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217A -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217A
KR20130126217A KR1020120050129A KR20120050129A KR20130126217A KR 20130126217 A KR20130126217 A KR 20130126217A KR 1020120050129 A KR1020120050129 A KR 1020120050129A KR 20120050129 A KR20120050129 A KR 20120050129A KR 20130126217 A KR20130126217 A KR 2013012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ime
working time
work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원
김은혜
박홍규
허홍석
박종흥
이상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217A/ko
Publication of KR2013012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 물류 프로세스에서 집배원이 수행하는 집배 업무와 배달물량을 기반으로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객관적으로 산정하여 집배원간, 집배팀간, 집배국간 업무 부하를 파악하는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방법은,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업무 산정 요소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업무 산정 요소를 이용하여 출국준비업무시간,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각각 산정하는 집배 업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집배 업무 시간에서 산정된 상기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순로 구분 업무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모두 합하여 표준 근무 시간을 산정하는 표준 근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표준 근무 시간을 하루 기준 근무 시간으로 나누어 결과값을 표시하는 업무 부하 산정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ORKLOAD CALCURATING OF POSTAL DELIVER}
본 발명은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 물류 프로세스에서 집배원이 수행하는 집배 업무와 배달물량을 기반으로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객관적으로 산정하여 집배원간, 집배팀간 효율적인 인력 운영 및 집배 업무 부하 평준화를 위한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 및 IT 산업의 발달은 우편 산업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홈쇼핑,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편지와 같은 일반 통상우편물은 크게 줄었고, 대신 등기우편물과 소포 및 택배우편물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편 업무를 담당하는 우체국은 편지만을 배달해 주는 곳으로 머물러 있을 수만은 없게 되었다. 여기에 다국적 기업의 진출로 소포·택배사업이 무한 경쟁 체제에 돌입하면서, 공기업으로서 사기업과 경쟁하며 국민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게 되었다. 따라서, 집배원들은 편지가 아닌 소포 픽업을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는 일이 잦아졌고, 한정된 인력 속에서 찾아온 업무 환경의 변화는 집배원들의 업무 강도의 강화로 이어졌다.
그리고 신도시 건설로 인한 신규 배달개소의 지속적인 증가, 주간 부재 가구 증가에 따른 지환 우편물 증가 및 우체국 택배 물량 급증 등의 집배 환경 변화에 따라 집배구별 배달 업무 부하가 증가되고 있지만, 집배원의 배달 업무 부하량이 기준을 초과할 때 이를 상시적으로 조정하는 체계가 부재하며, 이는 배달 지연 및 소통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집배원간, 집배구간, 집배국간 집배 업무 평준화를 위해 즉, 효율적인 인력 운영 계획을 위해 우편 집배 업무에 대한 객관적인 부하 산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집배원 및 집배구간 업무 부하량 뿐만 아니라 집배팀간 및 집배국간 업무 부하량 평준화 소요제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우편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산정할 수 있는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집배 업무 부하 산정 방법은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업무 산정 요소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업무 산정 요소를 이용하여 출국준비업무시간,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각각 산정하는 집배 업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집배 업무 시간에서 산정된 상기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순로 구분 업무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모두 합하여 표준 근무 시간을 산정하는 표준 근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표준 근무 시간을 하루 근무 시간으로 나누어 결과값을 표시하는 업무 부하 산정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체국의 집배업무 부하 산정을 통해서 집배원간, 집배팀간, 집배국간 업무 부하의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배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력 운영 계획 수립이 가능해지며, 활용 가능한 우편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가져온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각 단계별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는 정보 획득부(100),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 업무 산정 결과 출력부(300), 데이터베이스부(400)를 포함한다.
정보 획득부(100)는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업무 산정 요소를 입력받는다. 정보 획득부(100)는 입력받은 업무 산정 요소를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업무 산정 요소는 배달 환경 정보와 배달 물량 정보를 포함한다.
배달환경 정보는 집배원이 배달하는 구역에 대한 정보로 집배업무 부하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배달환경 정보는 고층/중층/저층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 단독주택 그리고 회사법인으로 구분된다.
배달 물량 정보는 집배원이 하루에 배달하는 우편물에 대한 결과로 중간수도 자루 개수, 우편종별 배달 물량, 통상/등기 지환 물량 및 택배 픽업 물량 그리고 우체통/관내국 수집 개소, 도착통지서 작성 개수, 중간수도 픽업 개소 그리고 중간수도 자루 배달 물량을 포함한다.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는 집배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군집화한 결과에 따라, 5개의 주요 집배 업무에 대하여 업무시간을 산정하고 이에 대한 합으로 표준근무시간을 산정한 후, 산정된 표준 근무 시간은 8로 나누어 업무 부하량을 산정한다. 상기 5개의 주요 집배 업무는 출국 준비 업무, 순로 구분 업무, 이동, 배달 업무, 부대 업무로 구분된다.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에서 산정된 업무 부하량 산정 결과 값이 1을 초과할 수록 업무 부하가 높으며, 1 보다 작을수록 업무 부하가 낮다.
업무 산정 결과 출력부(300)는 상기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에서 산정된 결과를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입력된 정보 및 산출 결과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의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를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는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산정 수단(210),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산정 수단(220), 이동 시간 산정 수단(230), 배달 업무 시간 산정 수단(240), 부대 업무 시간 산정 수단(250), 표준 근무 시간 산정 수단(260), 업무 부하량 산정 수단(270)을 포함한다.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산정 수단(210)은 출국 준비 업무 시간(ST1)을 집배원이 출근하여 배달을 위해 집배국을 출국하기 전까지의 업무로 정의하며, 업무준비표준시간과 배달물량 운반/적재 시간, 배달증 생성 시간과 중간수도자루 처리 표준시간의 합으로 산정한다. 출국 준비 업무 시간(ST1) 산정을 위한 수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Figure pat00002
: 업무준비표준시간(고정값),
Figure pat00003
: 배달물량 운반/적재 표준시간(고정값),
Figure pat00004
: 배달증생성 표준시간 (고정값),
Figure pat00005
: 중간수도자루 X 중간수도자루처리 표준시간(초/자루)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출국 준비 업무 시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중간수도자루 개수는 정보 획득부(100)를 통해 획득하고 나머지 값은 미리 지정한다.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산정 수단(220)은 순로 구분 업무 시간(ST2)을 우편종별 배달을 위해 배달경로 별로 우편물을 구분하는 업무로 정의하며, 배달구역의 배달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통상(소형/대형), 등기, 소포에 대한 순로구분 표준시간을 산정한다. 순로구분 작업은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 단독주택 그리고 회사법인의 배달구역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따른 표준시간 정보도 달라진다. 배달환경별로 배분되는 우편종별 물량을 배달환경별 표준시간 값을 적용하여 순로 구분 업무 시간(ST2)을 산정한다. 순로 구분 업무 시간(ST2) 산정을 위한 수식은 수학식 2과 같다.
Figure pat00006
여기에서,
Figure pat00007
: 소형통상 순로구분기계 작업물량,
Figure pat00008
: 소형통상 수작업 물량,
Figure pat00009
: 대형통상배달물량,
Figure pat00010
: 등기배달물량,
Figure pat00011
: 소포배달물량,
Figure pat00012
:배달환경비율,
Figure pat00013
:순로구분표준시간(초/통)을 나타내고, (I=1:순로구분 유, I=2:순로구분기 무, I=3:대형통상) (j=1:아파트, j=2:다세대, j=3:단독,j=4:오피스텔,j=5:회사법인)
Figure pat00014
: 등기 순로구분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15
: 소포 순로구분 표준시간을 나타낸다. 수학식 2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순로 구분 업무 시간(ST2)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소형통상 순로구분기계 작업물량(
Figure pat00016
), 소형통상 수작업 물량(
Figure pat00017
), 대형통상배달물량(
Figure pat00018
), 등기배달물량(
Figure pat00019
), 소포배달물량(
Figure pat00020
)은 정보 획득부(100)를 통해 획득하고 나머지 값은 미리 지정된 값을 따른다.
이동시간 산정부(230)는 차량이나 이륜차를 통해 순수하게 이동하거나 운행한 시간으로 이동시간(ST3)을 산정한다.
배달 업무 시간 산정부(240)는 배달 업무 시간(ST4)을 배달환경별 도보이동을 포함한 우편물 배달업무시간으로서, 차량이나 이륜차 하차 후 배달점으로 이동하고, 배달점내 고객에게 우편물을 인계하고 인계 확인 절차 예컨대 PDA 사인까지 완료하여 차량이나 이륜차로 돌아오는 것 까지를 업무 범위로 정의한다. 일반통상의 경우 고객에게 직접 배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취함에 우편물을 넣는 작업까지를 배달로 정의한다. 반면 등기나 소포 같은 경우 고객에게 직접 배달하고, 고객의 사인을 PDA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 과정을 포함하여 배달업무로 정의한다. 배달업무는 배달환경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른 우편종별 표준시간 값이 달라진다.
배달 업무 시간(ST4) 산정에 있어 등기와 소포 같은 우편물은 배달 물량에 대한 접근 보다는 배달점 개소수에 따른 표준시간을 산정한다. 또한, 배달업무에서 일괄 배달물량 및 배달처에 대한 표준시간 값을 별도로 적용하여 일괄배달에 대한 배달업무시간을 산정한다. 배달업무시간 산정에 대한 수식은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21
여기에서,
Figure pat00022
: (소형+대형) 개별 배달물량,
Figure pat00023
: 통상 일괄 배달 개소수,
Figure pat00024
: 등기 배달 개소수,
Figure pat00025
: 등기 일괄 배달물량,
Figure pat00026
: 소포 배달 개소수,
Figure pat00027
: 소포 일괄 배달물량,
Figure pat00028
:배달환경비율,
Figure pat00029
:통상배달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30
:통상일괄배달 표준시간(초/개소),
Figure pat00031
:등기배달 표준시간(초/개소),
Figure pat00032
:등기일괄확인 표준시간(초/개소),
Figure pat00033
:소포배달 표준시간(초/개소),
Figure pat00034
:소포일괄확인 표준시간(초/개소)(j=1:고층아파트,j=2:중층아파트,j=3:저층아파트,j=4:다세대,j=5:단독,j=6:오피스텔,j=7:회사법인)을 나타낸다.
부대 업무시간 산정부(250)는 부대 업무시간(ST5)을 통상/등기 지환 물량 및 택배 픽업 물량 처리 시간과 우체통/관내국 수집 개소당 처리시간, 도착통지서 작성을 위한 시간, 중간수도 픽업 개소에 대한 처리시간 그리고 중간수도 자루 배달에 대한 처리시간으로 산정한다. 부대 업무시간(ST5)을 산정에 대한 수식은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35
여기에서,
Figure pat00036
: 통상 반송 물량,
Figure pat00037
: 등기 지환 물량,
Figure pat00038
: 택배 픽업물량,
Figure pat00039
: 우체통 수집 개소,
Figure pat00040
: 관내국 수집 개소,
Figure pat00041
: 중간수도자루 배달 물량,
Figure pat00042
: 중간수도픽업 개소,
Figure pat00043
: 통상 반송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44
: 등기 지환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45
: 택배 픽업 처리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46
: 우체통 수집 처리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47
: 관내국 수집 처리 표준시간(초/통),
Figure pat00048
: 중간수도자루배달 표준시간(초/자루),
Figure pat00049
: 중간수도픽업 표준시간(초/개소),
Figure pat00050
: 배달결과 등록 표준시간(고정값),
Figure pat00051
: 수집우편물처리 표준시간(고정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4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부대 업무 시간(ST5)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우체통 수집 개소(
Figure pat00052
), 관내국 수집 개소(
Figure pat00053
), 도착 통지서 작성 개수(
Figure pat00054
), 중간수도 픽업 개소(
Figure pat00055
), 중간수도 자루 배달 물량은 정보 획득부(100)를 통해 획득하고 나머지 값은 미리 지정된 값을 따른다.
표준 근무시간 산정 수단(260)은 각각의 산정된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산정 수단의 출력값인 ST1,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산정 수단의 출력값인 ST2, 이동 시간 산정 수단의 출력값인 ST3, 배달 업무 시간 산정 수단의 출력값인 ST4, 부대 업무 시간 산정 수단의 출력값인 ST5을 모두 더하여(ST1+ ST2+ST3+ST4+ST5) 표준근무시간(SST)을 산정한다.
업무 부하량 산정부(270)는 산정된 표준 근무시간(SST)을 하루 기준 근무 시간 즉, 8로 나눈 값을 업무 부하량으로 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에 의한 업무 부하 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의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알고리즘이 실행되면, 정보 획득부(100)는 사용자에게 도 4, 도 5와 같은 화면을 제공하여 배달 환경 정보와 배달 물량 정보를 입력받아서(S100)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에 전달한다.
도 4의 각 입력 데이터는 중앙서버에서 전국 집배원별로 통합 관리되며, 통상 우편물 배달 물량을 정보를 제외하고 자동으로 입력 데이터를 산정할 수 있다.
도 4는 배달 환경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배달 환경은 집배원별 담당하는 집배국의 집배 환경 정보로 집배국 현황 정보, 배달개소 정보, 수집개소 정보, 일평균 이동거리 정보로 구성되는 배달 환경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한다.
다음,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200)에 의해 5개의 주요 집배 업무에 대하여 업무시간을 산정한다(S200). 여기서 5개의 주요 집배 업무 시간 산정은, 출국준비업무시간 산정(S210),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산정 과정(S220), 이동시간 산정 과정(S230), 배달업무시간 산정 과정(S240) 그리고 부대/부가 업무시간 산정 과정(S250)으로 이루어진다.
배달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집배업무 부하 산정 프로세스 중 순로 구분 업무시간 및 배달업무 시간을 산정하고, 중간수도 자루 개수를 이용하여 출국준비업무시간을 산정한다. 또한, 우편종별 배달 물량 정보를 이용하여 순로구분업무시간과 배달업무시간을 산정한다. 부대업무시간 산정에는 통상/등기 지환 물량 및 택배 픽업 물량과 우체통/관내국 수집 개소, 도착통지서 작성 개수, 중간수도 픽업 개소 그리고 중간수도 자루 배달 물량 정보를 활용한다.
5개의 업무에 대하여 업무시간을 산정한 후 이에 대한 합으로 표준 근무시간을 산정한다(S300).
산정된 표준 근무시간은 8로 나누어 업무 부하량을 산정한다(S400). 업무 부하량 산정 결과 값이 1을 초과하면 업무 부하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1 미만일 경우 업무 부하가 낮다고 볼 수 있다.
다음, 업무 산정 결과를 출력한다(S500).
도 6과 도 7은 상기 업무 산정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된 업무 산정 결과 중 집배업무 표준시간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6개 집배업무로 정의하여 각각의 표준시간 값과 전체 표준시간 값의 합을 나타나며, 한 집배국의 1주일간 산정된 업무 부하 예제이다.
도 7은 집배조직의 부하량과 평준화 지수를 한눈에 보여주는 화면의 예이다. 도 7의 X축과 Y축에 집배업무 부하와 관련된 평준화 지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 집배팀당 집배원은 10명을 기준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집배팀별 평준화율은 집배팀 소속 집배원간 인당 일평균 부하량의 평준화율을 나타낸다. 또한, 팀당 평균 부하량, 생산성, 평준화 지수를 이용하여 집배팀의 부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평준화 필요성를 파악할 수 있다. 도 7의 결과 화면에서와 같이 검색버튼 옆에 풀다운 메뉴로 구성하여 집배원간 또는 집배국간 부하량을 검색해 볼 수 있다.
도 7의 집배 5팀의 경우 업무 부하량이 1.67이고 생산성이 131.50 이지만 평준화 지수는 약 56%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집배 5팀은 집배구당 업무량의 편차가 심하지 않아 집배팀을 구성하고 있는 집배구간의 평준화를 요하지 않는 집배팀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집배 2팀의 경우 업무 부하량이 1.72고 생산성이 131.63 이지만 평준화 지수는 약 84%인 것을 알 수 있다. 집배 2팀은 집배 5팀과 부하량이나 생산성은 비슷하지만 평준화 지수가 높으므로 집배팀 내부의 집배구당 평준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집배 2팀은 집배팀내 집배구간에 업부 부하량 편차가 심하여 업무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업무 집배 부하량 산정 장치를 통해 집배원 및 집배구간 업무 부하량 뿐만 아니라 집배팀간 및 집배국간 업무 부하량 평준화 소요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정보 획득부
200 : 집배 업무 부하량 산정부
300 : 표준 근무시간 산정부
400 : 업무 산정 결과 출력부
50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

  1. 집배원의 업무 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업무 산정 요소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업무 산정 요소를 이용하여 출국준비업무시간, 순로 구분 업무 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각각 산정하는 집배 업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집배 업무 시간에서 산정된 상기 출국 준비 업무 시간, 순로 구분 업무시간, 이동시간, 배달 업무 시간 및 부가 업무 시간을 모두 합하여 표준 근무 시간을 산정하는 표준 근무 시간 산정 단계;
    상기 표준 근무 시간을 하루 근무 시간으로 나누어 결과값을 표시하는 업무 부하 산정 결과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집배 업무 부하 산정 방법.
KR1020120050129A 2012-05-11 2012-05-11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126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29A KR20130126217A (ko) 2012-05-11 2012-05-11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29A KR20130126217A (ko) 2012-05-11 2012-05-11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17A true KR20130126217A (ko) 2013-11-20

Family

ID=498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29A KR20130126217A (ko) 2012-05-11 2012-05-11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2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2766A (zh) * 2014-11-02 2015-03-25 王志霞 一种超短时过载短时工作周期干式变压器容量计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2766A (zh) * 2014-11-02 2015-03-25 王志霞 一种超短时过载短时工作周期干式变压器容量计算方法
CN104462766B (zh) * 2014-11-02 2017-12-12 王志霞 一种超短时过载短时工作周期干式变压器容量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1607B2 (en) Device and method of planning and managing real-time postal delivery work
JP7024094B2 (ja) 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バランスの取れた配達ルート事前割当用のシステムと方法
WO2020030028A1 (zh) 配送调度
US9126235B2 (en) Enhanced postal data modeling framework
JP2021518963A (ja) 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バランスのとれた配達ルート割り当て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165895B (zh) 一种基于配送业务的定价方法及装置
CN107194630A (zh) 同城物流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08681845B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物流派单管理系统
CN112418536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到货时长实时监测预估系统
CN106815699A (zh) 分布式云架构智能物流配送系统
US20090089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management of logistics center
CN103426074A (zh) 一种计算物流收发路径的方法及系统
CN112184092A (zh) 物流节点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30126217A (ko) 우편 업무 부하 산정 장치 및 방법
EP32555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vehicle loading
CN11677718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可视化物流调度方法及系统
KR20120126944A (ko) 집배 업무 부하 산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209009366U (zh) 一种自动化收发货柜
KR20120076488A (ko) 집배 업무 부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75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업무관리 시스템
CN108550004A (zh) 一种自动化程度高的仓库管理系统
KR20120089526A (ko) 우편 집배 부하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4525B1 (ko) 집배 업무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37032B1 (ko) 우편 배달 부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3159370A (zh) 一种零散快递合作揽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