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09A -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09A
KR20130123909A KR1020120047423A KR20120047423A KR20130123909A KR 20130123909 A KR20130123909 A KR 20130123909A KR 1020120047423 A KR1020120047423 A KR 1020120047423A KR 20120047423 A KR20120047423 A KR 20120047423A KR 20130123909 A KR20130123909 A KR 2013012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hatch coaming
cover
container ship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김도현
이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909A/ko
Publication of KR2013012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63B2019/245Loose or removable fasten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hatch covers to coamings, si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 제1 용접부를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제2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와 상기 제2 용접부가 만나는 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된 해치코밍부, 및 상기 해치코밍부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되, 상기 해치코밍부 및 상기 선체와 선접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치코밍부와 선체가 만나는 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취성 균열의 전파를 방지하고, 커버부가 해치코밍부 및 선체에 선접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피로손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컨테이너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블록을 조립한 후에 블록을 정반 위에 탑재하여 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선체의 조립에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의 일종으로서, 다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는 선박에 해당한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싣는 방법에 따라 롤온 롤오프(roll-on roll-off) 방식의 선박과 리프트온 리프르오프(lift-on lift-off) 선박으로 나뉜다.
이러한 컨테이너선 또한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블록을 조립하여 용접하게 되고 여러 블록이 용접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선체와 해치코밍(hatch coaming)부 등에는 블록을 조립한 용접 이음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 이음부는 용접작업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취성화가 되어 있고, 따라서 외력에 의해 쉽게 취성 균열이 일어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1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선(10)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1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선체(11)와 해치코밍부(12)는 여러 부재가 용접되어 이루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선체(11)는 제1 용접부(13)를, 해치코밍부(12)는 제2 용접부(14)를 가지고 있었다. 이때, 제1 용접부(13)와 제2 용접부(14)는 선체(11) 및 해치코밍부(12)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일직선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10)의 경우, 선체(11)의 제1 용접부(13)와 해치코밍부(12)의 제2 용접부(14)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는바, 항해 중 파도 등에 의한 외력에 기인하여 선체 종굽힘응력이 발생하면, 취성화가 이루어진 제2 용접부(14)에서 취성 균열이 일어나고, 이러한 취성 균열이 제2 용접부(14)와 일직선을 이루는 제1 용접부(13)까지 용접선을 따라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치코밍부(12)와 선체(11) 전체에 취성 균열이 나타나 컨테이너선(10)의 종단면 절단을 야기하여 인적 및 물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한 취성 균열 전파를 차단하여 컨테이너선의 종단면 절단을 미연에 방지하는 컨테이너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제1 용접부를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제2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와 상기 제2 용접부가 만나는 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된 해치코밍부, 및 상기 해치코밍부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되, 상기 해치코밍부 및 상기 선체와 선접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용접부와 상기 제2 용접부는 각각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체는, 상기 선체의 외부를 향하는 외판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를 향하되, 상기 외판선체와 대향하는 내측선체, 및 상기 외판선체와 상기 내측선체 간을 연결하는 상갑판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갑판선체 및 상기 해치코밍부와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선체 및 상기 해치코밍부와 함께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한 두 면이 제거된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한 두 면이 제거된 사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해치코밍부와 선체가 만나는 지점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 용접부로부터 취성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제1 용접부까지는 전파되지 않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종단면 절단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가 해치코밍부 및 선체에 면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선접촉하는바, 해치코밍부 또는 선체에 사상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이고, 선체 종굽힘 응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아 제1 용접부 및 제2 용접부에 피로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내측에서 바라본 내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의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100)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100)의 내측에서 바라본 내부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100)의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도시한 컨테이너선(100)의 커버부(130a)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테이너선(10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임을 미리 밝혀 둔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선체(110), 선체(110)로부터 연장되는 해치코밍부(120), 및 해치코밍부(120)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밀폐하는 커버부(130a)를 포함하고, 선체(110) 및 해치코밍부(120)와 커버부(130a) 각각은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선(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로서, 내측선체(112), 외판선체(113), 및 상갑판선체(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선체(110)는 대향하는 이중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격벽 중 내측을 이루는 벽이 내측선체(112)이고, 외측을 이루는 벽이 외판선체(113)일 수 있다. 또한, 상갑판선체(114)는 외판선체(113)와 내측선체(112)의 상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선체(11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재가 용접을 통해 연결되므로, 선체(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용접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부(111)는 선체(110)에 대하여 수직 또는 그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취성화된 부분에 해당한다.
해치코밍부(120)는 선체(110)의 상부로 연장되어 그 상부에 해치(126)가 위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해치코밍부(120)는 선체(110) 중 내측선체(1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해치코밍부(120)는 내측선체(112)로부터 수직 상승되는 제1 수직부(123), 제1 수직부(123)로부터 선체(110)의 외측을 향해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124), 및 수평부(124)로부터 수직 하강되는 제2 수직부(125)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7'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해치코밍부(120) 또한 선체(110)와 같이 여러 부재가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용접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용접부(121)는 해치코밍부(120)에 대하여 수직 또는 그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부(121)도 제1 용접부(111)와 같이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해치코밍부(1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성화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접부(1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용접부(111)와 거의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부(111)와 제2 용접부(121)가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 취성 균열 전파가 나타나 컨테이너선(100)에 종단면 절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치코밍부(120)는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22)는 해치코밍부(120)와 선체(110)가 만나는 지점, 구체적으로는 제2 용접부(121)와 선체(110)가 만나는 지점 또는 제2 용접부(121)와 제1 용접부(111)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치코밍부(120)의 제2 용접부(121)에 취성 균열이 나타나더라도, 개구부(122)가 선체(110)의 제1 용접부(111)에 대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막을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선(100)의 종단면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30a)는 해치코밍부(120)의 개구부(122)를 밀폐하는 부재로서, 선체(110) 및 해치코밍부(120) 각각에 선접촉할 수 있다.
해치코밍부(120)에 개구부(122)가 형성되는 경우 컨테이너선(100)의 운항 중 빗물이나 해수가 개구부(122)를 통하여 선체(110)의 내부공간(1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체(110)의 내부공간(115)에 있는 컨테이너(140)가 부식이 되거나 컨테이너(140) 내부의 물품이 물에 젖을 수 있으므로, 개구부(122)를 막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구부(122)를 밀폐하기 위하여 커버부(130a)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30a)를 단순히 2차원 형태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커버부(130a)는 해치코밍부(120)의 제1 수직부(123)와 면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면접촉을 하기 위해서는 면접촉하는 두 면이 모두 매끈해야 개구부(122)를 완벽히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a)와 면접촉하는 해치코밍부(120)의 제2 용접부(121)에 대한 용접비드 제거 등의 사상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130a)와 해치코밍부(120)가 면접촉하게 되면 선체(110)의 종굽힘 응력이 직접 전달되어 커버부(130a)와 해치코밍부(120)의 접합부에 피로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즉, 커버부(130a)가 선체(110) 및 해치코밍부(120)와 면접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선체 강도에 있어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a)는 선체(110) 및 해치코밍부(120)와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부(130a)가 선접촉하기 위해서는 입체 형상을 가져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버부(130a)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면이 제거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커버부(130a)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22)를 선체(110) 외측에서 밀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체(110) 내부공간에 빗물이나 해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a)는 제1 접촉선(131a)을 통하여 해치코밍부(120)의 제1 수직부(123)와 선접촉하고, 제2 접촉선(132a)을 통하여 선체(110)의 상갑판선체(114)와 선접촉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30a)와 해치코밍부(120), 커버부(130a)와 선체(110) 간의 연결은 용접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커버부(130a)가 해치코밍부(120) 및 커버부(130a)에 연결되면, 커버부(130a)는 해치코밍부(120) 및 선체(110)와 함께 소정 공간(133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133a)은 해치코밍부(120)의 개구부(122)를 통해 노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선접촉은 커버부(130a)의 두께 만큼만의 접촉을 의미하며, 수학적인 선접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30a)가 도 7A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로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6을 도시하였으나, 커버부(130a)는 도 7B와 같은 인접한 두면이 제거된 사면체 형상, 또는 도 7C와 같은 곡면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30a)가 도 7B와 같은 형상의 커버부(130b)인 경우, 제1 접촉선(131b)은 해치코밍부(120)와 연결되고, 제2 접촉선(132b)은 선체(110)와 연결되며, 커버부(130b)와 해치코밍부(120) 및 선체(110) 간에는 소정의 공간(13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a)가 도 7C와 같은 형상의 커버부(130c)인 경우, 제1 접촉선(131c)은 해치코밍부(120)와 연결되고, 제2 접촉선(132c)은 선체(110)와 연결되며, 커버부(130c)와 해치코밍부(120) 및 선체(110) 간에는 소정의 공간(133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부(130a, 130b, 130c)는 상기와 같은 세 가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선체(110) 및 해치코밍부(120)와 선접촉하면서 개구부(122)를 밀폐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선체 111 : 제1 용접부
112 : 내측선체 113 : 외판선체
114 : 상갑판선체 115 : 내부공간
120 : 해치코밍부 121 : 제2 용접부
122 : 개구부 123 : 제1 수직부
124 : 수평부 125 : 제2 수직부
126 : 해치 130a, 130b, 130c : 커버부
131a, 131b, 131c : 제1 접촉선 132a, 132b, 132c : 제2 접촉선
133a, 133b, 133c : 공간 140 : 컨테이너

Claims (8)

  1. 제1 용접부를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제2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와 상기 제2 용접부가 만나는 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된 해치코밍부; 및
    상기 해치코밍부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되, 상기 해치코밍부 및 상기 선체와 선접촉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부와 상기 제2 용접부는 각각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상기 선체의 외부를 향하는 외판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를 향하되, 상기 외판선체와 대향하는 내측선체; 및
    상기 외판선체와 상기 내측선체 간을 연결하는 상갑판선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갑판선체 및 상기 해치코밍부와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선체 및 상기 해치코밍부와 함께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한 두 면이 제거된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한 두 면이 제거된 사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KR1020120047423A 2012-05-04 2012-05-04 컨테이너선 KR20130123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23A KR20130123909A (ko) 2012-05-04 2012-05-04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23A KR20130123909A (ko) 2012-05-04 2012-05-04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09A true KR20130123909A (ko) 2013-11-13

Family

ID=4985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23A KR20130123909A (ko) 2012-05-04 2012-05-04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9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678A (zh) * 2016-08-29 2017-01-11 南通中远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防止主船体脆性断裂的结构
CN108268675A (zh) * 2016-12-30 2018-07-10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疲劳损伤确定方法以及疲劳损伤确定装置
CN113715990A (zh) * 2021-09-27 2021-11-3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集装箱船上隔舱导轨的双面预装方法及隔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678A (zh) * 2016-08-29 2017-01-11 南通中远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防止主船体脆性断裂的结构
CN108268675A (zh) * 2016-12-30 2018-07-10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疲劳损伤确定方法以及疲劳损伤确定装置
CN108268675B (zh) * 2016-12-30 2021-09-07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疲劳损伤确定方法以及疲劳损伤确定装置
CN113715990A (zh) * 2021-09-27 2021-11-3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集装箱船上隔舱导轨的双面预装方法及隔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3909A (ko) 컨테이너선
CN112805870B (zh) 具有方形的形状的壳体
KR20130034412A (ko) 선박의 해치 코밍과 상부 갑판 구조물의 후판 용접구조
KR20140021028A (ko) 차체 측부 구조
US20070074454A1 (en) Bulkhead door
JP2010121662A (ja) 三面合わせ部のシール構造
JP2011168073A (ja) タンカーのアクセストランク構造
JP5853736B2 (ja) パネルの接合構造
CN211309634U (zh) 集装箱地板及具有其的集装箱
JP5613289B1 (ja)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JP5438180B2 (ja) ハッチサイドコーミング構造
JP6785103B2 (ja) シール構造
KR20130040225A (ko) 프레임
CN205770001U (zh) 一种舱口盖加强结构
JP2000280068A (ja) チタン材を用いた鋼製構造物の防食方法
JP2543121Y2 (ja) 船舶の油水密隔壁におけるスロット形状及びロンジ貫通部構造
JP2010173500A (ja) スティフナーのスロット
CN106005254A (zh) 一种舱口盖加强结构
KR101005899B1 (ko) 컨테이너 선박의 토션박스와 이의 용접방법
JP2004142509A (ja) ハッチカバー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200444542Y1 (ko) 선박용 창문박스 고정장치
CN211663926U (zh) 罐式集装箱
KR20140005138U (ko) 개선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650781B2 (ja) 船舶
JP2018202965A (ja) 溶接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