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738A - 부엌용 액체 세정제 - Google Patents

부엌용 액체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738A
KR20130121738A KR1020130045803A KR20130045803A KR20130121738A KR 20130121738 A KR20130121738 A KR 20130121738A KR 1020130045803 A KR1020130045803 A KR 1020130045803A KR 20130045803 A KR20130045803 A KR 20130045803A KR 20130121738 A KR20130121738 A KR 2013012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kitchen
liquid deterg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293B1 (ko
Inventor
유지로 아이키
호타카 아사노
신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11D2111/14

Abstract

[과제]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고, 거품의 지속성에 우수하고, 또한,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고,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부엌용 액체 세정제를 제공할 것.
[해결 수단]
일반식(1)[식중,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직쇄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CH2CH2O)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m의 평균치가 0.5 내지 1.5이다. M+은 대이온이다.]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와, 알킬아민옥시드(b2)를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은, m=0의 화합물(a0)을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하고, (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0이고, (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2 내지 1.5이고, 또한,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인 부엌용 액체 세정제.
[화학식 1]

Description

부엌용 액체 세정제{LIQUID DETERGENT FOR KITCHEN}
본 발명은, 부엌용 액체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식기류 또는 조리용구 등에 부착한 기름오염에 대해 높은 세정력과 포립성(泡立性)이 요구된다.
종래,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에는, 주세정 성분으로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과, 포립성 등의 관점에서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가 병용되고 있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은, 합성알코올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하여 황산화함에 의해 제조된다. 합성알코올은, 제조 방법의 관계상, 분기쇄상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을 알코올 전체의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또는, 주성분으로서 2급알코올 유래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그 합성알코올을 원료로 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은, 물과 혼합한 때에 겔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등의 이유로부터 범용되고 있다.
근래, 이산화탄소의 배출 삭감량의 수치 목표가 언급되는 등, 지구환경에 배려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카본 뉴트럴의 사고방식으로부터, 세제 원료로서 천연유지 원료 유래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천연알코올)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정용 세제에서는,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이하, 「AES」라고 한다)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은, 에틸렌옥시드(이하, 「EO」라고 한다)의 부가 몰수가 적은 EO 부가체를 많이 함유할수록, 기름오염 등에 대한 세정력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AES는, 특히 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1몰 또는 2몰인 경우, EO가 부가되지 않은 알킬황산염(이하, 「AS」라고 한다)이 AES 전체에 대해 약 20질량% 이상 존재한다. 그러나, AS(즉, EO의 0몰 부가체)가 많이 존재하는 AES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는, 기름오염 등에 대한 세정력에 우수한 것이지만, 특히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에서 석출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 특허 문헌 1에는,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과,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의 발명에서는, 최초에 프로필렌옥시드(이하, 「PO」라고 한다)를 천연알코올에 소량 부가함으로써 미반응의 알코올을 저감시키고, 그 후에 EO를 부가함에 의해 제조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일본 특개2009-215353호 공보
그런데,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를, 식기 등뿐만 아니라, 야채나 과일도 씻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바라는 사용자도 있다. 야채나 과일을 씻을 수 있는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는, 식품위생법에 의해,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중성)일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 액성(液性)을 충족시킬려면, 액체 세정제의 원액의 pH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AES와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병용한 종래의 액체 세정제에서, 액체 세정제(원액)의 pH를 낮게 설정한 경우, 식기 등을 스펀지로 비벼서 씻고 있는 동안에 거품량이 감소하기 쉬운 등, 거품의 지속성에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PO가 부가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을 사용한 경우에도, 거품이 일기 어렵고, 거품의 지속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PO를 부가하지 않고, AS의 함유 비율이 높은 AES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를 사용한 경우, 세정시에 미끌거리기 쉽고, 특히, 고무 장갑을 사용하여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미끌거림이 강하게 느껴져서 미끄러지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고, 거품의 지속성에 우수하고, 또한,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고,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부엌용 액체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AES)에는, 에틸렌옥시드(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1몰 또는 2몰과 같이 낮은 경우, EO가 부가되지 않은 알킬황산염(AS : EO의 0몰 부가체)이 많이 존재한다.
이 AS는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은 성분이지만, AS의 존재에 의해 세정시에 미끌거림이 느껴지고, 세정중에 식기 등이 미끄러지기 쉬워져 버린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와 같이, AES중에 존재하는 AS량을, 프로필렌옥시드(PO)의 부가 등에 의해 줄이는 것이 아니라, AS를 감량하지 않고서 그대로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관해 검토하였다.
한편,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는, 희석하면 pH가 높아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야채나 과일이 씻을 수 있는 액체 세정제의 액성에 관한 규정을 충족시킬려면, 원액의 pH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AES와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는 상호 작용이 강해지고, 특히 저온 안정성의 확보가 어려워진다. 저온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려면 하이드로트로프제의 배합이 유효하지만, 하이드로트로프제의 배합에 의해 거품의 지속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에 의해, 2종의 아민옥시드를 특정한 비율로 병용하는 것, 및, AES중에 존재하는 AS와 2종의 아민옥시드를 특정한 비율로 혼합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와, 알킬아민옥시드(b2)를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은, 하기 일반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을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하고, (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0이고, (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2 내지 1.5이고, 또한,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중,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직쇄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CH2CH2O)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m의 평균치가 0.5 내지 1.5이다. M+은 대(對)이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고, 거품의 지속성에 우수하고, 또한,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고,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부엌용 액체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세정제는,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인 것(식품위생법의 규정)에 의해, 식기류, 조리용구 등에 더하여,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이른바 부엌용 액체 세정제이다.
여기서, 그 액체 세정제의 희석액의 pH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측정된다. 즉, 새롭게 끓인 이온교환수를 사용하여, 시료(액체 세정제)를 질량 기준으로 150배로 희석함에 의해 희석 용액(액체 세정제 농도 0.67질량%의 수용액)을 조제한다. 그 후, 그 희석 용액을 25℃로 조정하고, 그 pH를 측정한다.
그 희석 용액(25℃로 조온(調溫))의 pH는, pH미터(제품명 : 호리바F-22, (주)호리바제작소제)를 이용하여, JIS K3362-199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원액의 pH는,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이 되도록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 내지 6.8이다.
원액의 25℃에서의 pH가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특히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한편, pH가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원액(25℃로 조온)의 pH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그 희석 용액(25℃로 조온)의 pH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와, 알킬아민옥시드(b2)를 함유한다. 이하, 이들의 성분을 각각 (a)성분, (b1)성분, (b2)성분이라고도 한다.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에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가 사용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식중,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직쇄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CH2CH2O)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m의 평균치가 0.5 내지 1.5이다. M+은 대이온이다.]
상기 식(1)중,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직쇄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의 탄소수는 10 내지 16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4이다. R1에서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알킬기, 알켄일기를 들 수 있고,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1로서는,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및 환경면으로부터, 천연유지 원료 유래의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맞은 천연유지 원료로서는, 팜핵유, 야자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1로서는,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1)중, m은 (CH2CH2O)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m의 평균치는 0.5 내지 1.5의 수이다. m이 0.5 미만이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저온 조건(-5℃ 이하)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m이 1.5를 초과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여기서의 「m의 평균치」는 가중평균치를 의미한다. 가중평균치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각 m의 피크 에어리어(면적)의 합계를 1로 하고, 이 합계에 대해 각각의 m의 피크 에어리어(면적)의 비율을 구하고, 이 비율에 각각의 m의 수를 곱하고, 이들의 합계를 가중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다.
(a)성분은, 상기 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이하, 「(a0)성분」이라고 한다)를,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하는 것, 즉, (a)성분중, 상기 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a0)성분)가 35 내지 55질량%인 것이다. (a)성분은, (a0)성분을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질량% 함유한다.
(a)성분 전체에 대해 (a0)성분이 35질량% 미만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a0)성분이 55질량%를 초과하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a)성분은, 상기 식(1)에서의 m의 평균치가 0.5 내지 1.5가 되는 분포를 갖는, (CH2CH2O)의 반복수가 다른 분자의 혼합물이다.
m의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6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2이다.
m의 평균치, m의 분포, (a0)성분량은, 예를 들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식(1)중, M+은 대이온이다.
그 대이온이 되는 M으로서는, R1-O-(CH2CH2O)m-SO3 -와 함께 수용성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알칸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토류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M이 2가(價)의 양이온인 경우, (R1-O-(CH2CH2O)m-SO3 -)2와 함께 수용성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a)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0.5)직쇄알킬(C12)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1)직쇄알킬(C12)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1.5)직쇄알킬(C12)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0.5)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1)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1.5)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1)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황산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이고, 각각 (a0)성분을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폴리옥시에틸렌(1)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황산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0.5)」이란, 상기 식(1)에서의 m의 평균치가 0.5인 것을 의미한다.
「직쇄알킬(C12)」이란, 상기 식(1)에서의 R1이 탄소수 12의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을 의미한다.
「직쇄알킬(C12/14=75/25 ; 천연유지원료유래)」이란, 상기 식(1)에서의 R1이 탄소수 12의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과,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과의 혼합물(혼합비율 : 질량비로 75/25)인 것, 천연유지 원료 유래의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을 의미한다.
(a)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a)성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3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질량%이다.
(a)성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함유량」이란, 각 성분이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조합시킨 성분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a0)성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데실황산염, 테트라데실황산염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도데실황산염/테트라데실황산염=75/25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a0)성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0.5 내지 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질량%이다.
(a0)성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더하여,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로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식중, R2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R3 및 R4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R5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2)중, R2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2의 알킬기, 알켄일기에서, 탄소수는 8 내지 18이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10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R2로서는,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2)중, R3 및 R4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R3 및 R4은 모두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2)중, R5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3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b1)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데칸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 미리스틴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 팔미틴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저온 안정성 및 거품의 지속성이 특히 향상하기 때문에,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b1)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b1)성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1.5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질량%이다.
(b1)성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이상이면,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거품의 지속성도 보다 향상한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 이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알킬아민옥시드(b2)>
알킬아민옥시드(b2)로서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식중, R6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3)중, R6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6의 알킬기, 알켄일기에서, 탄소수는 8 내지 18이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10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R6로서는,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3)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R7 및 R8은 어느 것이나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2)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야자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릴디에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b2)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b2)성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0.3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질량%이다.
(b2)성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이상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 이하면,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b1)성분과 (b2)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2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질량%이다.
(b1)성분과 (b2)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 「(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의 (b2)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b1)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b1)성분과 (b2)성분의 혼합비율은, (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0이고, 4 내지 9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질량비가 2 이상이면,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거품의 지속성도 보다 향상한다. 한편, 당해 질량비가 10 이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 「(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의 (b1)성분과 (b2)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의 함유량에 대한, (a0)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a)성분과 (b1)성분과 (b2)성분이란, (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2 내지 1.5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가 되도록 혼합된다.
당해 질량비가 0.2 이상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한편, 당해 질량비가 1.5 이하면, 세정시의 미끌거림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쉬워진다. 또한,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당해 질량비가 0.2 내지 1.5임에 의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에 우수하다. 더하여,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고, 특히 고무 장갑을 사용하여 식기 등을 세정한 때의 미끌거림이 충분히 억제된다.
<용매 : 물(水)>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액체 세정제의 조제하기 쉬움, 사용할 때의 물에의 용해성 등의 관점에서, 용매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의 물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40 내지 90질량%가 바람직하고, 45 내지 8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이상이면,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액체 세정제의 액 안정성이 보다 양호해지고, 바람직한 상한치 이하면, 액 점도가 적당하게 낮아져서, 사용성의 관점에서 양호해진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응하여, 상술한 성분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임의로 배합하여도 좋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부엌용, 경(硬)표면용 또는 의료용 등의 세제에 사용되고 있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고, 하이드로트로프제 ; 수산화나트륨, 황산, 글리콜산 등의 pH 조정제 ; (a)성분, (b1)성분 및 (b2)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항료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트로프제)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하이드로트로프제(이하 「c)성분」이라고 한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을 또한 함유함에 의해, 특히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한다.
(c)성분으로서는, 수혼화성(水混和性) 유기 용매 ; 톨루엔술폰산,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 쿠멘술폰산염, 안식향산, 안식향산염 등이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염, 안식향산염에서, 톨루엔술폰산의 대이온, 쿠멘술폰산의 대이온, 안식향산의 대이온으로서는, 상기 술폰산, 카르본산과 함께 수용성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알칸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토류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란, 25℃의 이온교환수 1ℓ에 50g 이상 용해하는 유기 용매를 말한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는,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용매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로서는, 물과 혼합한 때에 균일한 용액이 되는 것이면 좋고,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1가알코올 ;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c)성분으로서는, 톨루엔술폰산,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 쿠멘술폰산염, 안식향산, 안식향산염 및 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톨루엔술폰산,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 쿠멘술폰산염 및 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톨루엔술폰산 및/또는 톨루엔술폰산염과 에탄올과의 조합, 쿠멘술폰산 및/또는 쿠멘술폰산염과 에탄올과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톨루엔술폰산 또는 톨루엔술폰산염과, 에탄올과의 질량비는, 4 : 6 내지 1 : 9가 바람직하다.
쿠멘술폰산 또는 쿠멘술폰산염과, 에탄올과의 질량비는, 4 : 6 내지 1 : 9가 바람직하다.
(c)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부엌용 액체 세정제중, (c)성분의 함유량은, 그 부엌용 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5 내지 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질량%이다.
(c)성분의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이상이면, 저온 조건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한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 이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높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a)과,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와, 알킬아민옥시드(b2)를 함유한다. 더하여, 에틸렌옥시드(EO)가 부가되지 않은 알킬황산염(a0)을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함에 의해, 주로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에 우수하다. 또한, (a)성분과 (b1)성분과 (b2)성분을 특정한 혼합비율((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 0.2 내지 1.5)로 함유함에 의해, 주로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고, 특히 고무 장갑을 사용하여 식기 등을 세정한 때의 미끌거림이 충분히 억제된다. 또한, (b1)성분과 (b2)성분을 특정한 혼합비율((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 2 내지 10)로 함유함에 의해, 주로 거품의 지속성에 우수하다.
더하여, 본 발명의 부엌용 액체 세정제는,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임에 의해,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식기·야채용으로서도 알맞는 중성 세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을 활용함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배출 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하여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을 제조할 때, 종래와 같이, 최초에 프로필렌옥시드(PO)를 천연알코올에 소량 부가시키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간편하고, 또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례]
이하에 실시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액체 세정제의 조제>
표에 표시하는 배합 조성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미배합의 성분이 있는 경우, 그 성분은 배합하지 않는다.)에 의해, 각 예의 액체 세정제를 각각 조제하였다.
표중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고, 어느 성분도 순분 환산량을 나타낸다.
또한, 각 예의 액체 세정제는, 표에 기재된 각 성분의 합계가 100질량%가 되도록 물로 밸런스하여 조제하였다.
[액체 세정제의 제조 방법]
우선, 200㎖ 비커에, (a)성분 또는 (a')성분과, (b1)성분과, (b2)성분과, (c)성분을 넣고, 마그네틱 스티어러에 의해 교반하였다. 뒤이어, 전체량(전체량을 100질량부로 한다.)이 93질량부가 되도록 물을 넣어서 교반하였다. 그 후, 글리콜산과 40질량%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전체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나머지 물을 가하여 밸런스하고, 각 예의 액체 세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물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밸런스」는, 액체 세정제에 포함되는 전 배합 성분의 합계의 배합량(질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가하여진 잔부(殘部)를 의미한다. 또한, 「밸런스」로서 배합한 물은, 액체 세정제를 물로 150배로 희석할 때에 사용하는 물의 일부로서는 간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pH 조정제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적량」은, pH 조정제로서 사용한 글리콜산과 수산화Na와의 합계의 배합량을 나타낸다. pH 조정은, 글리콜산(액체 세정제의 총질량에 대해 1.0질량%)을 배합한 후, 액체 세정제(원액)의 25℃에서의 pH가 표에 표시하는 pH값이 되도록 수산화Na를 배합하였다.
액체 세정제(원액)의 pH는, 25℃로 조정한 액체 세정제(원액)를, 유리전극식 pH미터(제품명 : 호리바F-22, (주)호리바제작소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JIS K3362-1998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액체 세정제의 희석 용액의 pH 측정]
각 예의 액체 세정제를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를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이온교환수를 새롭게 끓이고, 이 새롭게 끓인 이온교환수를 사용하여, 시료(액체 세정제)를 질량 기준으로 150배로 희석하여 희석 용액(액체 세정제 농도 0.67질량%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그 후, 그 희석 용액을 25℃로 조정하고, 그 pH를, 전술한 원액의 pH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표중, 「조성물중의 (a0)성분의 함유량(질량%)」은, 액체 세정제에 포함되어 있는, 일반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성분)의 량을 의미한다.
「(a)성분중의 (a0)성분의 함유량(질량%)」은, (a)성분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일반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질량비 (a0)/[(b1)+(b2)]」는, 액체 세정제중의 (b1)성분과 (b2)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a0)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질량비 (b1)/(b2)」는, 액체 세정제중의 (b2)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b1)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이하에, 표중에 표시한 성분에 관해 설명한다.
·(a)성분
a-1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0, M=나트륨 ; a-1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43질량%.
[a-1의 조제례]
용량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원료 알코올로서 P&G사제의 상품명 CO1270알코올(탄소수 12의 알코올과 탄소수 14의 알코올과의 질량비 75/25의 혼합물) 400g과, 반응용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촉매 0.8g을 넣고, 그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계속해서, 온도를 180℃, 압력을 0.3MPa 이하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시드 91g을 도입하고, 반응시킴에 의해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 : Hewlett-Packard사제의 GC-5890과, 검출기 : 수소염(水素炎) 이온화형 검출기(FID)와, 칼럼 : Ultra-1(HP사제, L25m×φ0.2㎜×T0.11㎛)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43질량%였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은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37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로 치환한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96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황산화 반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뒤이어,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1을 얻었다.
a-2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2, M=나트륨 ; a-2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42질량%.
[a-2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109g을 도입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2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42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93g을 적하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2를 얻었다.
a-3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NRES),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0.6, M=나트륨 ; a-3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48질량%.
[a-3의 조제례]
질산마그네슘6수화물 68.03g과, 질산알루미늄9수화물 47.69g과, 질산망간6수화물 24.43g을, 탈이온수 450g에 용해하여 용액(a)을 조제하였다. 이것과는 별개로, 탄산나트륨 13.47g을 탈이온수 450g에 용해하여 용액(b)을 조제하였다.
용액(a)과 용액(b)을, 미리 탈이온수 1800g을 넣은 촉매 조제조(調製槽)에 NaOH 수용액으로 pH=9, 온도를 45℃로 유지하면서 45분간으로 적하하였다. 1시간 숙성한 후, 모액을 여별하고, 분리한 침전을 6리터의 탈이온수로 세정하고, 분무 건조함에 의해 복합금속수산화물 30g을 얻었다.
이 복합금속수산화물을, 질소 분위기하, 800℃로 소성함에 의해, 산화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금속산화물 촉매 19g을 얻었다.
다음에, 용량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원료 알코올로서 P&G사제의 상품명 CO1270알코올(탄소수 12의 알코올과 탄소수 14의 알코올과의 질량비 75/25의 혼합물) 400g과, 에틸렌옥시드 55g과, 반응용 촉매로서 상기 복합금속산화물 촉매 0.3g을 넣고, 그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계속해서, 온도를 180℃, 압력을 0.5MPa 이하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시드 87g을 도입하고, 반응시킴에 의해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분석한 결과,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0.6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48질량%였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은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19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로 치환한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96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황산화 반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뒤이어,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3을 얻었다.
a-4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4, M=나트륨 ; a-4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40질량%.
[a-4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128g을 도입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4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40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89g을 적하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4를 얻었다.
a-5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NRES),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0, M=나트륨 ; a-5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35질량%.
[a-5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91g을 도입한 이외는 a-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35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89g을 적하한 이외는 a-3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a-5)을 얻었다.
a-6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1, M=나트륨 ; a-6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50질량%.
[a-6의 조제례]
후술하는 a'-2와 a'-3을, 질량비 a'-2/a'-3=69/31로 혼합함에 의해 a-6을 얻었다.
a-7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0, M=나트륨 ; a-7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55질량%.
[a-7의 조제례]
후술하는 a'-2와 a'-3을, 질량비 a'-2/a'-3=63/37로 혼합함에 의해 a-7을 얻었다.
·(a)성분의 비교 성분[이하 「(a')성분」으로 나타낸다.]
a'-1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0.3, M=나트륨 ; a'-1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76질량%.
[a'-1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27g을 도입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0.3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76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110g을 적하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1을 얻었다.
a'-2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8, M=나트륨 ; a'-2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27질량%.
[a'-2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164g을 도입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8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양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27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84g을 적하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2를 얻었다.
a'-3 : 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0, M=나트륨 ; a'-3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100질량%.
[a'-3의 조제례]
원료 알코올로서 P&G사제의 상품명 CO1270알코올(탄소수 12의 알코올과 탄소수 14의 알코올과의 질량비 75/25의 혼합물) 237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로 치환한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118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황산화 반응), 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뒤이어,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3(최종적으로 (a0)성분만)를 얻었다.
a'-4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1.2, M=나트륨 ; a'-4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28질량%.
[a'-4의 조제례]
에틸렌옥시드 109g을 도입한 이외는 a-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코올에톡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2이였다. 또한,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되지 않은 화합물(최종적으로 (a0)성분이 되는 것)의 량이,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전체에 대해 28질량%였다. 다음에, 액체 무수황산(술판) 93g을 적하한 이외는 a-3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산화 반응을 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a'-4)을 얻었다.
a'-5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일반식(1)에서의 R1=탄소수 12 내지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m의 평균치=0.8, M=나트륨 ; a'-5 전체에 대한 m=0의 화합물((a0)성분)의 비율 60질량%.
[a'-5의 조제례]
상기한 a'-2와 a'-3을, 질량비 a'-2/a'-3=54/46로 혼합함에 의해 a'-5를 얻었다.
·(b1)성분
b1-1 : APAX,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라이온·아크조 주식회사제, 상품명「아로목스APA-12W」).
·(b2)성분
b2-1 : AX, C12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라이온·아크조 주식회사제, 상품명「아로목스DM12D-W」).
·(c)성분
c-1 : 에탄올(준세이화학주식회사제, 시약 특급).
c-2 : p-톨루엔술폰산(교와발효케미컬주식회사제).
pH 조정제로서 글리콜산과 수산화Na를 사용하였다.
글리콜산 : 듀폰사제, 상품명「그리퓨어70」.
수산화Na : 수산화나트륨, 니혼소다주식회사제.
물 : 수도물.
<액체 세정제의 평가>
각 예의 액체 세정제에 관해,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방법에 의해 각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에 병기하였다.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의 평가]
우지(牛脂) 1g을, 세로 10㎝×가로 15㎝×높이 5㎝의 터퍼 용기 내면의 전면에 균일하게 되도록 도포하여 오구(汚垢) 모델로 하였다.
뒤이어,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설거지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25℃ 수도물 38g과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몇 회 손으로 주무른 후, 상기 오구 모델을 가정에서 통상 행하여지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세정하였다.
뒤이어, 25℃의 수돗물로 잘 헹군 후, 터퍼 용기 내면의 우지가 도포되어 있던 부위를 손으로 만진 때의 촉감에 관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행하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의 평가로 하였다.
(평가 기준)
◎ : 터퍼 용기의 어느 부위를 만져도,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 : 터퍼 용기 내측의 바닥면 및 측면을 만지면,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느껴지지 않지만, 터퍼 용기 내측의 모서리의 부위에 약간 미끌거림이 남아 있다.
△ : 터퍼 용기 내측의 바닥면을 만지면,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느껴지지 않지만, 터퍼 용기 내측의 측면이나 모서리의 부위에 미끌거림이 남아 있다.
× : 터퍼 용기 전체에 미끌거림이 느껴지고, 분명히 기름이 잔류하고 있음을 알았다.
[고무 장갑 사용시의 미끌거림성의 평가]
모델 기름오구(汚垢)로서 올리브유 1g과 물 5g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그 모델 기름오구 6g을 1면에 도포한 접시(직경 21㎝)를 모델 기름오구 접시로 하고, 이 모델 기름오구 접시를 3장 준비하였다.
그리고,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설거지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25℃ 수도물 38g과 액체 세정제 2g을 각각 취하고, 고무 장갑(쇼와글로브(주)제, 상품명 : 쇼와의 장갑)을 낀 상태에서 3회 주무른 후, 그 설거지용 스펀지를 모델 기름오구 접시와 접촉시키고, 모델 기름오구와 설거지용 스펀지를 잘 풀리게 하였다. 그 후, 설거지용 스펀지를 모델 기름오구 접시에 꽉 누른 상태에서 원을 2주(周) 그리도록 움직여서 문지르는 씻음을 행하였다. 그리고, 설거지용 스펀지에는 수돗물과 액체 세정제를 새롭게 따라 채우는 일 없이, 연속해서 모델 기름오구 접시를 계속 문질러 씻어서, 3장째의 모델 기름오구 접시를 문질러 씻을 때에 느껴지는 미끌거림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이상의 평가(○, ◎, ◎◎)였던 것을, 미끌거림의 없음이 양호하다라고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 : 미끌거림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 : 미끌거림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 : 미끌거림이 조금 느껴지지만, 상당히 경감되어 있다.
△ : 미끌거림이 강하게 느껴진다.
× : 상당히 강하게 미끌거림이 느껴진다.
[거품의 지속성의 평가]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설거지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25℃ 수돗물 38g과 액체 세정제 2g을 각각 취하고, 3회 손으로 주물렀다. 그 후, 당해 스펀지로, 올리브유 1g 및 물 5g을 담은 도기접시(φ=23㎝)를, 스펀지를 도기접시에 꽉 누르면서, 그 도기접시 표면에 원을 2주(周) 그리도록 움직여서 문지르는 씻음을 연속하여 행하였다. 그리고, 거품을 확인할 수가 없게 된 시점(時點)을 종점으로 하여, 당해 종점까지 씻음을 끝낸 도기접시의 매수를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 이상이 합격 범위)에 따라 거품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도기접시의 매수가 24장 이상.
○ : 도기접시의 매수가 22 내지 23장.
△ : 도기접시의 매수가 20 내지 21장.
× : 도기접시의 매수가 19장 이하.
[저온 안정성의 평가]
액체 세정제 100㎖을, 직경 50㎜, 높이 100㎜의 원통유리병에 충전하고, 뚜껑을 닫고 밀봉하였다. 이 상태에서, -5℃(저온 조건)의 항온조 내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의 액체 세정제의 외관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액체 세정제의 저온 안정성에 관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1개월간 보존 후, 균일 투명하였다.
○ : 1개월간 보존 후, 석출물이 약간 인정되는 것이지만, 그 석출하고 있는 양이, 원통유리병의 용적 전체의 1용적% 미만이였다.
△ : 1개월간 보존 후, 석출물이 인정되고, 그 석출하고 있는 양이, 원통유리병의 용적 전체의 1용적% 이상, 10용적% 미만이였다.
× : 1개월간 보존 후, 석출물이 인정되고, 그 석출하고 있는 양이, 원통유리병의 용적 전체의 10용적% 이상이였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의 액체 세정제는, 모두 실온 조건(25℃)하에서 1개월간 보존 후의 외관은 균일 투명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5
[표 2]
Figure pat00006
[표 3]
Figure pat00007
표 1 내지 3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 1 내지 22의 액체 세정제는 모두,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고, 거품의 지속성에 우수하고, 또한, 세정시의 미끌거림이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례 1 내지 22의 액체 세정제는 모두,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이기 때문에, 식품위생법으로 규정되는, 야채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중성 세제이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1)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식중,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직쇄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CH2CH2O)의 반복수를 나타내고, m의 평균치가 0.5 내지 1.5이다. M+은 대이온이다.]
    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알카노일아미드알킬아민옥시드(b1)와,
    알킬아민옥시드(b2)를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은, 상기 일반식(1)에서의 m=0의 화합물(a0)을 그 (a)성분 전체에 대해 35 내지 55질량% 함유하고,
    (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0이고,
    (a0)성분/[(b1)성분+(b2)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2 내지 1.5이고, 또한,
    물로 150배로 희석한 때의 25℃에서의 pH가 6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엌용 액체 세정제.
KR1020130045803A 2012-04-27 2013-04-25 부엌용 액체 세정제 KR10194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3778A JP5785900B2 (ja) 2012-04-27 2012-04-27 台所用液体洗浄剤
JPJP-P-2012-103778 2012-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38A true KR20130121738A (ko) 2013-11-06
KR101941293B1 KR101941293B1 (ko) 2019-01-22

Family

ID=4967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03A KR101941293B1 (ko) 2012-04-27 2013-04-25 부엌용 액체 세정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85900B2 (ko)
KR (1) KR1019412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2A (ko) * 1998-07-27 2000-02-15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세정제 조성물
KR20000044982A (ko) * 1998-12-30 2000-07-15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5171131A (ja) * 2003-12-12 2005-06-3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5171128A (ja) * 2003-12-12 2005-06-3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060105168A (ko) * 2005-04-01 2006-10-11 김우헌 주방용 액체세제 조성물
KR20070060462A (ko) * 2005-12-08 2007-06-13 애경산업(주)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9215353A (ja) 2008-03-07 2009-09-24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110090215A (ko) * 2010-02-03 2011-08-10 애경산업(주)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281A (ja) * 2004-05-17 2005-11-24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0006973A (ja) * 2008-06-27 2010-01-14 Duskin Co Ltd 食品食器用洗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2A (ko) * 1998-07-27 2000-02-15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세정제 조성물
KR20000044982A (ko) * 1998-12-30 2000-07-15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5171131A (ja) * 2003-12-12 2005-06-3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5171128A (ja) * 2003-12-12 2005-06-3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060105168A (ko) * 2005-04-01 2006-10-11 김우헌 주방용 액체세제 조성물
KR20070060462A (ko) * 2005-12-08 2007-06-13 애경산업(주)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9215353A (ja) 2008-03-07 2009-09-24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110090215A (ko) * 2010-02-03 2011-08-10 애경산업(주)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5900B2 (ja) 2015-09-30
JP2013231125A (ja) 2013-11-14
KR101941293B1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08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775788B2 (ja)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US20100256035A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5186493B2 (ja) 洗浄剤組成物
JP6644639B2 (ja) 食器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654537B2 (ja)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JP543920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56844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8184516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900980B1 (ko) 액체 세정제
CN115485356A (zh) 手洗餐具洗涤剂组合物
JP5439205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185253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779392B2 (ja) 液体洗浄剤
JP4198530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7278061B2 (ja) 食器用洗浄剤組成物
KR101958029B1 (ko) 부엌용 액체 세정제
CN107922890B (zh) 洗餐具用液体洗涤剂
KR101941293B1 (ko) 부엌용 액체 세정제
JP5802604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
JP5878327B2 (ja)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JP543920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802612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
JP4932461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6014102A (ja) 食器洗い用液体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