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784A -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784A
KR20130117784A KR1020137011565A KR20137011565A KR20130117784A KR 20130117784 A KR20130117784 A KR 20130117784A KR 1020137011565 A KR1020137011565 A KR 1020137011565A KR 20137011565 A KR20137011565 A KR 20137011565A KR 20130117784 A KR20130117784 A KR 2013011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ross
glass
glass wall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이민 아민
다비드 제이 맥엔로이
웬델 피. 위츠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1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4Re-forming tubes or rods
    • C03B23/047Re-forming tubes or rods by dr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2Forming molten glass coated with coloured layers; Forming molten glass of different compositions or layers; Forming molten glass compris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C03B17/025Tubes 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4Forming tubes or rods by drawing from stationary or rotating tools or from forming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37Re-forming glass sheets by draw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원은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를 포함한 봉입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유리 충전물을, 3 차원 유리 벽부를 위한 작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모재 단면을 가진 모재로 형상화하는 초기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상기 모재의 표면부는 적어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광학 표면 결점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고/있거나 기하학적인 허용 오차를 충족시킬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마무리되고, 그리고 상기 모재는 3 차원 유리 벽부에 대한 작은 단면 형상으로 모재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하부 인발하도록, 상기 모재 단면에 수직한 장형 축을 따라 인발된다. 그 후, 상기 작은 단면 형상 또는 그의 부분은 압축적으로 압력을 받는, 유리 벽부 상의 표면 층을 가진 강화된 유리 벽부를 제공하기 위해 템퍼링된다.

Description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STRENGTHENED GLASS ENCLOSURES AND METHOD}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35 U.S.C. § 119 하에, 2010년 10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391146호를 기초로 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며, 상기 가출원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참조로서 본원에 의존하고 병합된다.
본 발명은 유리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를 위한, 박형 벽을 가진 고강도 유리 봉입부들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유리 봉입부들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공정은 몰딩 또는 프레싱, 블로잉(blowing), 인발, 시피닝(spinning) 및 캐스팅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예를 들면 형광등 기구 및 연구소 제품 등의 적용을 위해 재료 컨테이너로부터 테이블웨어(tableware)로, 백열 램프 밀봉체(incandescent lamp envelopes)로, 캐소드 레이 튜브 전구(cathode ray tube bulbs)로의 범위를 갖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인 유리 봉입부들에 대한 대부분의 적용은 광학 품질의 표면 마무리를 요구하지 않고, 색상이 있되 불순물이 없는 유리도 요구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이는 제기된 기술 적용, 예를 들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및 셀폰, 랩탑 컴퓨터 및 휴대용 오락 장치를 포함한 다른 소비자 전자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평평한 유리를 위한 것이며, 광학 결점의 부재는 통상적으로 필수적인 것이다.
유리는 투명성, 견고성, 열 저항, 화학적 공격에 대한 저항, 및 높은 전기 저항률을 포함하여 다수의 컨테이너 적용을 위해 금속 및 플라스틱에 대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리의 균열 저항은 물리적인 충격 또는 높은 응력에 대한 노출이 기대되는 곳에서 사용되기에는 일반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로써, 유리 테이블웨어, 예를 들면 텀블러들 및 광택 있는 평평한 유리는 다수의 경우에서 응력 또는 충격 파손에 대해 개선된 저항이 필요한 곳에 열에 의해 강화되거나, 또는 화학적인 템퍼링에 의해 강화된다.
유리가 고온에서 용융되고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리는, 형상 정확도(shape precision), 광학 투명도 및/또는 광학 표면 마무리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적용되는 다른 봉입부를 위한 컨테이너 또는 형상화된 구성요소들의 제조에 사용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3 차원 곡선형 표면, 예를 들면 렌즈 및 텔레스코프 미러 블랜크(telescope mirror blanks)를 가진 유리 제품의 광학 마무리를 위한 현존하는 공정은 컨테이너 표면의 마무리에 적절하지 않으며, 비용도 엄청나게 많이 들어간다. 현존하는 기술은 유리로부터 정확한 형상 및 결점 없는 표면을 필요로 하는 컨테이너 또는 봉입부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광학 결점이 실질적으로 없는 정밀성이 높은 형상의 유리 봉입부들(glass enclosures) 및 봉입 구성요소들,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요소는 열적 또는 화학적 템퍼링을 처리할 수 있는 유리 및 광학 품질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방법은 정확한 단면 형상의 넓은 범위에 걸친, 축선 상으로 연장된 봉입부들 또는 봉입부의 제조에 적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본원은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를 포함한 봉입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유리 충전물을, 3 차원 유리 벽부를 위한 작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모재 단면을 가진 모재(preform)로 형상화하는 초기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상기 모재의 표면부는 적어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광학 표면 결점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고/있거나, 기하학적인 허용 오차를 충족시킬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마무리되고, 그리고 상기 모재는 3 차원 유리 벽부에 대한 작은 단면 형상으로 모재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하부 인발하도록, 상기 모재 단면에 수직한 장형 축을 따라 인발된다. 그 후, 상기 작은 단면 형상 또는 그의 부분은 압축적으로 압력을 받는, 유리 벽부 상의 표면 층을 가진 강화된 유리 벽부를 제공하기 위해 템퍼링된다.
상술된 방법에 따라 구현된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들은 거의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며, 축선 상에서 연장되어 만곡되거나 각이진 단면 형상으로 생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개방되어 만곡되거나 각이진 형상, 예를 들면 u-형상 또는 3 개의 측면을 가진 채널 형상을 포함하고, 나아가 각이지고 원형이 아닌 형상을 포함한 폐쇄식 형상을 포함한다. 예시는 타원,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규칙적인 폐쇄식 형상을 포함하고, 나아가 스플라인 형상 등의 비규칙적인 형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봉입부 또는 봉입 벽부는 전기적, 화학적 및 물리적 속성을 제공하여 감지 전자 회로(상기와 같은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함)를 봉입하거나, 부분적으로 봉입하는데 사용하기에 특히나 매우 적합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를 포함하는 봉입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한 전자 장치들을 추가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는 예를 들면, 열적 템퍼링, 화학적 템퍼링 또는 적층에 의해 제공되고 압축적으로 응력을 받는 형상을 포함한 봉입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압축적으로 응력을 받는 외부 표면 층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제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기재되고, 상기 도면에서:
도 1은 모재 압출 성형 다이 출구면(extrusion die outlet face)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봉입부용 유리 모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인발된 유리 봉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봉입부 말단면의 확대도 사진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설명된 방법이 다양한 기술적 적용을 위해 넓은 범위의 봉입부의 생산에 적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공된 봉입 구성요소는 소비자 전자 장치 또는 그의 구성요소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봉입부에 있어 화학적으로 강화된 봉입 구성요소의 생산에도 특히나 유용하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에 대해 적합한 봉입부의 예시 및 제시를 포함하되,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고 그러하다.
기술된 방법에 따라 봉입부 또는 봉입 구성요소의 생산에 적합한 유리 모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은 중요하지 않다. 정밀 단면 형상(near-net cross-sectional shape)의 모재들은 예를 들면, 캐스팅(casting), 프레싱(pressing), 머싱(machining), 새깅(sagging), 리포밍(reforming) 또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정확한 형상은 마무리 처리 및 인발 처리 전에 거의 또는 전혀 재-형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추가적인 이점은 특정 유리 조성물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라는 점이다. 소비자 전자 기기의 봉입부에 특정 관심이 가는 실시예들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표면, 바람직하게는 템퍼링(tempering)에 의해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는 벌크 결점(bulk defects)이 없는 유리이다. 적합한 유리의 제시 예는 알칼리 실리케이트(alkali silicate), 알칼리 보로실리케이트(alkali borosilicate),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alkali aluminosilicate), 및 알칼리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alkali boroaluminosilicate) 유리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리들은 이들의 어닐링 점 미만의 온도에서 이온-교환 공정에 의해 높은 표면 응력 레벨(high surface stress levels)로 화학적으로 템퍼링될 수 있다. 핵제(nucleating agents)를 함유하는 유리도 유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핵제는 후-성형 열 처리(post-forming heat treatments)에 의해 높은 강도 및 내구성의 반-결정 유리-세라믹 봉입부(semi-crystalline glass-ceramic enclosures), 나아가 편광 또는 다른 광학적 고유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은 등의 광학적인 활성 성분으로 도핑된 유리로 변환될 수 있다.
선택된 봉입 또는 봉입부의 작은(감소된) 단면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하게 구성된 모재의 장형물(elongation)은 종래 방식의 유도 또는 저항-가열 인발 노(resistance-heated draw furnace)로부터 모재를 가열하여 하부 인발시킴으로써, 적합하게 실행되지만, 다른 인발 방법 또는 장비도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인발 성형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봉입부 및 봉입 구성요소의 생산에 중요한 단계이다. 이는 모재 단면 외부 치수에서 적어도 2:1, 나아가 50:1 또는 그 이상까지 구성물을 통상적으로 감소시켜 인발함으로써 제공된 단면 감소가 인발된 형상에서의 유리 표면의 크기 및 모재 형상 결점에서 실질적이고 필요한 감소 효과를 얻어내기 때문이다.
소비자 전자 기기의 보호를 위해 설계된 봉입부의 매우 정확도가 높은 형상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즉, 봉입부의 유리 벽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봉입부의 작은 단면 형상은 소비자-주문 형상 사양(customer-mandated shape specification)에 근접하게 맞춰져야 한다. 바람직하게, 본원의 방법은 작은 단면 형상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 보다 통상적으로 모두의 작은 형상의 단면 치수(들)은 ± 0.25% 내에서, 작은 형상에 대한 형상 사양을 충족시키되,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형상 사양의 해당 치수(들)의 ± 0.025% 내에서 충족시킨다.
이러한 크기의 형상 정확도는 종래의 유리 몰딩 공정에서 일괄적으로 유지될 수 없지만, 그러나 0.3 mm 내로 몰딩된 모재에서 형상 정확도를 유지시킴으로써, 10:1 하부-인발 크기 감소의 경우에 대해 충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모재 표면에서의 잔여 유리 표면 결함은 크게 감소되거나 복구될 수 있되, 유리 표면이 인발 공정 동안, 얼마간 연화될 시에 그러하고, 그 결과 주의 깊게 제조된 모재에 있어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광학 표면 결점을 모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인발 공정 과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의 추가 실시예들은 물리적으로 호환이 되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유리 조성물인 다수의 벽부로 형성된 봉입부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일 예는 봉입부가 투명한 하나의 벽부 및 반투명하거나 색상이 있거나 또는 불투명한 하나의 벽부를 포함하는 경우일 수 있다. 서로 다른 형상 및/또는 조성물의 모재부를 연결함으로써 제조된 복잡한 단면 형상의 모재는 함께 인발될 수 있되, 유리의 온도-점도 특징이 인발 온도에서 유사하고 이들의 열 팽창 계수가 인발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 범위에 대해 유사할 경우에 그러하다. 대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유리의 2 개의 모재 세그먼트들은 인발 과정에서 함께 합쳐져 밀봉될 수 있되, 유리의 점도 및 팽창 특징이 너무 다르지 않을 경우에 그러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봉입부에 결합하기에 적당한 서로 다른 유리 조성물 또는 형상의 적합한 쌍 또는 다수의 군은 일반적인 실험에 의해 손쉽게 확인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은 다음의 예시적인 예시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기재된다.
예시
전자 회로 장치용 봉입부로 인발되기 위해 설계된 타원 단면의 튜브형 모재는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도면의 도 1에 개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타원 방출 오리피스(12)를 그의 외부면에 제공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처리된 내화성 금속 압출 성형 다이(10)는 타원 모재를 성형하기 위해 제조되고, 이때 상기 타원 모재는 메인 직경(D)이 35.6 mm이고, 마이너 직경(d)이 13.7 mm이다. 오리피스(12)의 폭은 약 1.1 mm 내지 약 1.3 mm의 범위에 있다.
Corning Code 2318 유리의 조성물을 가진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의 원통형 불(cylindrical boule)은 컬릿(cullet)으로부터 용융되고, 직경이 3.75 인치, 그리고 깊이가 8 인치의 흑연 몰드 내로 주조화된다. 상기 볼은 상기 다이 상부 상에 안착된 압출기 바렐에 위치되고 툴링(tooling)은 1050 ℃로 가열된다. 열 평형이 이르게 될 시에, 유리는 105 내지 107 포이즈(poise) 범위의 점도에서 몇 백 킬로그램의 압력으로 플런저(plunger)에 의해서 다이를 통해 힘을 받는다. 압출 성형 타원은 길이가 약 5 피트의 튜브형 타원 모재를 제공하기 위해, 다이로부터 인발되고 냉각되며, 그리고 절개된다. 인발된 것을 나타낸 도 2는 통상적인 모재(20)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로써, 제공된 튜브형 모재는 약 20 분 동안 5 중량 % HF + 5 중량 % HCl + 5 중량% HNO3을 포함한 산성 수용액(aqueous acid solution)에 담금으로써 깨끗해진다. 그 후에, 튜브는 탈이온수로 세척되고, 그 후에, 메탄올로 세척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공기로 건조된다.
깨끗해진 모재는 그 다음 3 개의 존 전기 인발 노의 상부 개구부 상에 위치한 하부 공급 메커니즘의 척(chuck)에 고정되고, 상기 척은 상기 개구부의 중심 축을 따라 정렬된다. 그 후, 상기 노는 830 ℃의 상부 존 온도, 950 ℃의 중간 존 온도, 725 ℃의 하부 존 온도에 이르도록 예열되며, 이때 상기 유리 모재는 상기 노의 상부 개구부 상에 걸리게 된다.
10 분 동안 모재가 예열된 후에, 상기 모재는 약 10 mm/min의 공급률로 노 가열 존으로 내려가게 된다. 공급은, 모재의 하부가 노의 중간 가열 존으로 들어갈 때까지 계속되고, 그 후 모재는 튜브의 하부가 충분하게 가열되어 연화되고 길게 형성되기 시작할 때까지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후, 상기 장형물의 결과로 크기가 감소되는 모재의 장형물 또는 소위 "바이트-오프(bait-off)" 말단은 인발되는 노 출구 아래에 위치한 하부인발 트랙터(downdraw tractor)로 공급되고, 상기 트랙터는 모재의 감소된 말단이 하부 방향으로 제어률로 당겨질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트랙터에 의해 감소된 모재의 하부인발이 시작되면, 노의 상부 개구로의 모재 공급은 제어률로 재개된다. 그 후, 하부-인발 공정은 모재의 공급 속도, 노에서의 온도 프로파일 및 트랙터의 당김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 하에 일어난다. 이러한 3 개의 가변물은 공정 동안 달성되는 감소률, 예를 들면, 모재의 단면 크기 또는 벽 두께 대 작은 하부-인발 제품의 단면 크기 또는 벽 두께의 비에 영향을 미친다.
도 3은 타원 단면을 갖는 재인발된 봉입물 스톡(30)의 길이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스톡은 비율 또는 축척에 맞게 나타낸 것이 아니며, 하부 인발된 모재는 도 2의 모재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유리 모재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재인발된 봉입부까지의 약 3:1의 감소률은 본 예시의 유리 모재 및 인발 장비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공된다.
상기 크기를 갖는 Corning Code 2318 유리 모재로부터 기술된 봉입부를 인발하는 통상적인 절차에 있어서, 규정된 감소는 40 mm/minute의 모재 하부 공급 속도률, 50 cm/minute의 트랙터 당김 속도, 및 860 ℃의 상부 존 온도, 950 ℃의 중간 존 온도, 750 ℃의 하부 존 온도를 포함한 노 온도 프로파일 사용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조건 하의 유리 인발 점도는 약 106 포이즈이다.
도 4의 인발물은 본 예시에 따른 유리 모재로부터 인발된 유리 봉입부의 절개된 말단면의 사진 확대도이다. 상기 사진에 나타난 봉입부의 단면 치수는, 약 3.1:1의 감소률이 달성되고 시작 모재에 제공된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감소률은 또한 모재 공급률, 인발률, 및/또는 인발 노 온도 프로파일을 변화시킴으로써, 동일한 유리 및 인발 장비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유리의 성공적인 인발은 공정에 대해 선택된 특정 유리의 조성물 및 점도-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그러나 정확한 공급률 및 당김률, 나아가 최고의 노 온도 프로파일은 일반적인 실험에 의해 손쉽게 판별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특정 조성물, 제품, 방법 및/또는 장치는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해 나타낸 것일 뿐, 다양한 적용 및 변화가 새로운 것에 요건을, 나아가 첨부된 청구항의 권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용물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를 포함한 봉입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리 충전물(charge)을, 3 차원 유리 벽부를 위한 작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모재 단면을 가진 모재로 형상화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조정하거나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표면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모재의 표면부를 마무리하는 단계;
    상기 모재를 상기 작은 단면 형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재 단면에 수직한 장형 축(elongation axis)을 따라 상기 모재를 인발하는 단계; 및
    압축적으로 응력을 받는 표면 층을 가진 유리 벽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작은 단면 형상을 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재 단면과 상기 작은 단면 형상 간의 크키 비는 2:1 내지 50:1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은 단면 형상은 상기 작은 단면 형상에 대한 형상 사양을, 상기 형상 사양의 해당 치수의 0.25% 내에서 충족하는 하나 이상의 단면 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은 단면 형상은 상기 작은 단면 형상에 대한 형상 사양을, 상기 형상 사양의 해당 치수의 0.025% 내에 충족하는 하나 이상의 단면 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재 단면은 2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유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재 단면은 투명한 부분, 및 반투명하거나 색상이 있거나 불투명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캐스팅(casting), 프레싱(pressing), 머싱(machining), 새깅(sagging), 리포밍(reforming) 및 압출 성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벽부는 화학적인 이온-교환 공정에 의해 템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벽부는 동시 인발된 적층식 압축 유리 층(co-drawn, laminated compression glass layer)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벽부는 개방된 u-형상 또는 3 개의 측면을 가진 채널 형상 구조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벽부는 타원, 정사각형, 스플라인형(splined), 삼각형 및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폐쇄식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벽부는 조성물이 서로 다른 2 개 이상의 유리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서로 다른 2 개의 유리 부분은 인발 단계 전에 또는 상기 인발 단계 동안 함께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부 제조 방법.
  14. 청구항 1에 따른 봉입부 제조 방법으로 구현되는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
  15.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를 포함하는 봉입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3 차원 형상의 유리 벽부는 압축적으로 응력을 받는 외부 표면 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KR1020137011565A 2010-10-08 2011-10-03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 KR20130117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14610P 2010-10-08 2010-10-08
US61/391,146 2010-10-08
PCT/US2011/054552 WO2012047784A1 (en) 2010-10-08 2011-10-03 Strengthened glass enclosure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784A true KR20130117784A (ko) 2013-10-28

Family

ID=4480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565A KR20130117784A (ko) 2010-10-08 2011-10-03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58569A1 (ko)
EP (1) EP2625146A1 (ko)
JP (1) JP5908912B2 (ko)
KR (1) KR20130117784A (ko)
CN (1) CN103221350A (ko)
TW (1) TW201223906A (ko)
WO (1) WO2012047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660B2 (en) * 2011-11-22 2016-01-12 Corning Incorporated 3-D glass enclosur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4903258A (zh) 2012-08-30 2015-09-09 康宁股份有限公司 制造异形管和套筒的方法和设备
WO2015130587A1 (en) 2014-02-27 2015-09-03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able glass article for three-dimensional forming
CN107074609B (zh) 2014-09-25 2019-11-22 南通斯密特森光电科技有限公司 轻型大尺寸望远镜镜坯的制造方法及根据该方法制造的镜坯
TWI692453B (zh) 2015-01-30 2020-05-01 美商康寧公司 用以重新形成玻璃管的方法和設備
WO2017131854A1 (en) * 2016-01-26 2017-08-03 Google Inc. Glass enclosures for electronic devices
EP3449297A1 (en) * 2016-04-29 2019-03-0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Methods of forming glass-based ferrules and glass-based coupling apparatus
US10450214B2 (en) 2016-06-10 2019-10-22 Corning Incorporated High optical quality glass tubing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2305A (en) * 1968-06-03 1971-06-01 Owens Illino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oured redrawn glass article
US4350513A (en) * 1981-11-23 1982-09-2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glass tubes
WO1989007580A1 (en) * 1988-02-22 1989-08-2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in glass plates
US4812344A (en) * 1988-03-28 1989-03-14 Spectran Corporation Composite capillary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JPH03237036A (ja) * 1989-08-24 1991-10-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アルミナパッケージ用薄板状硼けい酸ガラス
JP2004043230A (ja) * 2002-07-10 2004-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ガラス部材およびガラスパイプの延伸方法
US7805963B2 (en) * 2004-03-04 2010-10-05 Quantum Quartz, Llc Method for continuously forming optical fiber connector glass and other close tolerance components
DE102004037491B4 (de) * 2004-07-26 2008-02-28 Schot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orspannen von länglichen, hohlen Gegenständen aus Glas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DE102004060409B4 (de) * 2004-12-14 2008-03-27 Schott Ag Glasrohr für technische Anwendungen, dess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6335577A (ja) * 2005-05-31 2006-12-14 Shinetsu Quartz Prod Co Ltd 高透過性エキシマuvランプ用合成石英ガラス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6024566A1 (de) * 2006-05-23 2007-08-23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lasrohrs, Glasrohr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7051370A1 (de) * 2007-10-26 2009-04-30 Ingo Hilgenbe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laskörpern mittels Wiederziehverfahren
DE102008047736B3 (de) * 2008-07-07 2010-01-21 Heraeus Quarzglas Gmbh & Co. Kg Biegeunempfindliche optische Faser, Quarzglasrohr als Halbzeug für seine Herstell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aser
ES2550515T3 (es) * 2008-08-08 2015-11-10 Corning Incorporated Artículos de vidrio reforzado y métodos para su elaboración
US8187987B2 (en) * 2008-08-21 2012-05-29 Corning Incorporated Durable glass housings/enclos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824140B2 (en) * 2010-09-17 2014-09-02 Apple Inc. Glass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5699A (ja) 2013-12-26
WO2012047784A1 (en) 2012-04-12
US20130258569A1 (en) 2013-10-03
JP5908912B2 (ja) 2016-04-26
EP2625146A1 (en) 2013-08-14
TW201223906A (en) 2012-06-16
CN103221350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7784A (ko) 강화된 유리 봉입부 및 방법
JP7258555B2 (ja) 高強度の超薄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1367401U (zh) 弯曲基材及支承构件
US9688562B2 (en) Method of making shaped glass articles
JP6889106B2 (ja) 決定された応力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ガラス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6955B2 (ja)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用ガラスゴブおよび光学素子
WO2014189117A1 (ja) 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
TWI692460B (zh) 具有低軟化點的快速可離子交換的無硼玻璃
JP6222097B2 (ja) 分相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分相ガラス
WO2011103799A1 (zh) 用于3d精密模压的薄锂铝硅玻璃
US10450214B2 (en) High optical quality glass tubing and method of making
JP6643275B2 (ja) 屈折率が高い薄板ガラス基材の製造方法
TW201500315A (zh) 無鹼玻璃基板及其製造方法
JP2017534559A (ja) 高められた強度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JP2006306648A (ja) 光学ガラス
JP2006301595A (ja) 偏光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偏光ガラス製品
KR102562798B1 (ko) 3-차원 형상을 위한 이온교환 가능한 연질 유리
CN113544101A (zh) 具有目标热膨胀系数的用于扇出型封装的玻璃载体及其制造方法
CN112351962B (zh) 弯曲不同玻璃组合物的方法
WO2016052159A1 (ja) カルコゲナイドガラスレンズの製造方法
CN111386250A (zh) 精密玻璃管及其制造方法
JP4747039B2 (ja) ガラス成形体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用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H0986944A (ja) 結晶性ガラスの延伸成形方法
Oikonomopoulou Material compositions and production methods for solid cast glass components
WO2024123721A1 (en) Strengthened glass-base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