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290A -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290A
KR20130123290A KR1020120127389A KR20120127389A KR20130123290A KR 20130123290 A KR20130123290 A KR 20130123290A KR 1020120127389 A KR1020120127389 A KR 1020120127389A KR 20120127389 A KR20120127389 A KR 20120127389A KR 20130123290 A KR20130123290 A KR 2013012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re block
block layer
core materi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 나가우에
히로노부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메이세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세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세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심재 블록을 복수 늘어세워 구성되는 심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양면에 대한 금속판의 고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암면 원단(1)으로부터 잘라낸 복수의 심재 블록(10)을, 섬유(1a)의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에 따른 상태로서 병렬시키고, 그 상면에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제1의 심재 블록층(21)을 형성하고,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상면에, 심재 블록(10)을 섬유(1a)의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에 따른 상태로 한 심재 블록(10)을 지그재그 형상 또는 우물 정자 형상으로 적층하여 제2의 심재 블록층(22)을 형성하고, 적층 상태의 심재 블록층(21, 22)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심재(20)를 얻는다.

Description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METHOD OF FORMING CORE OF INCOMBUSTIBLE HEAT INSULAT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COMBUSTIBLE HEAT INSULATING PANEL}
본 발명은 불연(不燃)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불연 단열 패널은, 화재 시의 연소를 막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창고나 공장 등의 비교적 넓은 건물 내를 일정 이하의 면적의 복수의 스페이스로 구획하는 칸막이로서 설치되거나, 건물의 외벽 패널로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불연 단열 패널은, 소정의 규격에 의한 방화 재료 성능 시험을 클리어하는 것이 건축 기준법으로 규정되어 있고, 그 구조로는, 2장의 강판의 사이에 암면(rock wool) 등의 단열 재료를 심재로서 끼워넣은 샌드위치 구조인 것이 일반적이다(일본국 특허공개 2009-7874호 공보 등 참조).
상기 심재의 단열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암면은, 제철 프로세스로 얻어지는 유리형상의 철로 슬래그에 석회 등을 혼합하여 고온에서 용해하여 생성되는 무기계의 인조 광물 섬유이며, 용해 상태인 것을 실형상으로 부어 만들어 고체화시켜 얻는다. 이 암면은, 통상,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장척 방향으로 된 띠형상인 것이 원재료(이하, 원단으로 칭한다)로 되고, 이 원단을, 장척 방향을 분단하는 상태에서 소정 길이의 직사각형의 패널형상으로 절단하여 심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심재의 양측의 면에 강판을 접착시켜 불연 단열 패널을 얻는데, 이 패널에 있어서는, 심재의 섬유의 연결이 약한 두께 방향의 강도가 길이 방향에 비해 현격히 낮아, 심재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등, 패널 자체의 강성이 낮아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을,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심재 블록으로 절단하고, 이들 심재 블록을 90°횡전(橫轉)시켜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상태로 병렬시키고, 이 병렬 상태의 복수의 심재의 양면에 강판을 고착하여, 심재의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불연 단열 패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연 단열 패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복수의 심재 블록이 이간하여 뿔뿔이 흩어지기 쉽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렵고, 강판을 고착시키는 작업이 곤란해져, 제조 라인에서 자동화하는데도 설비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을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 과제로는, 복수의 심재 블록을 늘어세워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심재를 뿔뿔이 흩어지지 않게 확실하게 성형할 수 있고, 그 결과, 취급이 용이해져 다음의 금속판 고착 공정으로 이송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임의의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은, 2장의 금속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불연 단열 패널을 구성하는 심재의 성형 방법으로서, 섬유가 일면에 따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단열 재료의 원단을, 상기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복수의 심재 블록을 얻는 원단 절단 공정과, 직사각형 형상의 거푸집 내에, 소정 수의 상기 심재 블록을, 상기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병렬시킴과 더불어, 심재 블록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는 제1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1의 심재 블록층의 상면에, 복수의 상기 심재 블록을, 심재 블록간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지그재그 형상, 혹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적층하여 병렬시켜 제2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는 제2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1의 심재 블록층 및 상기 제2의 심재 블록층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양자를 접착 접합하여 패널 형상의 심재를 얻는 프레스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에 의하면, 제1의 심재 블록층에 제2의 심재 블록층을 적층하고, 이들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접착 접합함으로써 성형된 심재는, 적층된 심재 블록끼리 접착 접합되어 패널 형상으로 성형되고, 개개의 심재 블록이 이간하여 뿔뿔이 흩어지지 않아, 확실하게 패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해지고, 다음의 금속판 고착 공정으로 이송하기 쉬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심재 성형 방법으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심재를, 제조 라인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단면끼리 접촉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조 라인 상에서, 상기 심재의 표리면에 금속판을 고착하여 패널 소재를 얻고, 이어서,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측에서, 상기 패널 소재를 절단하여 원하는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심재를 금속판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불연 단열 패널을 임의의 길이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심재 블록을 늘어세워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심재를 뿔뿔이 흩어지지 않게 하고 확실하게 성형할 수 있어, 그 결과, 취급이 용이해져 다음의 금속판 고착 공정으로 이송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임의의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으로 성형하는 심재의 원단(암면 원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암면 원단으로부터 잘라낸 심재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심재 블록을 90°횡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의 심재 블록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a) 제1의 심재 블록층의 단면도, (b) 제1의 심재 블록층의 상면에 제2의 심재 블록층을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1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제2의 심재 블록층의 심재 블록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의 심재 블록층에 제2의 심재 블록층(심재 블록이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1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제2의 심재 블록층의 심재 블록을 우물 정자 형상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의 심재 블록층에 제2의 심재 블록층(심재 블록이 우물 정자 형상인 배열)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거푸집 내의 제1의 심재 블록층 및 제2의 심재 블록층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공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의 제조 라인 투입 공정~패널 소재 절단 공정을 적합하게 행하는 패널 제조 설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1]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1) 원단 절단 공정
도 1은 단열 재료인 암면의 원단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암면 원단(1)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폭의 띠형상인 것으로, 이 경우, 섬유(1a)는, X방향 및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으로 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이 암면 원단(1)에 대하여, X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절단 라인(2)을 Y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절단 라인(2)을 따라 암면 원단(1)을 절단하여 잘라내고, 장척의 직방체 형상의 심재 블록(10)을 복수 얻는다. 암면 원단(1) 및 심재 블록(10)의 사이즈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암면 원단(1)의 폭인 X방향 사이즈는 2000㎜, 두께는 100㎜의 것이며, 그 경우에는, 잘려지는 심재 블록(10)의 잘라냄 폭은 25㎜, 길이가 2000㎜로 된다.
(2) 제1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
도 2는, 암면 원단(1)으로부터 잘라낸 복수의 심재 블록(10)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심재 블록(10)에 있어서, 섬유(1a)는 상기 X방향 및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에서는, 우선, 소정수의 심재 블록(10)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90°횡전시키고, 섬유(1a)를 연직 방향(도 1에서 Z방향이며, 두께 방향에 대응한다)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한다. 따라서 횡전된 심재 블록(10)은, 폭이 100㎜, 두께(높이)가 25㎜로 된다.
이어서, 섬유(1a)가 Z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의 횡전된 소정 수의 심재 블록(10)을, 도 4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인접하는 것끼리 접하고, 또한 길이 방향(X방향)의 단부가 일치하는 상태로 병렬시킴과 더불어, 각 심재 블록(10)의 상면에 접착제(25)가 도포된 제1의 심재 블록층(21)을 형성한다.
제1의 심재 블록층(2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형상의 거푸집(30)을 이용한다. 거푸집(30)은, 저판(31) 상에, 각재 나 알루미늄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변측과 단변측의 장 프레임(32), 단 프레임(33)을 설치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장 프레임(32)과 단 프레임(33)을 1개씩 직각으로 배치하여 저판(31) 고정하고, 다른쪽의 장 프레임(32), 단 프레임(33)을 저판(3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해 두고, 이들 장 프레임(32) 및 단 프레임(33) 내에 심재 블록(10)을 늘어세워, 가동측의 장 프레임(32) 및 단 프레임(33)으로 병렬 상태로 맞추는 방법으로, 장 프레임(32) 및 단 프레임(33)의 내측에 제1의 심재 블록층(21)을 형성할 수 있다. 심재 블록층(21)의 폭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900㎜로 되고, 즉 이 경우에는 횡전된 폭 100㎜의 심재 블록(10)이 9개 늘어서있다.
심재 블록(10)의 상면에 접착제(25)를 도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거푸집(30) 상에 복수의 심재 블록(10)을 늘어세우고 나서 이들 심재 블록(10)의 상면에 일괄하여 접착제(25)를 도포하거나, 혹은 거푸집(30) 상에 늘어세우기 전에, 개개의 심재 블록(10)의 상면에 접착제(25)를 도포하고, 이 후, 거푸집(30) 상에 접착제가 붙은 심재 블록(10)을 늘어세우는 것 중 어느 하나의 순서가 채용된다. 전자의 경우는, 주로 스프레이로 접착제(25)가 도포되고, 후자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스프레이로 접착제(25)가 도포되거나, 또는 롤 코터 등의 접착제 도포 장치가 이용된다.
(3) 제2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
계속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거푸집(30) 상에 형성한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상면에, 섬유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의 심재 블록(10)을, 길이 방향을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심재 블록(10)과 평행하게 하고, 또한,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심재 블록(10)에 대하여 폭 방향을 반정도 밀려나게 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하여 병렬시킨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상면에 제2의 심재 블록층(22)을 형성한다. 제2의 심재 블록층(22)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기 위해, 제2의 심재 블록층(22)의 폭 방향 양측의 심재 블록(10)은 폭이 1/2인 것으로 조정한다.
거푸집(30)의 장 프레임(32) 및 단 프레임(33)의 높이는, 심재 블록(10)을 2개 적층한 높이보다도 약간 낮은 치수로 설정해 두고, 제2의 심재 블록층(22)의 상면이 장 프레임(32) 및 단 프레임(33)의 상면보다도 돌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의 프레스 공정에서 거푸집(30)에 수용한 상태로 적층한 심재 블록층(21, 22)을 프레스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심재 블록층(21, 22)은, 심재 블록(10)이 함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행 상태이며, 또한, 폭방향으로 밀려나 심재 블록(10)간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는데,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측의 제1의 심재 블록층(21)의 심재 블록(10)에 상측의 심재 블록(10)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우물 정자 형상으로 적층하여 병렬시키고, 이를 제2의 심재 블록층(22)으로 해도 된다.
(4) 프레스 공정
다음에, 제1의 심재 블록층(21) 및 제2의 심재 블록층(22)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양자를 접착 접합하고, 도 5(b) 및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태의 패널 형상의 심재(20)를 얻는다. 상하의 심재 블록층(21, 22)을 프레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30)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복수의 거푸집(30)을 겹쳐쌓고, 겹쳐쌓인 모든 거푸집(30)의 전체를 적절한 프레스 수단으로 위로부터 프레스한다.
거푸집(30) 상의 상하의 심재 블록층(21, 22)은, 상측의 제1의 심재 블록층(21)이 장 프레임(22) 및 단 프레임(2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돌출량을 압축값으로 하여 압축된다. 이에 의해 상하의 심재 블록(10)들이 접착제(25)를 통하여 압착되고, 상하의 심재 블록층(21, 22)은 서로 접착 접합되어, 상하 2층의 패널형상의 심재(20)가 성형된다. 압축값은, 예를 들면 1㎜ 전후로 되고, 이에 따라, 심재(20)의 두께는, 대략 심재 블록(10)의 두께의 2배, 즉 상기 사이즈예의 경우, 50㎜ 정도로 되고, 심재(20)는, 전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폭:900㎜, 길이 2000㎜, 두께 150㎜의 사이즈를 가지게 된다.
[2]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이상에 의해 복수의 심재(20)를 제조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패널 제조 설비에 의해 심재(20)의 양측에 강판(40)을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불연 단열 패널을 제조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패널 제조 설비에서는, 롤러 컨베이어(51)에 의한 반송로의 투입부(51a)에 심재(20)가 길이 방향을 화살표 F로 표시하는 반송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제조 라인(50)에 투입되고, 심재(20)는, 실린더식의 푸셔(52)에 의해 단속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조 라인(50)의 중간부에서, 심재(20)의 표리면에, 상하로 배치된 강판(40)이 각각 고착된다.
상하의 강판(40)은, 투입부(51a)의 상하에 배치된 강판 롤(40A)로부터 제조 라인(50)의 하류측에 감겨져 가이드 롤(53)에 의해 심재(20)의 상하로 이끌린다. 여기로부터 심재(20)는 상하의 강판(4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강판(40)과 일체적으로 상하의 반송 롤(54)에 의해 반송되고, 그 한창 때에 있어서, 강판(40)이 심재(20)의 표리면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고착된다. 또한, 강판(40)은 폭이 심재(20)의 폭에 거의 일치하는 것이며, 심재(20) 혹은 강판(40)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심재(20)의 표리면의 전면에 접착되어 고착된다.
심재(20)가 상하의 강판(40)에 끼워지면서 심재(20)에 강판(40)이 고착됨과 더불어, 푸셔(52)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반송되어 오는 복수의 심재(20)는, 전측의 심재(20)의 후단면에, 후측의 심재(20)의 전단면이 접촉하여 연결된 상태로 되고, 따라서 심재(20)간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심재(20)의 표리면에 강판(40)이 고착된다. 이에 따라, 연결된 심재(20)의 표리면에 강판(40)이 고착된 장척의 패널 소재(26)가 제조된다.
연결된 심재(20)의 표리면에 강판(40)이 고착된 패널 소재(26)는 다시 반송되어, 절단 영역에 이른다. 그리고, 원하는 길이가 반송된 시점에서, 이 절단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절단 수단(55)에 의해 원하는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27)로 절단된다. 이상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다수의 불연 단열 패널(27)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3]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상기 실시 형태의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에 의하면, 제1의 심재 블록층(21)에 제2의 심재 블록층(22)을 적층하고, 이들 심재 블록층(21, 22)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접착 접합함으로써 심재(20)를 성형하고 있다. 이 심재(20)는, 적층된 심재 블록(10)들이 접착제(25)로 접합되어 패널형상으로 성형되고, 개개의 심재 블록(10)이 이간하여 뿔뿔이 흩어지지 않고, 확실하게 패널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해지고, 다음의 강판 고착 공정을 가지는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공정으로 이송되기 쉬워진다.
그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제조 라인(50)에서의 패널 소재(26)를 엔드리스로 길게 구성할 수 있고, 이 패널 소재(26)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27)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불연 단열 패널(27)에 있어서는, 심재 블록(10)의 섬유(1a)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섬유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면, 두께 방향의 강도가 현격히 향상되게 되어,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심재 블록(10)의 원재료는 암면 원단(1)이지만, 단열 재료의 원단으로서는 암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일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암면 원단(1)이나, 심재 블록, 심재의 사이즈는 일예이며, 설계의 요구 등에 따라 이들 사이즈는 결정된다.
1 : 암면 원단 1a : 섬유
2 : 절단 라인 10 : 심재 블록
20 : 심재 21 : 제1의 심재 블록층
22 : 제2의 심재 블록층 26 : 패널 소재
27 : 불연 단열 패널 30 : 거푸집
40 : 강판(금속판) 50 : 제조 라인

Claims (2)

  1. 2장의 금속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불연(不燃) 단열 패널을 구성하는 심재의 성형 방법으로서,
    섬유가 일면에 따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단열 재료의 원단을, 상기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복수의 심재 블록을 얻는 원단 절단 공정과,
    직사각형 형상의 거푸집 내에, 소정 수의 상기 심재 블록을, 상기 섬유의 연장되는 방향이 두께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병렬시킴과 더불어, 심재 블록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는 제1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1의 심재 블록층의 상면에, 복수의 상기 심재 블록을, 심재 블록간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지그재그 형상, 혹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적층하여 병렬시켜 제2의 심재 블록층을 형성하는 제2의 심재 블록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1의 심재 블록층 및 상기 제2의 심재 블록층을 두께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양자를 접착 접합하여 패널 형상의 심재를 얻는 프레스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2. 청구항 1에 기재된 심재 성형 방법으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심재를, 제조 라인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단면끼리 접촉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조 라인 상에서, 상기 심재의 표리면에 금속판을 고착하여 패널 소재를 얻고, 이어서,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측에서, 상기 패널 소재를 절단하여 원하는 길이의 불연 단열 패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20127389A 2012-05-02 2012-11-12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30123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5262 2012-05-02
JP2012105262A JP2013234422A (ja) 2012-05-02 2012-05-02 不燃断熱パネルの芯材成形方法および不燃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90A true KR20130123290A (ko) 2013-11-12

Family

ID=494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89A KR20130123290A (ko) 2012-05-02 2012-11-12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234422A (ko)
KR (1) KR20130123290A (ko)
CN (1) CN103382742A (ko)
TW (1) TW201346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590B1 (ko) * 2020-10-05 2021-07-30 한국칼라강재 주식회사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1818B2 (ja) * 2015-06-16 2021-07-14 日鉄鋼板株式会社 パネルの製造方法
JP6634224B2 (ja) * 2015-06-17 2020-01-22 三井化学Skcポリウレタン株式会社 多層パネル、および、多層パネルの製造方法
JP6110973B1 (ja) * 2015-10-02 2017-04-05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及び屋根葺き方法
CN107090920A (zh) * 2017-06-28 2017-08-25 西安沃飞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泥基双背衬岩棉复合外墙保温板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116B2 (ja) * 1992-04-27 1998-11-18 大同鋼板 株式会社 断熱耐火パネル
JPH09137525A (ja) * 1995-11-10 1997-05-27 Nippon Steel Chem Co Ltd 建築用パネル
JP5320249B2 (ja) * 2009-10-09 2013-10-23 明正工業株式会社 不燃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590B1 (ko) * 2020-10-05 2021-07-30 한국칼라강재 주식회사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46108A (zh) 2013-11-16
JP2013234422A (ja) 2013-11-21
CN103382742A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3290A (ko) 불연 단열 패널의 심재 성형 방법 및 불연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EP139020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andwich building element
AU200225502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andwich building element
US7399510B2 (en) Mineral fibre-based sandwich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5320249B2 (ja) 不燃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US10214840B2 (en) Method of producing a sandwich panel core of mineral wool fibres
KR100694197B1 (ko)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3910697A (zh) 一种岩棉条复合聚苯板的复合板及生产方法
KR101617743B1 (ko) 유리섬유지가 적층된 난방용 축열판
KR102032422B1 (ko) 화재 방지용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RU266352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инераловатной плиты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ориентацией волокон и минераловатная плит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JP2011080222A (ja) 不燃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39842A (zh) 一种一次成型平板十字扣型复合板
KR102481361B1 (ko)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패널 롤 성형장치
CN206901244U (zh) 一种石膏板三控进锯前的输送装置
CN204209227U (zh) 一种板条锯送板装置
JPS5847988B2 (ja) 断熱パネルの製造装置
KR20030057251A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제조시스템
KR200279144Y1 (ko) 샌드위치 패널용 광물성 섬유보드
RU173884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ламельная плита
US20150033654A1 (en) Steel Lattice Configuration
KR100706301B1 (ko) 건축용 에어충진판 제조장치
JP2013256783A (ja)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0087579A (ko) 건축용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432662Y1 (ko) 난연층이 형성된 글라스울 보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