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23A -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23A
KR20130120223A KR1020120043321A KR20120043321A KR20130120223A KR 20130120223 A KR20130120223 A KR 20130120223A KR 1020120043321 A KR1020120043321 A KR 1020120043321A KR 20120043321 A KR20120043321 A KR 20120043321A KR 20130120223 A KR20130120223 A KR 2013012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und
oligom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497B1 (ko
Inventor
정순화
구재필
김부경
임기욱
장영래
김혜민
유은상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4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4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반사 방지 성능, 층간 밀착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대전 방지성이 우수하고, 백화 현상을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ANTI-REFLECTIVE FILM HAVING IMPROVED SCRATCH-RESIST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이 장착된다.
이전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는 투광성 기재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고굴절율층 및 저굴절율층이 적층된 3층 구조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기재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또는 고굴절율층과 저굴절율층이 적층된 2층 구조인 것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 필름은 건식법 또는 습식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그 중 상기 건식법은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기재 필름 상에 저굴절율 물질(예를 들면, MgF2, SiO2 등)을 박막으로 적층하거나, 고굴절율 물질(예를 들면, ITO(주석 도프 산화인듐), ATO(주석 도프 산화안티몬), ZnO, TiO2 등)과 상기 저굴절율 물질을 교호로 적층하는 방법이다. 상기 건식법은 각 층간 밀착성이 강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 비용이 높아 상업적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습식법은 고분자 수지,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건식법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낮아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습식법은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코트층, 고굴절율층 및 저굴절율층 등의 각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별도로 수행함에 따라, 각 층간 밀착성이 약하여 내찰상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 방지 필름은 온도 및 습도 등 환경 변화에 따라 백화 현상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정도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 및 저굴절율층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반사 방지 성능, 층간 밀착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전 방지성이 지속될 수 있고, 환경 변화에 따른 백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
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전 방지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율층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공 실리카 입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또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는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및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 방지제는 4급 암모늄염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수평균 입경이 20 내지 80 n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또는 저굴절율층은 상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수평균 입경 1 내지 100 nm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1 내지 20 ㎛이고, 상기 저굴절율층의 두께가 0.05 내지 0.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표면 저항이 1×108 내지 1×1012 Ω/□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광 경화형 수지와,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광 경화형 수지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하드코팅층의 형성 단계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대전 방지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와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율층의 형성 단계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및 중공 실리카 입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 경화형 화합물은 관능기 2 내지 10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반사 방지 성능, 층간 밀착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전 방지성이 지속될 수 있고, 환경 변화에 따른 백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몇 가지 용어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정의된다.
먼저, '광 경화형 화합물'(photo-curable compound)이라 함은 자외선 등의 광이 조사되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광 경화형 수지'(photo-curable resin)라 함은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의 중합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실리카 나노입자'(silica nanoparticles)라 함은 나노스케일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 미립자로서, 일례로 100 nm 수평균 입경을 나타내는 입자를 총칭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입자 내부에 실질적으로 빈 공간이 없는 무정형의 입자로 될 수 있다. 일례로, 실리카 나노입자는 규소 화합물 또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부터 도출되는 입자로서, 수평균 입경이 100 nm 이하이고 입자 내부에 빈 공간이 없는 규소 화합물 또는 유기 규소 화합물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중공 실리카 입자'(silica hollow particles)라 함은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의 입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중공 실리카 입자라 함은 규소 화합물 또는 유기 규소화합물로부터 도출되는 실리카 입자로서, 실리카 입자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의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히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라 함은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 또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와 반응 또는 상호 작용을 일으켜 결합 또는 가교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전기적 전하(charge)를 띄는 대전 방지제와, 콜로이드 상태로 안정하게 분산된 실리카 입자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상기 대전 방지제와 실리카 입자의 정전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대전 방지제가 응집되어, 조성물의 코팅시 헤이즈(haze)가 발생하거나 백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특정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는 알콕사이드 올리고머를 사용할 경우, 상기 대전 방지제와 실리카 입자의 상호 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실라카 입자가 포함된 층과의 밀착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
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층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기재 필름은 투명 지지체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이하 '당업계'라 함)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 필름은 광 투과도가 90 % 이상이고, 헤이즈 1 % 이하인 투명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의 소재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사이클로올레핀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10 내지 300 ㎛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하드코팅층은 특히 히드록시(-OH)기와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써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후술할 저굴절율층에 포함되는 중공 실리카 입자와의 반응 또는 상호 작용을 일으켜 결합 또는 가교될 수 있어 층간 밀착성이 향상되며,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적 전하(charge)를 띄는 대전 방지제는 후술할 중공 실리카 입자와의 정전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응집되어, 조성물의 코팅시 헤이즈(haze)가 발생하거나 백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의 하드코팅층에는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됨에 따라, 상기 대전 방지제와 실리카 입자의 상호 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중공 실라카 입자가 포함되는 층과의 밀착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드코팅층에 포함되는 광 경화형 수지는 자외선 등의 광이 조사되면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 경화형 화합물의 중합체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고, 이때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의 수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인 것이, 하드코팅층의 물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드코팅층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제는 본 발명의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그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양성계 등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 방지제는 4급 암모늄염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4급 암모늄염 화합물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저분자형 또는 고분자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는 저분자형 또는 고분자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대전 방지제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에 요구되는 최소한도의 대전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전 방지제는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제의 과량 첨가시 헤이즈 발생, 경도 저하, 경화 부족으로 인한 덜 건조된(tacky) 표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대전 방지제는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드코팅층에는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하 '올리고머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히드록시기와 반응 또는 상호 작용을 일으켜 결합 또는 가교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즉, 후술할 저굴절율층에 포함되는 중공 실리카 입자는 표면에 히드록시기가 존재하는데,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중공 실리카 입자 표면의 히드록시기와 가수분해 축합 반응을 통해 결합 또는 가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과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간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찰상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여 친수성(hydrophilic)을 나타냄에 따라, 전술한 대전 방지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전 방지제와 실리카 중공 입자의 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한 물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하드코팅층 내에 고르게 분포 가능하기 때문에 대전 방지제가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형성된 필름의 표면 저항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코팅 필름의 대전 방지 성능의 균일성을 높이고 대전 방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층간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대전 방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는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는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 물, 유기용매 및 촉매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20 내지 80 ℃의 온도 하에서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및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졸-겔 반응은 전술한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물과 급격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희석한 후 물을 천천히 드로핑하는 방법으로 상기 졸-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반응 효율 등을 감안하여, 물에 대한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의 몰비(금속이온 기준)는 3 내지 170인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또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중공 실리카 입자의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8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에 요구되는 최소한도의 층간 밀착성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을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 층간 밀착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고, 대전 방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코팅층의 경도 부족으로 인하여 내습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되는 저굴절율층을 포함한다. 상기 저굴절율층은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저굴절율층에 포함되는 광 경화형 수지는 전술한 하드코팅층에 포함되는 광 경화형 수지와 같거나 다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한편, 상기 저굴절율층에는 중공 실리카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속이 찬 입자(실리카 나노입자)에 비해 굴절율이 낮아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코팅층의 전반에 걸쳐 존재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조성물의 도포 후 건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분포율이 증가하게 되어, 막 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고 내찰상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수평균 입경이 1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nm일 수 있으며; 입자의 형성은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정형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불소계 화합물로 표면처리(코팅)된 것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를 불소계 화합물로 표면처리할 경우, 입자의 표면에너지를 더욱 낮출 수 있고, 그로 인해 조성물 내에 보다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내찰상성 향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불소계 화합물을 도입하는 방법은 중공 실리카 입자 및 불소계 화합물을 물 및 촉매 존재 하에서 졸-젤 반응에 의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내찰상성 및 반사 방지 효과를 확보하면서도 하드코팅층과의 층간 밀착력 향상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를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 필름의 투광율이 떨어져 화면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도 오히려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유기용매에 분산된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액의 고형분(중공 실리카 입자) 함량은 전술한 중공 실리카 입자의 함량 범위 및 조성물의 코팅에 적합한 점도 범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드코팅층 및 저굴절율층에는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름에 추가로 부여하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폴리에테르실록산계 레벨링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레벨링제, 폴리메틸알킬실록산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반응성 실리콘 등의 첨가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기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또는 저굴절율층에는 실리카 나노입자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나노 스케일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로서, 전술한 중공 실리카 입자와의 관계에서 속이 찬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조성물의 도포 후 건조 과정에서 하드코팅층 또는 저굴절율층의 전반에 분포하게 되며, 특히 막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내찰상성 향상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광 투과성, 헤이즈 특성 등을 고려하여, 수평균 입경이 1 내지 5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은 첨가에 따른 최소한도의 효과를 발현하면서도,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 하드코팅층 및 저굴절율층의 두께는 각 층에 의한 최소한의 효과를 확보하면서도 투과율, 계면 접착력 등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0 ㎛이고, 상기 저굴절율층의 두께는 0.05 내지 1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광 경화형 수지와,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광 경화형 수지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형성 단계는, 기재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용매 제거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각 성분의 함량을 고려하여 준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대전 방지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와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광 중합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 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조일벤조에이트류, 알파-아밀옥심에스테르류, 티옥산톤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의 함량에 따라 적절한 경화를 유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매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틸아세톤, 이소부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i-부탄올, t-부탄올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조성물을 코팅하는데 적합한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조성물의 코팅시 흐름성이 좋지 않을 경우 필름에 줄무늬가 생기는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매의 과량 첨가시 고형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건조 및 경화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용매의 함량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율층의 형성 단계는, 하드코팅층 상에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용매 제거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각 성분의 함량을 고려하여 준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및 중공 실리카 입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기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매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TTIP(titanium tetra-isopropoxide)를 준비하였다. 먼저 TTIP와 물의 반응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TTIP 53 g을 에탄올 40 g에 용해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 5 g을 천천히 드로핑하면서 70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비정질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상기 비정질 용액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입자를 제거하였고, 상부액을 취한 후, 에탄올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인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중량평균 분자량: 약 5500)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의 제조)
테트라에톡시실란 30 g,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0 g, 질산 2 g, 물 10 g, 및 에탄올 62 g을 혼합한 후, 5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생성물을 에탄올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인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중량평균 분자량: 약 6700)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95 g 및 제조예 1의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 분산액 5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6.25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5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1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중공 실리카 입자 분산액(제조사: 촉매화성 공업사, 분산매 메틸이소부틸케톤, 고형분 함량 20 중량%) 200 g[중공 실리카 입자 기준 40 g], 및 레벨링제로서 폴리에테르실록산계 중합체(제품명: TEGO Glide 450, 제조사: EVONIK) 5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이소부틸케톤(MIBK)과 2-부탄올을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2.5 중량%인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기재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앞서 준비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Mayer bar #10으로 코팅한 후, 90 ℃의 오븐에서 2 분간 건조하고, 여기에 100 mJ/㎠의 UV를 조사하여 두께 약 8 ㎛의 하드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앞서 준비한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을 Mayer bar #4로 코팅한 후, 90 ℃의 오븐에서 1 분간 건조하고, 여기에 150 mJ/㎠의 UV를 조사하여 두께 약 0.1 ㎛의 저굴절율층을 형성시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85 g 및 제조예 1의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 분산액 15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20.96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95 g 및 제조예 2의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분산액 5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6.25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80 g 및 제조예 2의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분산액 20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29.69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 분산액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60 g 및 제조예 1의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 분산액 40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79.17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경화형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 g, 디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40 g; 광 중합 개시제(제조사: CIBA, 제품명: Irgacure 184) 5 g; 및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아민계 모노머(제조사: KYOEISHA, 제품명: Light ester DQ-100) 10 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에틸케톤(MEK)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를 동량으로 혼합한 용매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 70 g 및 제조예 2의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분산액 30 g(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고형분 기준) 50.89 중량부 함유)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저굴절율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각각 물성을 측정/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투과율(%) 및 Haze(%): 무라카미사의 HR-100을 이용하여 투과율 및 Haze를 측정하였다.
2) 반사율(%): 반사 방지 필름의 뒷면을 흑색 처리한 후, 최소 반사율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장비로는 Shimadzu사의 Solid Spec. 3700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였다.
3) 내찰상성: 반사 방지 필름에 1 kg/㎠의 하중이 되는 강철솜(steel wool)을 24 m/min의 속도로 10 회 왕복하여, 스크래치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때, 스크래치의 개수 및 크기에 따라, 스크래치가 없는 경우 매우 우수(◎); 1 cm 이하의 가는 스크래치가 5 개 이하인 경우 우수(○); 1 cm 이하의 가는 스크래치가 5 개 초과 또는 1 cm 이상의 긴 스크래치가 1~3 개인 경우 다소 불량(△); 1 cm 이상의 긴 스크래치가 3개를 초과하는 경우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4) 내습열성 테스트: 반사 방지 필름을 온도 60 ℃ 및 상대습도 90%인 조건 하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표면의 백화 현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표면 저항값의 변화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때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저항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통과(Pass), 백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표면 저항값이 변화한 경우 실패(Fail)로 평가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투과율(%) 95.3 95.2 95.2 95.3 95.3 94.9 95.1
헤이즈(%) 0.2 0.2 0.2 0.2 0.2 0.2 0.2
반사율(%) 1.1 1.0 1.2 1.2 1.2 0.95 1.2
표면저항
(Ω/□)
5×109 5×109 5×109 5×109 5×109 5×109 5×109
내습열성 Pass Pass Pass Pass Pass Fail
(백화)
Fail
(백화)
내찰상성 X X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투과율, 헤이즈 값, 반사율 및 표면저항 값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4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비교예 1~3에 따른 필름에 비하여, 하드코팅층에 히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층간 밀착력이 향상되어 내찰상성이 우수하였으며, 내습열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되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
    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전 방지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율층은 광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공 실리카 입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또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반사 방지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는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는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인 반사 방지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및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반사 방지 필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반사 방지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4급 암모늄염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반사 방지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는 수평균 입경이 1 내지 100 nm인 반사 방지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또는 저굴절율층은 상기 광 경화형 수지 내에 분산된 수평균 입경 1 내지 50 nm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더욱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0 ㎛이고, 상기 저굴절율층의 두께는 0.05 내지 1 ㎛인 반사 방지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저항이 1×108 내지 1×1012 Ω/□인 반사 방지 필름.
  13.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광 경화형 수지와, 대전 방지제와,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 및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광 경화형 수지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저굴절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형성 단계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대전 방지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알콕시 실란계 올리고머와 금속 알콕사이드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율층의 형성 단계는, 광 경화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50 중량부, 및 중공 실리카 입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은 관능기 2 내지 10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인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20043321A 2012-04-25 2012-04-25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21A KR101519497B1 (ko) 2012-04-25 2012-04-25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21A KR101519497B1 (ko) 2012-04-25 2012-04-25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23A true KR20130120223A (ko) 2013-11-04
KR101519497B1 KR101519497B1 (ko) 2015-05-12

Family

ID=4985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21A KR101519497B1 (ko) 2012-04-25 2012-04-25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49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624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저굴절층 및 반사 방지 필름
KR20170098166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굴절층 형성용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WO2017155337A1 (ko) * 2016-03-09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KR20180134251A (ko) * 2017-06-08 2018-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0222510B2 (en) 2016-03-09 2019-03-05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WO2019146948A1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221573A1 (ko) * 2018-05-18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605960B2 (en) 2016-01-13 2020-03-31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1530728A (ja) * 2018-06-20 2021-11-11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複合フィルム
CN114538789A (zh) * 2021-05-27 2022-05-27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玻璃
US11428848B2 (en) 2018-01-24 2022-08-30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11732142B2 (en) 2018-05-18 2023-08-22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6608A (zh) * 2015-08-11 2017-11-28 株式会社Lg化学 可光固化的涂层组合物、低折射率层和减反射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037A (ja) * 2003-11-27 2005-06-16 Konica Minolta Opto Inc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624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저굴절층 및 반사 방지 필름
US10605960B2 (en) 2016-01-13 2020-03-31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102041A (ko) * 2016-02-19 2018-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굴절층 형성용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KR20170098166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굴절층 형성용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US10802178B2 (en) 2016-03-09 2020-10-13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US10222510B2 (en) 2016-03-09 2019-03-05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US11275199B2 (en) 2016-03-09 2022-03-15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US11262481B2 (en) 2016-03-09 2022-03-01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US10983252B2 (en) 2016-03-09 2021-04-20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WO2017155337A1 (ko) * 2016-03-09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US10627547B2 (en) 2016-03-09 2020-04-21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US10895667B2 (en) 2016-03-09 2021-01-19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KR20180134251A (ko) * 2017-06-08 2018-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0535462A (ja) * 2018-01-24 2020-12-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11428848B2 (en) 2018-01-24 2022-08-30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CN111133348A (zh) * 2018-01-24 2020-05-08 株式会社Lg化学 抗反射膜、偏光板和显示装置
TWI693426B (zh) * 2018-01-24 2020-05-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抗反射膜、偏光板及顯示器設備
KR20190090295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46948A1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506820B2 (en) 2018-01-24 2022-11-22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WO2019221573A1 (ko) * 2018-05-18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732142B2 (en) 2018-05-18 2023-08-22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2021530728A (ja) * 2018-06-20 2021-11-11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複合フィルム
US11584856B2 (en) 2018-06-20 2023-02-2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US11840642B2 (en) 2018-06-20 2023-12-1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CN114804646A (zh) * 2021-05-27 2022-07-29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减反射镀膜液的制备方法
CN114538789A (zh) * 2021-05-27 2022-05-27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玻璃
CN114538789B (zh) * 2021-05-27 2024-02-06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玻璃
CN114804646B (zh) * 2021-05-27 2024-02-06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减反射镀膜液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497B1 (ko)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497B1 (ko)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6552B1 (ko)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07510B2 (ja) 光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低屈折層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6789593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1092573B1 (ko) 반사 방지 코팅용 조성물,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3950B1 (ko)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58414B2 (ja) 反射防止積層体の製造方法
JP5064649B2 (ja) 反射防止積層体
JP5526468B2 (ja) 反射防止積層体
JP4362509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59510B1 (ko) 반사 방지 필름
KR20170106923A (ko) 반사 방지 필름
EP2762540B1 (en)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provid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ti-reflective film us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70106803A (ko)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을 갖는 코팅 조성물, 저굴절층 및 반사 방지 필름
WO2017155336A1 (ko) 반사 방지 필름
JP2006330397A (ja) 反射防止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50938A1 (ko) 반사 방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