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856A -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856A
KR20130119856A KR1020130008148A KR20130008148A KR20130119856A KR 20130119856 A KR20130119856 A KR 20130119856A KR 1020130008148 A KR1020130008148 A KR 1020130008148A KR 20130008148 A KR20130008148 A KR 20130008148A KR 20130119856 A KR20130119856 A KR 2013011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extract
weight
intestine
inflammato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봉환
주영은
양성렬
최기오
송동업
장미선
박영란
윤현중
김현우
김유진
Original Assignee
다산엠앤에프(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산엠앤에프(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다산엠앤에프(주)
Publication of KR2013011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만든 조성물들은 배양된 장세포와 대식세포에서는 물론 대장염 유발 생쥐에서도 탁월한 항염증효과를 가지며, 안전한 상용식품으로부터 간단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찹쌀의 수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glutinous rice water-extracts}
본 발명은 찹쌀수(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장(腸) 조직에 항(抗) 염증작용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찹쌀수추출물이 위궤양 발생을 억제하며, 발생된 궤양을 치유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상용식품의 추출물로서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안 등, 한국특허 제0208969호, 1999; 안 등, 한국특허 제 0253740호, 2000; 안 등, 한국특허 제10-0627820호, 2006)
한편, 동의보감에도 찹쌀의 지사(止瀉)작용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찹쌀의 장염 억제 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문헌상 보고된 예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장조직에 미치는 찹쌀의 항염증 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찹쌀수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장조직에 항염증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찹쌀분말로부터 수(水)추출물(이하 “찹쌀수추출물”이라 함)을 만들고, 다시 이로부터 세부 분획들을 만들어 래트(rat)의 장세포 및 마우스 골수 유래의 대식세포와 같은 배양된 세포에 대한 항염증 작용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적으로 대장염을 일으킨 동물에게 찹쌀수추출물을 섭취시켜 항염증작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찹쌀수추출물이 상기세포들과 실험동물에서 효과적인 항염증작용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찹쌀수(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腸)을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및 찹쌀수(水)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은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은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실온에서 12-24시간 방치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은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구연산, 초산 또는 사과산을 0.1-1.0중량% 가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은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실온에 방치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중량의 증류수에 부유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40-65℃에서 1-24시간 동안 부치(incubation)하는 단계; 및
e)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맑은 액체인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가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은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구연산, 초산 또는 사과산을 0.1-1.0중량% 가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중량의 증류수에 부유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40-65℃에서 1-24시간 동안 부치하는 단계; 및
e)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맑은 액체인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가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보호를 위한 항염증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구 투여형태는, 액제, 정제, 캡슐제이며, 이는 젤라틴, 솔비톨, 트라가칸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유당, 설탕, 옥수수 전분, 글리신 등의 충전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등의 윤활제; 전분 등의 붕해제; 습윤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위장관 내에서의 분해 및 흡수를 조절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 첨가제, 예를 들면, 설탕,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식품염료, 염색락카, 방향족화제 및 안료 등과 같은 보호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이용하여 당의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액제 형태의 음료 조성물은 찹쌀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액상과당을 7-10 중량%, 구연산을 0.1-0.2 중량%로 가하여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액상과당 대신 설탕 또는 포도당을, 구연산 대신 초산 또는 사과산을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과, 오렌지, 파인애플, 포도, 자몽 과즙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10-30 중량%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만든 조성물들은 배양된 장세포와 대식세포에서는 물론 대장염 유발 생쥐에서도 탁월한 항염증효과를 가지며, 안전한 상용식품으로부터 간단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찹쌀의 수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찹쌀수(水)추출물과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이 장상피(RIE)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매개인자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한 반면, 찹쌀수추출물액상분획은 NFκB의 활성화에 대한 억제능이 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N=3). (*p<0.05, **p<0.01 : LPS 단독 처리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ANOVA에 의해 분석함))
도 2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이하 “침전분획가용화물”이라 함)이 장상피(RIE)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N=3). (*p<0.05, **p<0.01 : LPS 단독 처리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ANOVA에 의해 분석함))
도 3은 침전분획가용화물이 장상피(RIE)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매개인자 IL-12p40, IL-23p19, IL-1β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E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을 가리킨 것이다.
도 4는 침전분획가용화물이 골수 유래의 대식세포(BMM)에서 LPS로 유도된 IκBα의 분해를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E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을 가리킨 것이다.
도 5는 침전분획가용화물이 골수 유래의 대식세포(BMM)에서 LPS로 유도된 NFκB-p65의 DNA 결합을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E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을 가리킨 것이다.
도 6은 침전분획가용화물이 골수 유래의 대식세포(BMM)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매개인자 TNF-α, IL-6, MCP-1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E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을 가리킨 것이다.
도 7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섭취가 DSS로 유발된 대장염이 있는 마우스의 대장(大腸) 길이의 감소를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가리킨 것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N=6). (*p<0.05 : DSS 처리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ANOVA에 의해 분석함))
도 8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섭취가 DSS로 유발된 대장염이 있는 마우스에서 혈청 사이토카인(cytokine) 증가를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GR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가리킨 것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N=6). (*p<0.05 : DSS 처리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ANOVA에 의해 분석함))
도 9는 pNFκB-Luc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찹쌀수(水)추출물 제조
찹쌀분말 200g에 5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믹서기를 사용하여 30초간 3회 진탕하였다. 진탕후 1,000×g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고, 미국 피어스(Pierce)사의 BCA 키트를 사용하여 상층액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1.56㎎/㎖이었다. 이 상층액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단백질 농도가 1㎎/㎖이 되도록 하고 이를 찹쌀수(水)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찹쌀수추출물 침전분획 및 액상분획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찹쌀수추출물 400㎖를 실온에서 15시간 방치하여 침전이 충분히 일어나게 한 후 2,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과 맑은 액상부분으로 분리하고, 침전물을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으로 사용하였으며, 맑은 액상부분을 찹쌀수추출물액상분획으로 사용하였다.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세포에 전처리할 때는 원래의 찹쌀수추출물과 동일 용량의 증류수에 부유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 제조
실시예 2와 같이 제조한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400㎖의 증류수에 부유시키고 55℃에서 5시간 동안 흔들면서 부치(incubation)한 후 2,000×g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맑은 상층액을 얻어 이를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가용화물(이하, "침전분획가용화물"이라 함)로 사용하였고, 이 중 200㎖를 동결건조(145㎎의 고형물을 얻음)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포함하는 동물사료( chow ) 제조
찹쌀 1kg을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같이 처리하여 얻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동결건조하여 약 10.4g의 고형분말을 얻었다. 실험동물사료제조회사(Dae Han Biolink Co., Chungbuk, Korea)에 의뢰하여 상기 고형분말을 각각 0.5%와 1.0% 포함하는 표준사료 AIN-76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래트의 장상피세포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의 항염증 작용
1) 염증매개인자 NF κB의 활성화 억제
(1) pNF κB- Luc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측정방법
NFκB는 대표적인 세포내 염증매개 전사인자이다. 이 실험에서는 보고유전자(reporter gene)인 루시퍼라제(luciferase)의 발현이 NFκB의 활성에 반응하는 요소인 κB4서열에 의해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 pNFκB-Luc (Clontech, CA, USA, 도 9 참조)를 생쥐의 장상피세포 유래 세포주인 RIE세포에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켜 사용하였다. 이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RIE 세포를 처리하여 NFκB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찹쌀수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관찰하였는데, RIE 세포는 LPS 처리 전에 추출물로 전처리되었다. 자세한 측정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105 개의 RIE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다음날 배지를 새로 갈아주어 준비하였다. 플라스미드 DNA 1.5 ㎍을 3 ㎕의 Fugene HD (Roche, France)와 혼합하여 준비된 세포에 형질감염하였다. 다음날 6-웰 1개 분량의 세포를 6개의 24-웰에 나누어 옮기고 하루 더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찹쌀수추출물을 0-100㎕ 또는 0-2 ㎎/㎖ 농도(반응총액량 500㎕)로 가하여 30분간 전처리 하였고, 여기에 LPS (Sigma, MO, USA) 10 ㎍/㎖를 가하여 2 시간 동안 NFκB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발현이 유도된 루시퍼라제의 측정은 Promega (WI, USA)의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luciferase assay system)을 사용하였다. NFκB의 활성화가 유도된 세포를 0.1 ㎖ PBS에 녹이고, 이중 1 ㎕의 시료를 취하여 제작사가 제공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LPS 에 의해 유도된 NF κB의 활성화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의 효과
도 1, 도 2에서 보듯이 pNFκB-Luc에 의해 형질감염된 RIE세포를 LPS로 자극하면 루시퍼라제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때 이들 세포를 찹쌀수(水)추출물,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0-100㎕로 전처리 하거나, 침전분획가용화물 0-2㎎/㎖로 전처리 하면 LPS에 의한 루시퍼라제 활성유도가 찹쌀수추출물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더 크게 억제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기준치보다 루시퍼라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찹쌀수추출물이 LPS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할 뿐 아니라 혈청에 의해 활성화되는 부분까지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찹쌀수추출물 중 액상분획은 NFκB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따라서 찹쌀수추출물의 항염증활성은 주로 침전분획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2) LPS 에 의해 유도된 다른 염증매개인자 발현 억제
(1) RT - PCR 을 이용한 IL -12 p40 , IL -23 p19 , IL -1β 유전자 발현 측정
RIE 세포를 100㎍/㎖의 침전분획가용화물로 1시간 전처리 하고 10㎍/㎖ LPS로 1시간과 4시간 자극한 후에 세포를 수집하였다. 세포로부터 RNA를 TRIzol시약 (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나노드랍 리더(Nanodrop reader)를 이용하여 RNA양과 순도를 측정하였다. RNA 1㎍으로부터 cDNA 첫가닥을 MMLV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 (Invitrogen)완 RNAsin (Takara, Shiga, Japan)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cDNA는 각 유전자의 특이 시발체(primer)와 G0 taq. Polymerase (Promega, WI, USA)를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시발체들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 PCR Primers의 서열
IL-12p40 forward 5'- GGC TCT GGA AAG ACC CTG ACC -3'
reverse 5'- GAG GGA GAA GTA GGA ATG GGG -3'
IL-23p19 forward 5'- CTC AAG GAC AAC AGC CAG TTC-3'
reverse 5'- GGC ACT AAG GGC TCA GTC AG -3'
IL-1β forward 5'- CTA CCT ATG TCT TGC CCG TGG -3'
reverse 5'- GCA GGT CGT CAT CAT CCC AC-3'
(2) 찹쌀수추출물에 의한 IL-12p40, IL-23p19, IL-1β 유전자 발현 억제
도 3에서 보듯이 RIE 세포에서 상기 염증매개인자들의 유전자는 LPS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세포를 침전분획가용화물로 전처리하면 각각 다양한 정도로 발현이 억제되었다. IL-1β의 경우 4시간 동안 발현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IL-12p40과 IL-23p19는 초기에 발현이 강력히 억제되었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회복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찹쌀수추출물로서 침전분획가용화물을 사용하였는데, 4시간 동안 세포를 부치하는 본 실험에서는 부유액 상태인 찹쌀수(水)추출물이나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보다 가용상태인 침전분획가용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찹쌀수추출물이 RIE세포에서 NFκB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IL-12p40, IL-23p19, IL-1β의 발현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의 억제작용
대식세포는 장(腸)을 비롯한 많은 조직의 염증과정에 참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대식세포는 골수세포에서 유래한 세포(BMM세포)로서 골수세포는 C57 /B1/6 생쥐로부터 채취하였다(Chambers TJ등, Proc Natl Acad Sci USA 1993, 90:5578-5582).
1) LPS 에 의해 유도된 NF κB 활성화 억제작용
(1) IκBα 분해에 미치는 영향
NFκB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그것의 억제 소단위인 IκBα의 분해가 일어나야 한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BMM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IκBα의 분해에 미치는 침전분획가용화물의 영향을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BMM세포를 100㎍/㎖의 침전분획가용화물로 1시간 전처리하고 1㎍/㎖ LPS로 30분간 자극한 다음 세포를 분리, 용해하고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에 의해 IκBα양을 측정하였다(Song Y-A 등, BMC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1, 11:91-99).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IκBα는 LPS처리에 의해 그 양이 감소하였으며, 이때 침전분획가용화물로 전처리 하면 IκBα의 감소가 완전히 억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LPS 처리 전의 기준치보다 그 양이 현저히 많았다.
(2) NF κB- p65 DNA 결합에 미치는 영향
NFκB가 활성화되면 그것의 활성 소단위인 p65는 핵내로 옮겨져 DNA와 결합한다. 이 실험에서는 BMM세포를 각각 100㎍/㎖의 침전분획가용화물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NFκB억제제인 BAY11-7082(10μM)로 1시간 전처리 하고 1㎍/㎖ LPS로 자극한 다음 세포를 분리하고 핵 추출물을 얻은 다음 EMSA에 의해 NFκB-p65와 DNA와의 결합을 측정하였다(Song Y-A 등, BMC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1, 11:91-99).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처리에 의해 NFκB-p65-DNA 결합체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침전분획가용화물이나 BAY11-7082로 전처리 하면 LPS에 의한 NFκB-p65-DNA 결합체의 양적 증가가 완전히 억제 되었다.
도 4와 도 5의 결과로부터 BMM세포에서도 침전분획가용화물에 의해 NFκB의 활성화가 강력하게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2) LPS 에 의해 유도된 TNF -α, IL -6, MCP -1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전술한 RIE세포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 RT-PCR을 이용하여 BMM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TNF-α, IL-6, MCP-1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침전분획가용화물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BMM세포를 100㎍/㎖의 침전분획가용화물로 1시간 전처리하고 1㎍/㎖ LPS로 자극한 다음 1시간과 4시간 후에 세포를 분리, 용해하고 RNA를 얻은 후 상기 염증매개인자들에 특이한 시발체를 사용하여 RT-PCR을 시행하였다. 사용한 시발체들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 PCR Primers의 서열
TNF-α forward 5'- GCA CAG AAA GCA TGA TCC GCG -3'
reverse 5'- GGA GCA CGT AGT CGG GGC AG -3'
IL-6 forward 5'- GGA TAC CAC CCA CAA CAG ACC-3'
reverse 5'- GGT CCT TAG CCA CTC CTT CTG -3'
MCP-1 forward 5'- CTG TCA TGC TTC TGG GCC TG-3'
reverse 5'- GAA GAC CTT AGG GCA GAT GCA G -3'
그 결과 도 6에서 보듯이 LPS는 BMM세포에서 TNF-α, IL-6, MCP-1 유전자의 발현을 다양한 정도로 유도하였으며, 침전분획가용화물은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매개인자 유전자의 발현을 거의 완전히 억제하였다.
이로써 침전분획가용화물이 BMM 세포에서도 NFκB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다른 염증매개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생쥐에서 덱스트란 설페이트 소듐( DSS )에 의해 유발된 대장염( 大腸炎 )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의 억제 작용
1) DSS 에 의한 대장염 유발
몸무게 20±1g의 생쥐(C57BL/6NCRjOri SPF/VAF)를 사용하였으며 무균(SPF)환경에서 음용수와 사료를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동물(실험군당 6마리)에게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각각 0.5%와 1.0% 포함하는 AIN-76사료와 대조군으로서 찹쌀추출물침전분획을 포함하지 않은 AIN-76사료를 섭취시켰는데 실험군 사이에 사료와 음용수 소비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기 사료 섭취 4일째부터 음용수에 3% DSS(MP Biomedicals, Aurora, OH)를 첨가하여 대장염을 유발시켰다. DSS처리 5일 후에 경추탈골과 이산화탄소질식으로 동물을 희생하고, 심장천자를 통해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cytokine 측정에 사용하고, 대장을 적출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 혈청 IL-6, TNF-α 농도 측정은 각각 ELISA kit(BD Bioscienc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DSS 에 의한 대장 길이 감소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의 영향
생쥐에서 DSS 처리로 대장에 염증이 발생하면 대장 길이의 감소가 일어난다(Song Y-A등, BMC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1, 11:91-99).
이때 도 7에서 보듯이 생쥐에게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시키면 DSS 처리에 따른 대장 길이의 감소가 부분적으로 억제되었다.
3) DSS 에 의한 혈청 cytokine 증가에 미치는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의 영향
생쥐에게 DSS 처리를 하면 도 8에서 보듯이 혈청내 IL-6, TNF-α와 같은 cytokine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때 생쥐에게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시키면 DSS 처리에 따른 IL-6, TNF-α의 증가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로써 찹쌀수추출물은 장세포와 대식세포와 같은 세포수준에서 뿐 아니라 동물 model에서도 항염증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제제실시예 1 : 정제
찹쌀 25g을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같이 처리하여 얻은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을 동결건조하여 약 250mg의 고형분말을 얻었다. 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를 통상의 정제화 과정에 따라 수득하였다.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동결건조 분말
250mg
엽산 0.5mg
전분 250mg
제제실시예 2 : 캡슐
하기의 성분을 잘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250mg의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고형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을 수득하였다. 이 때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고형분말은 제제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동결건조 분말
250mg
전분 140mg
유당 140mg
제제실시예 3 : 음료
찹쌀 25g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얻은 찹쌀수(水)추출물에 액상과당을 7-10중량%, 구연산을 0.1-0.2중량% 가하여 140㎖의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실시예 4 : 음료
찹쌀 25g을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얻은 맑은 용액에 액상과당을 7-10중량%, 구연산을 0.1-0.2중량% 가하여 140㎖의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110> DASAN M&F, INC.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0>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glutinous rice water-extracts <130> 2012dp114 <150> KR 10-2012-0042871 <151> 2012-04-24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IL-12p40 gene <400> 1 ggctctggaa agaccctgac c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IL-12p40 gene <400> 2 gagggagaag taggaatggg g 21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IL-23p19 gene <400> 3 ctcaaggaca acagccagtt c 21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IL-23p19 gene <400> 4 ggcactaagg gctcagtcag 20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IL-1beta gene <400> 5 ctacctatgt cttgcccgtg g 21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IL-1beta gene <400> 6 gcaggtcgtc atcatcccac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TNF-alpha gene <400> 7 gcacagaaag catgatccgc g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TNF-alpha gene <400> 8 ggagcacgta gtcggggcag 20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IL-6 gene <400> 9 ggataccacc cacaacagac c 21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IL-6 gene <400> 10 ggtccttagc cactccttct g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forward primer for detecting MCP-1 gene <400> 11 ctgtcatgct tctgggcctg 20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PCR Primers: Synthesized reverse primer for detecting MCP-1 gene <400> 12 gaagacctta gggcagatgc ag 22

Claims (8)

  1. 찹쌀수(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이,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이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실온에서 12-24시간 방치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이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구연산, 초산 또는 사과산을 0.1~1.0중량% 가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이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실온에 방치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중량의 증류수에 부유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40-65℃에서 1-24시간 동안 부치(incubation)하는 단계; 및
    e)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맑은 액체인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가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찹쌀수추출물이
    a) 찹쌀분말에 2-20배 무게의 증류수를 가하고, 혼합, 및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구연산, 초산 또는 사과산을 0.1~1.0중량% 가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중량의 증류수에 부유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40-65℃에서 1-24시간 동안 부치하는 단계; 및
    e)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에 의해 얻어진 맑은 액체인 찹쌀수추출물침전분획 가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찹쌀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음식 조성물.
KR1020130008148A 2012-04-24 2013-01-24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KR20130119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71 2012-04-24
KR20120042871 2012-04-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56A true KR20130119856A (ko) 2013-11-01

Family

ID=494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148A KR20130119856A (ko) 2012-04-24 2013-01-24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19856A (ko)
WO (1) WO2013162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4719A (zh) * 2018-08-15 2018-11-30 佛山市三水区嘉华化学研究院(普通合伙) 一种地骨皮精胺生物碱抗炎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969B1 (ko) * 1995-10-26 1999-07-15 이민화 찹쌀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궤양제
KR100627820B1 (ko) * 1999-08-26 2006-09-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찹쌀추출물 및 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위궤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17996B1 (ko) * 2004-12-10 2007-05-14 주식회사 유니젠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09143065A2 (en) * 2008-05-18 2009-11-26 Rice Science, Llc Rice bran extra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126A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06800A (ja) ファルネソイドx受容体活性化剤
WO2009093584A1 (ja) 植物由来の高尿酸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JP5608629B2 (ja) サーチュイン1(sirt1)遺伝子活性化剤及びテロメラーゼ逆転写酵素(tert)遺伝子活性化剤
US882270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bone disease, functional food or health food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US20130102554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JPWO2006033351A1 (ja) チオレドキシン発現誘導用組成物
KR20160071074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3007974A1 (fr) Compositions inhibant la production des tnf et inhibiteurs de production des tnf
EP1627634A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lipid in body
KR20200048057A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ES2907857T3 (es) Extracto de algas rojas para su uso para la prevención o el tratamiento de un trastorno intestinal
KR102158667B1 (ko) 면역기능 조절 및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효과를 갖는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 WiKim010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30119856A (ko) 찹쌀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장(腸)보호를 위한 항(抗)염증 조성물
KR102650558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pl6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JP2019006828A (ja) 脳の機能改善剤および脳の機能改善用飲食品
KR20150097442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933633B2 (ja) サーチュイン1(sirt1)遺伝子活性化剤及びテロメラーゼ逆転写酵素(tert)遺伝子活性化剤
WO2011090265A2 (ko) 신코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81350B1 (ko)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6462755B2 (ja) 脳の機能改善剤および脳の機能改善用飲食品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30024745A (ko)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비만 억제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