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707A -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707A
KR20130123707A KR1020120047043A KR20120047043A KR20130123707A KR 20130123707 A KR20130123707 A KR 20130123707A KR 1020120047043 A KR1020120047043 A KR 1020120047043A KR 20120047043 A KR20120047043 A KR 20120047043A KR 20130123707 A KR20130123707 A KR 2013012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printing machine
digital printing
main bod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12004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707A/ko
Publication of KR201301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4Drying sheets, e.g. between two printing stations
    • B41F23/0443Drying sheets, e.g. between two printing stations after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이 레그의 양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이 서포터에 각각 구비되는 브라켓, 및 양측이 대응되는 브라켓에 연결되어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지를 통과시키며 잉크액을 건조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로부터 히팅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이동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히팅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HEATING DEVICE SEPARABLE FROM 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로부터 히팅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이동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히팅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이라 함은 컴퓨터의 출력 정보에 따라 용지의 일면에 작도 또는 인쇄되게 하는 것으로서, 그 이용 예로는 기술계산의 도시, 일기도, 지도, 통계도표, 설계도면, 컴퓨터아트의 작성, 실사출력 등이 있으며, 시트지 또는 인쇄지를 사용하되 시트지 또는 인쇄지는 주로 폭보다는 길이가 월등히 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정한 봉에 시트지 또는 인쇄지를 권취시킨 상태로 유통 및 판매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의 소정 높이 상에 지지프레임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의 상부에는 이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고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가 구비되어 후방으로부터 공급되는 메디아를 프린팅할 수 있게 헤드부가 설치된다. 메디아는 본체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전, 후방 이송롤러 및 전, 후방 이송롤러에 감긴 무한궤도방식의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 안내된다. 또한, 본체의 후방에는 메디아를 헤드부의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메디아를 감은 보빈이 장착되는 후방 보빈축과, 후방 보빈축과 근접된 위치에 메디아를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후방 롤러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의 전방에는 전방 보빈축이 구비되고, 전방 보빈축에는 프린팅되어 오는 메디아를 건조할 수 있는 히터코일과 같은 히터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인쇄된 메디아는 본체 전방의 히터부재에 의해 건조된 후 전방 보빈축에 권선된다.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히팅장치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460534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히팅장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부피가 커서 본체의 이동이 어렵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로부터 히팅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구비하여 본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본체의 이동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히팅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히팅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상기 레그의 양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각각 구비되는 브라켓, 및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지를 통과시키며 잉크액을 건조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하측과 상기 레그는 결속편에 접하고, 상기 결속편은 대응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레그에 체결부재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인쇄지의 상측에 위치하여 건조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상측히터부재, 및 상기 인쇄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지를 지지한 채 건조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히터부재보다 상기 본체 방향으로 더 길게 구비된 하측히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기울기조절부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조절부는, 상기 서포터 각각에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된 요입홈부, 상기 브라켓 각각에 편심되게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요입홈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 상기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상기 서포터에 복수 개 통공된 위치설정홀부, 상기 브라켓에 통공되는 위치고정홀부,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힌지돌기에 대해 회전하여 기울기 조절 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위치설정홀부와 상기 위치고정홀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유격된 상기 히터부재로 이송되는 인쇄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는 건조된 인쇄지를 강제로 감기 위해 와인딩롤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로부터 히팅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구비하여 본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본체의 이동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히팅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히팅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히팅장치를 갖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히팅장치를 갖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히팅장치를 연결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으로부터 히팅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히터부재 기울기 조절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기울기조절부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기울기조절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히팅장치를 갖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히팅장치를 갖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히팅장치를 연결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으로부터 히팅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히터부재 기울기 조절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기울기조절부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기울기조절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10)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레그(20), 서포터(30), 브라켓(40) 및 히터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체(2)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인쇄지(4)에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하기 위한 부품을 구비한다. 본체(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레그(20)는 히팅장치(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서포터(30), 브라켓(40) 및 히터부재(50)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체(2)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레그(20)가 바퀴(2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히팅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레그(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서포터(30)는 레그(20)의 양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된다. 즉, 서포터(30)는 레그(2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그래서, 서포터(30)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서포터(30)는 레그(2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레그(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서포터(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브라켓(40)은 마주하는 서포터(30) 각각의 내측에 연결된다. 브라켓(40)은 대응되는 서포터(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히터부재(50)는 양측이 대응되는 브라켓(40)에 연결되어 본체(2)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지(4)를 통과시키며 잉크액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터부재(50)는 히터봉이나 램프 또는 열선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히터부재(50)는 히터봉이나 램프 또는 열선 등을 수용하는 박스를 포함한다.
특히, 레그(2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도 3 및 도 4에서처럼, 본체(2)의 하측과 레그(20)는 결속편(62)에 접하게 된다. 즉, 본체(2)의 하측 평편한 부위와 레그(20)가 최대한 인접되도록, 히팅장치(10)는 위치 이동된다. 그리고, 결속편(62)은 본체(2)의 하측 해당 부위와 레그(20)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게 놓여진다.
그리고, 결속편(62)은 대응되는 본체(2)와 레그(20)에 체결부재(64)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즉, 체결부재(64)는 결속편(62)과 본체(2)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고, 결속편(62)과 레그(20)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 이때, 체결부재(64)는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결속편(6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히팅장치(10)가 본체(2)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2)는 유통 중 또는 이동 중에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동이 쉽게 된다. 그리고, 히팅장치(10)는 본체(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히터부재(50)는 인쇄지(4)가 접하도록 인쇄지(4)의 하측에만 위치하여 인쇄지(4)를 건조시킬 수 있으나, 인쇄지(4)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인쇄지(4)를 단시간에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부재(50)는 상측히터부재(52) 및 하측히터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히터부재(52)는 인쇄지(4)의 상측에 위치하여 인쇄지(4)의 잉크액을 건조시키도록 브라켓(40)에 연결되고, 하측히터부재(54)는 인쇄지(4)의 하측에 위치하여 인쇄지(4)의 잉크액을 건조시키도록 브라켓(40)에 연결된다.
특히, 하측히터부재(54)는 인쇄지(4)를 지지한 채 건조시키게 됨에 따라 상측히터부재(52)보다 본체(2) 방향으로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2)와 히팅장치(10)가 소정 유격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지(4)가 하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는 소정 유격되어 서로 나란하도록 브라켓(4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인쇄지(4)는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열기를 전달받기 때문에 단시간에 건조된다.
아울러, 하측히터부재(54)가 본체(2)에 근접될 만큼 넓게 형성되면,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그래서, 제작비용을 줄이면서 본체(2)와 히팅장치(10)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2)는 유격된 히터부재(50)로 이송되는 인쇄지(4)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9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재(90)는 본체(2)의 인쇄지(4) 배출측에 연장되어 배출되는 인쇄지(4)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부재(90)는 히터봉 등 비교적 고가의 히팅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은 절감된다. 물론, 지지부재(9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재(90)는 본체(2)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지(4)는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레그(20)는 건조된 인쇄지(4)를 강제로 감기 위해 와인딩롤러(winding roller,70)를 구비한다. 즉, 와인딩롤러(70)는 모터력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면서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 사이를 통과하며 배출되는 인쇄지(4)를 감아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와인딩롤러(7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레그(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히터부재(50)는 본체(2)의 높이에 따라 기울기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의 인쇄지(4) 공급측은 본체(2)로부터 인쇄지(4)의 배출되는 높이에 따라 각도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처럼, 브라켓(40)은 기울기조절부(80)에 의해 서포터(30)에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예로서, 기울기조절부(80)는 요입홈부(82), 힌지돌기(84), 위치설정홀부(86), 위치고정홀부(88) 및 고정핀(8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요입홈부(82)는 서포터(30) 각각에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된다. 요입홈부(82)는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서포터(30) 각각에 함몰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힌지돌기(84)는 브라켓(40)에서 대응되는 서포터(30)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힌지돌기(84)는 대응되는 요입홈부(82)에 삽입된다. 이때, 힌지돌기(84)는 브라켓(40)의 측면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는,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를 연결한 브라켓(40)이 고정핀(89)에 결속된 부위가 하측으로 모멘트를 작용받음으로써 브라켓(40)이 모멘트 작용 반대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힌지돌기(84)는 브라켓(40) 각각에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설정홀부(86)는 요입홈부(82) 내측에 수용된 힌지돌기(84)를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서포터(30)에 복수 개 통공된다. 이때, 위치설정홀부(86)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위치고정홀부(88)는 위치설정홀부(86)의 궤적 상에 대응되도록 브라켓(40)에 하나 또는 복수 개 통공된다. 편의상, 위치고정홀부(88)는 브라켓(40)에 하나 통공된 것으로 도시한다.
고정핀(89)은 브라켓(40)을 힌지돌기(84)에 대해 회전하여 기울기 조절 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설정홀부(86)와 위치고정홀부(88)에 삽입된다. 그래서, 브라켓(40)은 힌지돌기(8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를 연결한 브라켓(40)은 힌지돌기(84)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를 작용받게 된다. 그래서, 브라켓(40)은 시계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위치고정홀부(88)가 복수 개의 위치설정홀부(86) 중 대응되는 위치설정홀부(86)의 위치에 따라, 상측히터부재(52)와 하측히터부재(54)의 기울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본체 10: 히팅장치
20: 레그 30: 서포터
40: 브라켓 50: 히터부재
52: 상측히터부재 54: 하측히터부재
62: 결속편 64: 체결부재
70: 와인딩롤러 80: 기울기조절부
82: 요입홈부 84: 힌지돌기
86: 위치설정홀부 88: 위치고정홀부
89: 고정핀 90: 지지부재

Claims (7)

  1.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상기 레그의 양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각각 구비되는 브라켓; 및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인쇄지를 통과시키며 잉크액을 건조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과 상기 레그는 결속편에 접하고;
    상기 결속편은 대응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레그에 체결부재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인쇄지의 상측에 위치하여 건조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상측히터부재; 및
    상기 인쇄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지를 지지한 채 건조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히터부재보다 상기 본체 방향으로 더 길게 구비된 하측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기울기조절부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조절부는,
    상기 서포터 각각에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된 요입홈부;
    상기 브라켓 각각에 편심되게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요입홈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
    상기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상기 서포터에 복수 개 통공된 위치설정홀부;
    상기 브라켓에 통공되는 위치고정홀부;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힌지돌기에 대해 회전하여 기울기 조절 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위치설정홀부와 상기 위치고정홀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격된 상기 히터부재로 이송되는 인쇄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건조된 인쇄지를 강제로 감기 위해 와인딩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KR1020120047043A 2012-05-03 2012-05-03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KR20130123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43A KR20130123707A (ko) 2012-05-03 2012-05-03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43A KR20130123707A (ko) 2012-05-03 2012-05-03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707A true KR20130123707A (ko) 2013-11-13

Family

ID=4985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043A KR20130123707A (ko) 2012-05-03 2012-05-03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43B1 (ko) * 2018-03-06 2019-09-18 (주)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43B1 (ko) * 2018-03-06 2019-09-18 (주)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0376B2 (en) Printing apparatus
JP628706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処理剤液塗布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60088959A (ko) 기록매체의 권취 기구 및 프린터
US8845088B2 (en) Printer
KR100456813B1 (ko)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JP6105497B2 (ja) 給紙装置、剥離補助ユニット、およびプリンタ
KR20130123707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착탈식 히팅장치
ITUB20154240A1 (it) Stampante a getto di inchiostro
EP1112951A3 (de) Vor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Lenken einer Materialbahn
US8803934B2 (en) Printer
US20140132690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KR101204010B1 (ko) 키오스크용 프린터
KR102068191B1 (ko) 롤원단 권출기구를 갖춘 전사기
KR101147959B1 (ko) 다양한 크기의 인쇄물을 제공하기 용이한 오프셋 윤전 인쇄기
KR102035808B1 (ko) 롤 및 평판 겸용 하이브리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
CN110154553A (zh) 印刷装置
JP6297186B2 (ja) 給紙装置
JP4854966B2 (ja) シート材料をトレイに排出するためのトランスポータ,同トランスポータを具備するプリンタ,及びシート材料をトレイに排出する方法
JP5580438B2 (ja) ロール紙プリンタ
CN208216257U (zh) 一种转轮商标印刷机
KR20110102025A (ko) 텍스타일 프린터의 원단 장력 조절장치
JP5183379B2 (ja) ロール紙プリンタ
JP2640754B2 (ja) 証票用プリンタの給紙装置
KR10202174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1484592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