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40A -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40A
KR20130125140A KR1020120048668A KR20120048668A KR20130125140A KR 20130125140 A KR20130125140 A KR 20130125140A KR 1020120048668 A KR1020120048668 A KR 1020120048668A KR 20120048668 A KR20120048668 A KR 20120048668A KR 20130125140 A KR20130125140 A KR 2013012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torage device
external storage
data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140A/ko
Priority to US13/890,063 priority patent/US20130303239A1/en
Publication of KR2013012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된 휴대단말기에서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될 때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CALL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된 휴대단말기에서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 외부 USB나 저장매체등과 같은 외부저장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OTG(On-To-Go)젠더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OTG젠더의 한 편은 휴대단말기의 USB연결부에 삽입되고, 다른 한편은 외부 저장장치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 송수신를 위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가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 통화가 수행될 경우, 통화에 대한 방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OTG젠더가 삽입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USB연결부는 대부분 안테나 주변에 구비됨에 따라 통화 방사성능 저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휴대단말기마다 휴대단말기에서 USB연결부가 구비된 위치에 따라 OTG젠더의 길이값을 수정하였으나, 이는 휴대단말기마다 전용젠더를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된 휴대단말기에서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된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 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통신연결을 해제함에 따라 노이즈 제거로 휴대단말기의 방사성능 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될 때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은,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방사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방사성능 저하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모델마다 OTG 젠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음으로 OTG젠더의 개발관리에 대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외부저장장치 간에 데이터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통화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통화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외부저장장치 간에 데이터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젠더(300)를 통해 외부저장장치(200)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00)의 구성을 하기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젠더(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OTG젠더일 수 있다.
상기 외부저장장치(20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젠더(300)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USB 저장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될 때 스위칭부(180)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되면,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와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수/발신이 발생될 때, 자동으로 상기 스위칭부(180)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와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수/발신이 발생될 때, 통화 수행 시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연결이 선택될 때 상기 스위칭부(180)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수행 시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취소가 선택될 때, 상기 통화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을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와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수/발신이 발생될 때 또는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에서 통화연결이 선택될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연결된 데이터통신 자체를 차단시켜서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데이터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의 차단된 데이터통신을 해제하여 다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연결부(19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된 상기 젠더(300)가 삽입될 때, 상기 스위칭부(180)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원을 공급/공급차단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부(180)는 상기 연결부(19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된 상기 젠더(300)가 삽입될 때, 온(on)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80)는 상기 휴대단말기(110)와 상기 연결부(19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면, 오프(off)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70)에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연결부(190)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된 상기 젠더(300)가 삽입될 때,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1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된 휴대단말기에서 통화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을 도 3 및 도 4a -도 4a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도 3 및 도 4a -도 4a에서는 외부저장장치의 전원공급차단을 통해 휴대단말기와 외부저장장치 간의 데이터통신차단을 예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통화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에 상기 젠더(300)가 삽입되고, 상기 젠더(30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전압이 수신되면, 상기 연결부(190)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연결부(190)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부(19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되었음을 301단계에서 판단하고,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190)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공급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3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발신이 시도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호 발생을 알린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통화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칭부(180)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통신연결을 해제하는 3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연결이 해제된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전원공급부(170)에게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190)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송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을 다시 수행하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통화 성능저하 없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a -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연결부(190)에 상기 젠더(300)가 삽입되고, 상기 젠더(30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전압이 수신되면, 상기 연결부(190)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연결부(190)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부(190)에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가 연결되었음을 401단계에서 판단하고,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190)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공급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저장장치(200)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4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발신이 시도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수행 시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이 자동으로 연결 해제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호 발생을 알린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통화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4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통화수행 시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이 자동으로 연결 해제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연결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칭부(180)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 통신연결을 해제하는 410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407단계에서 통화수행 시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이 자동으로 연결 해제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취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 연결을 유지하는 상기 403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410단계에서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연결이 해제된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411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칭부(180)를 온 시켜서 상기 전원공급부(170)에게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190)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에게 전송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200)와의 데이터통신을 다시 수행하는 413단계를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단말기, 200:외부저장장치, 300:젠더

Claims (18)

  1.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될 때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외부저장장치 간에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스위칭부를 온 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수/발신이 발생될 때, 자동으로 스위칭부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 수/발신이 발생될 때, 통화 수행 시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연결이 선택될 때 스위칭부를 오프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수행 시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취소가 선택될 때, 상기 통화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스위칭부를 온 시켜서 상기 외부저장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연결된 젠더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USB저장장치일 때, 상기 젠더는 OTG(On-The-Go)젠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장치.
  10.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삽입되는 젠더를 통해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USB저장장치일 때, 상기 젠더는 OTG(On-The-Go)젠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수/발신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호가 수/발신이 발생되면, 통화 수행 시 데이터통신의 연결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연결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데이터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통화취소가 선택되면, 상기 통화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유지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성능저하 방지방법.
  18. 제10 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 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48668A 2012-05-08 2012-05-08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30125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68A KR20130125140A (ko) 2012-05-08 2012-05-08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US13/890,063 US20130303239A1 (en) 2012-05-08 2013-05-08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vo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68A KR20130125140A (ko) 2012-05-08 2012-05-08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40A true KR20130125140A (ko) 2013-11-18

Family

ID=4954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668A KR20130125140A (ko) 2012-05-08 2012-05-08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303239A1 (ko)
KR (1) KR2013012514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909B2 (ja) * 2005-05-11 2010-10-13 株式会社東芝 携帯通信機器
TWI421768B (zh) * 2008-09-22 2014-01-01 Asustek Comp Inc 具行動通信的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CN102668519B (zh) * 2009-10-09 2015-07-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车载装置
KR101657545B1 (ko) * 2010-05-1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3239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8161B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message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951297B2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ー残量を確認する装置及び方法
US112128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radio bearer
US8374648B2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837492B1 (ko) 음성 프롬프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30024166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장치 및 방법
JP5735269B2 (ja) 受信装置、携帯通信端末、字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字幕表示制御方法
US201201336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vers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40269478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KR101694424B1 (ko)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WO20151067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udio output device
KR101763426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1116001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notifying system information modif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KR101790794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서비스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30040350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125140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성능저하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30071730A (ko) 휴대단말기의 음악재생 종료장치 및 방법
KR20150006123A (ko) Usb 장치의 연결 속도 복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35836B1 (ko)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JP6110143B2 (ja) 携帯電子機器、音出力制御方法及び音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6134869B2 (ja) Pwmデータ処理方法、pwm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933431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메모리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401797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transmission,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CN113329297A (zh)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