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352A - 카메라용 광학계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352A
KR20130122352A KR1020120045609A KR20120045609A KR20130122352A KR 20130122352 A KR20130122352 A KR 20130122352A KR 1020120045609 A KR1020120045609 A KR 1020120045609A KR 20120045609 A KR20120045609 A KR 20120045609A KR 20130122352 A KR20130122352 A KR 20130122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conditional expression
present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910B1 (ko
Inventor
채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910B1/ko
Priority to US13/802,247 priority patent/US20130286488A1/en
Publication of KR2013012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52A/ko
Priority to US14/137,795 priority patent/US20140104704A1/en
Priority to US14/137,683 priority patent/US87804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10B1/ko
Priority to US14/473,956 priority patent/US9383554B2/en
Priority to US14/795,856 priority patent/US9910249B2/en
Priority to US15/873,040 priority patent/US201801434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용 광학계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3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이 볼록하고 상측으로 오목하며, 상기 상측면에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제5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광학계{Optical system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고해상도가 구현 가능하도록 한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이동통신 단말기, PDA 및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수단은 그 사용량이 증대되고 통신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기본적인 통신 기능 외에 다양한 형태의 부가 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간단한 촬영을 위한 카메라 탑재가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의 광학계가 500만 화소를 넘어서 8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통상의 60도 내외의 화각보다 넓은 70도 이상의 화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렌즈의 화각이 커지면 렌즈면에 입사하는 광선의 입사각이 커질수 밖에 없기 때문에 동일한 제조 공차에서도 성능 저하가 심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센서의 화소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주파수가 커지게 됨으로써 높은 해상력을 갖는 광학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공간주파수가 커지고 해상력이 높아지게 되면 광학계의 제조 공차에 대한 민감도 역시 상승할 수 밖에 없어 고화소에 따른 높은 해상력을 갖고 민감도를 낮출 수 있는 광학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에 카메라용 광학계로 800만 화소를 지원하는 고화소의 광학계는 주로 4매의 렌즈로 구성(픽셀 사이즈 > 1.4㎛ 이상)되는 바, 4매의 렌즈 중에서 제1 렌즈와 제2 렌즈가 광학계의 전체적인 굴절력을 담당하고, 제3 렌즈와 제4 렌즈가 상면 만곡(Field Curvature)과 왜곡(distortion)을 담당하여 제1 렌즈와 제2 렌즈에 의해 보정되지 못하는 수차를 보정하게 된다.
또한,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크라운(crown) 또는 플린트(flint) 계열의 글라스 렌즈로 사용되며, 특히, 제2 렌즈가 음의 굴절력을 가지면서 플린트(flint) 계열의 글라스 재질을 사용하여 종색수차를 보상하게 되는 데, 모바일 카메라용 광학계의 제조 비용을 감안한 광학계 설계로는 소형화와 저비용화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용 광학계의 특성 상 대량 생산과 크기, 무게 및 단가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렌즈가 주로 적용됨에 따라 일반적인 광학계의 설계로는 광학 성능을 만족시키기가 어렵고 색수차 보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1997-21132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카메라용 광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종색수차 특성이 다른 5매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광각의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리개를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위치시켜 주변 광량비가 개선되도록 한 카메라용 광학계가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3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이 볼록하고 상측으로 오목하며, 상기 상측면에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제5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광학계가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는 본 발명의 광학계를 경유하는 광 중에서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는 개구 조리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계는 상기 제3 렌즈가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계는 상기 제4 렌즈가 상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계는 상기 제5 렌즈가 물체측이 오목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와 상(像)면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 중에 포함된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가 코팅된 커버 글라스의 광학적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계는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학계는 제3 렌즈의 곡률반경과 광학계 전체의 초점거리 및 제3 렌즈의 초점거리와 광학계 전체의 초점거리에 대하여 다음의 조건식 1과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3 / f < 2.0
[조건식 2] R31 / f < 1.2
여기서, f3 : 제3 렌즈의 초점 거리,
R31 : 제3 렌즈의 물체면 곡률반경
f :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는 5매의 렌즈를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 광화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광학계는 5매의 렌즈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3 렌즈가 제1 렌즈에 대한 색수차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 렌즈를 채용하여 제조 공차에 대한 민감도를 완화시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용 광학계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배치함으로써, 제1 렌즈의 제조 공차에 대한 민감도를 완화할 수 있고, 주변 광량비가 개선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표1 및 도 1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도와 왜곡수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렌즈 구성도.
도 4a와 4b는 각각 표 3 및 도 3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도와 왜곡수차도.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이하의 각 실시예별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렌즈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측으로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L1)와,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L2)와,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L3)와,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L4) 및 물체측이 볼록하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L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는 개구 조리개(AS)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L5)와 상(像)면(11) 사이에는 광학계를 경유하는 광 중에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나 적외선 필터가 코팅된 커버 글라스로 구성된 광학적 필터(OF)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는 조리개(AS)를 제1 렌즈(L1)의 후방, 즉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위치시켜 제1 렌즈(L1)의 공차 민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즉, 만약 조리개(AS)가 제1 렌즈(L1)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광학계에 입사되는 광에 의한 상고(image height)가 커지게 되어 제1 렌즈(L1)가 디센터에 민감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조리개(AS)를 위치시키면 제1 렌즈(L1)로 입사하는 광선들의 입사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렌즈(L1)의 제조 공차에 대한 민감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학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1) 사이에 조리개(AS)를 위치시키면 제1 렌즈(L1)에 의해 이미징되는 입사동의 크기가 상(像)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주변 광량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조리개(AS)가 위치함에 따라 하광선의 입사각이 증가하여 제1 렌즈(L1)의 상면측에서의 입사각이 크게 증가할 수 있어 제조 공자에 대한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렌즈(L1)를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설계하여 제1 렌즈(L1)에 대한 광선의 입사각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렌즈(L1)를 상측으로 오목한 렌즈를 채용할 경우에 색수차 보정 기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는, 제1 렌즈(L1)의 상측면의 굴절력이 음의 굴절력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의 아베수에 의한 분산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는 색수차 보정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3 렌즈(L3)를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f3)와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R31)에 의한 관계를 통해 종색수차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조건식을 통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렌즈(L3)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계에서는 상기 제4 렌즈(L4)가 상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계는 상기 제5 렌즈(L5)가 물체측이 오목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계는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모두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이 비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중 어느 한 면 이상을 비구면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광화각을 구현할 수 있는 렌즈의 매수를 최소화하여 컴팩트하게 제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 채용 가능한 카메라용 광학계를 구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를 모두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하는 이유는, 글라스 렌즈에 비해 비구면의 렌즈 제작이 용이한 플라스틱 렌즈로 광학계를 구성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색수차 보정과 제조 공차를 완화킬 수 있는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과 조건식 2에 의해 색수차의 보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건식 1] f3 / f < 2.0
여기서, f3는 제3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는 광학계 전체의 초점 거리이다.
조건식 1은 광학계의 색수차 보정에 관한 조건으로, 조건식 1의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광학계 전체에서 파장별 초점 조정 위치가 상이해지게 됨에 따라 촬영된 화상의 색상이 번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건식 2] R31 / f < 1.2
여기서, R31은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f는 광학계 전체의 초점 거리이다.
조건식 2도 조건식 1과 마찬가지로 색수차 보정에 관한 조건으로, 상기 제1 렌즈(L1)의 상측면을 오목하게 형성할 때 제3 렌즈(L3)의 곡률반경을 크게 하여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건식 2의 상한을 벗어나게 되면 광학계의 파장별 후초점거리(BFL:Back Focal Length)가 파장이 짧은 부분에서 급격히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 즉 색수차의 보정 특성을 만족하기 어렵다.
한편,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공지의 수학식 1로부터 얻어지며, 코닉(Conic) 상수(K)와 비구면 계수(A,B,C,D,E,F)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이어지는 숫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2은 102을, E-02는 10-2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Z :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Y :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c :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 반경(r)의 역수
K : 코닉(Conic) 상수
A,B,C,D,E,F : 비구면 계수
[제1 실시예]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각각 표1 및 도 1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는 4.05㎜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모두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채용되는 각렌즈의 초점 거리로 f1은 3.66㎜, f2는 -3.80㎜, f3는 5.09㎜, f4는 2.27㎜ 및 f5는 -2.10㎜이다.
Figure pat00002
표 1에서 면 번호 앞의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3
[제2 실시예]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렌즈 구성도이고, 도 4a와 4b는 각각 표 3 및 도 3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는 3.94㎜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채용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로 f1은 3.68㎜, f2는 -4.63㎜, f3는 5.55㎜, f4는 3.80㎜, 및 f5는 -2.51㎜이다.
Figure pat00004
표 3에서 면 번호 앞의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한 제2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5
[제3 실시예]
하기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렌즈 구성도이고, 도 6a와 6b는 각각 표 5 및 도 5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경우,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는 4.10㎜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채용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로 f1은 3.694㎜, f2는 -4.620㎜, f3는 6.119㎜, f4는 2.402㎜, 및 f5는 -2.093㎜이다.
Figure pat00006
표 5에서 면 번호 앞의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7
[제4 실시예]
하기의 표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렌즈 구성도이고, 도 8a와 8b는 각각 표 7 및 도 7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의 경우,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는 4.10㎜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채용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로 f1은 3.959㎜, f2는 -4.925㎜, f3는 5.542㎜, f4는 2.763㎜, 및 f5는 -2.302㎜이다.
Figure pat00008
표 7에서 면 번호 앞의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4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한 제4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8과 같다.
Figure pat00009
[제5 실시예]
하기의 표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낸 렌즈 구성도이고, 도 9a와 9b는 각각 표 9 및 도 9에 도시된 광학계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제5 실시예의 경우,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는 4.16㎜이다. 또한,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는 비구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채용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로 f1은 3.749㎜, f2는 -4.198㎜, f3는 4.042㎜, f4는 4.365㎜, 및 f5는 -2.505㎜이다.
Figure pat00010
표 9에서 면 번호 앞의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4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L1) 내지 제5 렌즈(L5)의 양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한 제5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Figure pat00011
한편,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한 조건식 1과 조건식 2의 값은 다음의 표 5과 같다.
Figure pat00012
상기의 표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는 조건식 1과 조건식 2를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L3. 제3 렌즈 L4. 제4 렌즈
L5. 제5 렌즈
AS. 개구 조리개 OF. 광학적 필터
1, 2, 3, 4...9, 10, 11. 면 번호

Claims (8)

  1.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3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이 볼록하고 상측으로 오목하며, 상기 상측면에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는, 상기 광학계를 경유하는 광 중에서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는 개구 조리개가 배치되는 카메라용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용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으로 구성된 카메라용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물체측이 오목한 형상의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용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와 상(像)면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 중에 포함된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가 코팅된 커버 글라스의 광학적 필터가 더 포함되는 카메라용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된 카메라용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색수차 보정에 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카메라용 광학계.
    [조건식 1] f3 / f < 2.0
    여기서, f3 : 제3 렌즈의 초점 거리,
    f :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색수차 보정에 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카메라용 광학계.
    [조건식 2] R31 / f < 1.2
    여기서, R31 : 제3 렌즈의 물체면 곡률반경
    f :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
KR1020120045609A 2012-04-30 2012-04-30 카메라용 광학계 KR10142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09A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2-04-30 카메라용 광학계
US13/802,247 US20130286488A1 (en) 2012-04-30 2013-03-13 Optical system for camera
US14/137,795 US20140104704A1 (en) 2012-04-30 2013-12-20 Optical system for camera
US14/137,683 US8780465B2 (en) 2012-04-30 2013-12-20 Optical system for camera
US14/473,956 US9383554B2 (en) 2012-04-30 2014-08-29 Optical system for camera
US14/795,856 US9910249B2 (en) 2012-04-30 2015-07-09 Optical system for camera
US15/873,040 US20180143408A1 (en) 2012-04-30 2018-01-17 Optical system for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09A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2-04-30 카메라용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72A Division KR101853161B1 (ko) 2014-01-10 2014-01-10 카메라용 광학계
KR1020140003271A Division KR101404198B1 (ko) 2014-01-10 2014-01-10 카메라용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52A true KR20130122352A (ko) 2013-11-07
KR101422910B1 KR101422910B1 (ko) 2014-07-23

Family

ID=4947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609A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2-04-30 카메라용 광학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20130286488A1 (ko)
KR (1) KR1014229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420A (ko) * 2012-12-12 2014-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7511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9135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WO2018016664A1 (ko) * 2016-07-21 2018-01-25 주식회사 오토닉스 렌즈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US10901185B2 (en) 2017-06-28 2021-01-26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14B1 (ko) 2011-10-10 2013-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렌즈 유닛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3-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438476B (zh) 2012-01-12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系統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US8675288B2 (en) 2012-06-12 2014-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CN109040552B (zh) 2013-06-13 2021-06-22 核心光电有限公司 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US9857568B2 (en)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CN108388005A (zh) 2013-07-04 2018-08-10 核心光电有限公司 小型长焦透镜套件
CN103969790B (zh) 2013-12-09 2016-05-1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该光学成像镜头的电子装置
CN104007539B (zh) * 2014-01-27 2016-05-2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该光学成像镜头的电子装置
JP6381261B2 (ja) 2014-04-10 2018-08-29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CN112327464A (zh) 2015-01-03 2021-02-05 核心光电有限公司 微型长焦镜头模块和使用该镜头模块的相机
TWI629534B (zh) * 2016-03-04 2018-07-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三)
TWI710790B (zh) * 2016-03-31 2020-11-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一)
JP6377096B2 (ja) * 2016-04-04 2018-08-22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613480B (zh) 2017-02-08 2018-02-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鏡片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0058372B (zh) 2017-02-23 2022-02-08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CN107450157B (zh) * 2017-06-02 2020-01-10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KR20190022522A (ko) 2017-07-07 2019-03-06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미광을 방지하기 위한 접이식 카메라 프리즘 설계
CN113031218A (zh) 2017-07-23 2021-06-25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以及其折叠透镜套件
JP6374082B1 (ja) * 2017-11-18 2018-08-15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影光学レンズ
JP6419996B1 (ja) * 2017-11-18 2018-11-07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影光学レンズ
JP6374080B1 (ja) * 2017-11-18 2018-08-15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像光学レンズ
US10451839B2 (en) * 2017-12-04 2019-10-22 AAC Technologies Pte. Ltd. Camera optical lens
US10451850B2 (en) * 2017-12-04 2019-10-22 AAC Technologies Pte. Ltd. Camera optical lens
US11333845B2 (en) 2018-03-02 2022-05-17 Corephotonics Ltd. Spacer design for mitigating stray light
CN108681050B (zh) * 2018-06-19 2019-12-03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车载摄像镜头
CN114615400A (zh) 2019-01-03 2022-06-10 核心光电有限公司 相机、双重相机及三重相机
CN116990927A (zh) 2019-02-25 2023-11-03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相机模块
CN114578518A (zh) 2019-08-21 2022-06-03 核心光电有限公司 镜头组件
CN112485883B (zh) * 2019-09-11 2022-03-29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成像镜头
US11656538B2 (en) 2019-11-25 2023-05-23 Corephotonics Ltd. Folded zoom camera module with adaptive aperture
US11689708B2 (en) 2020-01-08 2023-06-27 Corephotonics Ltd. Multi-aperture zoom digital camera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7572549A (zh) 2020-05-30 2024-02-20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获得超微距图像的系统和方法
CN114270240A (zh) 2020-07-31 2022-04-01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数字相机镜头设计
CN111736323B (zh) * 2020-08-26 2020-11-13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1736322B (zh) * 2020-08-26 2020-11-06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US11966147B2 (en) 2020-09-18 2024-04-23 Corephotonics Ltd. Pop-out zoom camera
CN111929844B (zh) * 2020-09-22 2020-12-15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2114418B (zh) * 2020-09-24 2023-08-1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透镜组
WO2022118176A1 (en) 2020-12-01 2022-06-09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CN117425062A (zh) 2021-01-25 2024-01-19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紧凑型数码相机的镜头系统
KR102610118B1 (ko) 2021-11-02 2023-12-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형 더블 폴디드 텔레 카메라
TWI797816B (zh) * 2021-11-05 2023-04-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815642B (zh) * 2022-09-05 2023-09-11 新鉅科技股份有限公司 成像透鏡組及攝像模組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2375C (ko) * 1961-07-03
JPH09211320A (ja) 1996-02-02 1997-08-15 Ricoh Co Ltd 小型の広角レンズ
JP4847172B2 (ja) 2006-03-28 2011-12-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07298572A (ja) 2006-04-27 2007-11-15 Kyocera Corp 撮像レンズ、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
CN100582856C (zh) * 2007-09-06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透镜系统
JP5073590B2 (ja) 2008-06-06 2012-1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5枚構成の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0962999B1 (ko) 2008-06-27 2010-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JP4858648B2 (ja) 2008-08-25 2012-01-18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KR101081187B1 (ko) 2008-10-20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JP5201679B2 (ja) 2008-12-25 2013-06-05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CN101819315B (zh) 2009-02-27 2014-05-07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摄像镜头、摄像装置以及便携终端
JP5095662B2 (ja) * 2009-03-31 2012-12-12 カンタツ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用撮像レンズ
JP5607398B2 (ja) * 2009-04-07 2014-10-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601857B2 (ja) * 2009-04-07 2014-10-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391806B2 (ja) 2009-04-24 2014-0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8179613B2 (en) 2009-07-08 2012-05-15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WI421557B (zh) * 2009-07-14 2014-01-0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透鏡系統
JP5523007B2 (ja) 2009-08-06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586025B1 (ko) 2009-08-11 2016-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US8520124B2 (en) * 2009-08-18 2013-08-27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02483512B (zh) 2009-09-02 2015-01-14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单焦点光学系统、摄像装置及数字设备
JP5426313B2 (ja) 2009-10-15 2014-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
KR101089881B1 (ko) 2009-11-24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1709641B1 (ko) 2009-12-21 2017-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JP2011141396A (ja) 2010-01-06 2011-07-21 Tamron Co Ltd 撮影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JP5335710B2 (ja) * 2010-01-29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1209554A (ja) * 2010-03-30 2011-10-20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TWI406027B (zh) 2010-04-08 2013-08-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用光學鏡頭
JP2011257448A (ja) 2010-06-04 2011-12-22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101218999B1 (ko) 2010-06-17 2013-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2012008164A (ja) 2010-06-22 2012-01-12 Olympus Corp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171517B1 (ko) 2010-06-24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TW201202780A (en) * 2010-07-09 2012-01-16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Five-lens image len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2008357A1 (ja) 2010-07-16 2012-01-1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1208235B1 (ko) 2010-08-23 2012-1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KR101158419B1 (ko) 2010-09-30 2012-06-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시스템
TWI435135B (zh) * 2010-10-06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透鏡系統
JP5740799B2 (ja) 2010-10-21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TWI422900B (zh) 2010-12-23 2014-01-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攝影鏡頭組
TWI429944B (zh) * 2011-01-07 2014-03-11 Largan Precision Co 光學取像鏡頭組
TWI424212B (zh) * 2011-01-20 2014-01-21 Largan Precision Co 攝影用光學鏡片組
US8976466B2 (en) * 2011-03-11 2015-03-10 Olympus Corporation Imaging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2132247A1 (ja) * 2011-03-25 2012-10-04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TWI432772B (zh) 2011-06-10 2014-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擷取透鏡組
TWI424216B (zh) * 2011-06-28 2014-01-21 Largan Precision Co 光學影像鏡組
JP5754670B2 (ja) 2011-06-29 2015-07-29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JP5652347B2 (ja) 2011-06-30 2015-01-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506329B (zh) 2011-07-28 2015-11-0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TWI457594B (zh) * 2011-08-26 2014-10-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鏡頭
JP5750698B2 (ja) 2011-09-01 2015-07-22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TWI438475B (zh) 2011-09-15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拾取鏡組
KR101301314B1 (ko) 2011-10-10 2013-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렌즈 유닛
US9442271B2 (en) 2011-10-10 2016-09-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ing lens unit
JP2013088504A (ja) * 2011-10-14 2013-05-13 Olympus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TWI561844B (en) 2011-10-14 2016-12-11 Hon Hai Prec Ind Co Ltd Lens module system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3-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440884B (zh) * 2011-11-07 2014-06-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系統
TWI437312B (zh) * 2011-12-28 2014-05-1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鏡片系統
TWI438478B (zh) * 2012-02-08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光學鏡片系統
KR101364975B1 (ko) 2012-03-19 2014-02-20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WO2013172164A1 (ja) * 2012-05-14 2013-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460463B (zh) * 2012-05-28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拾像光學鏡片系統
US8675288B2 (en) * 2012-06-12 2014-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TWI456251B (zh) 2012-06-26 2014-10-11 Largan Precision Co Ltd 單焦點光學取像系統
TWI467223B (zh) * 2012-11-20 2015-01-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拾取系統鏡頭組
CN103293638B (zh) 2013-02-06 2016-03-2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TWI468725B (zh) 2013-03-05 2015-01-1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頭
TWI476435B (zh) 2013-03-20 2015-03-1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頭系統組
CN103412396B (zh) 2013-04-12 2015-12-09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420A (ko) * 2012-12-12 2014-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7511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9135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WO2018016664A1 (ko) * 2016-07-21 2018-01-25 주식회사 오토닉스 렌즈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US10901185B2 (en) 2017-06-28 2021-01-26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1874A1 (en) 2014-04-24
US20140104704A1 (en) 2014-04-17
US9383554B2 (en) 2016-07-05
US20150309288A1 (en) 2015-10-29
KR101422910B1 (ko) 2014-07-23
US20140368929A1 (en) 2014-12-18
US20180143408A1 (en) 2018-05-24
US20130286488A1 (en) 2013-10-31
US9910249B2 (en) 2018-03-06
US8780465B2 (en)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910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101452045B1 (ko) 고해상도 촬상 광학계
KR101108802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102254879B1 (ko) 촬상 광학계
KR102575218B1 (ko) 렌즈 모듈
KR102037832B1 (ko) 렌즈 모듈
KR10080925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150002557A (ko) 고해상도 촬상 광학계
KR101892897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20150021430A (ko) 렌즈 모듈
KR101090010B1 (ko) 편심 특성을 고려한 촬상 광학계
KR102076189B1 (ko) 렌즈 모듈
KR101404198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101853161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20120094311A (ko) 모바일 카메라용 광학계
KR101525742B1 (ko) 카메라용 광학계
KR101681424B1 (ko) 렌즈 모듈
KR20130047396A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80042348A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