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747A -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747A
KR20130125747A KR1020137000593A KR20137000593A KR20130125747A KR 20130125747 A KR20130125747 A KR 20130125747A KR 1020137000593 A KR1020137000593 A KR 1020137000593A KR 20137000593 A KR20137000593 A KR 20137000593A KR 20130125747 A KR20130125747 A KR 2013012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viewing
reception status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이시이
노부아키 사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3712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257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12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다. 단말장치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와,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다. 방송서버는,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SYSTEM, SERVER,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방송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2011년에, 지상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고, 지상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환된다. 지상파에 한정되지 않고, 위성방송(BS 방송)에 대해서도 동시기에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종료된다.
상기 지상 TV 방송이 완전히 디지털화됨으로써, 현재, 지상 아날로그 TV 방송에 사용되고 있는 VHF대(帶) 및 UHF대의 일부의 주파수대(90MHz―108MHz, 170MHz―222MHz 및 710MHz―770MHz)가 빈 주파수대가 된다. 상기 빈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모바일용 멀티 미디어 방송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VHF대 하이밴드에서는, 휴대단말용 멀티 미디어 방송 'ISDB―Tmm(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for mobile multimedia)'이 실시될 예정이다.
멀티 미디어 방송 서비스는, 유료 방송 서비스와, 무료 방송 서비스로 나뉜다. 유료 방송 서비스에는,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와, 축적형 방송 서비스가 포함된다. 축적형 방송 서비스에서는, 파일형 콘텐츠가 브로드캐스팅된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에서는, 프로그램마다 과금(課金)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프로그램마다 과금하는 방법은, 페이·퍼·뷰(PPV: Pay Per View)라고도 불린다.
PPV를 시청하기 위해 요금을 미리 결제하는 방법이 있다. 이용자는, 요금을 미리 결제한 PPV를 시청할 수 있다.
시청한 PPV의 요금을 나중에 결제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방송수신기에 PPV의 시청이력이 저장된다. 상기 시청이력은, 소정의 타이밍에 방송국에 통지된다. 방송국은, 시청이력에 기초하여 과금한다. 예를 들면, 월말 등의 타이밍에, 상기 시청이력이 방송국에 통지되는 경우도 있다. 시청한 PPV의 요금을 나중에 결제하는 방법에서는, 시청하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한 과금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라도 시청한 경우에는, 과금된다. 또, PPV의 시청시간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방법도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3―153225호 공보
비특허문헌 1: ARIB―STD B25
PPV를 시청하기 위해 요금을 미리 결제하는 방법에서는, 요금을 미리 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프로그램을 충분히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에서는, 프로그램이 무선 송신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이 바뀌기 때문이다.
시청한 PPV의 요금을 나중에 결제하는 방법에서는, 시청하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한 과금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라도 시청한 경우에는, 과금되는 경우가 있다.
PPV의 시청시간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수신상황이 바뀜으로써 시청할 수 없었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과금되지 않으나, 이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요구는 만족되지 않는다. 이용자는 수신상황이 나빠진 프로그램은 시청하지 않기 때문에, 방송국은 수신상황이 나빠졌을 때에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과금은 할 수 없다. 수신상황이 나빠졌을 때에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과금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송국의 감수(減收) 요인이 된다. 또, PPV의 시청시간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방법은, 요금을 미리 결제하는 방법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스트리밍의 수신상황에 상관없이, 과금완료된 콘텐츠를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서버, 및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본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본 방송서버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을 통지하고, 해당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방송서버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단말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단말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와,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단계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다.
본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다.
개시의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스트리밍의 수신상황에 관계없이, 과금완료된 콘텐츠를 이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서버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청권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서버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방송 서비스는, 유료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유료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될 때에, 요금을 미리 결제하는 서비스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본 시스템은, 방송장치(100)를 갖는다. 상기 방송장치(100)는, 프로그램을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PPV에 따라, 사전에 결제되어도 좋다. 또,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의 브로드캐스팅 후에 결제되어도 좋다.
본 시스템은, 수신장치(300)를 갖는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단말장치(360)에 탑재되도록 해도 좋으며, 휴대단말장치에 탑재되도록 해도 좋으며, 휴대정보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탑재되도록 해도 좋다. 단말장치(360)에는,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멀티 미디어 방송을 수신한다. 상기 멀티 미디어 장치에는, PPV 결제 후에 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결제 전에 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멀티 미디어 방송은, 스트리밍 방송이어도 좋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상기 프로그램이 수신되고, 유저에 시청될 때에,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계측한다. 상기 프로그램이 수신되고, 녹화될 때에,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이 계측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서, PPV 결제 후에 프로그램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결제 전에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어도 좋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상기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방송서버(200)로, 상기 프로그램의 ID(이하, 'PPV 프로그램 ID'라 부른다)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이하, '수신상황'이라 부른다)을 송신한다. 상기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은,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쌍방향 네트워크란, 수신장치(300)로부터 방송서버(200)로의 통신과, 방송서버(200)로부터 수신장치(300)로의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상기 네트워크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이동체 네트워크는, 수신장치(300)가 휴대단말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방송서버(200)에 의해 수신상황이 좋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방송서버(200)로부터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수신한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방송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다. 상기 파일형 콘텐츠는, 상기 수신장치(300)에 기억된다. 상기 수신장치(300)로의 파일형 콘텐츠의 기억이 완료되면, 유저는, 시청권을 이용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파일형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시청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방송서버(200)를 갖는다. 상기 방송서버(200)는, 방송장치(100)와 접속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방송서버(200)와 방송장치(100)와의 사이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통신망에는, 인터넷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상기 방송서버(200)와 방송장치(100)와의 사이는, 유선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방송서버(200)는, 수신장치(300)로부터 PPV 프로그램 ID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수신하면,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수신장치(300)가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수신장치(300)에 의해 구입완료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유저에 상기 프로그램을 재차 시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방송서버(200)는, 유저에 상기 프로그램을 재차 시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파일형 콘텐츠로서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에 요구되는 시청권과, 상기 파일형 콘텐츠의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생성한다.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은, 방송장치(100)의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상기 방송서버(200)는, 수신장치(300)에, 상기 시청권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송신한다.
〈방송장치〉
본 방송장치(100)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102)를 갖는다.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102)는,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있다.
본 방송장치(100)는, 스트리밍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를 갖는다. 상기 스트리밍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DB(102)와 접속된다. 상기 스트리밍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의한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프로그램 DB(102)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스트리밍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DB(102)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에 대해, 스트리밍형 방송용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멀티 미디어 방송의 경우에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 TS)을 생성함으로써 처리되어도 좋다. 엘리멘트리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이 분할되고, 패킷화됨으로써 패키타이즈드 엘리멘트리 스트림(PES: Packetized Elementary Stream)이 생성된다. 상기 엘리멘트리 스트림은, 화상이어도 좋으며, 소리여도 좋다. 상기 소리에는 음성이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패키타이즈드 엘리멘트리 스트림 패킷은 분할된다. 상기 분할된 패키타이즈드 엘리멘트리 스트림 패킷은,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 TS packet)이라 불려도 좋다. 예를 들면, 188 바이트의 고정 길이의 패킷으로 분할된다. 복수의 트랜스포트 패킷이 연속된 것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된다.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에는, 패킷 식별자(PID)가 포함된다. 상기 패킷 식별자는, 13 비트여도 좋다. 상기 패킷 식별자에 의해, 각 트랜스포트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같은 화상, 같은 음성을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같은 패킷 식별자가 포함된다. 같은 화상, 같은 음성을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같은 패킷 식별자가 포함되기 때문에, 수신장치(300)는, 상기 패킷 식별자를 이용하여, 원래의 패킷 엘리멘트리 스트림으로 되돌 수 있다.
본 방송장치(100)는,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를 갖는다. 상기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프로그램 DB(102)와 접속된다.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의한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프로그램 DB(102)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프로그램 DB(102)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에 대해, 축적형 방송용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멀티 미디어 방송의 경우에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패킷화하는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FLUTE에서는, 브로드캐스팅해야 하는 전자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파일 브로드캐스팅 테이블(FDT: File Delivery Table)을, 오브젝트 ID(TOI)=0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FDT는, 일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다. FDT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파일에 대해, 파일명, 오브젝트 ID, 파일 종별, 압축 타입, 데이터 길이, URL 등의 속성정보가 엑스·엠·엘(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 속성정보는 암호화되어도 좋으며,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암호화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된다.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FDT를 브로드캐스팅한 후, 전자파일을 분할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ID=1의 전자파일 1이 복수의 패킷으로 분할되어 브로드캐스팅되고, 이어서 오브젝트 ID=2의 전자파일 2가 복수의 패킷으로 분할되어 브로드캐스팅된다. 상기 전자파일은, 일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다. 수신장치(300)는, 수신한 전자파일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한 전자파일을 조립하여, 먼저 수신한 파일 전송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립한 전자파일을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넘긴다.
본 방송장치(100)는, 방송 다중화부(108)를 갖는다. 상기 방송 다중화부(108)는,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와,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과 접속된다. 방송 다중화부(108)는,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와,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된 부호화 데이터는, 방송신호로서 출력된다. 예를 들면, 멀티 미디어 방송의 경우, 트랜스포트 스트림화 및 OFDM 변조가 수행되고, 방송신호로서 출력된다.
본 방송장치(100)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를 갖는다. 상기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의 편성을 수행한다. 또, 상기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프로그램 DB(102),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 및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의 통합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방송장치(100)에 있어서, 프로그램 DB(102)와,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와,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와,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버스(150)에 의해 접속된다.
〈방송서버〉
본 방송서버(200)는, 데이터 통신부(202)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02)는, 수신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02)는,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202)는,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해도 좋으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데이터 통신부(202)는,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수신한 경우,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에,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입력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202)는,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에,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와, 상기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202)는, 수신장치(300)에,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송신한다.
본 방송서버(200)는,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를 갖는다. 상기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는, 수신장치(300)로부터의 구입의뢰에 따라, PPV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수신한다.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는, 상기 수신장치(300)의 유저에 대해,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과금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는,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과금 후, 구입이력 관리부(206)에, 과금된 수신장치(300)의 ID와, 과금대상의 프로그램 ID를 통지한다.
본 방송서버(200)는, 구입이력 관리부(206)를 갖는다. 상기 구입이력 관리부(206)는, 수신장치마다 PPV 프로그램의 구입이력을 관리하고, 저장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에 의해 과금된 수신장치(300)의 ID와, 과금대상의 프로그램 ID가 통지되었을 때에,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완료된 프로그램 ID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본 방송서버(200)는,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를 갖는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도 2는,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의 기능의 상세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구입 판정부(2082)를 갖는다. 구입 판정부(2082)에는,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장치(300)의 ID와, 수신상황이 입력된다.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의 유저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구입이력 관리부(206)에 기록된 수신장치마다의 프로그램의 구입이력을 참조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입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에,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으로서,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및 종료시각, 패킷수/데이터량,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의 수신개수, 수신율, 시청가능기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좋다.
ECM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나 디스크램블을 수행하기 위한 키 정보(스크램블 키), 및 수신장치(300)의 디스크램블 기능을 강제적으로 유효화 또는 무효화하는 제어정보이다. 공통정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수신율은, PPV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영상·음성이 정상적으로 시청 가능한 시간의 율이다. 정상적으로 시청 가능한지 여부는, 전계 강도, 반송파 대 잡음 비(C/N: Carrier to Noise ratio), 에러 없이 패킷을 얻을 수 있었던 시간에 의해 판정되어도 좋다.
시청가능시간은, PPV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영상·음성이 정상적으로 시청 가능했던 시간이다. 시청 가능한지 여부는, 전계 강도나 반송파 대 잡음 비, 에러 없이 패킷을 얻을 수 있었던 시간에 의해 판정되어도 좋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를 갖는다.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구입 판정부(2082)와 접속된다.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구입 판정부(2082)에 의해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입력되어야 하는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녹화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으로서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이, 구입완료된 프로그램의 개시시각, 종료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상기 판정시에, 수신할 수 없는 허용시간이 설정되어도 좋다. 허용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시간이 상기 허용시간 이내라면,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패킷수/데이터량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패킷수/데이터량이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량은 방송장치(100)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데이터량이며, 패킷수는 수신장치(300)에 의해 수신된 패킷수여도 좋다. 패킷수/데이터량으로서 패킷의 결손율이 구해져도 좋다.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ECM의 수신개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ECM의 수신개수가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상기 수신개수 대신에, ECM 수신율이 구해져도 좋다. 상기 ECM 수신율은, 예를 들면, (수신장치(300)에 의해 통지된 ECM의 수신개수)/(브로드캐스팅된 ECM의 개수)에 의해 구해져도 좋다. 상기 ECM 수신율이 소정의 ECM 수신율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ECM 수신율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수신율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율이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시청가능시간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시청가능시간이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상기 판정결과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도록 명령한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를 갖는다.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와 접속된다.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에 의해 입력된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시청권 발행부(210)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요구한다. 시청권 발행부(2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요구한다.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한다.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수신장치(300)에,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반송한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300)의 ID, PPV 프로그램 ID, 수신상황에 대한 응답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데이터 통신부(202)에,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한다. 데이터 통신부(202)는, 상기 시청권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수신장치(300)로 송신한다.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팅 스케줄로서, 프로그램 ID 등의 프로그램 식별정보, FLUTE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의 브로드캐스팅하는 세션의 식별정보, 브로드캐스팅 개시시각, 브로드캐스팅 종료시각 등이 포함된다.
본 방송서버(200)는, 시청권 발행부(210)를 갖는다. 상기 시청권 발행부(210)는, 파일형 콘텐츠(PPV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발행한다. 예를 들면, 시청권 발행부(210)는,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해 요구된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발행한다. 상기 시청권을 발행할 때에, 상기 시청권 발행부(210)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로부터 프로그램을 암호화하는 키의 ID 정보 및/또는 상기 키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시청권 발행부(210)는,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상기 시청권을 입력한다.
〈시청권〉
도 3은, 시청권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파일형 콘텐츠는, 예를 들면, 암호화되고, 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300)로 송신된다. 암호화되어 송신되기 때문에, 시청권에는, 상기 암호화된 파일형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키가 포함된다. 시청권에는, 수신장치(300)에서, 파일형 콘텐츠를 재생 및 이용하기 위한, 이용조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시청권에 이용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신장치(300)는, 상기 이용조건에 준거하여, 파일형 콘텐츠의 재생 및 이용할 수 있다.
시청권에는, ID와, 버전번호와, 재생·이용조건과, 암호키 ID와, 암호키가 포함된다.
ID는, 시청권을 개별로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이다.
버전번호는, 시청권 형식의 버전번호이다.
재생·이용조건에는, 시청개시기한과, 시청종료기한과, 시청기간과, 시청횟수와, 그 외의 제어정보가 포함된다.
시청개시기한은, 프로그램의 시청 및/또는 이용기한의 개시시각이다.
시청종료기한은, 프로그램의 시청 및/또는 이용기한의 종료시각이다.
시청기간은, 프로그램의 시청 및/또는 이용개시로부터 시청가능기간이다. 상기 시청가능기간은, '초', '분', '시' 중 어느 것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시청횟수는, 프로그램의 시청 및/또는 이용가능횟수이다.
그 외의 제어정보는, 시청가능 개시기한, 시청종료기한, 시청기간, 시청횟수에 포함되지 않는 프로그램의 시청 및/또는 이용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빨리감기 및/또는 빨리되감기를 가능하게 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빨리감기를 불가능하게 하는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콘텐츠 재생시의 외부출력제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암호키 ID는, 프로그램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Kc)를 개별로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이다.
암호키는, 프로그램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Kc)의 본체정보이다.
본 방송서버(200)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부(202)와,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와, 구입이력 관리부(206)와,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와, 시청권 발행부(210)는, 버스(250)에 의해 접속된다.
〈수신장치〉
본 수신장치(300)는, 튜너부(302)를 갖는다. 상기 튜너부(302)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다. 상기 방송신호에는, 스트리밍 방송과, 파일형 콘텐츠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튜너부(302)는, 분리부(304)에, 복조된 방송신호를 입력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분리부(304)를 갖는다. 상기 분리부(304)는, 튜너부(302)와 접속된다. 상기 분리부(304)는, 튜너부(302)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를 스트리밍형 데이터와 축적형 데이터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튜너부(302)에 입력되는 신호에는, MPEG2―TS가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304)는, 디코드부(306)에,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프로그램이 녹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리부(304)는, 축적 처리부(308)에,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 상기 분리부(304)는, 축적 처리부(308)에, 축적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디코드부(306)를 갖는다. 디코드부(306)는, 분리부(30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디코드부(306)는, 표시 처리부(310)에, 디코드된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디코드된 스트리밍형 데이터에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등이 포함된다. 또, 디코드부(306)는, 축적 처리부(308)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축적형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를 디코드한다. 상기 디코드에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가 포함된다. 디코드부(306)는, 표시 처리부(310)에, 디코드된 축적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디코드된 축적형 데이터에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등이 포함된다.
본 수신장치(300)는, 축적 처리부(308)를 갖는다. 상기 축적 처리부(308)는, 분리부(304)와 접속된다. 상기 축적 처리부(308)는, 분리부(30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스트리밍형 데이터(PPV 프로그램)의 녹화처리를 수행한다. 또, 축적 처리부(308)는, 축적형 데이터의 축적처리를 수행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축적처리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스케줄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본 수신장치(300)는, 표시 처리부(310)를 갖는다. 상기 표시 처리부(310)는, 디코드부(306)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디코드된 스트리밍형 데이터 또는 디코드된 축적형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영상·음성 등의 표시·출력을 수행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메모리부(312)를 갖는다. 메모리부(312)는, 축적 처리부(308)에 축적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상기 축적된 프로그램에는, 녹화 프로그램이나 파일형 콘텐츠가 포함된다. 또, 메모리부(312)는, 수신상황 등을 저장한다. 상기 수신상황은, PPV 프로그램 ID와 대응지어져도 좋다.
본 수신장치(300)는,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를 갖는다.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스트리밍형 방송의 프로그램 정보, 축적형 방송의 프로그램 정보, 브로드캐스팅 스케줄 등을 관리한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본 수신장치(300)의 각 블록을 제어한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방송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각 부에 세팅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시청 처리부(320)에, 시청권을 세팅한다. 시청 처리부(320)에 시청권을 세팅함으로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디코드부(306)는 시청 처리부(320)로부터 시청권을 취득하고, 파일형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축적 처리부(308)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세팅한다.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세팅함으로써,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수신장치(300)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멀티 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스트리밍형 방송을 수신하고, 시청하기 위한 제어, 녹화처리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파일형 콘텐츠의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처리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수신상황 측정부(316)를 갖는다.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의 계측을 수행한다.
수신상황으로서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의 계측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패킷수/데이터량의 계측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ECM의 수신개수가 계측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수신율이 계측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시청가능시간이 계측되어도 좋다.
상기 수신상황은,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마다 계측되어도 좋다.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해당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의 측정결과를 방송서버(200)로 송신한다. 방송서버(200)로 송신하기 위해,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데이터 통신부(318)에,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을 입력한다.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메모리부(312)에, 수신상황의 측정결과를 입력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시청 처리부(320)를 갖는다. 상기 시청 처리부(320)는, 데이터 통신부(318)와 접속된다. 상기 시청 처리부(320)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시청 처리부(320)는, 프로그램 구입 처리부(3202)를 갖는다. 프로그램 구입 처리부(3202)는, 방송서버(200)와의 사이에서, 방송장치(1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구입 처리부(3202)는, 데이터 통신부(318)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는, 유저에 의해 구입 희망된 프로그램의 ID여도 좋다.
시청 처리부(320)는, 시청권 관리부(3204)를 갖는다. 시청권 관리부(3204)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취득하고, 상기 시청권을 관리한다. 상기 시청권은,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권리여도 좋다. 또, 시청권 관리부(3204)는, 시청권에 따라, 파일형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한다.
본 수신장치(300)는, 데이터 통신부(318)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318)는, 방송서버(200)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한다.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본 수신장치(300)에 있어서, 튜너부(302)와, 분리부(304)와, 디코드부(306)와, 축적 처리부(308)와, 표시 처리부(310)와, 메모리부(312)와,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와, 수신상황 측정부(316)와, 데이터 통신부(318)와, 시청 관리부(320)는, 버스(350)에 의해 접속된다.
〈본 시스템의 동작〉
도 4는, 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방송서버(200)와, 수신장치(300)와의 사이에서, PPV 프로그램의 구입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402). 예를 들면, 프로그램 구입 처리부(3202)는, 방송서버(200)에,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송신한다.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는, 수신장치(300)로부터의 구입의뢰에 따라, PPV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수신장치(300)의 ID와, 구입대상의 프로그램 ID를 수신한다.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204)는, 상기 수신장치(300)의 유저에 대해,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과금을 수행한다.
수신장치(300)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준비를 수행한다(단계 S404). 예를 들면, 디코드부(306)는,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에 의한 제어에 따라,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준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복호하기 위해 대기한다.
방송장치(100)는,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한다(단계 S406). 예를 들면,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의한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프로그램 DB(102)에 의해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DB(102)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에 대해, 스트리밍형 방송용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방송 다중화부(108)는,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10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와,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방송신호로서 출력한다.
수신장치(300)는, 방송장치(100)로부터 스트리밍 방송을 수신한다(단계 S408). 상기 수신시에, 수신상황을 계측한다. 예를 들면, 튜너부(302)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다. 분리부(304)는, 튜너부(30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스트리밍형 데이터와 축적형 데이터로 분리한다. 디코드부(306)는, 분리부(304)에 의해 입력된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표시 처리부(310)는, 디코드부(306)에 의해 입력된 디코드된 스트리밍형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영상·음성 등의 표시·출력을 수행한다.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의 계측을 수행한다.
수신장치(300)는, PPV 프로그램의 수신을 종료한다(단계 S410).
수신장치(300)는, 방송서버(200)에, 수신상황과, PPV 프로그램 ID를 송신한다(단계 S412). 예를 들면,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해당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의 측정결과를 방송서버(200)로 송신한다.
방송서버(200)는,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4).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 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구입이력 관리부(206)에 기록된 수신장치마다의 프로그램의 구입이력을 참조하여,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414: NO), 종료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완료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수신상황 판정부(2084)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는다.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청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414: YES), 방송서버(200)는, 수신상황이 시청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6).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에,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을 입력한다.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이 시청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416: NO), 종료한다. 시청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수신상황이 시청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416: YES), 방송서버(200)는, 시청권을 발행한다(단계 S418). 또한, 방송서버(2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2084)는,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도록 명령한다.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수신상황 판정부(2084)에 의해 입력된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시청권 발행부(210)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요구한다. 시청권 발행부(2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요구한다.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한다.
방송서버(200)는,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송신한다(단계 S420).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데이터 통신부(202)에,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한다. 데이터 통신부(202)는, 상기 시청권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수신장치(300)로 송신한다.
수신장치(300)는, 시청권을 취득한다. 상기 수신장치(3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축적 예약을 설정한다.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방송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청권과,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각 부에 세팅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시청권 관리부(3204)에, 시청권을 세팅한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축적 처리부(308)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세팅한다.
수신장치(3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을 개시한다(단계 S424). 예를 들면, 축적 처리부(308)는, 축적형 데이터의 축적 처리를 개시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축적 처리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스케줄링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방송장치(100)는, 축적형 방송을 수행한다(단계 S426). 예를 들면,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의한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프로그램 DB(102)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는, 프로그램 DB(102)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에 대해, 축적형 방송용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방송 다중화부(108)는, 스트리밍형 프로그램 처리부(10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와,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106)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방송신호로서 출력한다.
수신장치(300)는, 상기 축적형 방송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28). 예를 들면, 튜너부(302)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다. 분리부(304)는, 튜너부(30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스트리밍형 데이터와 축적형 데이터로 분리한다. 축적 처리부(308)는, 분리부(304)에 의해 입력된 축적형 데이터의 축적 처리를 수행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축적 처리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스케줄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수신장치(300)는, 축적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430).
수신장치(300)는, 시청권을 이용하여, 상기 시청권에 준거하여, 파일형 콘텐츠를 암호키에 의해 복호한다. 상기 암호키에 의해 복호된 파일형 콘텐츠는, 이용조건에 기초하여 재생된다(단계 S432). 예를 들면, 디코드부(306)는, 시청권 관리부(3204)에 의해 시청권을 취득하여, 축적 처리부(308)에 의해 입력되는 축적형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를 디코드한다. 상기 디코드에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가 포함된다. 디코드부(306)는, 표시 처리부(310)에, 디코드된 축적형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디코드된 축적형 데이터에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등이 포함된다. 표시 처리부(310)는, 디코드부(306)에 의해 입력된 디코드된 파일형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영상·음성 등의 표시·출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되는 흐름도의 단계 S420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의 송신을 생략하도록 해도 좋다.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의 송신이 생략되는 경우, 수신장치(300)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검색하고, 시청권이 부여된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시간에 방송장치(1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파일형 콘텐츠를 수신한다. 방송서버(20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브로드캐스팅됨으로써, 수신장치(300)에 의한 시청권이 부여된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가 브로드캐스팅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소정수의 세그먼트마다,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소정수의 세그먼트마다 수신상황이 계측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마다 수신상황을 방송서버에 보고하도록 해도 좋다. 방송서버는, 세그먼트마다 수신상황을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세그먼트마다 수신상황을 판정하는 경우에는,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세그먼트에 대해서만, 브로드캐스팅 스케줄과, 시청권을 송부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장치는, 시청할 수 없었던 세그먼트만 시청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본편 이외의 내용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편 이외의 내용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수신상황의 계측을 수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상기 본편 이외의 내용에는, 예고편, 커머셜 메시지(CM: commercial message)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본편 이외의 내용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수신상황의 계측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장치의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세그먼트는, 소정의 시간으로 구분되어도 좋다. 또, 세그먼트는, 챕터마다 구분되어도 좋다. 세그먼트는, 프로그램 부가정보로서, 프로그램에 다중화되어 송신되어도 좋다.
본 방송서버는, 미리 결제하는 형태인 PPV의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에 있어서, 스트리밍의 수신상황에 의해, PPV 과금완료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었던 경우에, 파일형 콘텐츠와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한다. 파일형 콘텐츠와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이용자는, 미리 결제완료된 콘텐츠를 확실히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과금을 수행하지 않고, 이용자는,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확실히 시청할 수 있다.
또, 파일형 콘텐츠로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오류정정 처리, 시간 인터리브. 복수회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오류정정 처리, 시간 인터리브. 복수회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상황이 불안정한 경우라도, 확실히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 스트리밍형 방송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시간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시간대는, 심야대여도 좋다. 스트리밍형 방송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시간대를 이용함으로써, 방송대역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변경예〉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시스템〉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되는 시스템과,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의 처리와, 수신장치(300)의 처리가 다르다.
〈방송서버〉
도 6은, 본 시스템의 방송서버(200)의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구입 판정부(2082)를 갖는다. 구입 판정부(2082)에는,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장치(300)의 ID가 입력된다. 수신상황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구입이력 관리부(206)에 기록된 수신장치마다의 프로그램의 구입이력을 참조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입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구입 판정부(2082)는,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를 입력한다.
데이터 이용 판정부(208)는,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를 갖는다.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구입 판정부(2082)와 접속된다.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구입 판정부(2082)에 의해 입력된 수신장치(300)의 ID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기초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시청권 발행부(210)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요구한다. 시청권 발행부(2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요구하도록 해도 좋다.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수신장치(300)에, 시청권을 반송한다. 또한,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반송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데이터 통신부(202)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입력되어도 좋다. 데이터 통신부(202)는, 상기 시청권을 수신장치(300)로 송신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송신되어도 좋다.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수신장치〉
본 수신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수신장치(300)에, 수신상황 판정부(322)를 갖는다.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수신상황 측정부(316), 및 데이터 통신부(318)과 접속된다.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의 계측을 수행한다.
수신상황으로서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의 계측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패킷수/데이터량의 계측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ECM의 수신개수가 계측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수신율이 계측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시청가능시간이 계측되어도 좋다.
상기 수신상황은,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마다 실행되어도 좋다.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PPV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해당 수신장치(3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와, 수신상황의 측정결과를 수신상황 판정부(322)에 입력한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수신상황 측정부(316)와 접속된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수신상황 측정부(316)로부터 입력되어야 하는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녹화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으로서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PPV 프로그램 시청개시시각, 종료시각이, 구입완료된 프로그램의 개시시각, 종료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상기 판정시에, 수신할 수 없는 허용시간이 설정되어도 좋다. 허용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시간이 상기 허용시간 이내라면,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되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패킷수/데이터량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패킷수/데이터량이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패킷수/데이터량으로서 패킷의 결손율이 구해져도 좋다.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패킷수/데이터량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ECM의 수신개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ECM의 수신개수가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수신개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수신율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율이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수신율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으로서 시청가능시간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시청가능시간이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시청가능시간 미만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해도 좋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상기 판정결과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해야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데이터 통신부(318)에 시청가능 요구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시청가능 요구신호는, 방송서버(200)로 송신된다.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본 시스템의 동작〉
도 7은, 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의 단계 S702―S710은, 도 4의 S402―S410과 동일하다.
수신장치(300)는, 수신상황이 시청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12). 예를 들면, 수신상황 측정부(316)는, 수신상황 판정부(322)에, 수신상황을 입력한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장치(3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이 시청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712: NO), 종료한다. 시청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수신상황이 시청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712: YES), 수신장치(300)는,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한다고 판정한다.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한다고 판정한 경우, 수신장치(300)는, 방송서버(200)에, 해당 수신장치(200)의 ID와, PPV 프로그램 ID를 송신한다(단계 S714). 예를 들면, 수신상황 판정부(322)는,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방송서버(200)에 요구한다고 판정한 경우, 데이터 통신부(318)에, 해당 수신장치(200)의 ID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를 입력한다. 데이터 통신부(318)는, 방송서버(200)로, 수신상황 판정부(322)에 의해 입력된 해당 수신장치(300)의 ID와, 상기 PPV 프로그램 ID를 송신한다.
방송서버(200)는,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16).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구입이력 관리부(206)에 기록된 수신장치마다의 프로그램의 구입이력을 참조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716: NO), 종료한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는, 수신장치(300)가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입완료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는다.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청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PPV 프로그램이 구입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716: YES), 방송서버(200)는, 시청권을 발행한다(단계 S718). 또한, 방송서버(2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구입 판정부(2082)에 의해,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입완료라고 판정한 경우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도록 명령한다.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구입 판정부(2082)에 의해 입력된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시청권 발행부(210)에, 상기 PPV 프로그램 ID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시청권을 요구한다. 시청권 발행부(2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또,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요구하도록 해도 좋다.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110)는, 상기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의한 요구에 따라,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방송서버(200)는, 시청권을 송신한다(단계 S720). 또한,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송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2086)는, 데이터 통신부(202)에, 시청권을 입력한다. 또한,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입력되어도 좋다. 데이터 통신부(202)는, 상기 시청권을 수신장치(30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송신되어도 좋다.
수신장치(300)는, 시청권을 취득한다(단계 S722). 상기 수신장치(3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축적 예약을 설정한다(단계 S724).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방송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청권을 각 부에 세팅한다.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이 세팅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시청권 관리부(3204)에, 시청권을 세팅한다. 또,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314)는, 축적 처리부(308)에,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을 세팅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장치(300)는, 브로드캐스팅 스케줄에 따라,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을 개시한다(단계 S726). 예를 들면, 축적 처리부(308)는, 축적형 데이터의 축적 처리를 개시한다. 환언하면, 파일형 콘텐츠의 축적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축적 처리는, 방송장치(100)에 의해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스케줄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728―S734의 처리는, 도 4의 단계 S426―S432와 동일하다.
본 시스템에서는, 수신상황의 판정이 수신장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방송서버의 처리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또, 수신장치(300)로부터 방송서버(200)로,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데이터 통신부로서의 수신상황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로서의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로서의 송신부를 갖는다.
스트리밍의 수신상황에 의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었는지 여부를 방송서버에서 판정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파일형 콘텐츠의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파일형 콘텐츠의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확실히, 상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스트리밍의 수신상황에 의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었는지 여부를 단말장치에서 판정할 수 있으며, 판정결과를 방송서버에 통지할 수 있다.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었다고 판정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파일형 콘텐츠의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파일형 콘텐츠의 시청권을 수신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확실히, 상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입 판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입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구입완료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된 프로그램이 구입완료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장치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구입완료가 아닌 프로그램에 대해 시청권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는, 수신상황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개시시각과, 종료시각, 상기 프로그램의 패킷수/데이터량,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의 수신횟수, 및 상기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정상적인 패킷이 수신된 시간 또는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는,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개시시각과, 종료시각, 상기 프로그램의 패킷수/데이터량,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의 수신횟수, 및 상기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정상적인 패킷이 수신된 시간 또는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상황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개시시각과, 종료시각, 상기 프로그램의 패킷수/데이터량,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의 수신횟수, 및 상기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정상적인 패킷이 수신된 시간 또는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서버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을 통지하고, 해당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서버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단말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단말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와,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단계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다.
본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와,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예 등이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10년 6월 25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10―14554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0―145546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0 방송장치
102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104 스트림형 프로그램 처리부
106 축적형 프로그램 처리부
108 방송 다중화부
110 프로그램 브로드캐스팅 관리부
200 방송서버
202 데이터 통신부
204 프로그램 과금 처리부
206 구입이력 관리부
208 데이터 이용 판정부
2082 구입 판정부
2084 수신상황 판정부
2086 시청허가정보 브로드캐스팅부
210 시청권 발행부
300 수신장치
302 튜너부
304 분리부
306 디코드부
308 축적 처리부
310 표시 처리부
312 메모리부
314 프로그램 수신 관리부
316 수신상황 측정부
318 데이터 통신부
320 시청 처리부
3202 프로그램 구입 처리부
3204 시청권 관리부
322 수신상황 판정부

Claims (10)

  1.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시스템.
  2.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구입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입 판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입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구입완료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는, 수신상황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개시시각과, 종료시각, 상기 프로그램의 패킷수/데이터량,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의 수신횟수, 및 상기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정상적인 패킷이 수신된 시간 또는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는,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개시시각과, 종료시각, 상기 프로그램의 패킷수/데이터량,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의 수신횟수, 및 상기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사이에, 정상적인 패킷이 수신된 시간 또는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시스템.
  5.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을 통지하고, 해당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서버.
  6.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부;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서버.
  7.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해당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8.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부;
    상기 수신상황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부;
    상기 수신상황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부;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9.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수신상황 통지단계;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 방법.
  10.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방송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을 측정하는 수신상황 측정단계;
    상기 수신상황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신상황 판정단계;
    상기 수신상황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송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방송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정보 통지단계에 의해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
    상기 시청허가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 방법
KR1020137000593A 2010-06-25 2011-05-23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 KR20130125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5546 2010-06-25
JP2010145546A JP5180262B2 (ja) 2010-06-25 2010-06-25 システム、サーバ、及び端末装置並びに方法
PCT/JP2011/061766 WO2011162061A1 (ja) 2010-06-25 2011-05-23 システム、サーバ、及び端末装置並びに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747A true KR20130125747A (ko) 2013-11-19

Family

ID=4537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593A KR20130125747A (ko) 2010-06-25 2011-05-23 시스템, 서버, 및 단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91514A1 (ko)
JP (1) JP5180262B2 (ko)
KR (1) KR20130125747A (ko)
CN (1) CN102959977A (ko)
BR (1) BR112012033113A2 (ko)
PE (1) PE20130995A1 (ko)
WO (1) WO2011162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030B2 (en) * 2015-07-15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nal data transfer in EMBMS reception
US11546554B2 (en) * 2021-01-20 2023-01-03 Nagrastar Llc Method and system for cellular network-assisted pay-per-view
JP2024005295A (ja) * 2022-06-30 2024-01-17 Tvs Regza株式会社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音声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受信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739A1 (en) * 2001-01-19 2007-08-23 Streamwork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media
JP2003153225A (ja) * 2001-11-15 2003-05-23 Sharp Corp 有料放送課金方式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
CN100423511C (zh) * 2003-03-03 2008-10-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有接收节目功能的移动终端及节目接收控制方法
EP1611728B1 (en) * 2003-03-27 2009-01-21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with intergrated recording rights control
JP4806977B2 (ja) * 2005-06-2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14794A (ja) * 2006-02-08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7259049A (ja) * 2006-03-23 2007-10-04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テレビ受信システム、放送補完装置、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008097A1 (en) * 2006-07-10 2008-01-10 Phani Bhushan Avadhanam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asurement reports in a network environment
JP5258472B2 (ja) * 2008-09-17 2013-08-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放送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パラメータ決定装置
US8341284B2 (en) * 2009-12-18 2012-12-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delivery method for media on dem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33113A2 (pt) 2016-11-22
CN102959977A (zh) 2013-03-06
JP5180262B2 (ja) 2013-04-10
WO2011162061A1 (ja) 2011-12-29
US20130091514A1 (en) 2013-04-11
PE20130995A1 (es) 2013-10-04
JP2012010191A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7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059343B2 (ja) ストリーム生成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100735975B1 (ko) 방송장치 및 방법, 수신장치와 방법 및 매체
JP2012110050A (ja) 放送送信装置、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送信方法
JP2002203070A (ja) メタデータ配信方法
WO2016132898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4088909B2 (ja) コンテンツ課金方法及び課金センタ
JP5180262B2 (ja) システム、サーバ、及び端末装置並びに方法
JP3539858B2 (ja) タイムスタンプを利用する放送システムと受信端末装置
JP2002237787A (ja) デジタル放送利用制限方法、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センター局装置、ローカル局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20120079550A1 (en)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transmission method
KR101012979B1 (ko) 스트림 생성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3404863B2 (ja) 情報受信装置
JP2002247024A (ja) データ配信方法
KR100707935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무료시청채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184757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0350181A (ja) 放送の蓄積方法および蓄積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302924B2 (ja) データ配信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4575518B1 (ja) 情報配信管理装置、情報配信管理方法、情報配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509500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90276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2092502A (ja) コンテンツ料金決定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2017184207A (ja) 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方法
JP2009260791A (ja) 有料放送の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