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180A -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180A
KR20130124180A KR1020130002545A KR20130002545A KR20130124180A KR 20130124180 A KR20130124180 A KR 20130124180A KR 1020130002545 A KR1020130002545 A KR 1020130002545A KR 20130002545 A KR20130002545 A KR 20130002545A KR 20130124180 A KR20130124180 A KR 2013012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ubstituted
substituted
group
electrolyte
independent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벨샤투노프
신우철
마흐무트하사노프
데니스체르니쇼프
알렉세이테레셴코
블라디미르에고로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8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nitrogen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812Cyclic phosphazenes [P=N-]n, n>=3
    • C07F9/65815Cyclic phosphazenes [P=N-]n, n>=3 n = 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4Fluorinated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5 및 Z는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ELECTROLYTE FOR LITHIUM RECHARGE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내부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의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시 발생하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지 내부의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면 폐기하여야 하는 일차 전지와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는 이차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이차 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하여 여러 번 충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리튬이차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리튬을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과 리튬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전지 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사용된다.
전해액은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 용매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튬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대용량 리튬이차전지에서는 안정성이 더욱 중요하다.
일 구현예는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 리튬 염, 그리고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Z는 NR1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할로겐화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2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데히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일 수 있다.
상기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일 수 있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50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20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및 부틸렌 카보네이트(BC)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a 또는 하기 화학식 1b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2
[화학식 1b]
Figure pat00003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일 수 있다.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난연성을 개선하여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4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 리튬 염, 그리고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Z는 NR1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할로겐화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2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데히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일 수 있다.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는 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cyclotriphosphazene) 유도체로, 세 개의 인(P)과 세 개의 질소(N)가 고리를 형성하고, 세 개의 인(P) 중 두 개는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인(P)은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와 이치환된 아미노기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는 일치환된 할로겐화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monosubstituted halogenated cyclotriphospazene)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1의 X1 내지 X5는 예컨대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치환된 펜타플루오로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monosubstituted pentafluorocyclotriphosphazene)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는 전해액에 첨가되어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전해액의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50 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전지의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전해액의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첨가제는 약 5 내지 20 부피%로 포함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약 10 내지 15 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튬 염은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리튬 염의 대표적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N(SO2C2F5)2, Li(CF3SO2)2N, LiN(SO3C2F5)2, LiC4F9SO3, LiClO4, LiAlO2, LiAlCl4, LiN(CxF2x +1SO2)(CyF2y +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Cl, LiI, LiB(C2O4)2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1M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전해액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액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비수성 유기 용매일 수 있고,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로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및 부틸렌 카보네이트(BC)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감마-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로는 디부틸 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R-CN(여기서, R은 C2 내지 C20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 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설포란(sulfolane)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널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경우 환형(cyclic) 카보네이트와 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약 1:1 내지 약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전해액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성 유기용매는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는 약 1:1 내지 약 30:1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 플루오로벤젠, 1,2-디플루오로벤젠, 1,3-디플루오로벤젠, 1,4-디플루오로벤젠, 1,2,3-트리플루오로벤젠, 1,2,4-트리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1,2-디클로로벤젠, 1,3-디클로로벤젠, 1,4-디클로로벤젠, 1,2,3-트리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아이오도벤젠, 1,2-디아이오도벤젠, 1,3-디아이오도벤젠, 1,4-디아이오도벤젠, 1,2,3-트리아이오도벤젠, 1,2,4-트리아이오도벤젠, 톨루엔, 플루오로톨루엔, 2,3-디플루오로톨루엔, 2,4-디플루오로톨루엔, 2,5-디플루오로톨루엔, 2,3,4-트리플루오로톨루엔, 2,3,5-트리플루오로톨루엔, 클로로톨루엔, 2,3-디클로로톨루엔, 2,4-디클로로톨루엔, 2,5-디클로로톨루엔, 2,3,4-트리클로로톨루엔, 2,3,5-트리클로로톨루엔, 아이오도톨루엔, 2,3-디아이오도톨루엔, 2,4-디아이오도톨루엔, 2,5-디아이오도톨루엔, 2,3,4-트리아이오도톨루엔, 2,3,5-트리아이오도톨루엔, 자일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액은 리튬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 리튬 비스(살리실라토)보레이트(lithium bis(salicylato)borate, LiBSB)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및/또는 리튬 비스(살리실라토)보레이트(LiBSB)는 전해액의 열 안정성을 개선하고 전지의 사이클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100)는 음극(112), 음극(112)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양극(114), 음극(112)과 양극(1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세퍼레이터(113) 및 음극(112), 양극(114) 및 세퍼레이터(113)를 함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전지 셀과, 상기 전지 셀을 담고 있는 전지 용기(120) 및 상기 전지 용기(120)를 밀봉하는 봉입 부재(140)를 포함한다.
리튬이차전지(100)는 음극(112), 세퍼레이터(113) 및 양극(114)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스피럴 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전지 용기(120)에 수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음극(112)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위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전체로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로는 탄소 물질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린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과 같은 흑연을 들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금속의 합금으로는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또는 Sn의 금속과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Ox(0 < x < 2), Si-C 복합체, Si-Q 합금(상기 Q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Si은 아님), Sn, SnO2, Sn-C 복합체, Sn-R(상기 R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Sn은 아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Q 및 R의 구체적인 원소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i, Ge, P, As, Sb, Bi, S, Se, Te, Po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로는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음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키고, 또한 음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등의 금속계 물질;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114)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위에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 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전체로는 Al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층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의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LiaA1 - bRbD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 ≤ b ≤ 0.5이다); LiaE1 - bRbO2 - cDc(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및 0 ≤ c ≤ 0.05이다); LiE2 - bRbO4 - cDc(상기 식에서, 0 ≤ b ≤ 0.5, 0 ≤ c ≤ 0.05이다); LiaNi1 -b-cCobRcD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CobRcO2 Z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CobRcO2 Z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MnbRcD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MnbRcO2 Z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MnbRcO2 Z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bEcGd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및 0.001 ≤ d ≤ 0.1이다.); LiaNibCocMndGe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0 ≤ d ≤0.5 및 0.001 ≤ e ≤ 0.1이다.); LiaNi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Co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Mn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Mn2GbO4(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QO2; QS2; LiQS2; V2O5; LiV2O5; LiTO2; LiNiVO4; Li(3-f)J2(PO4)3(0 ≤ f ≤ 2); Li(3-f)Fe2(PO4)3(0 ≤ f ≤ 2); 및 LiFePO4.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A는 Ni, C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은 Al, Ni, Co, Mn, Cr, Fe, Mg, Sr, V,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D는 O, F, S, P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E는 C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Z는 F, S, P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G는 Al, Cr, Mn, Fe, Mg, La, Ce, Sr, V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Q는 Ti, M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T는 Cr, V, Fe, Sc, Y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J는 V, Cr, Mn, Co, Ni, Cu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물론 이 화합물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화합물과 코팅층을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 원소 화합물로서, 코팅 원소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카보네이트 또는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시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을 이루는 화합물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코팅 원소로는 Mg, Al, Co, K, Na, Ca, Si, Ti, V, Sn, Ge, Ga, B, As, Z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 형성 공정은 상기 화합물에 이러한 원소들을 사용하여 양극 활물질의 물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팅, 침지법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면 어떠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대하여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잘 이해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키고, 또한 양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디아세틸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금속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재료를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은 각각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여 활물질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활물질 조성물을 각 집전체 위에 도포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N-메틸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전극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퍼레이터(113)는 음극(112)과 양극(114)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리튬이온전지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세퍼레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리튬이차전지는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코인형, 파우치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이즈에 따라 벌크 타입과 박막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전지의 구조와 제조방법은 이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해액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측면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첨가제의 제조
합성예 1
디에틸에테르 79ml에 헥사플루오로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hexafluorocyclotriphosphazene) 15.66g (63mmol)이 녹아있는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용액에 디에틸아민 용액(in THF, 2M) 63ml (126mmol)을 0℃에서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화합물 8.86g을 얻었다. 수율은 51.3%였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5

합성예 2
디에틸에테르 100ml에 헥사플루오로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 14.94g (60mmol)이 녹아있는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용액에 디에틸아민 용액(in THF, 2M) 8.78g (120mmol)을 0℃에서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1b로 표현되는 화합물 5.56g을 얻었다. 수율은 30.7%였다.
[화학식 1b]
Figure pat00006

비교합성예 1
디에틸에테르 100ml에 프로필아민 5.91g (100mmol)이 녹아있는 용액을 준비하고, 여기에 디에틸에테르 100ml에 헥사플루오로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 12.45g (50mmol) 이 녹아있는 용액을 0℃에서 2시간에 걸쳐 방울씩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5.86g을 얻었다. 수율은 40.7%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비교합성예 2
합성예 1에서 결과물의 이차 분별증류에 의해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1.66g (8.8%)을 얻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전해액의 제조
실시예 1
1.3M LiPF6 리튬염을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을 3/4/3 (v/v/v)로 혼합한 혼합 용매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합성예 1에서 얻은 첨가제 10부피%를 첨가하여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합성예 1에서 얻은 첨가제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은 첨가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합성예 1에서 얻은 첨가제 대신 비교합성예 1에서 얻은 첨가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합성예 1에서 얻은 첨가제 대신 비교합성예 2에서 얻은 첨가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평가 1: 난연성 평가
유리섬유필터를 사용한 난연성 평가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의 난연성 평가를 하였다.
난연성 평가는 유리섬유필터(Glass fiber filter WHATMAN® GF/C, 4.7㎝, 1.2㎛)를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으로 완전히 적신 후, 상기 유리섬유필터에 불을 붙여 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간은 자연소화시간(self-extinguishing time, SET)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단위 부피당 시간(s/㎖)으로 표시한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SET (s/㎖) SET (s/㎖)
실시예 1 14.6 비교예 1 18.3
실시예 2 17 비교예 2 15.6
비교예 3 18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전해액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보다 자연소화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 2에 따른 전해액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보다 난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인 셀을 사용한 난연성 평가
코인 셀 2032 (2032 coin cell case, Hohsen Corp.) 의 바닥면에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 0.250㎖를 붓고, 불을 붙여 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간은 자연소화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단위 중량당 시간(s/g)으로 표시한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SET (s/g) SET (s/g)
실시예 1 0 비교예 1 99
실시예 2 0 비교예 2 78
비교예 3 79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전해액은 코인 셀에서 점화되지 않아 우수한 난연성을 보이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해액은 1분 이상 점화 상태를 유지하여 난연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 2: 사이클 성능 평가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양극으로는 NCM433 - NCM111 (1:4 wt/wt) 92wt%, 덴카블랙(Denka black) 4wt%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Solef6020) 4wt%을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알루미나 코팅된 그라파이트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25℃에서 1C로 100회 충방전(작동 전압: 2.7V 내지 4.2V)을 실시하여, 각 사이클에 따른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100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은 표 3과 같다.
용량유지율(%)
실시예 1 91
실시예 2 95
비교예 1 92
표 3을 참고하면, 100사이클 후 실시예 1, 2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이차전지는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액, 즉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이차전지와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의 용량유지율을 확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 2에 따른 전해액은 난연성을 개선하면서도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리튬이차전지
112: 음극
113: 세퍼레이터
114: 양극
120: 전지 용기
140: 봉입 부재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
    리튬 염, 그리고
    유기 용매
    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Z는 NR1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할로겐화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2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데히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3. 제1항에서,
    상기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4. 제3항에서,
    상기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5. 제1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부피%로 포함되어 있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6. 제5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20부피%로 포함되어 있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7.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a 또는 하기 화학식 1b로 표현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1a]
    Figure pat00010

    [화학식 1b]
    Figure pat00011

  8. 제1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9. 제1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인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10. 제1항에서,
    상기 리튬 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LiN(SO2C2F5)2, Li(CF3SO2)2N, LiN(SO3C2F5)2, LiC4F9SO3, LiClO4, LiAlO2, LiAlCl4, LiN(CxF2x +1SO2)(CyF2y +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Cl, LiI, LiB(C2O4)2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11. 제1항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및 부틸렌 카보네이트(BC)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12.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13.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Z는 NR1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할로겐화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2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데히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14. 제13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인 화합물.
  15. 제14항에서,
    상기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인 화합물.
  16. 제13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르인 화합물.
  17. 제16항에서,
    상기 X1 내지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인 화합물.
  18. 제13항에서,
    하기 화학식 1a 또는 하기 화학식 1b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1a]
    Figure pat00013

    [화학식 1b]
    Figure pat00014
KR1020130002545A 2012-05-04 2013-01-09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301241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3102P 2012-05-04 2012-05-04
US61/643,102 2012-05-04
US13/720,028 US9406972B2 (en) 2012-05-04 2012-12-19 Flame retardant monosubstituted pentafluorocyclotriphosphazene electrolyte additive and electrolyte includ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3/720,028 2012-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80A true KR20130124180A (ko) 2013-11-13

Family

ID=4752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545A KR20130124180A (ko) 2012-05-04 2013-01-09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06972B2 (ko)
EP (1) EP2660920B1 (ko)
JP (1) JP2013235830A (ko)
KR (1) KR20130124180A (ko)
CN (1) CN10338401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76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49894A (ko) * 2014-10-28 2016-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19442A (ko) * 2014-07-03 2017-02-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노 치환 포스파젠 화합물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용 전해액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70021289A (ko) * 2014-07-04 2017-02-2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노 치환 포스파젠 화합물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용 전해액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WO2022158701A1 (ko) 2021-01-22 2022-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606B1 (ko) * 2012-11-13 2017-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5008496A1 (ja) * 2013-07-19 2015-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047458B2 (ja) * 2013-07-29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US9761910B2 (en) 2014-05-23 2017-09-12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Electrolyte solutions including a phosphoranimine compound, and energy storage devices including same
KR102272272B1 (ko) * 2014-07-11 2021-07-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6292730B2 (ja) * 2014-09-29 2018-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ミノ置換ホスファゼン化合物の製造方法、非水二次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5175452B (zh) * 2015-07-28 2017-10-24 东莞市凯欣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磷腈氟烷基磺酰亚胺碱金属盐的制备方法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CN106935909A (zh) * 2017-05-08 2017-07-07 山东大学 一种阻燃型钾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方法
FR3070532A1 (fr) 2017-08-22 2019-03-01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omposition electrolytique comprenant un additif de la famille des phosphazenes utilisables pour des supercondensateurs
CN109935904B (zh) * 2017-12-15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解液添加剂、锂二次电池电解液和锂二次电池
RU2667910C1 (ru) * 2018-06-05 2018-09-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хими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Д.И. Менделеева" (РХТУ им. Д.И. Менделеев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4-аллил-2-метоксифеноксифторциклофосфазенов
CN109904457B (zh) * 2019-03-26 2022-05-13 湖州昆仑亿恩科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用阻燃添加剂及应用
CN110556579B (zh) * 2019-09-06 2021-02-12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电解液以及含有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10556578B (zh) * 2019-09-06 2021-02-12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电解液添加剂、含有其的电解液以及该电解液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7272A (fr) 1971-08-07 1973-02-07 Basf Ag Derives de substitution de fluophosphazenes
US20050164093A1 (en) 2002-06-19 2005-07-28 Masashi Otsuki Supporting electrolyte for cel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ell
JP4911888B2 (ja) 2004-10-05 2012-04-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2次電池
WO2006038614A1 (ja) * 2004-10-05 2006-04-13 Bridgestone Corporation 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電池
JP4940625B2 (ja) 2005-10-21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電解液および電池
US8377596B2 (en) 2009-10-28 2013-02-19 Nec Energy Devices, Ltd. Nonaqueous-type electrolyte solution,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117699B1 (ko) 2009-11-19 2012-0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전지
EP2763231B1 (en) * 2011-09-26 2018-10-24 Fujifilm Corporation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76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19442A (ko) * 2014-07-03 2017-02-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노 치환 포스파젠 화합물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용 전해액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10461367B2 (en) 2014-07-03 2019-10-29 Fujifil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amino-substituted phosphazene compou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170021289A (ko) * 2014-07-04 2017-02-2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노 치환 포스파젠 화합물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용 전해액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10026991B2 (en) 2014-07-04 2018-07-17 Fujifil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amino-substituted phosphazene compou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160049894A (ko) * 2014-10-28 2016-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2158701A1 (ko) 2021-01-22 2022-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5470A1 (en) 2013-11-07
CN103384016B (zh) 2017-05-24
CN103384016A (zh) 2013-11-06
EP2660920A3 (en) 2013-12-04
JP2013235830A (ja) 2013-11-21
EP2660920B1 (en) 2019-03-27
US9406972B2 (en) 2016-08-02
EP2660920A2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180A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68319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3373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3451433B1 (en)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20140081468A (ko)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61038A (ko) 리튬 이차전지 전해질용 첨가제, 리튬 이차전지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50128362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2859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54606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157342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11175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8745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6460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968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0657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8535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84738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94088A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9565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93057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1510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2962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1005200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2333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02907A (ko)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