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33A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33A
KR20130120233A KR1020120043335A KR20120043335A KR20130120233A KR 20130120233 A KR20130120233 A KR 20130120233A KR 1020120043335 A KR1020120043335 A KR 1020120043335A KR 20120043335 A KR20120043335 A KR 20120043335A KR 20130120233 A KR20130120233 A KR 2013012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erv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216B1 (ko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4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21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를 비접촉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동작을 전송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불필요한 배터리의 완충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고, 주차장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거나,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중 콘센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어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그러나 종래에 기술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은 배터리가 완충되어야 종료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배터리 소모 패턴에 따라서 배터리의 완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배터리가 완충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단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식은,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접촉식 충전의 경우에는, 상기 충전기 및 전기 자동차에 각각 구비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사이에서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와 같은 비접촉식 충전기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운행이 종료된 후 상기 전기 자동차를 상기 주차장에 주차한 후 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가 귀가한 후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거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전기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동작을 전송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관리 서버가, 전기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완충되거나 전기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한 양의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불필요한 배터리의 완충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접촉식 충전기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에 의하여 단말기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거나,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100), 관리 서버(200), 전기 자동차(300) 및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가 주차되는 주차장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를 비접촉식으로 충전한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4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는, 배터리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충전기(100) 및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은 일반 모드 충전 또는 배터리 소모 패턴을 고려한 패턴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주차장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되어 상기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400)를 통한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의 제어 및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주차장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주차장의 바닥면이나,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주차시 바퀴를 지지하는 스토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100)는, 1차 코일(140) 및 스위칭부(1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1차 코일(140)은, 전원 공급부(미도시)에서 전원을 인가받아서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을 위한 유도 자기를 생성한다. 상기 스위칭부(150)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1차 코일(140)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 및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자동차(300)에 관한 정보란,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주차에 관한 정보(상기 전기 자동차(300)가 주차된 위치 및 주차 시각)과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 선택된 충전 모드, 및 충전에 소요되는 충전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전기 자동차(300)에는, 배터리(310), 검출 유닛(320), 2차 코일(330), 정류부(340), 통신 유닛(350) 및 제어 유닛(360)이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31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 유닛(320)은,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검출한다. 상기 2차 코일(330)은, 상기 1차 코일(140)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에 의하여 전기를 유기하여 상기 배터리(3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340)는, 상기 2차 코일(330)에서 상기 배터리(310)로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한다. 상기 통신 유닛(350)은, 상기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통신 유닛(350)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와 같은 비접촉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상기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60)은,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360)이, 상기 검출 유닛(320)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은, 기설정된 기간, 예를 들면, 1일이나 1주 또는 충전 동작 사이의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역산된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을 기초로 계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60)은,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350)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충전기(100)와 이격되는 장소, 즉, 상기 주차장과 이격되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집이나 회사 등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400)로는, 이동 가능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말기(400)가 상기 주차장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소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네트워크, 예를 들면,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관리 서버(200)와 통신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의 개시 및 종료를 위한 신호 및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용량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400)가, 일반 충전 모드 및 패턴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일반 충전 모드란,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310)를 완충시키거나,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운행자 또는 소유자가 입력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310)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충전 모드란,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310)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동작이 1일 1회씩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310)의 1일 소모량이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량의 40%라면,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310)의 1일 소모량에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 또는 상기 배터리(310)의 1일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3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즉 상기 전기 자동차(300) 및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전기 자동차(300)의 제어 유닛(360)이,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한다.(S11)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360)은, 예를 들면, 1일 동안의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으로부터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300)가 주차지와 목적지 사이를 1일에 1회 왕복 운행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1회 왕복 운행에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이 80%에서 40%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을 상기 배터리(310)의 용량의 40%라고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1회 왕복 운행에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SOC)가 90%에서 10%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을 상기 배터리(310)의 용량의 80%라고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유닛(360)은, 상기 제11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 즉 상기 전기 자동차(300)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13)
그리고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제13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기 자동차(3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 또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17) 상기 제1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을 개시하는 신호 또는/및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1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서 충전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200)가, 상기 단말기(400)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충전 모드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40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그리고 상기 제19단계에서 상기 단말기(40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 서버(200)는, 패턴 모드 충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충전기(100)를 제어한다.(S21) 따라서 상기 배터리(310)의 소모 패턴에 따른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에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310)에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률은 1을 초과하는 양수(陽數)일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310)의 평균 소모량에 소정의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이 상기 배터리(310)에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9단계에서 상기 단말기(400)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상기 입력부(360)가 상기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일반 모드 충전이 수행된다.(S23) 따라서 상기 배터리(310)가 완충되거나, 설정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310)가 충전될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2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310)가 패턴 충전 모드로 충전되거나, 상기 제23단계에서 상기 배터리(310)가 일반 모드로 충전되면, 상기 단말기(400)로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S25) 상기 제2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로는, 상기 배터리(310)의 잔존 용량이나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예를 들면, 경과 시간 및 잔존 시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제25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S27)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기 자동차(300)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300)의 충전에 관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1단계에서의 패턴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23단계에서의 일반 충전 모드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9)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완료 여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패턴 충전 모드에서 소정의 전력량이 충전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일반 충전 모드에서 완충 또는 설정된 전력량이 충전되었는지 여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9단계에서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모드가 종료된다.(S31) 그리고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배터리(310)의 충전 모드의 종료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33) 또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제35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표시한다.(S35)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전기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동작을 전송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 및 그 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고,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충전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수행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거나 입력받은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는 충전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1을 초과하는 양수인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패턴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으로부터 역산되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9. 관리 서버가, 전기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배터리의 소모량을 기초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 소모 패턴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 패턴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만큼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패턴 충전 모드, 및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거나 입력한 전력량만큼 충전하는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패턴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1을 초과하는 양수인 안전률을 곱한 전력량 또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에 기설정된 크기의 예비량을 더한 전력량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120043335A 2012-04-25 2012-04-25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48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3335A KR101481216B1 (ko) 2012-04-25 2012-04-25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3335A KR101481216B1 (ko) 2012-04-25 2012-04-25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33A true KR20130120233A (ko) 2013-11-04
KR101481216B1 KR101481216B1 (ko) 2015-01-09

Family

ID=498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3335A KR101481216B1 (ko) 2012-04-25 2012-04-25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2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67A (ko) * 2019-03-07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사용 습관 및 배터리 방전 경향 예측 시스템
KR20220070892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복수 전기 차량의 충전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15019489A (zh) * 2022-08-10 2022-09-06 北京一通智能科技有限公司 电动车管理系统、检测系统及电动车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669A (ko) * 1996-08-29 1998-06-05 박병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존용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6074868A (ja) * 2004-08-31 2006-03-16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KR101262459B1 (ko) * 2010-10-12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원격 충전 제어를 위한 전기 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67A (ko) * 2019-03-07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사용 습관 및 배터리 방전 경향 예측 시스템
KR20220070892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복수 전기 차량의 충전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15019489A (zh) * 2022-08-10 2022-09-06 北京一通智能科技有限公司 电动车管理系统、检测系统及电动车管理方法
CN115019489B (zh) * 2022-08-10 2022-11-18 北京一通智能科技有限公司 电动车管理系统、检测系统及电动车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216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0632B2 (ja) 非接触給電装置
CN102445927B (zh) 用于远程充电控制的远程信息处理装置和提供服务的方法
KR101145682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JP5979310B2 (ja) 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387226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JP6090333B2 (ja) 非接触給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給電方法
US20150091510A1 (en) Wireless charging control apparatus,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253036A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cheduling method
KR101779637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79723A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101481216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2013153610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電力測定装置
JP5573125B2 (ja) 充電スタンド及び車両の充電方法
CN205565904U (zh) 一种磁感应式和磁共振式双模非接触充电装置
JP5756646B2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5007841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20137123A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5564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254258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2013158145A (ja) 充電システム
KR20140048502A (ko) 무선충전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법
CN204496595U (zh) 汽车遥控钥匙
JP2014033581A (ja) 非接触充電装置
KR20130120228A (ko)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5957971B2 (ja) 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