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241A -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241A
KR20130123241A KR1020120046535A KR20120046535A KR20130123241A KR 20130123241 A KR20130123241 A KR 20130123241A KR 1020120046535 A KR1020120046535 A KR 1020120046535A KR 20120046535 A KR20120046535 A KR 20120046535A KR 20130123241 A KR20130123241 A KR 2013012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trip
black
color filter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085B1 (ko
Inventor
채희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085B1/ko
Priority to JP2012151134A priority patent/JP5656929B2/ja
Priority to GB1213591.9A priority patent/GB2501780B/en
Priority to US13/566,995 priority patent/US9207460B2/en
Priority to TW101128070A priority patent/TWI480592B/zh
Priority to CN201210286782.0A priority patent/CN103383504B/zh
Priority to DE102012108010.0A priority patent/DE102012108010B4/de
Publication of KR2013012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1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단위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으로 구획된 제1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도포된 실재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합착된 제2 기판; 합착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로 블랙 스트립;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을 따라 배열된 테두리 스트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 Patterned Retarder Type Display Device Having Black Stri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패턴드 리타더 사이에서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며 블랙 매트릭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랙 스트립과 블랙 스트립을 연결하며 비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배면 전극 기능을 하는 테두리 스트립을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의 개발에 힘입어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대두되고 있다. 3D 영상 구현을 위해,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 또는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을 이용한다.
이중 안경방식의 일 예로서, 표시패널 상에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배치한 3차원 영상 표시장치가 있다. 이 3차원 영상 표시장치는 패턴드 리타더의 편광 특성과, 사용자가 착용한 편광 안경의 편광특성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입체 영상 구현 방법에 비하여, 3D 영상에서 좌안과 우안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작고 휘도가 뛰어나 화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PR)의 편광 특성과, 사용자가 착용한 편광안경(PG)의 편광특성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은, 2D 혹은 3D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DP), 표시패널(DP)의 앞 표면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PR), 그리고 편광 안경(PG) 등을 구비한다. 표시패널(DP)은 2D 영상과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패널(DP)은 액정표시소자의 표시패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DP)은 데이터 배선들과 게이트 배선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액정 셀들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의 하부 유리기판(SL)에는 데이터 배선들, 게이트 배선들,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를 포함한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다. 액정셀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표시패널(DP)의 상부 유리기판(SU)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상부 유리기판(SU)과 하부 유리기판(SL) 각각의 내측 표면에는 액정의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표시패널(DP)의 상부 유리기판(SU)과 하부 유리기판(SL) 각각의 외부에는 상부 편광필름(PU) 및 하부 편광필름(PL)이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PR)는 표시패널(DP)의 상부 편광필름(PU) 외측에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PR)는 표시패널(DP)의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1줄의 화소들을 기본 단위로 하는 각 라인에 대응하는 단위 리타더들이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게이트 배선을 따라 공통으로 연결된 화소들의 영역에 상응하여 한 단위 리타더가 할당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의 기수 라인들에는 제1 리타더(RT1)가 할당되어 형성되고, 패턴드 리타더(PR)의 우수 라인들에는 제2 리타더(RT2)가 할당되도록 형성된다. 제1 리타더(RT1)는 표시패널(DP)로부터의 빛의 위상값을 +λ/4 만큼(여기서, λ는 빛의 파장) 지연시켜 제1 원편광을 투과시킨다. 제2 리타더(RT2)는 표시패널(DP)로부터의 빛의 위상값을 -λ/4 만큼(실제로는 3λ/4만큼) 지연시켜 제2 원편광을 투과시킨다. 제1 리타더(RT1)의 광 투과축과 제2 리타더(RT2)의 광 투과축은 서로 직교한다.
예를 들어, 패턴드 리타더(PR)의 제1 리타더(RT1)는 좌원편광만을 통과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타더(RT2)는 우원편광만을 통과시키도록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의 기수 라인에 표시되는 영상의 빛은 제1 리타더(RT1)를 통과하여 제1 원편광(즉, 좌원편광)으로 변환되고, 표시패널(DP)의 우수 라인에 표시되는 영상의 빛은 제2 리타더(RT2)를 통과하여 제2 원편광(즉, 우원편광)으로 변환된다.
편광 안경(PG)은 제1 편광필터(P1)를 갖는 좌안경창(LG)과, 제2 편광필터(P2)를 갖는 우안경창(RG)을 구비한다. 제1 편광필터(P1)는 패턴 리타더(PR)의 제1 리타더(RT1)와 동일한 편광 특성이 있다. 제2 편광필터(P2)는 패턴 리타더(PR)의 제2 리타더(RT2)와 동일한 편광 특성이 있다. 예들 들면, 편광 안경(PG)의 제1 편광필터(P1)는 좌원 편광필터로 선택될 수 있고, 편광 안경(PG)의 제2 편광필터(P2)는 우원 편광필터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리타더(RT1)에 해당하는 화소들에서는 좌안 영상을, 제2 리타더(RT2)에 해당하는 화소들에서는 우안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과 같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좌안 이미지의 편광 특성과 우안 이미지의 편광 특성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보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형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3D 영상 표시장치에서는 가로 방향의 화소 열 단위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기 때문에, 상하 시야각 방향에서 크로스 토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에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절취선 A-A'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면 방향보다 위에서 (혹은 아래에서) 관람할 경우, 좌안 영상(L1)과 우안 영상(R1)이 동시에 제1 패턴드 리타더(RT1)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그 결과 편광 안경(PG)의 좌안경창(LG)으로 좌안 영상(L1)과 우안 영상(R1)이 동시에 통과하는 크로스-토크 현상이 일어난다. 평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단위마다 블랙 매트릭스(BM)가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블랙 매트릭스(BM)의 크기가 크로스 토크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크기를 갖지 못한다.
이와 같이 수직 방향의 시야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첫 번째로, 블랙 매트릭스(BM)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지 않는 시야각 각도를 넓게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도 3은 도 2에 의한 표시장치에서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혀 크로스 토크를 완화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안 영상(R1)이 제1 패턴드 리타더(RT1)로 투사되는 광 경로 상에 더 넓어진 블랙 매트릭스(BM)가 위치함으로써, 우안 영상(R1)이 제1 패턴드 리타더(RT1)로 투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로써,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람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의 범위 내에서는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크로스 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블랙 매트릭스(BM)의 크기가 상당히 커져야 한다. 이렇게 블랙 매트릭스(BM)의 폭이 넓어지면, 개구율이 저하되어 정면에서 휘도 값이 낮아지고, 전체적으로 화질이 어둡거나 올바른 채도 값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블랙 매트릭스는 이웃하는 화소 사이에서의 빛 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지만,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3D 화상 장치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한다. 이를 위해,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특히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와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사이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블랙 매트릭스의 폭이 넓어지면 정면에서의 개구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면 개구율 확보와 3D 크로스-토크 개선 사이에서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 관련성을 제거하여 정면 개구율을 높이면서 3D 크로스-토크를 동시에 개선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정면 개구율을 확보함과 동시에 3D 크로스-토크를 개선한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 IC를 실 영역 내에 형성하여 베젤 영역이 없는 2D/3D 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개구율이 높고, 동시에 3D 크로스-토크를 개선한 대면적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단위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으로 구획된 제1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도포된 실재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합착된 제2 기판; 합착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로 블랙 스트립;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을 따라 배열된 테두리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기판은,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 드라이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을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을 덮으며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은 상기 테두리 스트립의 빛 반사율과의 차이가 5% 이내인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칼라 필터들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착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일정한 합착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단위 화소들 사이에 배치된 컬럼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테두리 스트립은 서로 연결되며, 불투명 금속 재질인 몰리브덴-티타늄(MoTi) 합금과 질화구리(CuN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상부 기판을 단위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로 블랙 스트립과, 상기 상부 기판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을 따라 배열된 테두리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1 기판 제조 단계;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 위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 드라이버 소자를 형성하는 제2 기판 제조 단계; 상기 비 표시 영역에 실재를 도포하고,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과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채우는 칼라 필터, 그리고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을 덮으며 상기 단위 화소 내에 칼라 필터와, 상기 칼라 필터 위에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화소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칼라 필터를 먼저 형성하고, 상기 화소 전극 위에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며, 상기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은 상기 테두리 스트립의 빛 반사율과의 차이가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부를 채우는 칼라 필터, 상기 칼라 필터를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 그리고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위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테두리 스트립은 서로 연결되며, 불투명 금속 재질인 몰리브덴-티타늄(MoTi) 합금과 질화구리(CuN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장치는,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는 블랙 스트립을 구비하여,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블랙 스트립이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한 폭을 갖고 수직 공간상에서 완전 중첩되어 정면 휘도가 충분히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블랙 스트립을 연결하며 구동 회로부 및 실 영역을 덮는 도전성 테두리 스트립을 구비함으로써, 배면 전극 없이도 배면 전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랙 매트릭스를 배제한 상태에서 블랙 스트립을 상부 기판의 외측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해소함과 동시에 블랙 매트릭스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에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절취선 A-A'으로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한 표시장치에서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혀 크로스-토크 문제를 완화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5d는 도 4의 절취선 B-B'으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1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 및 테두리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7d는 도 6의 절취선 C-C'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2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 및 테두리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절취선 D-D'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3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10a 내지 10d는 제4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도 4의 절취선 B-B'으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1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PR)의 편광 특성과, 사용자가 착용한 편광안경(PG)의 편광특성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은, 2D 혹은 3D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DP), 표시패널(DP)의 앞 표면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PR), 그리고 편광 안경(PG) 등을 구비한다. 표시패널(DP)은 2D 영상과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패널(DP)은 액정표시소자의 표시패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DP)은 데이터 배선들과 게이트 배선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액정 셀들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의 하부 유리기판(SL)에는 데이터 배선들, 게이트 배선들,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를 포함한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다. 액정 셀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표시패널(DP)의 상부 유리기판(SU)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또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표시패널(DP)의 상부 유리기판(SU)과 하부 유리기판(SL) 각각의 외부에는 상부 편광필름(PU) 및 하부 편광필름(PL)이 부착된다. 상부 편광필름(PU)과 하부 편광필름(PL)은 각각의 광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드 리타더(PR)는 표시패널(DP)의 상부 편광필름(PU) 외측에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PR)는 표시패널(DP)의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1줄의 화소들을 기본 단위로 하는 각 라인에 대응하는 단위 리타더들이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게이트 배선을 따라 공통으로 연결된 화소들의 영역에 상응하여 한 단위 리타더가 할당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의 기수 라인들에는 제1 리타더(RT1)가 할당되어 형성되고, 패턴드 리타더(PR)의 우수 라인들에는 제2 리타더(RT2)가 할당되도록 형성된다. 제1 리타더(RT1)는 표시패널(DP)로부터의 빛의 위상값을 +λ/4 만큼(여기서, λ는 빛의 파장) 지연시켜 제1 원편광을 투과시킨다. 제2 리타더(RT2)는 표시패널(DP)로부터의 빛의 위상값을 -λ/4 만큼(실제로는 3λ/4만큼) 지연시켜 제2 원편광을 투과시킨다. 제1 리타더(RT1)의 광 투과축과 제2 리타더(RT2)의 광 투과축은 서로 직교한다.
예를 들어, 패턴드 리타더(PR)의 제1 리타더(RT1)는 좌원편광만을 통과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타더(RT2)는 우원편광만을 통과시키도록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의 기수 라인에 표시되는 영상의 빛은 제1 리타더(RT1)를 통과하여 제1 원편광(즉, 좌원편광)으로 변환되고, 표시패널(DP)의 우수 라인에 표시되는 영상의 빛은 제2 리타더(RT2)를 통과하여 제2 원편광(즉, 우원편광)으로 변환된다.
편광 안경(PG)은 제1 편광필터(P1)를 갖는 좌안경창(LG)과, 제2 편광필터(P2)를 갖는 우안경창(RG)을 구비한다. 제1 편광필터(P1)는 패턴 리타더(PR)의 제1 리타더(RT1)와 동일한 편광 특성이 있다. 제2 편광필터(P2)는 패턴 리타더(PR)의 제2 리타더(RT2)와 동일한 편광 특성이 있다. 예들 들면, 편광 안경(PG)의 제1 편광필터(P1)는 좌원 편광필터로 선택될 수 있고, 편광 안경(PG)의 제2 편광필터(P2)는 우원 편광필터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리타더(RT1)에 해당하는 화소들에서는 좌안 영상을, 제2 리타더(RT2)에 해당하는 화소들에서는 우안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도 4와 같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좌안 이미지의 편광 특성과 우안 이미지의 편광 특성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보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에서 입체 영상을 표시할 경우, 화소 행마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한 블랙 스트립(BS)이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 위에 (상부 기판(SU)과 상부 편광필름(PU)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블랙 스트립(BS)은 상부 기판(SU)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가로(수평) 블랙 매트릭스(BMH)가 형성된 범위 내에서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동일하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 세로(수직) 블랙 매트릭스(BMV)는 상부 기판(SU)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반면에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중첩되는 블랙 스트립(BS)은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검은색 실선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도면 부호 BZ는 베젤 영역을 나타낸다. 베젤 영역(BZ)은 표시 패널(DP)에서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을 합착하는 실재가 도포되는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부가 배치되는 영역 및/또는 구동 회로부와 표시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들이 설치되는 영역들도 포함한다.
이하, 도 5a 내지 5d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위한 투명 하부 기판(SL)을 준비한다. 투명한 하부 기판(SL)의 상부 표면 위에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여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도 5a에서는 편의상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등의 구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층을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으로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도 5a)
다음으로, 칼라 필터 기판을 위한 투명 상부 기판(SU)을 준비한다. 상부 기판(SU)의 한쪽 표면 위에 블랙 스트립(BS)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표시패널(DP)은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패턴드 리타더(PR)가 배치되므로 단위 패턴드 리타더(RT1, RT2)들 사이에 블랙 스트립(BS)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표시패널의 개구율에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블랙 스트립(BS)의 폭은 블랙 매트릭스(BM)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블랙 스트립(BS)을 블랙 매트릭스(BM)와 수직 공간상에서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개인 정보 기기나 노트북과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표시패널의 경우에는 블랙 매트릭스(BM)와 블랙 스트립(BS)이 수직 공간 상에서 완전히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특히 대화면 TV와 같이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표시패널의 경우에는, 가급적 상하 시야각 방향에서 중심부에서 최상의 시청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BM)와 블랙 스트립(BS)이 일부 영역에서만 중첩할 수도 있다. 블랙 스트립(BS)이 형성된 상부 기판(SU)의 표면 위 전체 면에 배면 전극(BIT)을 도포한다. 배면 전극(BIT)은 표시 패널(DP)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한다. (도 5b)
상부 기판(SU)을 뒤집어서 다른 쪽 표면 위에 블랙 매트릭스(BM)를 형성한다. 블랙 매트릭스(BM)는 화소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며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며 화소들을 구분하는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이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그리고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는 데이터 배선이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는 블랙 스트립(BS)과 수직 공간상에서 완전히 중첩하도록 (또는, 일부 영역이 중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블랙 매트릭스(BM)에 의해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칼라 필터 영역이 정의된다. 그리고 칼라 필터 영역 내부에 칼라 필터(CF)를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칼라 필터(CF)를 먼저 형성하고 블랙 매트릭스(BM)를 나중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칼라 필터(CF) 위에 오버 코트 층(OC)을 전면 도포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버 코트 층(OC)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OC) 자체를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오버 코트 층(OC) 위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합착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컬럼 스페이서(CS)를 형성한다. 컬럼 스페이서(CS)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영역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 필터 기판을 액정층(LC)을 사이에 두고 합착한다. 컬럼 스페이서(CS)에 의해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 사이의 셀 갭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SL)의 외측면에 하부 편광판(PL)을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칼라 필터 기판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SU)의 외측면에 상부 편광판(PU)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부 편광판(PU)의 외부에는 3D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R)를 부착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는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d)
도 5d를 더 참조하면, 블랙 스트립(BS)은 블랙 매트릭스(BM)가, 특히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형성된 영역과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정면에서 바라볼 때 블랙 스트립(BS)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중첩된 면적에 의해 개구율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를 만족하도록 중첩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휴대용 표시장치와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에서는, 블랙 스트립(BS)과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동일한 크기로 완전히 중첩되는 것이 좋다. TV와 같이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의 경우, 블랙 스트립(BS)과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일부 면적에서 중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블랙 스트립(BS)의 폭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동일하거나 더 작은 값을 갖고 일부 영역이 중첩하도록 배치되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중첩되지 않은 블랙 스트립(BS)의 면적이 정면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3D 영상 시청시에도 2D 영상과 동일한 정면 휘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랙 스트립(BS)과 블랙 매트릭스(BM)를 각각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과 내측 표면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 기판(SU)의 두께만큼의 공간적으로 중첩된 이중 블랙 스트립(Double Black Strip: 블랙 매트릭스도 블랙 스트립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를 수 있다) 구조를 가져,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과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 및 테두리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도 6의 절취선 C-C'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2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의 것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게이트 드라이버 IC(GIC)를 하부 기판(SU)과 상부 기판(SL)을 합착하는 실 영역(SE) 내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베젤 영역을 제거한 구조라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의한 표시패널(DP)은 베젤 영역이 없다. 다만,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을 합착하기 위한 실 영역 대응하는 상부 기판(SU)의 외측면 표면에 테두리 스트립(OT)이 둘러쳐서 형성된 특징이 있다. 테두리 스트립(OT)은 블랙 스트립(BS)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하는 것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예에서는 블랙 스트립(BS)들이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띠 형상으로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블랙 스트립(BS)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격리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블랙 스트립(BS)이 테두리 스트립(OT)에 의해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 스트립(OT)과 블랙 스트립(BS)이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경우,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며, 블랙 스트립(BS) 위의 상부 기판(SU)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배면 전극(BIT)을 제거하더라도,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이 제1 실시 예의 배면 전극(BI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은 몰리브덴-티타늄 합금(MoTi) 혹은 질화구리(CuNx)와 같은 불투명하며, 상부 기판(SU) 재질에 부착성이 뛰어나고, 내 마모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a 내지 7d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위한 투명 하부 기판(SL)을 준비한다. 투명한 하부 기판(SL)의 한쪽 표면 위에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여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을 형성한다. 화소 영역이 정의된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은 화상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시 영역(AA)에 해당한다. 그리고 표시 영역(AA)의 외주부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 이 비 표시 영역(NA)은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을 밀봉 합착하는 실 재(SE)가 도포될 영역에 해당한다. 이 비 표시 영역(NA)에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의 소자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IC(GIC)를 형성한다. 게이트 구동 IC(GIC)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 IC(GIC)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에서 별도로 실장되는 구동 IC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하부 기판(SL) 상에 직접 형성된다. (도 7a)
다음으로, 칼라 필터 기판을 위한 투명 상부 기판(SU)을 준비한다. 상부 기판(SU)의 한쪽 표면(외측 표면) 위에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표시패널(DP)은 가로 방향으로 패턴드 리타더(PR)가 배치되므로 단위 패턴드 리타더(RT1, RT2)들 사이에 블랙 스트립(BS)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표시패널의 개구율에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블랙 스트립(BS)의 폭은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블랙 스트립(BS)을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수직 공간 상에서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개인 정보 기기나 노트북과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의 경우에는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블랙 스트립(BS)이 수직 공간상에서 완전히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특히 대화면 TV와 같이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표시패널의 경우에는, 가급적 상하 시야각 방향을 고려하여 중심부에서 최상의 시청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블랙 스트립(BS)이 일부 영역에서만 중첩할 수도 있다.
한편, 테두리 스트립(OT)은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테두리 스트립(OT)은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블랙 스트립(BS)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상부 기판(SU)의 네 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을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할 경우, 제1 실시 예에 형성하였던, 배면 전극(BIT)을 대신할 수 있다. 즉, 배면 전극(BIT)을 대신하여, 표시 패널(DP)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7b)
상부 기판(SU)을 뒤집어서 다른 쪽 표면(내측 표면) 위에서 블랙 스트립(BS)과 중첩하도록 블랙 매트릭스(BM)를 형성한다. 블랙 매트릭스(BM)는 화소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며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며 화소들을 구분하는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이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그리고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는 데이터 배선이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는 블랙 스트립(BS)과 수직 공간상에서 완전히 중첩하도록 (또는, 일부 영역이 중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블랙 매트릭스(BM)에 의해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칼라 필터 영역이 정의된다. 그리고 칼라 필터 영역 내부에 칼라 필터(CF)를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칼라 필터(CF)를 먼저 형성하고 블랙 매트릭스(BM)를 나중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칼라 필터(CF) 위에 오버 코트 층(OC)을 전면 도포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버 코트 층(OC)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OC) 자체를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오버 코트 층(OC) 위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합착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컬럼 스페이서(CS)를 형성한다. 컬럼 스페이서(CS)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영역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c)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 필터 기판을 액정층(LC)을 사이에 두고 합착한다. 컬럼 스페이서(CS)에 의해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 사이의 셀 갭(Cell Gap)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은 비 표시 영역(NA)에 도포된 실재(SE)에 의해 완전 밀봉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SL)의 외측면에 하부 편광판(PL)을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칼라 필터 기판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SU)의 외측면에 상부 편광판(PU)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부 편광판(PU)의 외부에는 3D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R)를 부착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는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
도 7d를 더 참조하면, 블랙 스트립(BS)은 블랙 매트릭스(BM)가, 특히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형성된 영역과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정면에서 바라볼 때 블랙 스트립(BS)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중첩되지 않은 면적에 의해 개구율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를 만족하도록 중첩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휴대 표시장치와 같이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에서는, 블랙 스트립(BS)과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TV와 같이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의 경우, 블랙 스트립(BS)과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가 일부 면적에서 중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블랙 스트립(BS)의 폭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동일하거나 더 작은 값을 갖고 일부 영역이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이런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중첩되지 않는 블랙 스트립(BS)의 면적이 정면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3D 영상 시청시에도 2D 영상과 동일한 정면 휘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랙 스트립(BS)과 블랙 매트릭스(BM)를 각각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과 내측 표면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 기판(SU)의 두께만큼의 공간적으로 중첩된 이중 블랙 스트립(Double Black Strip: 블랙 매트릭스도 블랙 스트립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를 수 있다) 구조를 가져,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과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블랙 스트립 및 테두리 스트립을 적용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절취선 D-D'로 자른 단면으로 나타낸 제3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의한 표시패널은,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베젤 영역이 없다. 따라서,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을 합착하기 위한 실 영역 대응하는 상부 기판(SU)의 외측면 표면에 테두리 스트립(OT)이 둘러쳐서 형성된 특징이 있다. 테두리 스트립(OT)은 블랙 스트립(BS)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하는 것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는 제2 실시 예와 달리 블랙 매트릭스(BM)를 상부 기판(SU)의 내측 표면에 형성하지 않는 대신에, 외측 표면에 형성한다. 즉, 블랙 매트릭스(BM)와 블랙 스트립(BS)이 모두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르게 말하면, 상부 기판(SU)의 내면에 블랙 매트릭스(BM)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으며, 상부 기판(SU)의 외면에 블랙 매트릭스(BM)를 대신하는 블랙 스트립(BS)(또는,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세로 블랙 스트립)들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그리고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 기능을 하는 블랙 스트립(BS)(또는,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세로 블랙 스트립) 모두가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므로 모두 검은색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는,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그리고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 기능을 갖는 블랙 스트립(BS)이 테두리 스트립(OT)에 의해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 스트립(OT)과 블랙 스트립(BS)이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면, 상부 기판(SU)의 외측 전체 표면에 도포하는 배면 전극(BIT)을 제거하더라도,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블랙 스트립(BS) 그리고 테두리 스트립(OT)이 제1 실시 예의 배면 전극(BI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블랙 스트립(BS), 그리고 테두리 스트립(OT)은 몰리브덴-티타늄 합금(MoTi) 혹은 질화구리(CuNx)와 같은 불투명하며, 상부 기판(SU) 재질에 부착성이 뛰어나고, 내 마모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9a 내지 9d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위한 투명 하부 기판(SL)을 준비한다. 투명한 하부 기판(SL)의 한쪽 표면(내측 표면) 위에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여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을 형성한다. 화소 영역이 정의된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은 화상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시 영역(AA)에 해당한다. 그리고 표시 영역(AA)의 외주부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 이 비 표시 영역(NA)은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을 밀봉 합착하는 실 재(SE)가 도포될 영역에 해당한다. 이 비 표시 영역(NA)에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의 소자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IC(GIC)를 형성한다. 게이트 구동 IC(GIC)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 IC(GIC)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에서 별도로 실장되는 구동 IC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하부 기판(SL) 상에 직접 형성된다. (도 9a)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이 형성된 하부 기판(SL)의 최상위 층으로 오버 코트를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 코트 층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을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칼라 필터 기판을 위한 투명 상부 기판(SU)을 준비한다. 상부 기판(SU)의 한쪽 표면(외측 표면) 위에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블랙 매트릭스(BM)를 칼라 필터(CF) 사이에 형성하지 않고,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한다. 따라서, 제3 실시 예에서는, 블랙 스트립(BS)은, 제1 실시 예의 블랙 매트릭스(BM)와 같이,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도록 그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 형상을 갖는다. 즉, 단위 패턴드 리타더(RT1, RT2)들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블랙 스트립(BS)이면서, 동시에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를 배치하며, 화소 컬럼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수직 블랙 매트릭스(BMV)를 배치한다.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와 블랙 스트립(BS)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되면서,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면서, 표시패널의 개구율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한편, 테두리 스트립(OT)은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테두리 스트립(OT)은 상부 기판(SU)의 상부 기판(SU)의 겉 표면에 형성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와 블랙 스트립(BS)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상부 기판(SU)의 네 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블랙 스트립(BS), 그리고 테두리 스트립(OT)을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할 경우, 제1 실시 예에 형성하였던, 배면 전극(BIT)을 대신할 수 있다. 즉, 배면 전극(BIT)을 대신하여, 표시 패널(DP)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9b)
상부 기판(SU)을 뒤집어서 다른 쪽 표면(내측 표면) 위에, 외측 표면에 형성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와 블랙 스트립(BS)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칼라 필터(CF)를 형성한다. 그리고 칼라 필터(CF) 위에 오버 코트 층(OC)을 전면 도포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버 코트 층(OC)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OC)을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오버 코트 층(OC) 위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합착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컬럼 스페이서(CS)를 형성한다. 컬럼 스페이서(CS)는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및/또는 블랙 스트립(BS)의 영역과 중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c)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 필터 기판을 액정층(LC)을 사이에 두고 합착한다. 컬럼 스페이서(CS)에 의해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 사이의 셀 갭(Cell Gap)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SL)의 외측면에 하부 편광판(PL)을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칼라 필터 기판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SU)의 외측면에 상부 편광판(PU)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부 편광판(PU)의 외부에는 3D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R)를 부착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는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d)
도 9d를 참조하면,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를 대신하는 블랙 스트립(BS), 그리고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모두가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실시 예와 비교했을 때, 블랙 스트립(BS)이 생략되고, 상부 기판(SU)의 내측면에 형성되었던 블랙 매트릭스(BM)가 외측면에 존재하는 결과를 갖는다. 즉,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종래의 2D 영상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과 비교해서 개구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영상 시청시에도 2D 영상과 동일한 정면 휘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가 칼라 필터(CF)와 상부 기판(SU)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들에 대한 다른 예인, 제4 실시 예로서, 칼라 필터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3 실시 예에서 칼라 필터가 하부 기판(SU)에 형성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따라서, 평면도는 제3 실시 예의 것을 인용한다. 도 10a 내지 10d는 도 8에서 절취선 D-D'으로 절단하여, 제4 실시 예 의한 3D 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위한 투명 하부 기판(SL)을 준비한다. 투명한 하부 기판(SL)의 한쪽 표면(내측 표면) 위에서 표시 영역(AA)에,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여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을 형성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 위에, 칼라 필터(CF)를 형성한다. 칼라 필터(CF) 위에 컬럼 스페이서(CS)를 형성한다. 컬럼 스페이서(CS)는 상부 기판(SU)에 형성하는 블랙 스트립(BS)과 중첩하는 영역 내부에 한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 표시 영역(N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의 소자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IC(GIC)를 형성한다. 게이트 구동 IC(GIC)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 IC(GIC)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에서 별도로 실장되는 구동 IC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하부 기판(SL) 상에 직접 형성된다. (도 10a)
다음으로, 투명 상부 기판(SU)을 준비한다. 상부 기판(SU)의 한쪽 표면(외측 표면) 위에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칼라 필터(CF)가 상부 기판(SU)에 형성되지 않고, 하부 기판(SL)에 형성되므로, 블랙 매트릭스(BM)도 상부 기판(SU)의 내측 표면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4 실시 예에서는, 블랙 스트립(BS)은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 상에서, 제1 실시 예의 블랙 매트릭스(BM)와 같이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도록 그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망 형상을 갖는다. 즉, 단위 패턴드 리타더(RT1, RT2)들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가로 블랙 매트릭스(BMH) 기능을 포함하는 (가로) 블랙 스트립(BS)을 배치하며, 화소 컬럼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수직 블랙 매트릭스(BMV) 기능을 하는 (세로) 블랙 스트립(BS)을 배치한다. 블랙 매트릭스(BM)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지만, 블랙 매트릭스(BM)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블랙 스트립(BS)이 상부 기판(SU)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면서, 표시패널의 개구율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테두리 스트립(OT)은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테두리 스트립(OT)은 상부 기판(SU)의 상부 기판(SU)의 겉 표면에 형성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와 블랙 스트립(BS)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상부 기판(SU)의 네 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로 블랙 매트릭스(BMV), 블랙 스트립(BS), 그리고 테두리 스트립(OT)을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할 경우, 제1 실시 예에 형성하였던, 배면 전극(BIT)을 대신할 수 있다. 즉, 배면 전극(BIT)을 대신하여, 표시 패널(DP)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0b)
필요하다면, 상부 기판(SU)을 뒤집어서 다른 쪽 면에 오버 코트 층(OC)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버 코트 층(OC)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OC)을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c)
박막 트랜지스터 및 칼라 필터가 형성된 하부 기판(SL)과 블랙 스트립(BS)과 테두리 스트립(OT)이 형성된 상부 기판(SU)을 액정층(LC)을 사이에 두고 합착한다. 컬럼 스페이서(CS)에 의해 상부 기판(SU)과 하부 기판(SL) 사이의 셀 갭(Cell Gap)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부 기판(SL)의 외측면에 하부 편광판(PL)을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기판(SU)의 외측면에 상부 편광판(PU)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부 편광판(PU)의 외부에는 3D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R)를 부착한다. 특히, 패턴드 리타더(PR)는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d)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칼라 필터(CF)가 형성된 하부 기판(SL)의 최상위 층에도 오버 코트를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기판(SU)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버 코트 층 위에 액정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을 더 도포할 수도 있고, 오버 코트 층을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표시 패널은 제3 실시 예에 의한 표시 패널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칼라 필터(CF)가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 위에 직접 형성되고, 칼라 필터(CF) 위에 컬럼 스페이서(CS)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부 기판(SU)에는 블랙 매트릭스 기능과 패턴드 리타더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블랙 스트립(BS)과, 블랙 스트립(BS)을 배면 전극으로 활용하며 GIP 영역을 가리기 위한 테두리 스트립(BS)만이 형성되어, 상부 기판(SU)의 제조 과정이 아주 단순하다는 차이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4 실시 예에서는 칼라 필터(CF)가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 위에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칼라 필터(CF)를 하부 기판(SL) 위에 먼저 형성하고, 칼라 필터(CF)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기판(SL)의 최상위 층은 화소 전극이 위치하는 결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화소 전극이 상부 기판(SU)을 통해 그대로 관람자의 시각에 노출된다. 특히, 화소 전극의 재질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거나, 질화 구리(CuNx)와 같이 옅은 색상을 띠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인 경우(구리의 경우 Yellowish 현상이 발생한다) 테두리 스트립(OT)이 튀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테두리 스트립(OT)도 금속 재질이지만 검은색으로 반사율에 의한 밝기가 낮지만, 화소 전극의 높은 반사율 또는 옅은 색상을 나타내는 반사율로 인해 테두리 스트립(OT)이 상대적으로 더 어둡게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과 테두리 스트립(OT)의 빛 반사율의 차이를 5% 이내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화소 전극에는 구리와 같이 옅은 채색을 갖는 금속 물질을 배제하고, 몰리브덴-티타늄(MoTi) 합금과 같은 물질로 형성하거나, ITO 또는 몰리브덴-티타늄과 ITO를 적층한 구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 예 4와 같이 칼라 필터(CF)가 박막 트랜지스터 층(TFL) 위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을 덮음으로써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 현저하게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패널 SL: 하부 유리기판
SU: 상부 유리기판 PL: 하부 편광필름
PU: 상부 편광필름 PG: 편광안경
P1: 제1 편광필터 P2: 제2 편광필터
RG: 우안경창 LG: 좌안경창
PR: 패턴드 리타더 RT1: 제1 리타더
RT2: 제2 리타더 BM: 블랙 매트릭스
BMH: 가로(수평) 블랙 매트릭스 BMV: 세로(수직) 블랙 매트릭스
BS: 블랙 스트립 BZ: 베젤
L1: (첫 번째 행) 좌안 영상 R1: (첫 번째 행) 우안 영상
L2: (두 번째 행) 좌안 영상 R2: (두 번째 행) 우안 영상
TFL: 박막 트랜지스터 층 BIT: 배면 전극
CS: 컬럼 스페이서 CF: 컬러 필터
AA: 표시 영역 NA: 비 표시 영역
SE: 실재 OT: 테두리 스트립

Claims (16)

  1. 단위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으로 구획된 제1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도포된 실재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합착된 제2 기판;
    합착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로 블랙 스트립;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을 따라 배열된 테두리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 드라이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을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을 덮으며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은 상기 테두리 스트립의 빛 반사율과의 차이가 5% 이내인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형성된 칼라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칼라 필터들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합착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일정한 합착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단위 화소들 사이에 배치된 컬럼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테두리 스트립은 서로 연결되며, 불투명 금속 재질인 몰리브덴-티타늄(MoTi) 합금과 질화구리(CuN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10. 상부 기판을 단위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가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로 블랙 스트립과, 상기 상부 기판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을 따라 배열된 테두리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1 기판 제조 단계;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 위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 드라이버 소자를 형성하는 제2 기판 제조 단계;
    상기 비 표시 영역에 실재를 도포하고,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과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외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들을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를 채우는 칼라 필터, 그리고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화소 전극을 덮으며 상기 단위 화소 내에 칼라 필터와, 상기 칼라 필터 위에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화소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하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에 칼라 필터를 먼저 형성하고,
    상기 화소 전극 위에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며,
    상기 화소 전극의 빛 반사율은 상기 테두리 스트립의 빛 반사율과의 차이가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제조 단계는, 상기 상부 기판의 내측 표면에서, 상기 단위 화소 내부를 채우는 칼라 필터, 상기 칼라 필터를 구분하는 세로 방향 경계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세로 블랙 스트립, 그리고 상기 세로 블랙 스트립 위에 컬럼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블랙 스트립 및 상기 테두리 스트립은 서로 연결되며, 불투명 금속 재질인 몰리브덴-티타늄(MoTi) 합금과 질화구리(CuN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120046535A 2012-05-02 2012-05-02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35A KR101396085B1 (ko) 2012-05-02 2012-05-02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51134A JP5656929B2 (ja) 2012-05-02 2012-07-05 ブラックストリップを備えたパターンリターダ方式の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GB1213591.9A GB2501780B (en) 2012-05-02 2012-07-30 A patterned retarder type display device having black stri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3/566,995 US9207460B2 (en) 2012-05-02 2012-08-03 Patterned retarder type display device having black stri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101128070A TWI480592B (zh) 2012-05-02 2012-08-03 具有黑色條紋之圖案化相位延遲型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201210286782.0A CN103383504B (zh) 2012-05-02 2012-08-13 具有黑带的构图延迟器型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DE102012108010.0A DE102012108010B4 (de) 2012-05-02 2012-08-30 Anzeigevorrichtung mit strukturierter Verzögerungseinrichtung mit schwarzen Streif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35A KR101396085B1 (ko) 2012-05-02 2012-05-02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41A true KR20130123241A (ko) 2013-11-12
KR101396085B1 KR101396085B1 (ko) 2014-05-15

Family

ID=4938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535A KR101396085B1 (ko) 2012-05-02 2012-05-02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7460B2 (ko)
JP (1) JP5656929B2 (ko)
KR (1) KR101396085B1 (ko)
CN (1) CN103383504B (ko)
DE (1) DE102012108010B4 (ko)
GB (1) GB2501780B (ko)
TW (1) TWI4805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896A (ko) * 2012-04-13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2967965B (zh) * 2012-11-08 2014-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狭缝光栅及立体显示装置
KR101983262B1 (ko) * 2012-11-23 2019-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06757A (ko) * 2013-05-14 2016-01-19 애플 인크.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컬러 필터 재료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CN104730769B (zh) * 2015-04-13 2017-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显示系统及安装方法
KR102440471B1 (ko) * 2017-07-20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1233984B2 (en) 2020-02-28 2022-01-25 Resonance Technology, Inc. Flexible or curved display for MRI bor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327B2 (ja) * 1990-05-25 1999-10-04 日本放送協会 三次元画像表示装置
JPH0618931A (ja) 1992-07-06 1994-01-28 Nec Kagoshima Ltd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GB2317710A (en) * 1996-09-27 1998-04-01 Sharp Kk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JPH10268233A (ja) * 1997-01-22 1998-10-09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3461680B2 (ja) * 1997-03-13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185983A (ja) 2000-12-13 2002-06-28 Arisawa Mfg Co Ltd 3d映像表示体形成用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装置
KR100850589B1 (ko) * 2002-08-19 2008-08-0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TWI265348B (en) * 2003-09-24 2006-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977221B1 (ko) * 2003-10-10 2010-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액정표시장치
TWI303341B (en) * 2004-01-14 2008-11-2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050097005A (ko) 2004-03-30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제조방법
KR100721570B1 (ko) * 2004-12-10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108467B1 (ko) * 2004-12-30 2012-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방법
US7999994B2 (en) * 2005-02-23 2011-08-1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KR20080033729A (ko) * 2006-10-13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540074B2 (ja) * 2007-04-24 2010-09-08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352906B1 (ko) 2007-07-13 2014-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687154B2 (en) 2007-11-14 2014-04-01 Hydis Technologies Co., Ltd.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033557A1 (en) * 2008-07-28 2010-02-11 Sony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57576B1 (ko) 2008-10-15 2012-06-19 소니 주식회사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CN101825802B (zh) * 2009-03-06 2011-12-2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
US20120285608A1 (en) * 2009-12-28 2012-11-15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panel
JP5424915B2 (ja) * 2010-01-29 2014-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JP5650918B2 (ja) 2010-03-26 2015-0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
KR101751996B1 (ko) * 2010-04-06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65483B1 (ko) 2010-06-08 2013-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2996B1 (ko) * 2010-07-23 201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62192A (ko) * 2010-12-06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스위칭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68966B1 (ko) 2010-12-20 2013-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N202025132U (zh) * 2011-03-28 201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相位差板立体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01780A (en) 2013-11-06
GB2501780B (en) 2014-03-26
DE102012108010A1 (de) 2013-11-07
CN103383504B (zh) 2016-06-08
GB201213591D0 (en) 2012-09-12
TW201346343A (zh) 2013-11-16
DE102012108010B4 (de) 2016-03-24
US20130293802A1 (en) 2013-11-07
KR101396085B1 (ko) 2014-05-15
CN103383504A (zh) 2013-11-06
US9207460B2 (en) 2015-12-08
JP5656929B2 (ja) 2015-01-21
TWI480592B (zh) 2015-04-11
JP2013235228A (ja)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085B1 (ko)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29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US20200257133A1 (en) Switching barrier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607430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9274347B2 (en) Polarized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30155505A1 (en) Polarization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457747B1 (ko) 불규칙 배열의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105224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455312B1 (ko)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3465B1 (ko)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장치
KR101425611B1 (ko)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983445B2 (en) Liquid crystal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quid crystal lens panel
KR101977241B1 (ko)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편광 필름
US20120188491A1 (en) Reflective display apparatus
JP6698768B2 (ja) バリアパネルを含む立体映像表示装置
KR20150079207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341914A (zh) 立體顯示裝置及其主動式光學元件
KR102035754B1 (ko) 패턴드 리타더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용 액정 표시 패널
US11909946B2 (en) Switchable barrier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KR20130028350A (ko)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3932B1 (ko) 편광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86304B1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1622B1 (ko) 영상 표시장치
KR20130069306A (ko) 편광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