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200A -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200A
KR20130126200A KR1020120050097A KR20120050097A KR20130126200A KR 20130126200 A KR20130126200 A KR 20130126200A KR 1020120050097 A KR1020120050097 A KR 1020120050097A KR 20120050097 A KR20120050097 A KR 20120050097A KR 20130126200 A KR20130126200 A KR 2013012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emi
hole
shack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득
고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얄기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얄기초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얄기초산업
Priority to KR102012005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200A/ko
Publication of KR2013012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의 기초를 이루는 기둥을 설치하는 공정에 앞서 지중에 컬럼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럼의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바를 형성 및 컬럼의 상단에 원터치 착탈 가능한 반자동 샤클을 결합하되, 천공 케이싱 내부에 컬럼을 근입시 천공 케이싱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컬럼의 수직 근입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컬럼의 상단이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더 깊이 삽입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추후 슬래브 타설시 절단 고재 처리되거나 별도로 준비되는 보조컬럼이 필요 없어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줄여 경비의 현격한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하며, 특히, 컬럼 근입에 따른 별도의 컬럼 지지수단 설치공정의 생략과 슬래브 타설시 컬럼 상부의 두부처리에 따른 시공공정의 간소화시키는 등 공기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Semi-automatic shackl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colum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colum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공사의 기초를 이루는 기둥을 설치하는 공정에 앞서 지중에 컬럼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자동 샤클을 이용하여 지중에 미리 삽입되는 천공 케이싱 내부로 컬럼(H-컬럼)을 근입시 꼭 필요한 깊이만큼의 근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컬럼의 로스(Loss) 예방으로 인한 시공 경비의 절감을 가져옴은 물론, 추후 컬럼의 상단 두부 정리에 따른 불필요한 공정의 생략으로 공기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게 한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의 기초공사시 정밀한 수직도 관리를 요하는 건축기둥의 설치시 선행공정으로 컬럼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부재로서 설치되는 컬럼은 통상 항타를 통하여 지반에 관입되거나, 지반천공기에 의하여 기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항타로 인한 충격으로 주변 구조물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므로, 도심을 비롯한 인구밀집지역의 공사에 있어서는 대부분 후자의 방법이 사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지반천공에 있어서 토사층의 굴착시, 오거드릴(Auger drill) 등의 지반천공기의 굴착장비와 천공 케이싱을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지반에 관입하게 되는 데, 이때 천공 케이싱은 굴착공의 공벽(孔壁)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천공 케이싱 내부로 토사 등의 재유입 및 작업상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약1m 높이를 이루게 관입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후, 천공이 완료되면 굴착공 하단부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직부재인 컬럼을 삽입하게 된다.
이후, 천공 케이싱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그 천공 케이싱을 지중으로부터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은, 컬럼이 천공 케이싱 내부로 근입시 그 수직도를 유지하기 위해 천공 케이싱의 상단에 컬럼의 근입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지지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상태가 유지된 컬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그 컬럼의 상단이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에서 천공 케이싱의 상단으로 돌출 설치되는 것인바, 추후, 지면에 슬래브를 타설시 상부로 돌출된 컬럼 상부를 두부정리로 절단 고재 처리하는 등 불필요하게 컬럼 자재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컬럼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천공 케이싱 내부로 근입되는 컬럼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보조컬럼을 추가로 만들어 본 컬럼과 볼트로 체결하고 추후 볼트를 해체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근입된 컬럼의 상단 깊이가 지면으로부터 1m을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볼트를 풀수가 없어 주변을 터파기하고, 이후 볼트를 해체후 보조컬럼을 인양하며, 다시 되메우기 및 다짐을 실시해야 하며, 컬럼 사이즈가 건물 하중에 준하여 결정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조컬럼을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컬럼의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바를 형성 및 컬럼의 상단에 원터치 착탈 가능한 반자동 샤클을 결합하되, 천공 케이싱 내부에 컬럼을 근입시 천공 케이싱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컬럼의 수직 근입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컬럼의 상단이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더 깊이 삽입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추후 슬래브 타설시 절단 고재 처리되거나 별도로 준비되는 보조컬럼이 필요 없어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줄여 경비의 현격한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하며, 특히, 컬럼 근입에 따른 별도의 컬럼 지지수단 설치공정의 생략과 슬래브 타설시 컬럼 상부의 두부처리에 따른 시공공정의 간소화시키는 등 공기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로프 연결공이 형성된 "바" 형상의 로프 연결부;
상기 로프 연결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중앙에는 컬럼 삽입홈이 형성되게 양측 지지편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양측 지지편에는 상기 컬럼 삽입홈과 연통되는 끼움공이 각각 형성된 컬럼 설치부;
내부에는 상기 끼움공 보다 큰 직경의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그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편에서 끼움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과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관;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지지편의 끼움공 주연부에 면접 지지되는 탄력 스프링;
일측에 탄력 스프링 내에 삽입되어 끼움공에 삽탈되는 축소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그 확장부의 단부에 탄력 스프링의 타단부가 면접 지지되며, 확장부의 외주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삽탈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삽입되어 삽탈핀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레버; 및
상기 가이드관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마감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천공 케이싱을 지반에 관입하는 케이싱 관입공정과, 상기 천공 케이싱 내부에 컬럼을 근입하는 컬럼 근입공정과, 천공 케이싱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그 천공 케이싱을 지반으로부터 제거하는 케이싱 제거공정과 지면 슬래브 타설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컬럼 근입공정을,
컬럼의 외주면에 천공 케이싱의 내경과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바를 용접 형성하고, 상기 컬럼의 상단에 샤클 설치공을 형성 및 그 샤클 설치공에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 탄력을 가지는 삽탈핀을 이용하여 반자동 샤클을 잠금 설치하되,
상기 반자동 샤클에 크레인과 연결되는 로프를 연결 및 컬럼의 가이드바를 가이드로 하여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계획 심도까지 근입시키고, 천공 케이싱의 외부에서 샤클 탈거로프를 이용한 작동레버에 외력을 가해 잠금을 해제시켜 반자동 샤클을 제거 및 컬럼이 천공 케이싱 내부에 근입되게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은, 천공 케이싱 내부로 컬럼을 근입시 그 상단이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그 지면보다 더 깊게 근입이 가능하여 추후 슬래브 타설시 절단 고재 처리되거나 보조 컬럼의 사용이 필요없는 등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컬럼을 줄여 시공 결비의 현격한 절감을 자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컬럼 근입시 그 수직도를 유지키 위해 별도로 천공 케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의 설치 공정 및 컬럼 상부의 두부처리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여 시공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한 공기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따른 컬럼 시공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의 컬럼에 반자동 샤클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의 컬럼이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의 컬럼이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의 컬럼으로부터 반자동 샤클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1)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로프 연결부(100)와, 컬럼 설치부(200)와, 가이드관(300)과, 탄력 스프링(400)과, 삽탈핀(500)과, 작동레버(600)와 마감캡(7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프 연결부(100)는, 비교적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상부에는 견인로프(30)가 연결되는 수평 관통형 로프 연결공(11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컬럼 설치부(200)는, 상기 로프 연결부(100)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대항상의 양측 지지편(210)(210')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측 지지편(210)(210')의 사이에는 컬럼(20)이 내입 되는 걸개형 컬럼 삽입홈(220)이 형성되며, 그 각각의 지지편(210)(210')에는 상기 컬럼 삽입홈(220)과 연통 되는 수평형 끼움공(211)(211')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관(300)은, 내부가 관통된 슬라이드공(310)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를 이루며,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편(210)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 그 지지편(210)에 형성된 끼움공(211)이 상기 슬라이드공(310)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공(310)은, 상기 지지편(210)의 끼움공(211)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구성하되, 그 슬라이드공(310)과 끼움공(211)간에 단차가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310)과 연통되는 가이드공(320)이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공(320)은, 지지편(210) 측으로부터 가이드관(300)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 형성되는 수평가이드공(321)과, 상기 수평가이드공(321)의 지지편(210) 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형 걸림공(322)으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레버(600)가 탄력 스프링(400)의 압축력을 이기고 전방으로 전진시 상기 걸림공(322)에 작동레버(600)가 탄력 계지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탄력 스프링(400)은, 통상의 압축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관(300)의 슬라이드공(310)에 삽입 및 그 일단부가 상기 끼움공(211)의 주연부에 면접 지지 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삽탈핀(500)은,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은 상기 지지편(210)(210')의 끼움공(211)(2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축소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움공(211)(211')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외주면에 나사공(521)이 형성된 짧은 길이를 갖는 확장부(52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삽탈핀(500)은, 그 축소부(510)에 의해 슬라이드공(310)에 삽입 및 탄력 스프링(400) 내에 삽입되고, 축소부(510)와 확장부(520)의 단차부에 탄력 스프링(400)의 타단부가 면접 지지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6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관(300)의 가이드공(320)을 관통하여 삽탈핀(500)의 확장부(520)에 형성된 나사공(52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320)을 통해 가이드관(30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마감캡(700)은, 상기 가이드관(30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가이드관(300)을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마감캡(7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탈핀(500)의 확장부(520)의 후면이 면접 지지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반자동 샤클(1)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작동레버(600)를 전진 시키게 되면, 그 작동레버(600)는 가이드공(320)의 수평가이드공(321)을 따라 전진되고, 이와 동시에 삽탈핀(500)을 전진 시키며, 이에, 가이드관(300)의 내부에 내입된 탄력 스프링(400)에는 압축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전진 되는 삽탈핀(500)의 축소부(510)는 지지편(210)(210')에 형성된 끼움공(211)(211')에 삽입되어 컬럼 삽입홈(220)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따른 컬럼 시공공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지중 컬럼 설치방법은, 통상의 지중 컬럼 설치방법과 같이 천공 케이싱(10)을 지반에 관입하는 케이싱 관입공정(S100)과, 상기 천공 케이싱 내부에 컬럼을 근입하는 컬럼 근입공정(S200)과, 천공 케이싱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그 천공 케이싱을 지반으로부터 제거하는 케이싱 제거공정(S300)으로부터,
상기 통상의 지중 컬럼 설치방법과 같이 천공 케이싱(10)을 지반에 관입하는 케이싱 관입공정(S100)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컬럼 근입공정(S200)을,
반자동 샤클(1)을 이용하여 상기 컬럼(20)을 천공 케이싱(10)의 내부에 수직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근입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컬럼(20)은 측판(21)(21')과 그 측판(21)(21')을 연결하는 중앙의 연결편(22)을 갖는 통상의 H-컬럼을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컬럼(20)의 외주면에는 일단부가 천공 케이싱의 내경과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바(23)(23')가 용접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용접 형성되는 가이드바(23)(23')는 방사상을 이루게 다수열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컬럼(20)의 연결편(22) 상부에는 샤클 설치공(24)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샤클 설치공(24)에는 반자동 샤클(1)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반자동 샤클(1)은, 상기 컬럼(20)의 연결편(22)이 반자동 샤클(1)의 지지편(210)(210') 사이에 형성된 컬럼 삽입홈(220)에 내입 되게 하되, 그 내입시 연결편(22)의 샤클 설치공(24)이 지지편(210)(210')의 끼움공(211)(211')과 연통 되게 내입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작동레버(600)를 전진 시키게 되면, 그 작동레버(600)는 가이드공(320)의 수평가이드공(321)을 따라 전진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삽탈핀(500)을 전진 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에, 가이드관(300)의 내부에 내입된 탄력 스프링(400)에는 지지편(210)의 끼움공(211) 주연부 및 삽탈핀(500)의 확장부(520)의 지지력에 의해 압축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전진 되는 삽탈핀(500)의 축소부(510)는 지지편(210)(210')에 형성된 일측 끼움공(211)을 통해 컬럼(20)의 샤클 설치공(24)을 관통하여 타측 끼움공(211')에 삽입 되는 것이고, 이때, 작동레버(600)를 걸림공(322)으로 하방 이동시켜 그 걸림공(322)에 잠금 시킴으로 탄력 스프링(400)의 압축력이 유지된 상태로 반자동 샤클(1)이 컬럼(20)에 체결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반자동 샤클(1)의 작동레버(600)에는 추후 반자동 샤클(1)의 제거를 위해 샤클 탈거로프(40)을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도 7의 도시와 같이 반자동 샤클(1)이 결합된 컬럼(20)을 천공 케이싱(10) 내부로 근입 시키면 되는 것으로, 컬럼(20)의 근입시는 그 컬럼(20)의 무게를 고려하여 통상의 크레인 등을 이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반자동 샤클(1)의 로프 연결부(100)에는 견인로프(30)의 일단이 연결되고, 그 견인로프(30)의 타단은 크레인에 연결시켜 그 크레인의 작동에 따라 컬럼(20)을 천공 케이싱(10)의 내부로 근입 시키면 되는 것으로, 컬럼(20)의 근입시 그 컬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바(23)(23')는, 컬럼(20)이 천공 케이싱(10) 내부로 근입시 그 단부가 천공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접하여 근입되는 컬럼(20)의 수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후,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직도가 유지된 상태의 컬럼(20)은, 천공 케이싱(10) 내부로 계획 심도까지 완전히 근입 시키면 되는 것으로, 그 천공 케이싱(10)에 근입되는 컬럼(20)의 상단부는 적어도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근입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추후 수행되는 슬래브 타설공정시 지중에 매설된 컬럼의 상단이 슬래브 타설시 간섭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도 9의 도시와 같이 컬럼(20)이 계획 심도까지 완전히 근입되게 되면 그 컬럼(20)으로부터 반자동 샤클(1)을 제거하면 되는 것으로, 그 반자동 샤클(1)을 제거시에는 작업자가 천공 케이싱(10)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천공 케이싱(10)의 외부에서 작동레버(600)에 외력을 가해 잠금을 해제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작동레버(600)의 잠금 해제시에는, 샤클 탈거로프(40)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그 샤클 탈거로프(40)에 연결된 작동레버(600)가 걸림공(322)으로부터 상부로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며, 이에 작동레버(600)는 압축된 탄력 스프링(400)의 복원 탄력에 의해 수평가이드공(321)을 따라 후방으로 후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삽탈핀(500)의 축소부(510)는 끼움공(211)(211') 및 샤클 설치공(24)으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반자동 샤클(1)이 컬럼(20)으로부터 탈거 되는 것이고, 이에 컬럼(20)은, 천공 케이싱(10) 내부에 근입된 상태가 됨으로 컬럼 근입공정(S200)이 마무리되는 것이며, 이후, 천공 케이싱(10)을 지반으로부터 제거하는 케이싱 제거공정(S300)과 추후 수행되는 지면 슬래브 타설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 컬럼(20)의 설치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및 그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은, 통상적으로 천공 케이싱의 삽입시 그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약1~2m 돌출되게 관입되는 것인바, 본 발명 반자동 샤클을 이용하여 컬럼을 천공 케이싱 내부에 근입시 컬럼의 상단이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근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추후 수행되는 두부 정리로 절단 고재 처리되거나 보조 컬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컬럼 자재의 절감을 가져오며, 상기와 같은 두부 처리에 따른 시공 공정을 간소화 시킴으로 공기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10 : 천공 케이싱 20 : 컬럼
21,21' : 측판 22 : 연결판
23,23' : 가이드바 24 : 샤클 설치공
30 : 견인로프 40 : 샤클 탈거로프
100 : 로프 연결부 110 : 로프 연결공
200 : 컬럼 설치부 210,210' : 지지편
211,211' : 끼움공 220 : 컬럼 삽입홈
300 : 가이드관 310 : 슬라이드공
320 : 가이드공 321 : 수평가이드공
322 : 걸림공 400 : 탄력 스프링
500 : 삽탈핀 510 : 축소부
520 : 확장부 521 : 나사공
600 : 작동레버 700 : 마감캡

Claims (4)

  1.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로프 연결공(110)이 형성된 "바" 형상의 로프 연결부(100);
    상기 로프 연결부(10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중앙에는 컬럼 삽입홈(220)이 형성되게 양측 지지편(210)(210')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양측 지지편(210)(210')에는 상기 컬럼 삽입홈(220)과 연통되는 끼움공(211)(211')이 각각 형성된 컬럼 설치부(200);
    내부에는 상기 끼움공(211)(211') 보다 큰 직경의 슬라이드공(310)이 관통 형성되고, 그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편(210)에서 끼움공(211)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310)과 연통되는 가이드공(320)이 형성된 가이드관(300);
    상기 슬라이드공(310)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지지편(210)의 끼움공(211) 주연부에 면접 지지되는 탄력 스프링(400);
    일측에 탄력 스프링(400) 내에 삽입되어 끼움공(211)(211')에 삽탈되는 축소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확장부(520)가 형성되어 그 확장부(520)의 단부에 탄력 스프링(400)의 타단부가 면접 지지되며, 확장부(520)의 외주면에는 나사공(521)이 형성된 삽탈핀(500);
    상기 가이드공(320)을 통해 삽입되어 삽탈핀(500)의 나사공(521)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레버(600); 및
    상기 가이드관(30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마감하는 마감캡(7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공(320)은,
    지지편(210) 측으로부터 가이드관(300)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 형성되는 수평가이드공(321)과, 상기 수평가이드공(321)의 지지편(210) 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형 걸림공(322)으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레버(600)가 탄력 스프링(400)의 압축력을 이기고 전방으로 전진시 상기 걸림공(322)에 작동레버(600)가 걸림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컬럼 설치용 반자동 샤클.
  3. 천공 케이싱을 지반에 관입하는 케이싱 관입공정과, 상기 천공 케이싱 내부에 컬럼을 근입하는 컬럼 근입공정과, 천공 케이싱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그 천공 케이싱을 지반으로부터 제거하는 케이싱 제거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지중 컬럼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컬럼 근입공정을,
    컬럼의 외주면에 천공 케이싱의 내경과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바를 용접 형성하고, 상기 컬럼의 상단에 샤클 설치공을 형성 및 그 샤클 설치공에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 탄력을 가지는 삽탈핀을 이용하여 반자동 샤클을 잠금 설치하되,
    상기 반자동 샤클에 크레인과 연결되는 견인로프를 연결 및 컬럼의 가이드바를 가이드로 하여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계획 심도까지 근입시키고, 천공 케이싱의 외부에서 샤클 탈거로프를 이용한 작동레버에 외력을 가해 잠금을 해제시켜 반자동 샤클을 제거 및 컬럼이 천공 케이싱 내부에 근입되게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천공 케이싱에서 계획 심도까지 근입되는 컬럼의 상단부는 적어도 지면과 동일면을 이루거나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근입되게 구성하되,
    슬래브 타설공정시 지중에 매설된 컬럼의 상단이 슬래브에 간섭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KR1020120050097A 2012-05-11 2012-05-11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KR20130126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97A KR20130126200A (ko) 2012-05-11 2012-05-11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97A KR20130126200A (ko) 2012-05-11 2012-05-11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00A true KR20130126200A (ko) 2013-11-20

Family

ID=4985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097A KR20130126200A (ko) 2012-05-11 2012-05-11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20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8877A (zh) * 2018-12-21 2019-03-08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核反应堆压力容器检查装置吊装机构及实施方法
KR20210017890A (ko) * 2019-08-09 2021-02-17 최승권 트레드밀과 휠체어 연결용 보조장치
KR102231501B1 (ko) * 2019-12-16 2021-03-2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장치
KR20210048371A (ko) *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CN113167359A (zh) * 2018-11-28 2021-07-23 Ihc荷兰Ie有限公司 钩环组件
CN116730178A (zh) * 2023-07-04 2023-09-12 义乌市鼎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吊塔塔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359A (zh) * 2018-11-28 2021-07-23 Ihc荷兰Ie有限公司 钩环组件
CN109448877A (zh) * 2018-12-21 2019-03-08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核反应堆压力容器检查装置吊装机构及实施方法
CN109448877B (zh) * 2018-12-21 2024-05-10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核反应堆压力容器检查装置吊装机构及实施方法
KR20210017890A (ko) * 2019-08-09 2021-02-17 최승권 트레드밀과 휠체어 연결용 보조장치
KR20210048371A (ko) *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KR102231501B1 (ko) * 2019-12-16 2021-03-2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장치
CN116730178A (zh) * 2023-07-04 2023-09-12 义乌市鼎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吊塔塔钩
CN116730178B (zh) * 2023-07-04 2024-01-05 义乌市鼎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吊塔塔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6200A (ko) 반자동 샤클을 이용한 지중 컬럼 설치방법
KR101840226B1 (ko) 지반굴착기의 오거용 가이드홀 거푸집
CN114086555A (zh) 一种钻孔桩基础破除桩头用联合装置和破除桩头施工方法
JP5976373B2 (ja) 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US20100247245A1 (en) Foundation structure using micro pi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110029454A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기둥 하부 기초의 보강 구조
KR101893658B1 (ko) 모노파일 시공을 위한 현장 타설 말뚝 상단과 교각 하단 사이 연결부 거푸집 장치 및 시공방법
CN211446952U (zh) 一种建筑基坑支护结构
CN112681334A (zh) 一种深基坑侧墙混凝土浇筑施工结构及方法
KR101007012B1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CN105507329A (zh) 深基坑支护施工中淤泥质土层基坑底板换撑系统
CN109987500A (zh) 一种砌体材料吊笼
CN202730756U (zh) 一种用于钻孔灌注桩施工的套管接连装置
KR101677693B1 (ko) 지지판이 구비된 압축형 개별정착앵커를 포함하는 하중관리시스템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CN106906838B (zh) 适于软土和回填土的可拆卸基础结构及结构安装方法
KR101129250B1 (ko) 가물막이와 취수탑의 외벽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취수탑용 거푸집을 사용한 취수탑 시공공법
JP4154488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脱型用吊り具
CN217632512U (zh) 锚杆施工坑槽预留装置和支护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CN219732064U (zh) 一种端头钢护栏立柱扩大基础浇筑用支模装置
CN215105353U (zh) 一种可快速回收钢管的围护桩
CN214033733U (zh) 一种拼装式可回收的深基坑支护系统
CN218264896U (zh) 一种建筑施工脚手架与外墙固定结构
KR2014010788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하우스 구축용 거푸집과 바닥콘크리트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