구성된, 필름의 권취 장치.
  4. 조출 기구(12)로부터 일정량으로 조출되는 필름(11)을, 권취 기구(13)에 의해 권취 속도를 변화시켜 권취하는 필름의 권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출 기구(12)로부터 조출되는 상기 필름(12)을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해 축적한 후에 상기 권취 기구(13)를 향해 조출하고,
    상기 권취 기구(13)가 권취하는 필름(11)의 권취 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의한 상기 필름(11)의 축적량을 변화시키는, 필름의 권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트 기구(30)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11)의 축적은, 상기 필름(11)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와 상기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상기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 롤러(33)에 상기 필름(11)을 권회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필름(11)의 축적량의 변화는, 서보 모터(34)에 의해 상기 가동 롤러(33)를 상기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고정 롤러(31, 3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필름의 권취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된 필름 롤(11a)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출 기구(12)에 의한 상기 필름(11)의 일정량의 조출이 행해지고,
    단면이 비원형인 와인딩 코어(13a)에 상기 필름(11)을 권회함으로써 상기 권취 기구(13)에 의한 권취 속도를 변화시킨 상기 필름(11)의 권취가 행해지는, 필름의 권취 방법.
KR1020130052594A 2012-05-11 2013-05-09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 KR101472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8990 2012-05-11
JP2012108990A JP5930530B2 (ja) 2012-05-11 2012-05-11 フィルムの巻取り装置及びフィルムの巻取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512A true KR20130126512A (ko) 2013-11-20
KR101472676B1 KR101472676B1 (ko) 2014-12-12

Family

ID=4953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594A KR101472676B1 (ko) 2012-05-11 2013-05-09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0530B2 (ko)
KR (1) KR101472676B1 (ko)
CN (1) CN103390512A (ko)
TW (1) TWI57922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3942A (zh) * 2014-07-28 2015-03-25 冯林 自动更换坐便器卫生膜的装置
KR102315951B1 (ko) * 2021-01-13 2021-10-22 연제현 더블 필름 어큐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필름 코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36Y1 (ko) * 2015-12-31 2017-05-16 세방전지(주) 격리판 연속공급장치
ITUB20160742A1 (it) * 2016-02-15 2017-08-15 Manz Italy Srl Apparato e metodo di avvolgimento
CN107863255A (zh) * 2016-09-22 2018-03-30 宁波碧彩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交流电动机的电容器卷绕方法
JP6898117B2 (ja) * 2017-03-10 2021-07-07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シート材送り装置
CN107195982B (zh) * 2017-07-19 2023-04-25 广东科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闭环锂电池电芯卷绕装置及方法
CN110504493B (zh) * 2018-05-16 2022-06-17 深圳市佳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卷绕机预卷绕机构
CN109266993B (zh) * 2018-11-28 2023-12-15 铜陵市新洲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容器芯喷金专用固定框
CN110342295A (zh) * 2019-08-16 2019-10-18 哈工大机器人(山东)智能装备研究院 张力控制系统及方法
CN113078368B (zh) * 2021-02-25 2022-08-19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圆柱形锂离子电池电芯半自动充气膨胀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4Y2 (ja) * 1981-12-17 1985-01-21 富士通株式会社 巻取装置
IT1191340B (it) * 1986-02-27 1988-03-16 Arcotronics Italia Spa Macchina per la bobinatura di pellicole attorno ad un supporto di sezione non circolare
JP2659472B2 (ja) * 1991-04-30 1997-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長尺シートの平板巻取り方法及び装置
JPH05139593A (ja) * 1991-08-26 1993-06-08 J C C Eng Kk 帯状体の繰出し制御装置
US6314333B1 (en) * 1998-07-03 2001-1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eb tension by actively controlling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a dancer roll
US6856850B2 (en) * 1998-07-03 2005-02-1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Controlling web tension, and accumulating lengths of web, using a festoon
US6473669B2 (en) * 1998-07-03 2002-10-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rolling web tension, and accumulating lengths of web, by actively controlling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a festoon
JP2003118899A (ja) * 2001-10-18 2003-04-23 Fuji Photo Film Co Ltd テープスリッタ
JP2004210422A (ja) * 2002-12-26 2004-07-29 Nippei Toyama Corp 巻取り装置
JP4618093B2 (ja) * 2005-10-26 2011-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デンサ素子製造装置
JP2009094188A (ja) * 2007-10-05 2009-04-30 Panasonic Corp コンデンサ素子製造装置
JP5404274B2 (ja) * 2009-09-16 2014-01-29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のしわ取り装置、フィルムの張力調整方法及びフィルムのしわ取り方法並びにフィルムの巻取り装置
JP5846725B2 (ja) * 2010-07-02 2016-01-20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の間欠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3942A (zh) * 2014-07-28 2015-03-25 冯林 自动更换坐便器卫生膜的装置
KR102315951B1 (ko) * 2021-01-13 2021-10-22 연제현 더블 필름 어큐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필름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0512A (zh) 2013-11-13
TWI579225B (zh) 2017-04-21
KR101472676B1 (ko) 2014-12-12
JP5930530B2 (ja) 2016-06-08
JP2013236028A (ja) 2013-11-21
TW201348110A (zh) 201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6512A (ko) 필름의 권취 장치 및 필름의 권취 방법
US9950889B2 (en) Film intermittent carrying device and film intermittent carrying method
JP5404274B2 (ja) フィルムのしわ取り装置、フィルムの張力調整方法及びフィルムのしわ取り方法並びにフィルムの巻取り装置
CN203222359U (zh) 隔膜自动换卷装置
JP5605926B2 (ja) フィルムのしわ取り装置、フィルムの張力調整方法及びフィルムのしわ取り方法並びにフィルムの巻取り装置
CN102544592B (zh) 用于电极基板的层叠装置
JP2014166917A (ja) 電極シートの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
KR102574267B1 (ko) 세퍼레이터 권회체 및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제조 방법
JP2009094188A (ja) コンデンサ素子製造装置
KR20210124703A (ko)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 시 사용되는 전극용 원단의 이송장치
JP5939166B2 (ja) 皺検出装置
KR101756501B1 (ko) 전극 시트 프레싱 장치
CN114284571A (zh) 卷绕装置及卷绕方法
KR102426466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분리막 장력유지장치
US20230119768A1 (en) Electrode Sheet Rewinding Apparatus Including Position-Changeable Idle Roller
CN111792413A (zh) 条形胶料防拉伸导开装置
CN103010802A (zh) 一种制备防静电屏蔽袋恒张力放卷装置
CN217417665U (zh) 收卷装置及分切设备
CN111634737A (zh) 一种双向纠偏装置
KR101899992B1 (ko) 2차전지 제조장치의 권취부 장력제어시스템
CN218987196U (zh) 贴标装置和极片成型设备
CN220078113U (zh) 一种贴胶装置
KR20160013555A (ko) 롤투롤 인쇄용 마이크로 래터럴 변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20886375U (zh) 一种可张力控制的带材输送装置及电芯堆叠设备
CN210150374U (zh) 放卷装置以及具有其的叠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