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593A -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 Google Patents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593A
KR20130125593A KR1020120049236A KR20120049236A KR20130125593A KR 20130125593 A KR20130125593 A KR 20130125593A KR 1020120049236 A KR1020120049236 A KR 1020120049236A KR 20120049236 A KR20120049236 A KR 20120049236A KR 20130125593 A KR20130125593 A KR 20130125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diator
transformer
enclosur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609B1 (ko
Inventor
장연덕
Original Assignee
(주)한창트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창트랜스 filed Critical (주)한창트랜스
Priority to KR102012004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6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이 절연유의 대류에 의해서 방열기로 전달되어 대기 중으로 방열되도록 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제공한다. 이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하우징(20), 방열핀(40), 연결판(50) 및 내부 스트립(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20)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방열핀(40)의 상단과 하단이 다수개의 방열핀(40)들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내부 스트립(60)에 의해 보강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와 같이 다수개의 방열핀(40)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하우징(20)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작업으로 용접 부분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용접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 외함의 제조를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TRANSFORMER TANK WITH RADIATOR}
본 발명은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를 외함의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용접강도를 증가시키고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한 용접부분의 크랙발생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한편의 권선에 공급한 교류 전기를 다른 편의 권선에 동일 주파수의 교류 전기의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력용 변압기는 전기의 손실을 적게 해서 보내기 위하여 발전소 내의 승압변압기를 사용하여 높은 전압으로 수용지역까지 보내고, 공장이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앞서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이때, 고압의 전력을 저압의 전력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기가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107124호 "개선된 방열기를 가지는 변압기 케이스"는 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기다란 절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방열기는 절연유가 순환하는 절연유공간이 형성된 판형상의 방열기본체와, 그 방열기본체의 단부에서 절곡된 절곡날개를 포함하여서; 절연유통공과 절연유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절곡날개가 본체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의 방열기를 가짐으로써 변압기의 제조 및 결합공정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변압기의 생산 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47015호 "방열면적 확대형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는 변압기 본체 또는 방열기 내측의 절연유가 접촉토록 방열기 또는 변압기본체의 내측에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냉각공간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방열파이프가 관통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위시간당 방열기를 통과하는 절연유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키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7525호 "도장이 용이한 변압기 케이스"는 절연유 및 트랜스를 내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어 절연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를 덮은 덮개를 견고히 고정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밴드로 구성되는 본체케이스와, 본체케이스 내의 절연유가 전력을 송전하는 과정에서 트랜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트랜스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기로 구성되는 변압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와 본체케이스 사이에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이 방열기에 타측이 본체 케이스에 입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방열기와 본체케이스의 접촉부를 외부에서 CO2 용접하여 형성된 연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이 용이한 변압기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7526호 "방열기를 내부에서 용접한 변압기 케이스"는 절연유 및 트랜스를 내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의 절연유가 전력을 송전하는 과정에서 트랜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트랜스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기와 본체를 덮어 절연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를 덮은 덮개를 견고히 고정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밴드로 구성되는 변압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절곡부a를 구비하는 방열판재a와, 가장자리를 상기 절곡부a와 다른 길이로 절곡하여 절곡부b를구비하는 방열판재b를 상기 절곡부a와 절곡부b가 외측을 향하도록 접합하여 형성하는 방열판을 절곡부a와 절곡부b가 접합되도록 다수 개 접촉시켜 절곡부a와 절곡부b의 접합부위를 내부에서 CO2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곡부의 길이를 다르게 절곡시킨 두 개의 방열판을 접합시키고 접합면을 내부에서 CO2 용접하여 용접되는 면적을 넓게 하고 용접성을 향상시켜 방열판을 견고하게 접착하도록 하고 절곡부의 공간부의 틈새가 넓어지지 않도록 용접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변압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이 절연유의 대류에 의해서 외함에 설치되는 방열기로 전달되어 대기 중으로 방열되도록 하는 일반적인 냉각방식을 적용하면서 방열효율을 높이거나 방열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방열기를 외함에 설치함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 즉, 통상 방열기는 설치되는 외함의 하우징과 별도로 제작된 후, 하우징에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있는데, 방열기를 이루는 핀(fin)의 두께가 얇아서 용접 불량으로 인한 제조의 어려움이 있고, 용접 부분에서 강도가 약화되어 추후 내부 압력상승시 용접 부분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되어 누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방열기를 외함의 하우징에 결합시킬 때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기가 용접에 의해 외함에 고정될 때 용접 부분에서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부분에서 크랙(crack)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를 적용할 때 방열기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방열기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부분에서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부분에서 크랙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외면(22)과 내면(24)을 갖고,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외면(22)과 내면(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창(25)을 갖는 하우징(20)과; 상기 창(25)을 통해 상기 제 1 수용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수용 공간(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외 외면(2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방열핀(40)과; 상기 다수개의 방열핀(40)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연결판(50) 및; 상기 하우징(20)의 방향에서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기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에 용접결합되는 내부 스트립(6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트립(60)은 상기 창(25)의 상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50)은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의 좌우방향에서 최외측에 결합되는 방열판(40')의 외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용접 연결판(5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창(25)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기 방열판(40)의 상하단에 용접되는 외부 스트립(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 의하면, 외함의 하우징(20)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방열핀(40)의 상단과 하단이 다수개의 방열핀(40)들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내부 스트립(60)에 의해 보강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를 외함의 하우징(20)에 결합시킬 때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 스트립(60)에 의해 방열핀(40)들과 하우징(20) 간의 용접 면적과 용접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 부분에서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부분에서 크랙(crack)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와 같이 다수개의 방열핀(40)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하우징(20)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작업으로 용접 부분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용접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 외함의 제조를 편리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서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방열기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본 발명에서는 방열핀(40)}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30)를 적용하여 변압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이 절연유의 대류에 의해서 방열기(30)로 전달되어 대기 중으로 방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하우징(20), 방열핀(40), 연결판(50) 및 내부 스트립(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방열핀(40), 연결판(50) 및 내부 스트립(60)은 방열기(30)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하우징(20)과 별도로 제작되어 추후 용접 작업을 통해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20)은 외면(22)과 내면(24)을 갖고,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21)이 형성되며, 외면(22)과 내면(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창(25)을 갖는다. 그리고, 방열핀(40)은 창(25)을 통해 제 1 수용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수용 공간(31)이 형성되어 하우징(20)외 외면(2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판(50)은 다수개의 방열핀(40)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결합된다. 내부 스트립(60)은 하우징(20)의 방향에서 다수개의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20)에 용접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방열기(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콜게이트형 방열판인 다수개의 방열핀(40)의 상단과 하단이 내부 스트립(6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접될 부분이 판 형태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내부 스트립(60)은 평편하고, 두께(1mm 내지 1.4mm)가 일정한 판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각재 또는 바(bar)의 단면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 방열핀(40) 자체를 용접시키는 구조에 비해 용접 면적과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용접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율을 낮출 수 있고, 용접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과 종래기술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비교 실험{3000kVA용 외함(Tank)를 제작하여 -5psi ~ +7psi 압력에 30초 간격 사이클로 2000회 실시}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7psi 압력상태에서 용접 부분에 크랙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종래기술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은 5psi 압력상태에서 용접 부분에 크랙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하우징(20)에는 뚜껑, 외함 고리, 베이스 등이 설치되어 외함을 이루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 1 수용 공간(21)내에 권선 및 철심을 넣고, 절연유를 채워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스트립(60, 70)과 연결판(50)의 위치 구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하 및 좌우 방향을 지정하였지만, 이와 같은 방향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상단 또는 하단, 좌측 및 하측 등은 도 1의 도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방향이 방열핀(40)의 배열 방향 및 설치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에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변압기의 구성 및 작용, 변압기의 외함의 소재 및 제조방법, 변압기의 방열을 위한 다양한 냉각장치, 변압기를 위한 방열기의 소재 및 제조방법 등 변압기와 관련된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방열기(30)를 별도로 제작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외부에서 방열기(30)를 하우징(20)에 용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용접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내부압력상승에 따른 용접 부분의 크랙 발생의 한계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하우징(20), 방열핀(40), 연결판(50), 용접 연결판(50'), 내부 스트립(60) 및 외부 스트립(70)을 구비하여, 방열핀(40), 연결판(50), 용접 연결판(50'), 내부 스트립(60) 및 외부 스트립(70)을 통해 방열기(3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0)의 제 1 수용 공간(21)과 방열핀(40)의 제 2 수용 공간(31)내에 수용되는 절연유의 대류에 의해서 변압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어 대기 중으로 방열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방열기(30)에는 이미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다른 형태의 냉각장치와 함께 구성되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20)은 외면(22)과 내면(24)을 갖고,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21)이 형성되며, 외면(22)과 내면(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창(25)을 갖는다. 이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외에 변압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기(30)를 이루는 방열핀(40), 연결판(50), 용접 연결판(50'), 내부 스트립(60) 및 외부 스트립(70)은 하우징(20)과 별도로 제작되어 추후 용접 작업을 통해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열기(3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2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 크기 및 방열핀(40)의 개수는 설계자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방열핀(40)은 창(25)을 통해 제 1 수용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수용 공간(31)이 형성되어 하우징(20)외 외면(2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판(50)은 다수개의 방열핀(40)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결합된다. 이때, 연결판(50) 중에서 최외측에 설치되는 용접 연결판(50')은 다수개의 방열판(40)의 좌우방향에서 최외측에 결합되는 방열판(40')의 외측으로 각각 결합된다. 이 용접 연결판(50')은 하우징(20)의 창(25)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최외측에 결합되는 방열핀(40')을 하우징(20)에 용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불량 및 용접 부분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용접 연결판(50')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방열핀(40')을 대체하여 하우징(20)에 용접됨으로써, 용접 면적과 두께를 증가시켜 더욱 안정적인 용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을 이루는 방열기(30)에서 내부 스트립(60)은 하우징(20)의 방향에서 다수개의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20)에 용접결합된다. 이와 같은 내부 스트립(60)은 창(25)의 상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내부 스트립(60)이 하우징(20)의 창(25)내로 위치되어 하우징(20)과 용접되도록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하우징(20)내에서 용접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게 되어 용접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은 방열판(40)의 외측 모서리가 외부 스트립(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걸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방열판(4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외부 스트립(70)은 하우징(20)의 반대 방향에서 다수개의 방열판(4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방열판(40)의 상하단에 용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에서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방열기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는 콜게이트형(Corrugated)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기(30)를 구성하도록 하면서 내부 스트립(60)에 의해 용접 면적 및 두께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방열핀(40)이 고정되는 용접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10)의 방열기(30)는 방열핀(40)과 연결판(50)을 좌우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용접결합시킨 후, 내부 스트립(60)이 다수개의 방열핀(40)들을 가로질러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내부 스트립(60)을 통해 방열기(30)의 상하측이 하우징(20)에 용접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방열기(30)를 하우징(20)에 결합시킬 때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부분에서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부분에서 크랙(crack)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최외측에 결합되는 방열판(40')의 외측으로 용접 연결판(50')이 결합되도록 하여 용접 불량을 줄이고, 용접 부분의 강도를 높이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20 : 하우징 21 : 제 1 수용 공간
22 : (하우징) 외면 24 : (하우징) 내면
25 : (하우징) 창 30 : 방열기
31 : 제 2 수용 공간 40 : 방열핀
40' : (최외측) 방열핀 50 : 연결관
50' : 용접 연결판 60 : 내부 스트립
70 : 외부 스트립

Claims (4)

  1. 외면(22)과 내면(24)을 갖고,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외면(22)과 내면(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창(25)을 갖는 하우징(20)과;
    상기 창(25)을 통해 상기 제 1 수용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수용 공간(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외 외면(2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방열핀(40)과;
    상기 다수개의 방열핀(40)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연결판(50) 및;
    상기 하우징(20)의 방향에서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기 방열판(40) 및 연결판(5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에 용접결합되는 내부 스트립(60)을 포함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트립(60)은 상기 창(25)의 상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50)은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의 좌우방향에서 최외측에 결합되는 방열판(40')의 외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용접 연결판(5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창(25)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외면(22)상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다수개의 방열판(40)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기 방열판(40)의 상하단에 용접되는 외부 스트립(70)을 더 포함하는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KR1020120049236A 2012-05-09 2012-05-09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KR10135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36A KR101356609B1 (ko) 2012-05-09 2012-05-09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36A KR101356609B1 (ko) 2012-05-09 2012-05-09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93A true KR20130125593A (ko) 2013-11-19
KR101356609B1 KR101356609B1 (ko) 2014-02-04

Family

ID=4985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236A KR101356609B1 (ko) 2012-05-09 2012-05-09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6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6717A (zh) * 2018-04-16 2018-11-06 淮北达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散热壳体
CN108766720A (zh) * 2018-05-17 2018-11-06 淮北智淮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变压器散热装置
KR20200082237A (ko) * 2018-12-28 2020-07-0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72Y1 (ko) 2006-05-29 2006-08-08 선우전기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용 케이스
KR101089594B1 (ko) 2009-12-17 2011-12-05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스마트 유입 변압기
KR101142560B1 (ko) * 2010-08-30 2012-05-08 이영재 방열판이 압형된 변압기의 하우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6717A (zh) * 2018-04-16 2018-11-06 淮北达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散热壳体
CN108766717B (zh) * 2018-04-16 2019-07-09 淮北达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散热壳体
CN108766720A (zh) * 2018-05-17 2018-11-06 淮北智淮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变压器散热装置
CN108766720B (zh) * 2018-05-17 2019-07-09 淮北智淮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变压器散热装置
KR20200082237A (ko) * 2018-12-28 2020-07-0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609B1 (ko)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8984B2 (en) High-power electromagnetic assembly
US9251947B2 (en) Liquid cooling arrangement of an inductive compon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ductive component
KR101356609B1 (ko)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JP2003332148A (ja) 電子レンジ用の高圧トランスフォーマ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3692281B2 (ja) 高周波トランス
CN105655098A (zh) 变压器及该变压器的制造方法
US20140116651A1 (en) Heat sink applicable for eletromagnetic device
JP3174592U (ja) 超ハイパワー変圧器
CN209458011U (zh) 一种用于散热器的组合式散热芯体
WO2013159478A1 (zh) 自带散热器的器件
KR20130117736A (ko) 모듈형 방열핀 구조의 변압기 케이스
CN207381244U (zh) 一种平板变压器
KR101640227B1 (ko) 변압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CN103606447A (zh) 一种便携式变压器
US20160293324A1 (en) Bobbin structure of transfomer
CN208874366U (zh) 一种无线供电用接收线圈
CN102751683A (zh) 密集型母线槽
CN202178890U (zh) 工业电磁感应加热装置的电磁感应器
CN206834052U (zh) 一种散热式变压器骨架以及高频变压器
CN102387620A (zh) 一种热敏电阻发热式加热装置
CN202230846U (zh) 一种绕组及设置该绕组的变压器和电抗器
KR20170013546A (ko) 전기밥솥
WO2018235322A1 (ja) 油入変圧器及びそれに用いるタンクの製造方法
CN210722670U (zh) 内建散热通道的变压器
CN212435964U (zh) 一种ptc电加热器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