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948A - 흡입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948A
KR20130121948A KR20137021949A KR20137021949A KR20130121948A KR 20130121948 A KR20130121948 A KR 20130121948A KR 20137021949 A KR20137021949 A KR 20137021949A KR 20137021949 A KR20137021949 A KR 20137021949A KR 20130121948 A KR20130121948 A KR 2013012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fluid
suction
suction device
flow path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052B1 (ko
Inventor
파울 크람프
한스 라이너 헤슬러
Original Assignee
휴고 포겔상 마시네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고 포겔상 마시네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휴고 포겔상 마시네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집 탱크(2)로부터, 특히 철도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 유체를 받기 위한 혼합 유체 유입구(4), 혼합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로(14)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유체 유입구(4)는 상기 수집 탱크의 연결 포트로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혼합 유체 배출구(8)는 흡입관에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유로(14)의, 그것의 구획들에서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단면적을 감소시키기도록 되어있는, 수축 부재(1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 기지, 및 그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 결합장치{SUCTION COUPLING}
본 발명은 수집 탱크로부터, 특히 철도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 유체를 받기 위한 혼합 유체 유입구, 혼합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혼합 유체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로(flow channel)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유체 유입구는 상기 수집 탱크의 연결 포트로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혼합 유체 배출구는 흡입관에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해 혼합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 기지(suction station), 및 흡입에 의해 혼합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운송수단들, 특히 철도 운송수단들, 그러나 또한 다른 중량 화물 운송수단들 및 이동주택 또는 요트 같은 여객 운송수단들은 배설물을 모으기 위한 수집 탱크를 갖는다. 이러한 수집 탱크들은 정기적 간격으로 비워져야만 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많은 수집 탱크들은 연결부를 예를 들어 운송수단의 바깥에 가지며, 압력을 받음으로써 배설물이 탱크에서 흡입되어 나올 수 있도록 그곳에 흡입관의 연결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많은 경우들에서, 종래의 흡입 결합장치들 또는 흡입 장치들은, 제거된 배설물이 관(tube)으로부터 새어 나갈 수 없는 식으로 흡입 작동 후에 관을 폐쇄하기 위해서 관의 흡입 장치 단부에 볼 밸브를 갖는다. 그러나, 그러한 볼 밸브는 연결부와 흡입 결합장치 사이에서 결합장치 표면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설계에 의해 배열되며, 그래서 혼합 유체(예를 들면, 배설물)가 결합장치 표면과 볼 밸브 사이의 비사용 공간(dead space)에 모이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유체는 볼 밸브가 잠기고 결합장치 부재가 분리된 후에 새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흡입 결합장치들의 경우에, 유체 0.5리터 정도까지 새어 나간다. 그러한 유체(예를 들어, 배설물)의 새어나감은 악취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입 기지들의 오염을 야기하며, 또한 건강 및 물 보호를 위해 걱정스럽게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E 20 2004 019 308 U1은 흡입관이 결합장치와 보유 탱크(holding tank) 사이의 중간 영역의 높은 위치에 매달리고, 결합장치와 고가점(elevated point) 사이의 관 구획이 더 작은 지름을 구비함으로써, 유속이 상기 구획에서 더 높도록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으로는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의 잔여물들이 결합장치 구획에 뒤에 남아있고, 분리 후에 흘러나오는 것이 발견되었다.
DE 10 2007 011 210 B3은 다른 해결책을 제안한다. 비록 제안된 관 결합장치가 결합장치의 분리면에 직접적으로 배열된 폐쇄 요소를 가질지라도,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의 잔여물들이 분리 후에 연결부로부터 여전히 새어 나온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E 10 2007 011 210은 연결부에 막(membrane)을 배열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배설 잔여물들이 연결부에 남도록 상기 막은 벽을 형성함으로써 배설물이 분리 후에 연결부로부터 흘러나가는 것을 막는다. 이것은 배설물이 분리 후에 직접적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지만, 배설 잔여물들이 겨울에는 연결부에서 얼 수 있고, 그것의 결과로서 재개된 결합장치가 제공되기 불가능하거나 실질적으로 더 어렵게 된다. 또한 그러한 막은 모든 연결부마다 새로 장착되야 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그러한 새로 장착은 비용이 많이 들고, 매우 복잡하다.
철도 운송수단들을 위한 다른 해결책이 DE 43 35 945 C2에서 제안되었는데, 여기서는, 철도 운송수단의 수집 탱크 각각에 추가의 차단 밸브가 제공되고, 이것은 흡입 작동의 시작 때 사용자에 의해 그의 재량에 따라 개방되어야 하고, 흡입 작동이 완료되면 폐쇄되어야 한다. 그러면 이것은 뚝뚝 떨어짐 없이 결합장치가 제거될 수 있는지 여부의 작동자의 기술의 문제이다. 그러한 이유로, 배설물은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또한 종종 새어 나온다. 추가의 차단 밸브가 흡입 결합장치를 더 무겁고, 더 복잡하고, 더 비용 들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또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표는 그러므로 앞서 언급한 불리한 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개선된 흡입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로의 단면적을 그것의 구획들에서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감소시키도록 되어있는 수축 부재(constriction member)에 의해, 처음에 명시된 그런 종류의 흡입 장치에서 이의 목적을 달성했다. 본 발명은 채움 레벨이 떨어지면, 공기가 유로를 통해서 흐르고 상기 유로에서 혼합 유체를 비우도록 조종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했다. 수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수축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더 높은 유속은 따라서 수축된 구획에서 달성되고, 이러한 결과로서 유로의 영역의 배설 잔여물들 또는 혼합 유체는 흡입에 의해 제거된다. 느린 흐름이 지배적인 연결 파이프로부터 더 빠른 흐름이 지배적인 유로로의 과도기에서, 흐름의 국부적인 가속이 또한 난류를 야기하고, 이것은 혼합 유체의 점성 구성요소들 또는 심지어 고체가 운반되고 흡입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흐름의 효과는 유로에만 국한되지 않고, 또한, 적어도 구획들에서, 결합된 연결부에도 있고, 후자 또한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수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로의 단면적을 그것의 구획들에서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기에 적합하다. 유로가 흡입 장치의 하우징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흡입 장치를 운송수단 상의 연결부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결합 요소가 혼합 유체 유입구에 배열되는 것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캠-및-홈 결합(cam-and-groove coupling)("캠록"("Kamlock" 또는 "Camlock")) 형태가 바람직하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부는 유로의, 적어도 그것의 구획들의 벽을 형성한다. 제1 대안으로, 유로는, 적어도 그것의 구획들은 리세스(recess), 채널(channel), 또는 보어(bore)로서 구현된다. 다른 대안으로는, 유로가 흡입 장치의 하우징 벽과 수축 부재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대안에 따르면, 수축 부재가 예를 들어 흡입 장치의 하우징으로 삽입가능한 분리된 물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유체 유입구에 연결가능한 연결부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이 하우징에 형성된다. 이러한 채널은 혼합 유체 유입구로부터 혼합 유체 배출구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수축 부재는 유로의, 적어도 그것의 구획들의 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채널로 삽입가능하거나 삽입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는 유입구 및/또는 유출구에 대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유로의 단면적은 제1 위치보다 제2 위치에서 더 작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흡입 작동 동안에, 유로의 지름을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체적 흐름이 달성되도록, 흡입 작동은 처음에는 큰 유로 단면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작동의 마지막 무렵, 수축 부재는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이러한 결과로서 흐름의 단면적이 수축되고 위에서 기술된 효과들, 즉 유체의 가속 및 어느 유체 잔여물들의 흡입에 의한 제거가 더 강화된 형태로 달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위치의 단면적은 제1 위치의 단면적의 크기의 절반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위치의 단면적에 대한 제2 위치의 단면적의 비율은 다음 중 하나이다: 0.4, 0.35, 0.3, 0.25, 0.2, 0.15, 0.1, 0.05.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면적은 제2 위치에서 유로의 흐름의 방향에 따라 줄어든다. 하나의 대안에서, 수축 부재는 셔터 형태이다. 그러한 셔터는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다른 대안에서, 흡입 장치는 핀치 밸브(pinch valve)처럼 설계된 구획을 가지며, 여기서 유로가 구현된다. 핀치 밸브의 내벽은 수축 부재를 형성한다. 핀치 밸브를 압착함으로써,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는 수축 부재가 유로를 폐쇄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추가의 차단 밸브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이러한 결과로서 흡입 장치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단순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무게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감소된다. 대안적으로, 수축 부재를 제3 위치로 이동시켜 유로를 폐쇄하도록 되어있는 폐쇄 요소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는, 수축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입구 및 배출구와 유체 연통(fluidic communication)을 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그러한 리세스는 수축 부재의 관통 채널 또는 관통 구멍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정의된다. 제2 위치에서,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구획들 또는 전체가 수축 부재에 의해 정의되고, 반면에 제3 위치에서 수축 부재에 의해 완전히 밀봉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수축 부재의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홈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홈으로서 원주 표면 상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은, 수축 부재에 이러한 리세스를 형성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식이다. 대안적으로는, 수축 부재는 이것의 원주 표면 상에 구획을 가지는데, 이것은 수축된 유로, 특히 슬롯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하우징 벽과 맞추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리세스는 수축 부재의 평평한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리세스는 여기서, 예를 들어 수축 부재와 하우징의 벽 사이의 유로로서 슬롯을 노출 또는 개봉(release)시키는 수축 부재의 어느 모양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는 피스톤 형태이다. 수축 부재가 이동가능한 피스톤으로서 구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는 흡입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공동(hollow space)에서 이것의 피스톤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여기서 리세스 또는 그러한 리세스가 피스톤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리세스는,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로의, 적어도 그것의 구획들의 벽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는 원통형 모양이고, 이것이 제1 위치, 제2 위치 및/또는 제3 위치들 사이에서 이것의 원통형 축에 대해 돌려짐으로써 및/또는 밀어져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취급 수단(handling means)을 포함한다. 즉, 수축 부재는 이것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것을 돌림으로써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피스톤은 이것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것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피스톤은 이것을 돌림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것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피스톤은 이것을 돌림으로써 모든 세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수축 부재를 원통형 피스톤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두 자유도들(돌림, 미끄러뜨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는 쉽게 취급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취급 수단은 예를 들어 그립(grips), 슬라이더(sliders), 레버(levers), 푸시로드(pushrods), 케이블 풀(cable pulls), 피니언(pinions), 및 기어 랙(gear racks),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는, 유로 내로 개방되고 공기를 상기 유로 내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개봉되거나 봉쇄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다. 유로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또한 유로의 난류의 형성을 강화하고, 이러한 결과로서 난류가 훨씬 더 생기고, 그럼으로써 유로 및 이런 이유로 흡입 장치는 배설 잔여물들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자유로워진다. 공기 유입구가 바람직하게는 흡입 작동 동안에 폐쇄되어 있고, 흡입 작동의 마지막 무렵에 열릴 수 있도록 공기는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는 하우징의 개구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플랩(flap), 슬라이더(slider), 플러그(plug), 또는 유사한 것에 의해 봉쇄 또는 개봉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으로, 공기 유입구는 플랩이 유로를 향하여 또는 유로 안으로 피봇(pivoted)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피봇가능한 플랩에 의해 개봉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공기 유입구를 개봉하는 것은 유로의 수축과 결부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 장치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시 공기 유입구의 자동 개봉을 제공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러한 사건은 예를 들어 수집 탱크의 특정 채움 레벨 또는 흡입 장치의 특정 압력이 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공기 유입구는 공기의 체적 흐름이 설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봉 및 봉쇄될 수 있다. 그러면 공기 유입구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유체 및/또는 추가의 배설물이 접해있는 수집 탱크로부터 흡입되지 않았을 때, 흡입 장치 및/또는 접해있는 연결부가 유체 잔여물들로부터 자유로운 식으로, 수치화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는 수축 부재에서 리세스로서 형성되고 수축 부재의 공기 통로에 연결되며, 이러한 공기 통로는 개봉 또는 봉쇄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구는 혼합 유체 유입구 및 혼합 유체 배출구에 대하여 수축 부재와 함께 그에 맞춰 이동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의 위치선정에 기인하여 공기는 더 목표된 방식으로 유로에 도입될 수 있고, 잔여 유체가 결과로서 흡입 장치로부터 더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유로를 정의하는 수축 부재의 리세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공기가 유로로 더 잘 인도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대안에서, 공기 통로는 전술한 취급 수단에 의해 개봉 또는 봉쇄될 수 있다. 특히 운송수단의 수집 탱크가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흡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흡입 작동이 멈추는 상황에서, 그러한 경우 유로를 통해 운반되는 것은 혼합 유체가 여전히 주로 되고 공기는 없거나 단지 불충분한 양만 있으므로, 개봉 및 봉쇄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를 제공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는 운송수단의 수집 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는 경우에 또한 유리하다. 비록 혼합 유체의 잔여물들이 수집 탱크에 있는 공기를 이용하여 여전히 성공적으로 제거될지라도, 심지어 공기 유입구가 제공되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공기 유입구를 제공하는 것은,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의 잔여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의 공기가 제공되기 때문에, 추가의 개선점을 구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는, 수축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때 공기 유입구와 유체 연통을 하는 리세스를 갖는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의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만 공기 유입구와 유체 연통을 한다. 이것은 수축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유입구가 폐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축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유로의 단면적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최대치이다. 혼합 유체 배출구에 가해진 진공은 그러면 수집 탱크를 비우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수축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다면, 공기 유입구는 개봉된다. 추가의 공기가 유로로 흐를 수 있고, 흐름 가속 및/또는 난류를 야기함으로써, 잔여 유체가 운반되고 그러므로 흡입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관통 보어(through bore)로서 형성된다. 하나의 대안에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로로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체적이 조정가능하도록 다른 단면들을 갖는 관통 보어들로서의, 복수의 리세스를 갖는다. 수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축 부재에 형성되어있는 공기 통로는 각각의 리세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리세스는 가변 너비의 세장형(elongate) 구멍의 형태이고, 공기 통로는 수축 부재에서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한다. 이것은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로로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체적이, 세장형 구멍에 대해 그에 맞춰 수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봉 또는 봉쇄하기 위해 폐쇄체(closing body)를 가지며, 이것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폐쇄체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로 구현된다. 이것은 공기 유입구의 개봉 또는 봉쇄를 배열하는 특히 단순한 방법이다. 그러한 슬라이더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체적이 조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중간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발전예에서, 폐쇄체는 장치의 하우징에 정지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은 가동부의 수를 감소시킨다. 수축 부재가 폐쇄체 및 하우징 양쪽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폐쇄체의 외부 치수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정지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대칭축에 대해, 특히 회전가능한, 이동가능한 폐쇄체를 포함한다.
폐쇄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폐쇄체가 수축 부재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폐쇄체를 외부 영향들에 대해 더 잘 보호한다. 폐쇄체는 밀봉 효과를 가지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폐쇄체가 외부 영향들에 가능한한 적게 노출될 때 장치의 작동성에 있어서 유리하다. 폐쇄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에서 전체가 일체화 및/또는 배치된다.
폐쇄체의 세로축이 수축 부재의 세로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폐쇄체는 수축 부재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및/또는 수축 부재는 폐쇄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축 부재의 채널이 수축 부재 안에 병렬적으로, 특히 수축 부재에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폐쇄체는 또한 채널과 동축이고,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채널을 폐쇄하는데 적합하며, 따라서 공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여기에 폐쇄체가 지지 부재(holding member)를 통해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고, 여기에 지지 부재가 수축 부재의 리세스와 함께 상기 수축 부재에 대해 슬롯 가이드(slotted guide)를 형성한다. 슬롯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가 하우징 및 폐쇄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수축 부재에 대한 슬롯 가이드는 또한, 위에 기술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폐쇄체가 없고 지지 부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이상의 나사, 핀, 리브(ribs), 리벳, 등등에 의해 폐쇄체를 하우징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폐쇄체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슬롯 가이드로 역할하기 위해 리세스가 지지 부재와 연동하는 방식으로, 지지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의 슬롯 모양 리세스를 통하여 통과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수축 부재는 유체 유입구에 대하여, 유체 배출구에 대하여, 및 폐쇄체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하우징에 대하여 예정된 방식으로 항상 이동가능하다. 이것은 폐쇄체는 언제나 수축 부재의 위치에 대하여 예정된, 정의된 위치를 채택함을 의미한다. 장치의 취급은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단순화된다.
수축 부재 및/또는 폐쇄체가 흡입 장치를 액밀하게(fluid-tightly) 및 바람직하게는 주변에 대하여 기밀(pressure-tightly)하게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러한 밀봉 수단은 예를 들어 오링(O-rings), 엑스링(X-rings)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갖거나 또는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퀵핏(quick-fit) 결합에 의해 혼합 유체 유입구가 수집 탱크의 연결 포트로 연결가능한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흡입 장치는 수집 탱크의 연결 포트의 제2 결합 부분과 액밀하게 및 바람직하게는 기밀하게 체결되는 제1 결합 부분을 갖는다. 그러한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캠-및-홈 결합으로 구현되고, 제1 결합 부분은 암형 부분(female portion)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목표는, 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현된 흡입 장치에 의해, 수집 탱크, 특히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처음에 특정된 것 같은 흡입 기지에서 달성되며, 상기 흡입 기지는, 혼합 유체를 위한 보유 탱크, 보유 탱크로 혼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 흡입관에서 감압(underpressure)을 생성하는데 및 흡입관을 통해서 보유 탱크로 혼합 유체를 운반하도록 되어있는 컨베이어 유닛(conveyor unit), 및 수집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흡입관으로 연결된 흡입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흡입 기지들은 예를 들어 철도 운송수단들을 위한 철도 휴게소들, 또는 요트 항구들 및 조선소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수집 탱크, 특히 하수 탱크를 갖는 운송 수단은 그러한 흡입 기지로 운전될 수 있고, 수집 탱크는 흡입 기지의 흡입 장치에 의해 비워질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펌프(또는 로터리 로브 펌프(rotary lobe pump))로 구현된다. 로터리 로브 펌프는 진공 펌프로서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감압을 생산하도록 설계된 다른 종래의 펌프 장치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기지에 의해 달성된 장점들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에 관한 위의 관찰들에 대해 참고 문헌이 만들어진다.
흡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흡입 장치에 의해 수집 탱크로부터, 특히 철도 운송수단들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해 처음에 특정된 종류의 방법을 적용할 때, 본 발명의 목표는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라 다음 단계들에 의해 달성된다: 흡입 장치를 수집 탱크의 연결 포트에 결합하는 단계; 혼합 유체를 감압에 의해 수집 탱크 밖으로 흡입하는 단계; 유로의, 특히 그것의 구획들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른 단면적을 흡입 장치의 수축 부재에 의해 감소시키는 단계; 및 흡입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은 유로를 통한 공기 흐름의 국부적인 가속을 야기하며, 이러한 결과로서 유로의 혼합 유체 잔여물들은 운반되고 제거된다(흡수된다(slurped)). 유속의 국부적인 가속은 또한 소용돌이를 야기하며, 이러한 결과로서 심지어 접착성 유체 고형물들이 제거될 수 있다.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또한 "흡수(slurping)"으로 불린다. 특히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또는 흡수는, 수집 탱크의 통기 밸브(ventilation valve)를 통해 흐를 수 있는 공기가 흡입되어 나오도록, 수집 탱크가 비워졌을 때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워졌을"이란 표현은 본 발명에서 규정된 의미로, 수집 탱크 안의 채움 레벨이 어느 정도 떨어져서, 수집 탱크로부터 흡입되어 나갈, 주로 공기로만, 및 바람직하게는 공기만 있는 상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유체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흡입 장치는 특히 결합의 영역의 유체 잔여물들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또는 "흡수"는 바람직하게는 혼합 유체를 흡입해 내는 단계보다 시간이 덜 걸린다. 감소된 단면적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2 내지 30초 정도 유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후에 흡입 장치는 분리된다. 상기 2 내지 30초 동안에, 분리 후에 뚝뚝 떨어짐이 발생함 없이 흡입 장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많은 잔여 유체를 흡입 장치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의 새어나옴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방법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흡입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 수축 부재에 의해 유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흡입 장치는 유체 잔여물들의 어떠한 새어나옴에 대해 훨씬 더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분리 후에 흡입 장치를 흔드는 것 역시 어떠한 혼합 물체가 새어나가도록 야기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의 이러한 폐쇄는 바람직하게는 수축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방법을 수행하기에 실질적으로 더 쉽게 만든다. 수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세 다른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다. 수축 부재는 흡입 작동 동안 제1 위치로 이동되고 고정되어야 하며, 반면에 수축 부재는 단면적이 감소될 때 제2 위치로 이동되어야하고, 유로를 폐쇄하기 위해 제3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수축 부재를 돌림 및/또는 미끄러뜨림을 수반한다. 돌림 및 미끄러뜨림은 방법의 사용자가 신뢰 있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순 운동들이다. 대안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수축 부재를 피봇팅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은 수축 부재를 미끄러뜨림을 수반하고, 유로를 폐쇄하는 것은 수축 부재를 돌리는 것을 수반한다. 방법을 수행하는 것은 이러한 방식으로 더 단순화된다. 예를 들어,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축 부재는 정지 부재에 대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유로를 폐쇄하기 위해서, 수축 부재는 회전축에 대해 돌려져야 하며, 이것은 다시, 정지 부재에까지 돌리는 것을 수반한다. 이것은 방법을 사용자가 수행하기에 쉽게 만들고, 실수에 둔감하게 만든다. 특히, 수축 부재가 취급 수단을 포함한다면, 단지 한 손을 이용해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방법은 공기 유입구를 봉쇄 및 개봉함으로써 유로로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흐름의 추가의 가속 및 더 강한 난류를 야기하고, 그 결과로 잔여 유체, 또한 접착성 잔여 유체는 유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바람직하게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동안에 또는 동시에 개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제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파이프 연결기를 통해 수집 탱크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제1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제1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제2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제2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제2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d는 제2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다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제3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3 위치의 수축 부재를 갖는 흡입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파이프 연결기를 갖는 흡입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파이프 연결기를 갖는 흡입 장치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수축 부재의 제1 대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수축 부재의 제2 대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수축 부재의 제3 대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수축 부재의 제4 대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위치의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2 위치의, 도 7의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3 위치의, 도 7 및 도 8의 흡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축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수축 부재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및
도 10c는 도 10a 및 도 10b의 수축 부재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르면, 흡입 장치(1)는, 수집 탱크(2)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혼합 유체 유입구(4)를 갖는다. 혼합 유체 유입구(4)는, 결합장치(5)에 의해 파이프 연결기(6)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 연결기(6)는, 흡입관(7)을 통해서 수집 탱크(2)에 연결되어 있다. 수집 탱크(2)는 또한 통기 밸브(3)를 갖는다. 결합 장치(5)는 바람직하게는 능동-체결 캠-및-홈 결합(positive-engagement cam-and-groove coupling)으로 구현되며, 결합장치(5)의 수형 부분(male part)은 파이프 연결기(6)에 형성되고, 결합장치(5)의 암형 부분(female part)은 혼합 유체 유입구(4)에 형성된다. 하우징(12) 내부에 이동식으로 배치된 수축 부재(10)에 의해, 및 흡입 장치(1)의 하우징(12)에 의해, 정의되는 유로(14)가, 혼합 유체 유입구(4)와 혼합 유체 배출구(8) 사이에서 연장된다. 혼합 유체 배출구(8)는, 바람직하게는 보유 탱크로 이어지고 진공 펌프(그 중 어떠한 것도 도시되지 않았다)에 연결되는 관(도시되지 않았다)에 연결될 수 있는 흡입 파이프(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축 부재(10)는, 피스톤으로서 구현되고, 이것의 피스톤 축(11)에 동축으로(coaxially) 및 하우징(12)에서 병진적으로(translationally) 이동시킬 수 있게 배열된다. 더 자세히는, 수축 부재(10)는 혼합 유체 유입구(4)의 중심축에 동축으로 배열된다. 혼합 유체 배출구(8)는 수축 부재(1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유로(14)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18)는 혼합 유체 유입구(4)에 대면하는 수축 부재(10)의 한쪽 면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 유입구(18)는 수축 부재(10)에 형성된 통로 유입구(19)에 공기 통로(20)를 통해 연결된다. 혼합 유체 유입구(4)로부터 대면하지 않는 면에서, 수축 부재는, 하우징(12)에 대해, 또한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혼합 유체 유입구(4)에 대해 수축 부재(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취급 수단(24)을 또한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취급 수단(24)은 자루 부재(28, handle member)에 연결된 푸시로드(26)를 포함한다. 외측 옆면에, 수축 부재(10)는 흡수 홈(22, slurp groove) 형태의 리세스(22)를 또한 갖는다.
도 2a 내지 도 4b는 흡입 작동 동안에 흡입 장치(1)의 상이한 작동 모드들을 도시한다. "혼합 유체" 및 "배설물" 표현들은 동의어로 이용된다.
도 2a에 따르면, 피스톤(10)은 제1 위치에 있다. 이러한 제1 위치에서, 유로(14)는 이것의 최대 단면적을 갖고, 그러므로 이것의 최대 처리율이 가능하게되고, 그래서 배설물(30)의 흐름이 수집 탱크 또는 하수탱크(2)로부터 보유 탱크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치에서, 공기 통로(20)의 유입구(19)는 하우징(12)에 의해 폐쇄되고, 그래서 공기 유입구(18)가 봉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에서, 유로로 공기가 들어오지 않는다. 피스톤(10)은, 흡수 홈(22)이 유체 배출구(8)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2)에 대해 환형으로 배치된다. 피스톤(10)의 이러한 제1 위치는 "흡입 위치"로 또한 불린다.
도 2b의 시점 A는 도 2a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흡입 장치(1)를 도시한다. 혼합 유체 유입구(4)와 파이프 연결기(6) 사이의 결합장치(5)는 결합된 상태이다. 공기 유입구(18)는, 피스톤(10)의 중간축(11) 주변에 형성되고 피스톤(10)의 단부면(end face)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홈(22)은 실질적으로 피스톤(10)의 외측 원통형 표면 상에 사분원호 모양(quadrant-shaped)의 단면적을 갖는 리세스의 형태이다. 이것은 상기 외측 원통형 표면과, 대응하는 하우징(12)의 내측 표면 사이의 틈(divergence)에 의해 형성된다. 흡수 홈(22)은 흡입 파이프(16)에 인접하여, 및 혼합 유체 배출구(8, 도 2a에 도시되어있다)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흡수 홈은 하우징(12) 상에 대안적으로 형성된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에서, 피스톤(10)은 하우징(12),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혼합 유체 유입구(4)에 대하여 제2 위치에 배열된다. 이러한 제2 위치는 피스톤(10)의 "흡수 위치"로 또한 불린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유로(14)는, 피스톤(10)이 혼합 유체 유입구(4)의 방향으로 병진적으로 이동되므로 매우 수축된다. 이러한 모드에서, 흡수 홈(22)은 유로(14)에 대해 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유로(14)는 피스톤의 외측 원통형 표면과 하우징의 내측 표면 사이의 틈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의된다. 유로(14)의 강한 수축은 흐름의 가속을 야기하고, 이러한 결과로서 결합장치(5)에 근접한, 및/또는 흡수 장치(1)에 근접한 파이프 연결기(6)의, 또는 흡수 장치(1)의 어떠한 잔여 유체(38)도 운반되고 제거된다(흡수된다). 이러한 (흡수) 작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유로(14)로 추가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유리하다. 피스톤(10)이 이러한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2)의 개구부(13) 및 통로 유입구(19)는 서로 합동(congruent)이고, 그래서 공기 유입구(18)는 하우징 개구부(13)와 공기 연통(air communication)을 하며 공기(40)의 흐름이 유로(14)로 들어온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공기 흡수)은 난류 지역(36)에서 더 강한 난류를 야기하고, 이러한 결과로서 잔여 유체(38)는 파이프 연결기(6), 결합장치(5), 혼합 유체 유입구(4), 및 피스톤(10)의 단부면 사이의 천이 영역(transitional region)으로부터, 또한 흡입 장치(1)로부터 더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시점 A(도 3b)의 혼합 유체 유입구(4) 쪽으로의 정면도는 제1 위치의 정면 시점 A(도 2b)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3a 및 도 3b는 흡수 위치의 흡입 장치(1)의 작동을 도시하며, 여기서 비워질 수집 탱크(2)는 완전히 비워지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에, 단지 배설물만 파이프 연결기(6)의 방향으로부터 유로(14)를 향하여 흐르고, 반면에 모든 흡수 공기는 공기 통로(20)를 통해서 공급된다. 대조적으로, 도 3c 및 도 3d는 "흡수 위치"에 있는 피스톤(10)을 갖는 흡입 장치(1)를 도시하지만, 도 3c 및 도 3d에서 비워질 수집 탱크(2)는 확실히 비워졌다. 이것은 추가의 흡수 공기(41)와 마찬가지로 유체 잔여물(38) 또한 파이프 연결기(6)의 방향으로부터 흡입관(7)을 통해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 공기(41)는 수집 탱크(2)로 통기 밸브(3)를 통해 지나간다. 흡수 공기 흐름들(40, 41)을 가리키는 파선들의 두께들은, 또한 이러한 두 흡수 공기 흐름들(40, 41) 사이의 체적 유량의 비율을 가리킨다. 수집 탱크(2)가 비워졌다면, 흡수 공기의 실질적으로 더 큰 부분이 유로(14)로 파이프 연결기(6) 및 흡입관(7)을 통해 지나간다. 그러나, 흡수 공기 흐름(40)이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인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것은 난류 지역(36)에서 더 큰 난류를 유도할 것이기 때문이고, 이러한 결과로서 유체 잔여물(38)은 효율적으로 유로(14)를 통해 제거되고 흡수되게 된다. 피스톤(10)의 단부면 상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8) 및 피스톤(10)에 형성된 공기 통로(20) 때문에, 공기 유입구(18)는 피스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체 유입구(4)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흡수 공기(40)는 유로(14)의 흐름의 자연적인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며, 즉 난류 지역(36)에 더 큰 난류를 야기한다. 이러한 난류 때문에, 파이프 연결기(6)의 내벽에 또는 하우징의 내벽에 들러붙은 혼합 유체의 고형 성분들이 헐거워지고 흡수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시점 A(도 3d)는 파이프 연결기(6)의 방향으로부터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3b의 시점 A와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b에서, 흡입 장치(1)의 피스톤(10)은 "폐쇄 위치"로 또한 불리는 제3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피스톤(10)은 이것의 피스톤 축(11)에 대해서 대략 180° 돌려진다. 이것은 흡수 홈(22)이 혼합 유체 배출구(8)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되고, 피스톤(10)이 그것의 외측 표면으로 혼합 유체 배출구(8)를 폐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결과로는, 통로 유입구(19)가 하우징(12)의 개구부(13)와 공기 연통을 하지 않고, 그래서 공기 또는 흡수 공기가 유로로 또는 장치(1)로 통로(20)를 통해 흐를 수 없다. 이러한 제3 위치에서, 흡수 공기도 혼합 유체도 파이프 연결기(6)의 방향으로부터 흐를 수 없다. 피스톤(10)의 외측 표면에 의해 폐쇄된 혼합 유체 배출구(8) 때문에, 흡입 파이프(16)에 쌓인 유체 잔여물(44)이 흡입 파이프(16)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이 또한 불가능하다. 하우징(12)에 대한 피스톤(10)의 병진 위치(translational position)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피스톤(10)의 단부면은 혼합 유체 유입구(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흡입 장치(1)의 비사용 공간(42)이 최소화되고,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 잔여물이, 파이프 연결기(6)가 흡입 장치(1)로부터 분리된 후에 새어나가지 않는다. 추가의 장점들이 피스톤(10)으로 구현된 수축 부재(10)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피스톤(10)을 이동시킴으로써, 벽에 위치한 어떠한 혼합 유체도 혼합 유체 유입구(4)를 향하여 긁어 떨어지게 되고, 그런 후에 그것은 여기서 흡수된다.
정면 시점 A(도 4b)는 유체 유입구(4) 쪽으로의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피스톤(10)은 "폐쇄 위치"에 있고 결합장치(5)는 풀려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보유 탱크(도시되지 않았다)로 인도하는, 흡입 파이프(16) 및 그것으로부터 하류의 파이프가 폐쇄되고, 유체 잔여물도 어떠한 악취나는 증기 또는 유사한 것도 흡입 기지로부터 새어나갈 수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의 작동의 방식은 도 2a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이제 기술될 수 있다.
휴식 상태에서, 흡입 장치(1)는 파이프 연결기(6)로부터 분리된다. 흡입 작동이 수행될 수 있으려면, 따라서 흡입 장치(1)를 파이프 연결기(6)에 결합하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이것은 결합장치(5)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되며, 상기 결합장치(5)는 바람직하게는 캠-및-홈 결합의 형태이다. 또한, 피스톤(10)은 흡입 작동의 시작 전에 제3 위치에 배치된다. 피스톤(10)이 상기 위치에 있을 때, 혼합 유체 배출구(8)는 폐쇄되고, 어떠한 혼합 유체도 흡입 장치를 취급함에 의해, 예를 들어 그것을 들어올림, 흔들거림, 또는 마구 흔듦에 의해 흡입 파이프(16)에서 쏟아져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 피스톤(10)은 가이드 홈(34, guide groove)을 가지며, 가이드 홈(34)은 가이드 핀(32, guide pin)과 협동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것은 도면들에 단지 암시되어 있고 이러한 것은 피스톤이 특정 경로를 따라 인도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2)에 배치되어 있다. 본 도면들에서, 가이드 홈(34)은 흡수 홈의 반대 편에, 즉 그것으로부터 180°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홈은 대안적으로는 흡수 홈에 대해 다른 각도로, 예를 들어 90° 및 175° 사이 범위의 각도로 배열된다. 가이드 홈(34)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10)이,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또는 역으로 단지 회전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및 역으로 단지 병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흡입 장치(1)에 의해 흡입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처음에 제3 위치에 있는 피스톤(10)이 제1 위치로 옮겨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취급 수단(24)을 이용하여 작동자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피스톤을 제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져오기 위해, 먼저 피스톤(10)을 그것의 피스톤 축(11)에 대해 돌리고, 그런 후에 피스톤(10)을 제1 위치로 병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자루 부재(28)를 잡아당기는 것이 필요하다. 감압이 이제 흡입 파이프(16)에 적용되면, 흡입 작동이 시작되고 혼합 유체(30)의 흐름이 유로(14)를 통해 흐른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10) 형태의 수축 부재는, 예를 들어 몇 도만큼 디텐트(detent) 위치로 회전적으로, 제3 위치에서 및/또는 제2 위치에서 및/또는 제1 위치에서 미미한 양만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텐트 기능은 추가의 홈 및 가이드 핀에 의해 또는 그에 맞춰 가이드 홈(34)을 설계함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디텐트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도달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디텐트 위치로부터 제어되지 않은 이탈이 되기 어려워진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텐트 위치에서, 피스톤(10)으로 구현된 수축 부재를 잠그기 위해서 잠금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작동이 방해되는 사건발생 때 또는 작동의 마지막 무렵에, 어떠한 유체 잔여물로부터도 흡입 장치(1)가 깨끗해지도록 이용되는, 제2 위치로, 즉 "폐쇄 위치"로 피스톤(10)이 옮겨져야만 한다. 상기 위치에서, 유로(14)는 수축되고, 흡수 공기는 공기 통로(20)를 통해 또는 수집 탱크(2)의 통기 밸브(30)를 통해 어느 쪽으로든 흐를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배설물 또는 혼합 유체보다 더 낮은 점성을 갖는 흡수 공기 때문에, 피스톤(10)을 폐쇄 위치로 가져오는 것은 배설물(30)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방해되는 것을 야기하고, 흡수 공기(40, 41)는 난류(36)를 발생시키며, 그러한 결과로서 유체 잔여물(38)은 흡수될 수 있다. 작동에서, 모든 잔여물들이 흡수될 때까지 이러한 위치에서 기다리는 것이 필요하며, 프로세스는 대개 10초 내지 30초 정도 걸린다. 수집 탱크가 비워졌을 때, 피스톤의 단부면으로 하우징(12)으로부터 어떠한 유체 잔여물도 긁어내기 위해서 및 더 강한 난류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피스톤(10)은 푸시로드(26) 및 자루 부재(28)에 의해 흡수 동안에 앞뒤로 또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피스톤(10)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밀봉 요소들을 갖는다. 각각의 시간이 기다려지고 모든 유체 잔여물들이 흡입 장치(1)로부터 흡수되면, 피스톤(10)은 그것을 돌림으로써 "폐쇄 위치"로 옮겨져야 하고, 이러한 결과로서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통로 유입구(19)가 폐쇄된다. 그런 후에, 흡수 장치(1)는 파이프 연결기(6)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혼합 유체 배출구(8)의 방향으로부터 흡입 장치(1) 쪽으로의 평면도(도 5a)에 따르면, 중심축(17)을 갖는 흡입 파이프(16)는, 흡입 장치(1)의 제1 실시예에서 장치(1) 및 피스톤(10, 도 5a에 도시되지 않았다)의 세로축(11)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흡입 파이프(16)는 실질적으로 사분원의 모양으로, 바람직하게는 75° 및 105° 사이의 범위(도 1 내지 도 4)로 구부러져 있고, 원통형 단면을 갖는다. 흡입 파이프(16)는 관으로 제2 단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밀하게, 혼합 유체 배출구(8)로 제1 단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6)는 고정 수단들(50a, 50b, 50c, 50d)에 의해 흡입 장치(1)의 하우징(12)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6)는 상기 고정 수단들(50a, 50b, 50c, 50d)에 의해 가역적으로 및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들(50a, 50b, 50c, 50d)은, 흡입 파이프(16)가 혼합 유체 배출구(8)에 대해서 복수의 다른 위치들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한 적합하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복수의 위치들은 무한하게 변형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예정된 디텐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여기서 흡입 파이프(16)가 각각의 방향으로 약 90°만큼 무한한 변형으로 회전적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도 5b에 따르면, 흡입 파이프(16)는 흡입 파이프(16)의 중심축(17)이 흡입 장치(1)의 세로 축 및 피스톤 축(1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배열된다. 이것은 작동자가 언제나 흡입 파이프(16)를, 보유 탱크로 유도하는 관의 어떠한 심한 굴곡 또는 비틀림(kinking)이 방지되는 식으로, 및 흡입 장치(1)가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식으로,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따르면, 흡입 장치(1)는 혼합 유체 유입구(4)에 인접한 결합 장치(5)를 가지며, 상기 결합 장치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암형 부분을 수형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캠-및-홈 결합장치로 구현된다. 결합 장치(5)의 암형 부분은, 파이프 연결기(6) 상의 결합장치의 수형 부분에 능동 체결에 의해 결합장치(5)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두 개의 레버 암(46 및 48, lever arms)을 갖는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흡수 홈(122, 222, 322, 422)을 갖는 원통형 피스톤(110, 210, 310, 410)의 네 개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 피스톤(110) 상의 흡수 홈(122)은 슬롯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경우에, 피스톤(110)은 부분적으로만 원통 형태로 구현된다. 이것은 타원형 단면의 제2 절반부(112) 및 반원형 단면의 제1 절반부(111)를 갖는다. 하우징의 내부 윤곽(100)은 원통형 모양이다. 슬롯(122)은 하우징의 내벽(100)과 피스톤(110) 사이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흡수 홈(122)을 형성한다.
제2 실시예(도 6b)에 따르면, 피스톤(21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모양이고, 하우징의 내부 윤곽(200)은 비슷하게 원통형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홈(222)은 반원 또는 반원통형 홈(222) 형태이다.
제3 실시예(도 6c)에 따르면, 피스톤(31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모양이고, 이것의 중심축에 평행한 평면의 납작한 부분을 한쪽 면 상에 갖는다. 하우징의 내부 윤곽(300)은 원통형 모양이다. 즉, 흡수 홈(322)은 두 모양들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된다.
제4 실시예(도 6d)에 따르면, 피스톤(41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모양이고, 사각형 홈(422)을 갖는다. 모든 네 개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18, 218, 318, 418)는 중심축과 동축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8)는 흡수 홈(122, 222, 322, 422)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8)는 흡수 홈(122, 222, 322, 422)으로부터 이격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기 유입구가 피스톤(10) 상에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0c는 추가의 실시예에서 피스톤(10) 및 흡입 장치(1)를 도시한다.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 및/또는 동일한 부분들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어디든지 유사 또는 동일한 참조 기호들로 표시되어 있다. 참조는, 앞서 말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대해 만들어진 전체적인 관찰로 만들어졌다.
흡입 장치(1, 도 7 내지 도 9)는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혼합 유체 유입구(4)를 갖는다. 결합장치(5)는 혼합 유체 유입구(4)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결합장치(5)는 흡입 장치(1)의 하우징(12)에 고정된다. 수축체를 형성하는 실질적 원통형 피스톤(10)은 하우징(1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10)은 부리 또는 삽 같이 경사지게 가늘어지는 전면부(10a)를 갖는다. 경사진 가장자리는, 혼합 유체가 수집 탱크(2)로부터 흡입에 의해 제거될 때 혼합 유체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피스톤(10)의 후방부(10b)에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원통형 모양인 리세스(62)가 있다. 폐쇄체(60)는 리세스(62) 안에 배치된다. 폐쇄체(60)는, 폐쇄 위치일 때 피스톤(10)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8)를 폐쇄시키는 지름을 갖는, 및 혼합 유체 유입구(4) 방향으로 향하는, 플러그 같은 돌출부(64)를 갖는다. 폐쇄체(60)는 피스톤(10)의 세로축(11)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나사(68)에 의해, 폐쇄체(60)는 피스톤(10)의 리세스(62) 안에서 하우징(12)에 대해 정지상태로 또한 고정된다. 혼합 유체 유입구(4)로부터 대면하지 않는 피스톤(10)의 한쪽 면에서, 리세스(62)는 자루 부재(28)가 부착된 판(74, plate)에 의해 폐쇄된다. 즉, 폐쇄체(60)는, 흡입 장치(1)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피스톤(10)에 실질적으로 일체화된다. 판(74)은 피스톤(10)의 보어들(73)에 고정된다(도 10a 내지 도 10c을 또한 참조).
그것의 후방부(10b)에, 피스톤은 계속적이고, 슬롯 모양의 리세스(80, 특히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를 갖는다. 폐쇄체(60)를 하우징(12)에 고정시키고,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나사(68)는 상기 리세스(80)를 통해 연장된다. 나사(68)와 함께, 리세스(80)는 피스톤(10)을 위한 슬롯 가이드로서 역할을 한다. 세 지점에서, 슬롯 모양의 리세스(80)는 디텐트 위치들로서 구실을 하는 압흔들(81, 82, 83)을 갖는다(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 나사(68)는 각각의 위치에 도달될 때 이러한 압흔들(81, 82, 83, indentations)에 걸린다. 그러한 장소로의 잠금을 지원하기 위해, 스프링(70)이, 판(74) 상의 지지부(72)와 폐쇄체(60) 사이의, 폐쇄체(60)의 후방부(66)의 리세스에 배치된다. 압력 스프링(pressure spring) 형태인, 이러한 스프링(70)에 의해, 피스톤(10)은, 나사(68)가 압흔(81, 82, 83)에 잠길수 있기 위해서 혼합 유체 유입구(4)로부터 떠나 편향된다. 스프링(70)은 피스톤(10) 또는 수축 부재의 세로 방향의 어떠한 운동을 보상하는데 또한 기여한다.
피스톤(10)의 원주 표면 상에서, 오링 또는 몇몇의 다른 종류의 밀봉을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구실을 하는, 원주 홈(86)이 또한 배치되어 있다. 제3 위치에 피스톤(10)이 있을 때, 혼합 유체 배출구(8)에 대하여 피스톤을 밀봉하기 위한 오링을 위한 리셉터클로서 비슷하게 구실을 하는, 원형 홈(84)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작동은 도 7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이제 기술될 수 있다. 결합 전에, 흡입 장치(1)는 폐쇄되고 피스톤(10)이 이것의 제3 위치에 있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에서 나사(68)는 압흔(83)에 걸리고, 피스톤(10)이, 공기 통로(2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폐쇄체(60)에 대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공기가 어느 정도까지 교환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합장치(5)로 연결하기 쉽게 한다. 대안적으로 제3 위치에서, 공기 통로(20)는 폐쇄체(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피스톤(10)은 혼합 유체 배출구(8)를 개방하기 위해 제1 위치로 자루 부재(28)에 의해 돌려진다(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프로세스에서, 나사(68)는 압흔(81)에 걸린다. 혼합 유체 배출구(8)는 완전하게 개방되고, 유로(14)는 수축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에서, 폐쇄체(60)는 플러그 같은 돌출부(64)에 의해 공기 유입구(18)를 폐쇄한다. 즉, 이러한 제1 위치에서, 추가의 흡수 공기는 추가되지 않는다.
수집 탱크가 거의 완전히 비워지도록 흡입되면, 피스톤(10)은 자루 부재(28)에 의해 제2 위치, 즉 폐쇄 위치로 옮겨진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에서, 유로(14)는 수축되고, 피스톤(10) 상의 홈(22)이 유로(14)의 벽을 형성한다. 나사(68)는 압흔(82)에 걸린다. 피스톤(10)은 공기 유입구(18)가 완전히 개봉되는, 폐쇄체(60)에 대한 위치에 있고, 추가의 흡수 공기가 판(74)의 개구부(75)를 통해서, 폐쇄체의 통로(65)를 통해서, 및 공기 통로(20)를 통해서 흡입 장치(1)의 내부로 흐르며, 따라서 흡수 공기로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위치는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2초 동안, 또는 더 좋게는 대략 3초(또는 더 길게) 동안 유지된다. 그 다음에 피스톤(10)은, 나사(68)가 압흔(83)에 걸릴 때까지 자루 부재(28)에 의해 제3 위치로 되돌려진다. 그 다음에 흡입 장치(1)는 분리될 수 있다.
디텐트 위치(82)는 대안적으로는 생략될 수도 있고, 또는 "탐지(sniffing)" 위치(제2 위치)가 장애물을 극복하지 않고는 건너뛰어질 수 없는 그러한 종류의 휘어짐(deflection)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나사(68)가 휘어짐을 따라 이동될 때 시각적 피드백이 생산되도록 맞춰진 슬롯 가이드의 각도 또는 윤곽의 변화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Claims (24)

  1. 수집 탱크(2), 특히 철도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 장치(1)로서,
    혼합 유체를 받기 위한 혼합 유체 유입구(4)로서, 상기 수집 탱크(2)의 연결 포트로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한, 혼합 유체 유입구(4),
    혼합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혼합 유체 배출구(8)로서, 흡입관에 유동적으로 연결가능한,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상기 혼합 유체 배출구(8)와 상기 혼합 유체 유입구(4)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로(14)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14)의 단면적을 그것의 구획들에서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수축 부재(10)를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상기 유로(14)의, 적어도 그것의 구획들에서,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상기 혼합 유체 유입구(4) 및/또는 상기 혼합 유체 배출구(8)에 대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유로(14)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제2 위치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가 상기 유로(14)를 폐쇄하는, 상기 수축 부재(10)의 제3 위치를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상기 수축 부재(1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혼합 유체 배출구(8) 및 상기 혼합 유체 유입구(4)와 유체 연통을 하는 리세스(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는 상기 수축 부재(10)의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피스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원통형 모양이고 취급 수단(2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또는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취급 수단(24)으로 상기 수축 부재(10)의 원통형 축에 대해 돌려져서 및/또는 원통형 축을 따라 밀어내져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4) 내로 개방되고 상기 유로(14) 내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봉쇄 또는 개봉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18)를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18)는 상기 수축 부재(10)의 리세스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축 부재(10)의 공기 통로(20)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통로(20)는 개봉되거나 또는 봉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기 유입구(18)와 유체 연통을 하는 하우징 개구부(13)를 갖는 하우징(12)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18)를 선택적으로 개봉 또는 봉쇄하기 위한 폐쇄체(60)로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는 폐쇄체(60)를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0)는 상기 흡입 장치(1)의 하우징(12)에 정지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0)는 상기 수축 부재(10)의 리세스(6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0)의 세로축은 상기 수축 부재(10)의 세로축(11)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0)는 상기 하우징(12)에 지지 부재(68)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축 부재(10)가 상기 폐쇄체(60) 및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68)는 상기 수축 부재(10) 상의 리세스(80)와 함께 상기 수축 부재(10)를 위한 슬롯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는 상기 제1 위치 및/또는 상기 제2 위치 및/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스냅-록킹 수단(snap-locking means)에 의해 잠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1).
  18. 수집 탱크(2), 특히 철도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 기지(suction station)로서, 상기 흡입 기지는,
    혼합 유체를 위한 보유 탱크,
    상기 보유 탱크로 혼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감압을 생성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보유 탱크로 혼합 유체를 운반하도록 되어있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수집 탱크(2)로부터 혼합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흡입관에 연결된 흡입 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1)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기지.
  19. 유로(14)를 갖는 흡입 장치(1), 특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입 장치(1)에 의해 수집 탱크(2), 특히 철도 운송수단의 하수 탱크로부터 혼합 유체, 특히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집 탱크(2)의 연결 포트(6)로 상기 흡입 장치(1)를 결합하는 단계,
    감압에 의해 혼합 유체를 상기 수집 탱크(2) 밖으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흡입 장치(1)의 수축 부재(10)에 의해 상기 유로(14)의 단면적을, 특히 그것의 구획들에서 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흡입 장치(1)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1)를 분리하는 단계 전에 상기 수축 부재(10)에 의해 상기 유로(14)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유로(14)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또는 상기 유로(14)를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수축 부재(10)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1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축 부재(10)를 미끄러뜨리는 단계 및/또는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축 부재(10)를 미끄러뜨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14)를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수축 부재(10)를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유입구(18)를 개봉 및 봉쇄함에 의해 상기 유로(14) 내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21949A 2011-01-27 2011-12-23 흡입 결합장치 KR101504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2009.6 2011-01-27
DE201120002009 DE202011002009U1 (de) 2011-01-27 2011-01-27 Absaugkupplung
PCT/EP2011/073930 WO2012100890A1 (de) 2011-01-27 2011-12-23 Absaug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948A true KR20130121948A (ko) 2013-11-06
KR101504052B1 KR101504052B1 (ko) 2015-03-18

Family

ID=4542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49A KR101504052B1 (ko) 2011-01-27 2011-12-23 흡입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47211B2 (ko)
EP (1) EP2668082B1 (ko)
JP (1) JP5756869B2 (ko)
KR (1) KR101504052B1 (ko)
CN (1) CN103328300B (ko)
DE (1) DE202011002009U1 (ko)
ES (1) ES2617764T3 (ko)
HK (1) HK1187581A1 (ko)
IL (1) IL227500B (ko)
PL (1) PL2668082T3 (ko)
WO (1) WO201210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8243A1 (de) * 2012-05-16 2013-11-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sperrventil mit Heiz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DE102015205825B4 (de) 2015-03-31 2021-09-23 Siemens Mobility GmbH Verfahren zur Frostentleerung eines Frischwasserbehälters für ein Schienenfahrzeug des Personenverkehrs und Schienenfahrzeug des Personenverkehrs mit einer Frostentleerungseinrichtung
RU2015141487A (ru) * 2015-09-30 2017-04-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иркон Сервис" Стационарный комплекс обслуживания средств очистки баков-сборников туал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105399034A (zh) * 2015-12-08 2016-03-16 张家港市三联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抽料装置
DE102016217979B4 (de) 2016-09-20 2019-12-12 Siemens Mobility GmbH Fahrzeugseitige Entleerungseinrichtung für Füllleitungen
EP3327689B1 (de) * 2016-11-25 2020-10-14 Wagner Group GmbH Filterbauteil
US11084071B2 (en) 2017-02-24 2021-08-10 Vogelsang Gmbh & Co Kg Suction device for wastewater tank and disposal station for a vehicle
DE202017101065U1 (de) * 2017-02-24 2018-05-25 Hugo Vogelsang Maschinenbau Gmbh Entsorgungsstation für ein Fahrzeug
US11214479B2 (en) 2017-11-10 2022-01-04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Probe assembly for use in a closed transfer system
DE202018105346U1 (de) * 2018-09-18 2019-12-19 Vogelsang Gmbh & Co. Kg Absaugvorrichtung zum Abführen eines Mischfluids, insbesondere Fäkalien enthaltend,aus einem Sammelbehälter
DE102021112129A1 (de) 2021-05-10 2022-11-10 VAB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Absaug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506A (en) * 1973-12-29 1980-01-22 Krister Nordberg Vacuum sewer system
JPS5835465U (ja) * 1981-09-03 1983-03-08 株式会社 旭機械製作所 車輌の汚物タンク等の洗浄水給水用バルブ
US4691731A (en) * 1983-12-08 1987-09-08 Burton Mechanical Contractors, Inc. Vacuum sewerage system with in pit breather
FI840086A (fi) * 1984-01-11 1985-07-12 Vaeinoe Johannes Kilpi Spolstyrningsapparat foer vakuumklosett.
DE8524288U1 (de) 1985-08-24 1985-11-14 Michael, Harald, 2000 Hamburg Membran-Absperrventil für Unterdruck-Abwasserleitungen
DE3922969A1 (de) 1989-05-17 1991-01-03 Friedrich Freimuth Absaugkupplung
US5487646A (en) * 1989-11-30 1996-01-30 Ebara Corporation Vacuum pump control apparatus for an evacuating type waste water collecting system
JP2530687Y2 (ja) * 1992-01-07 1997-03-2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汚水収集システムにおける真空弁装置
CA2125206C (en) * 1993-06-07 2000-07-25 Yasuo Yamabe Vacuum valve control device and vacuum valve
JP2816524B2 (ja) * 1993-09-22 1998-10-2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弁
DE4335945C2 (de) 1993-10-22 1997-07-10 Roediger Anlagenbau Absaugvorrichtung
US5575304A (en) * 1995-04-13 1996-11-19 Environmental Resources Management Vacuum sewer system
US5628344A (en) 1995-05-17 1997-05-13 Emco Wheaton, Inc. Dry disconnect coupling including means for returning fluid residue to flow path
AU715439B2 (en) * 1995-12-08 2000-02-03 Olav Hofseth Valve, particularly for vacuum drainage systems
TW389816B (en) * 1997-12-19 2000-05-11 Airvac Inc Dual backflow check valve, vacuum sewage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fluid backflow
US5971005A (en) * 1998-03-25 1999-10-26 Sealand Technology, Inc. Vacuum adaptor for recreation vehicle toilet system with sliding cassette holding tank
JPH11281000A (ja) 1998-03-27 1999-10-15 Kaneyasu:Kk 高粘性流体の吸引装置
JP3869573B2 (ja) * 1998-05-06 2007-0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真空式下水システム
US5979486A (en) * 1998-10-01 1999-11-09 Euroiseki Ltd. Internal breathing for vacuum interface valve of vacuum sewage system
US6467497B1 (en) * 1999-04-21 2002-10-22 Evac International Oy Buffer box for use in a vacuum drainage system
US6240986B1 (en) 1999-05-20 2001-06-05 August A. Berkes Recreational vehicle sanitary sewer connector
US6131596A (en) * 1999-07-09 2000-10-17 Evac International Oy Automatic vacuum isolation valve network for a vacuum collection system
US6467494B1 (en) * 1999-08-18 2002-10-22 Roediger Vakuum- Und Haustechnik Gmbh Arrangement in a vacuum sewer system for preventing water entering a pneumatic controller through a breather line
ES1046526Y (es) 2000-06-12 2001-06-01 Tecn Modulares E Ind S A Sistema de evacuacion por vacio con deposito de aguas residuales de retencion temporal.
DE10216091C1 (de) 2002-04-11 2003-08-14 Roediger Vakuum & Haustechnik Überwachungsanordnung
JP4105581B2 (ja) * 2003-04-10 2008-06-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弁制御装置
US6997204B2 (en) * 2004-05-19 2006-02-14 A Company Incorporated High rise tower sanitary service system
DE202004019308U1 (de) 2004-12-14 2006-04-20 Hugo Vogelsang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Schmutzwasser und Fäkalien aus Bahnwaggons
DE102007011210B3 (de) 2007-03-08 2008-04-03 Werner Haag Schlauchkupplung für die Fäkalienentsorgung an Schienen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7581A1 (zh) 2014-04-11
PL2668082T3 (pl) 2017-06-30
CN103328300A (zh) 2013-09-25
WO2012100890A1 (de) 2012-08-02
EP2668082A1 (de) 2013-12-04
JP2014512490A (ja) 2014-05-22
EP2668082B1 (de) 2016-12-07
IL227500B (en) 2018-02-28
JP5756869B2 (ja) 2015-07-29
US9347211B2 (en) 2016-05-24
ES2617764T3 (es) 2017-06-19
US20130327406A1 (en) 2013-12-12
IL227500A0 (en) 2013-09-30
DE202011002009U1 (de) 2012-04-30
KR101504052B1 (ko) 2015-03-18
CN103328300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1948A (ko) 흡입 결합장치
US664436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flow with rotary motion fo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US7448418B1 (en) Food product bag-to-pump connector
US7481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osal of waste fluids
EP1184084A3 (en) Hose-end aspiration-type sprayer
US20140109988A1 (en) Drain line access device
EP3323724B1 (en) System for suctioning a fluid as well as a vehicle having such a system
EP2763741B1 (de) Schnellkupplungsvorrichtung
US10899098B2 (en) System for compacting waste in a vehicle
CN109070513B (zh) 用于抽出流体的系统以及具有这种系统的运输工具
WO2020147865A1 (zh) 一种耗材盒
US9814362B2 (en) Shop vac
EP0752356B1 (en) Closure arrangement
EP3922895A1 (fr) Elément de filtration d'un guide-embout de prise murale de distribution de fluide
CN210114501U (zh) 一种耗材盒
EP3922339A1 (fr) Guide-embout de prise murale de distribution de fluide comprenant un élément de filtration à porosité contrôlée
AU766444B2 (en)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flow with rotary motion fo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EP3006636A1 (de) Wandablauf mit Pumpe
CN109310250A (zh) 具有用于长度可调的管装置的操作单元的吸尘器
US1167315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liquid dispersion and rinsing
CN214579553U (zh) 一种可排高压流体的连接接头
JP2003505306A (ja) 回転アクチュエーションを用いた流体連結
DE202014010034U1 (de) Einwegbehälter für einen fließfähigen Baustoff
JPH022419Y2 (ko)
DE102017121208A1 (de) Flächenreinigung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