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686A - 보트 - Google Patents
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9686A KR20130119686A KR1020120042676A KR20120042676A KR20130119686A KR 20130119686 A KR20130119686 A KR 20130119686A KR 1020120042676 A KR1020120042676 A KR 1020120042676A KR 20120042676 A KR20120042676 A KR 20120042676A KR 20130119686 A KR20130119686 A KR 201301196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boat
- base
- fuselage
- bodi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의 선저 베이스를 포함하는 선체의 베이스(100), 선체의 베이스(100)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내부에 각 수용 공간(A, B)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 및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또는 데크(300)에 대하여 결합되어 트랜섬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섬부(600)를 구비하는 보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성과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정형성과 경량성을 가지면서 자체 부력을 통한 안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저속 주행시 쌍동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롤링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고속 주행시 주행성이 향상되는 단동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쌍동선과 단동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보트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수상에서 운행하는 보트의 경우에 주행성과 연비의 절감을 위하여 대부분 헐이 단동선으로 이루어져 운영되고 있으나, 단동선의 경우에 선체의 무게 중심이 중앙 용골에 위치하기 때문에 선체의 좌우에 대한 파력에 대하여 민감하게 작용함으로써 승선원의 피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전복의 큰 파력에는 전복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체의 무게 중심을 좌우로 분할하여 부력을 가지게 하는 쌍동선이 이용되고 있다. 쌍동선은 수상 안전과 관련하여 단동선보다는 롤링에 대하여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나, 쌍동선의 헐이 서로 충분히 이격되지 않으면 주행중에 헐들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속력은 유체역학의 연속의 정리에 의하면 헐의 양쪽 바깥측의 물의 속력보다 훨씬 크게 되어 주행시 외부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주행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헐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동선의 주행성과 쌍동선의 안전성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는 보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시 단동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주행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속이나 정지시에 롤링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쌍동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의 선저 베이스를 포함하는 선체의 베이스(100), 선체의 베이스(100)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내부에 각 수용 공간(A, B)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 및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또는 데크(300)에 대하여 결합되어 트랜섬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섬부(600)를 구비하는 보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300)와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의 후미 개구부인 제1 및 제2 동체후미(212, 222)를 마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동체마감재(510, 5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미 부분에서 제1 동체(210)와 제2 동체(220) 사이의 공간(C)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막이부(7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저면은 단동선 형태의 선저면(112)을 가지도록 평판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나 평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는 공기 튜브 또는 복수개의 기체가 내포된 캡슐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막이부(700)는 보트의 정지시나 저속 주행시에 상기 공간(C)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7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막이부(700)는 탄성적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물막이부(700)의 상부는 트랜섬부(600)에 대하여 결합됨으로써 물막이부(700)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시 단동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주행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속이나 정지시에 롤링의 영향을 적게 받음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주행 주행에 따른 부상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정지 또는 저속 주행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주행 주행에 따른 부상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정지 또는 저속 주행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는 선체의 선수, 선측 및 선저의 베이스를 이루는 선체의 베이스(100), 선체의 베이스(100)의 양 내측면의 종방향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위치하며 내부에 각 수용 공간(A, B)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과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상면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300),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의 후미 개구부인 제1 및 제2 동체후미(212, 222)를 마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동체마감재(510, 520),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또는 데크(300)에 대하여 결합되어 트랜섬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섬부(600), 및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미 부분에서 제1 동체(210)와 제2 동체(220)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막이부(700)로 이루어진다.
선체의 베이스(100)는 수면과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주행하기 위한 단동선 형태의 선저면(112)을 가지도록 평판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나 평판 금속재가 복수개의 절편으로 절개되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는 선체의 양 내측면(114) 종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선체의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각 수용 공간(A, B)을 제공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는 평판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나 평판 금속재가 절곡되거나 복수개로 절개된 상태에서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내측에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A, 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300)는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과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상면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위치가 좌우로 변위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 튜브 대신에 복수개의 단위 부력체, 예를 들면 기체가 내포된 캡슐들이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충만되어도 좋다.
제1 및 제2 동체마감재(510, 520)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의 후미 개구부인 제1 및 제2 동체후미(212, 222)를 마감하기 위하여 각 수용 공간(A, B)의 후미 개구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 평판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나 평판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그 모서리에는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선저면(112)이나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제1 및 제2 동체후미(212, 222)의 내측면에 결합되기 위하여 절곡된 결합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섬부(600)는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또는 데크(300)에 대하여 결합되어 트랜섬을 제공한다.
물막이부(700)는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미 부분에서 제1 동체(210)와 제2 동체(220) 사이의 공간, 즉 물의 유출입 공간(C)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의 유출입이 자유롭게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물막이부(700)는 보트의 정지시나 저속 주행시에 물의 유출입 공간(C)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7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물막이부(700)와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사이의 공차를 충분히 크게 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여도 좋다. 물막이부(700)의 회동이 가능한 구성은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에 대하여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회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탄성적인 고무재질로 물막이부(700)가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물막이부(700)의 상부는 트랜섬부(600)에 대하여 결합됨으로써 물막이부(700)가 회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물막이부(700)는 흡입구(71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회동의 구성은 생략되어도 좋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주행 주행에 따른 부상의 과정을 나타낸 도 1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정지 또는 저속 주행시의 도 1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는 주행전에 수면(H)의 아래에 잠기는 선체의 깊이(D)는 자중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일부분이 잠기지만, 동력의 추진에 의하여 주행할 경우에는 선체가 수면(H)에 대하여 부상을 시작하여 수면(H)의 아래에 잠기는 선체의 깊이(d)는 주행전의 깊이(D)보다 작게 되어, 단동선의 형태를 가진 선저면(112H) 부분만이 수면(H)에 잠기게 된다. 이 때 선체의 부상에 따른 물막이부(700)와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사이의 유출입 공간(C) 내에 수용된 물(W)의 상대속도는 선체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외측, 즉 선체의 베이스(100)의 외측에 있는 물의 상대속도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하여 압력이 상대속도에 반비례하여 높아짐으로써 물막이부(700)를 외측으로 회동시키며, 그에 따라 그 공간의 물(W)이 선체의 밖으로 유출되어 선체의 자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더 원할한 주행과 부상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트가 정지나 저속 주행시에는 물막이부(700)의 흡입구(710)를 통하여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사이에 마련된 유출입 공간(C)으로 물(W)이 유입되어 선체의 베이스(100)에 대하여 잠기는 수면(H)의 깊이(D)가 주행 중일 때나 같은 헐의 크기를 가진 단동선일 때보다 깊어질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와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에 의하여 양측에 각각 독립된 부력이 제공됨으로써 롤링에 대한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선체의 베이스(100)는 선측면과 선저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에 대하여 단동선의 용골을 가진 헐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V" 형태의 선저면이 분리되어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저면에 직접 결합되어도 좋다.
100: 선체의 베이스
112, 112H: 선저면
114: 측면
200: 동체
210: 제1 동체
212: 제1 동체후미
220: 제2 동체
222: 제2 동체후미
300: 데크
410: 제1 부력부재
42: 제2 부력부재
510: 제1 동체마감재
520: 제2 동체마감재
600: 트랜섬부
700: 물막이부
710: 흡입구
A, B: 수용공간
C: 유출입 공간
H: 수면
112, 112H: 선저면
114: 측면
200: 동체
210: 제1 동체
212: 제1 동체후미
220: 제2 동체
222: 제2 동체후미
300: 데크
410: 제1 부력부재
42: 제2 부력부재
510: 제1 동체마감재
520: 제2 동체마감재
600: 트랜섬부
700: 물막이부
710: 흡입구
A, B: 수용공간
C: 유출입 공간
H: 수면
Claims (8)
- 선체의 선저 베이스를 포함하는 선체의 베이스(100);
선체의 베이스(100)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내부에 각 수용 공간(A, B)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재되어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 및
선체의 베이스(100)의 측면 또는 데크(300)에 대하여 결합되어 트랜섬을 제공하기 위한 트랜섬부(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크(300)와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의 후미 개구부인 제1 및 제2 동체후미(212, 222)를 마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동체마감재(510, 5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1항에 있어서,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미 부분에서 제1 동체(210)와 제2 동체(220) 사이의 공간(C)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막이부(7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1항에 있어서, 선체의 베이스(100)의 선저면은 단동선 형태의 선저면(112)을 가지도록 평판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나 평판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내재되도록 선체의 부력을 제공하는 공기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력부재(410, 420)는 제1 및 제2 동체(200; 210, 220)의 각 수용 공간(A, B) 내에 긴밀하게 밀착내재되도록 공기가 충진된 복수개의 기체캡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3항에 있어서, 물막이부(700)는 보트의 정지시나 저속 주행시에 상기 공간(C)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7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 제3항에 있어서, 물막이부(700)는 탄성적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물막이부(700)의 상부는 트랜섬부(600)에 대하여 결합됨으로써 물막이부(700)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676A KR20130119686A (ko) | 2012-04-24 | 2012-04-24 | 보트 |
PCT/KR2012/005198 WO2013162121A1 (ko) | 2012-04-24 | 2012-06-29 | 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676A KR20130119686A (ko) | 2012-04-24 | 2012-04-24 | 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9686A true KR20130119686A (ko) | 2013-11-01 |
Family
ID=4948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676A KR20130119686A (ko) | 2012-04-24 | 2012-04-24 | 보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19686A (ko) |
WO (1) | WO201316212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59148B2 (ja) * | 1994-11-30 | 1999-02-17 | ケービー食品株式会社 | ウォーターバラスト付きボート |
JP3511545B2 (ja) * | 1996-02-23 | 2004-03-29 | 株式会社モルテン | 水上用フロ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0166989Y1 (ko) * | 1998-02-02 | 2000-01-15 | 제성호 |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
KR200345316Y1 (ko) * | 2003-11-24 | 2004-03-18 | 남철우 |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
-
2012
- 2012-04-24 KR KR1020120042676A patent/KR201301196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6-29 WO PCT/KR2012/005198 patent/WO201316212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62121A1 (ko) | 2013-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60683B2 (ja) | 水面航行器 | |
CA2728819C (en) | Improved hybrid boat hull | |
US7305926B2 (en) | Ported tri-hull boat | |
CN206171714U (zh) | 一种低波低阻双体船 | |
KR20160000507U (ko) | 쌍동선 | |
CN211996048U (zh) | 一种可快速排水的高速艇 | |
US9701377B2 (en) | Semi submarine | |
RU2591557C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варианты) | |
KR20130119686A (ko) | 보트 | |
US7540252B2 (en) | Autostabilizer device for boat hull | |
KR20190033272A (ko) | 수상 보드 구조물 | |
RU196023U1 (ru) | Плавуче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катамаранного типа | |
KR200488294Y1 (ko) |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 |
JPS61178284A (ja) | 船首部翼体付き高速艇 | |
US20080053355A1 (en) | Slotted Hulls For Boats | |
US9663189B2 (en) | Lightweight power boat concept | |
RU156178U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 |
RU2628278C1 (ru) | Надувной гидроцикл со стационарным транцем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мотора | |
JPS61257389A (ja) | 小型滑走艇 | |
RU157313U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 |
RU165738U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 |
RU163374U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 |
JPH06298160A (ja) | 推進用造波受け | |
RU157199U1 (ru) | Двухкорпусно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 |
JPH02117491A (ja) | 浮力体を両舷に備えた小水線面単胴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