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401A -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401A
KR20130117401A KR1020120039659A KR20120039659A KR20130117401A KR 20130117401 A KR20130117401 A KR 20130117401A KR 1020120039659 A KR1020120039659 A KR 1020120039659A KR 20120039659 A KR20120039659 A KR 20120039659A KR 20130117401 A KR20130117401 A KR 2013011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pop
button
cons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694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6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클러스터(1)와 콘솔(2)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3)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20)과, 콘솔(2)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3a)을 가리도록 콘솔연결부(3)에 힌지결합된 팝업커버(30)와, 팝업커버(30)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수납공간(3a)으로부터 빠져 나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으로 변속단을 전송하는 변속조작수단(40)으로 구성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한 폐쇄되었던 콘솔점유공간이 개방되어 다양한 기능의 버튼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특히 콘솔점유공간에 돌출되어 고정된 콘솔형 변속레버로 인한 예기치 못한 2차 상해 위험성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Sliding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본 발명은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팝업(Pop Up)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한 콘솔점유공간을 제거할 수 있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레버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차속에 맞춰 변경하기 위한 조작장치로서, P(주차)-R(후진)-N(중립)-D(주행)와 같은 게이트 패턴(Gate Pattern)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중 조향휠의 옆에서 돌출된 컬럼형 변속레버나 또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콘솔사이에서 돌출된 콘솔형 변속레버가 있다.
하지만, 콘솔형 변속레버는 콘솔에서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콘솔 레이아웃이 불리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컵 컵홀더 수납공간 확보와 필요 버튼을 위한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변속레버가 콘솔에서 돌출되어 고정됨으로써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힐 경우, 운전자의 머리에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성도 있을 수밖에 없다.
국내특허공개 10-1996-0010351(1996.04.20)
상기 특허문헌은 자동변속기 탐재차량의 변속장치에서 변속이 버튼식으로 구현되는 기술의 예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상기 특허문헌은 변속단이 표시되어 기어부를 이용해 하향 입설되는 인디게이터 패널과, 인디게이터 패널의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로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모터와, 변속단 변환을 구현하는 스위칭 수단과, 변화된 변속단을 표시하는 점등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변속이 버튼을 이용한 전기신호로 구현됨으로써 운전시 변속조작에 대한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은 인디게이터 패널의 상하이동이 기어기구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특히 모터와 기어 맞물림으로 인한 소음발생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팝업(Pop Up)가능하게 수용되어 변속레버로 인한 콘솔점유공간이 제거됨으로써 개방성이 크게 높아진 콘솔점유공간으로 다양한 기능을 위한 버튼의 설치 공간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콘솔점유공간에 돌출되어 고정된 콘솔형 변속레버로 인한 예기치 못한 2차 상해 위험성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를 이용해 수용된 변속레버의 팝업(Pop Up)이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변속레버 팝업을 위한 구성이 단순해져 동일 기능대비 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팝업(Pop Up)상태에서 변속조작이 버튼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변속조작이 편리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변속레버를 움직일 때 와 같은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클러스터와 콘솔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형성된 수납공간이 가려지도록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부위로 힌지결합된 팝업커버와;
상기 작동버튼에 의한 구동시 상기 팝업커버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상기 콘솔연결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변속단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변속조작수단;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의 작동신호는 상기 콘솔연결부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으로 제어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의 작동신호는 엔진의 시동이나 시동꺼짐을 검출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로 제어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은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인출되는 로드의 끝부위로 연결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TCU로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을 갖춘 변속버튼패널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변속버튼패널은 연결핀을 이용해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되지 않는 구간에 예각의 범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변속버튼패널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된다.
상기 변속버튼패널에는 P-R-N-D을 위한 변속버튼과, 상기 P-R-N-D이외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가기능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변속버튼패널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된 투명재질의 패널보호커버로 상기 변속버튼패널의 한쪽면을 가려준다.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패널보호커버는 연결핀을 이용해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되지 않는 구간에 예각의 범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보호커버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과 함께 상기 지지로드의 받침턱과 밀착되도록 돌출된 밀착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클러스터와 콘솔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형성된 수납공간이 가려지도록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부위로 힌지결합된 팝업커버와;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인출되는 로드의 끝부위로 연결되어 상기 팝업커버을 밀어 올리도록 이동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변속단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을 갖춘 변속버튼패널과, 상기 변속버튼패널의 변속버튼의 형성면을 가려주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된 투명재질의 패널보호커버로 이루어진 변속조작수단;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신호는 상기 콘솔연결부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으로 제어되거나, 엔진의 시동이나 시동꺼짐을 검출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로 제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를 이용해 변속레버가 수용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한 콘솔점유공간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고, 콘솔점유공간의 크게 높아진 개방성으로 다양한 기능을 위한 버튼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솔점유공간에 돌출되어 고정된 콘솔형 변속레버로 인한 예기치 못한 2차 상해 위험성이 완전하게 방지됨으로써, 안전성의 향상과 더불어 콘솔점유공간의 개방성으로 인해 운전석과 조수석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버튼식 변속조작을 통한 상품성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를 이용해 수용된 변속레버의 팝업(Pop Up)이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변속레버 팝업을 위한 구성이 단순해져 동일 기능대비 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팝업(Pop Up)상태에서 변속조작이 버튼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변속조작이 편리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변속레버를 움직일 때 와 같은 오조작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구성하는 변속조작수단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변속조작수단을 구성하는 변속버튼패널에 적용된 변속패턴의 레이아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외부노출작동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내부수용작동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10)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콘솔(2)과 연결되는 콘솔연결부(3)에 구비된 작동버튼(10)과, 상기 콘솔연결부(3)에 힌지 결합된 팝업커버(30)와, 상기 작동버튼(10)의 조작신호로 인출되면 상기 팝업커버(30)를 밀어 올려 상기 콘솔연결부(3)의 밖으로 노출되는 변속조작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솔연결부(3)의 내부공간으로는 예각으로 경사진 설치각(Sa)을 갖는 수납공간(3a)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3a)의 깊이는 변속조작수단(40)이 콘솔연결부(3)의 밖으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이다.
또한, 상기 콘솔연결부(3)에는 작동버튼(10)이 위치되지 않는 부가공간(4)이 더 형성되고, 상기 부가공간(4)에는 차량의 제어에 필요한 기능을 제어하거나 또는 차량에 부가 설치된 전자기기 및 편의장치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10)은 누름 또는 터치식으로 온오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작동버튼(10)은 변속조작수단(40)과 직접 전기회로로 이어지거나 또는 변속조작수단(40)을 제어하는 ECU(Engine Control Unit)와 전기회로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버튼(10)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변속조작수단(40)은 엔진시동을 검출하는 ECU의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되도록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엔진이 시동되고, ECU가 엔진시동을 검출한 후 변속조작수단(40)으로 전기신호를 보내줌으로써, 변속조작수단(40)이 콘솔연결부(3)의 외부로 팝업(Pop Up)될 수 있다.
상기 팝업커버(30)는 콘솔연결부(3)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수납공간(3a)의 입구부위를 가리고, 한쪽이 스프링힌지(30a)로 연결됨으로써 스프링힌지(30a)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움직임이 구현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40)은 전기신호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41)와, 솔레노이드(41)에서 인출되는 로드(41a)의 끝부위로 연결된 지지로드(42)와, 지지로드(42)에 결합되어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을 갖춘 변속버튼패널(43)과, 지지로드(42)에 결합되어 변속버튼패널(43)의 버튼 형성면을 가려주는 투명재질의 패널보호커버(45)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1)는 온시 로드(41a)가 솔레노이드(41)로부터 빠져나오고 반면 오프시 로드(41a)가 솔레노이드(41)로 들어가도록 작동된다.
상기 지지로드(42)와 변속버튼패널(43) 및 패널보호커버(45)는 연결핀(46)을 이용해 함께 결합되고, 상기 변속버튼패널(43)과 상기 패널보호커버(45)는 연결핀(46)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움직임이 구현된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수단(40)의 분해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조작수단(40)을 구성하는 지지로드(42)에는 한쪽 끝부위로 연결핀(46)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42a)이 형성되고, 힌지연결단(42a)이 형성되는 않는 부위에는 예각의 범위로 경사진 받침턱(42b)이 형성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40)을 구성하는 변속버튼패널(43)에는 한쪽 끝부위로 연결핀(46)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4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버튼패널(43)은 지지로드(42)의 받침턱(42b)으로 지지됨으로써 연결핀(46)을 회전중심으로 한 변속버튼패널(43)의 회전각이 제한되며, 상기 받침턱(42b)으로 지지된 변속버튼패널(43)은 수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변속조작수단(40)을 구성하는 패널보호커버(45)에는 한쪽 끝부위로 연결핀(46)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45a)이 형성되고, 힌지연결단(45a)으로부터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밀착턱(4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보호커버(45)의 밀착턱(45b)은 지지로드(42)의 받침턱(42b)과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패널보호커버(45)의 젖혀짐이 방지된다.
상기 패널보호커버(45)는 변속버튼패널(43)이 쉽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버튼패널(43)에 적용된 변속패턴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3(가)는 변속버튼패널(43)에 적용된 변속패턴의 레이아웃의 일례로서, 이 경우 한쪽구간으로 P단(Parking Range)을 위한 파킹버튼(A)이 위치되고, 반대쪽구간으로 R-N-D단을 위한 변속버튼(B)이 위치되며, 파킹버튼(A)과 변속버튼(B)사이로는 부가기능버튼(C)이 위치된다.
여기서, 부가기능버튼(C)은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1단 다운쉬프트로 감속(-)모드인 H-Matic-와 1단 업쉬프트로 가속(+)모드인 H-Matic+를 구현하는 H-Matic-/+버튼이 적용된다.
도 3(나)는 변속버튼패널(43)에 적용된 변속패턴의 레이아웃의 다른 일례로서, 이 경우 중앙구간으로 P단(Parking Range)을 위한 파킹버튼(a)이 위치되고, 파킹버튼(a)의 한쪽위치로 R-N-D단을 위한 변속버튼(b)이 위치되며, 파킹버튼(A)의 반대쪽위치로 부가기능버튼(c)이 위치된다.
여기서, 부가기능버튼(c)은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1단 다운쉬프트로 감속(-)모드인 H-Matic-와 1단 업쉬프트로 가속(+)모드인 H-Matic+를 구현하는 H-Matic-/+버튼이 적용된다.
도 3(다)는 변속버튼패널(43)에 적용된 변속패턴의 레이아웃의 또 다른 일례로서, 이 경우 전체 구간중 중앙위치로 N단(Neutral Range)을 위한 중립버튼(aa)이 위치되고, 중립버튼(aa)의 좌우 양쪽위치로 각각 R단과 D단을 위한 변속버튼(bb)이 위치되며, 전체 구간중 한쪽 측면위치로 부가기능버튼(cc)이 위치된다.
여기서, 부가기능버튼(cc)은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1단 다운쉬프트로 감속(-)모드인 H-Matic-와 1단 업쉬프트로 가속(+)모드인 H-Matic+를 구현하는 H-Matic-/+버튼이 적용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외부노출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4(가)는 변속조작수단(40)이 콘솔연결부(3)의 내부공간에서 예각으로 경사진 설치각(Sa)을 갖는 수납공간(3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콘솔연결부(3)에 노출된 작동버튼(10)을 눌러줌으로써 변속조작수단(40)을 콘솔연결부(3)의 외부로 팝업(Pop Up)시켜 주게 된다.
즉, 눌려진 작동버튼(10)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는 전기회로를 타고 변속조작수단(40)으로 흘러가고, 이로 인해 변속조작수단(40)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41)가 온되어 로드(41a)가 솔레노이드(4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솔레노이드(41)의 작동은 상기 작동버튼(10)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시동을 검출한 ECU의 제어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나)는 변속조작수단(40)이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는 솔레노이드(41)의 로드(41a)가 솔레노이드(41)로부터 빠져나오고, 상기 로드(41a)의 상향 이동력(Fa)으로 이에 연결된 지지로드(42)가 위로 올라감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지지로드(42)의 상향이동은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를 위로 올려주게 되고, 위로 올라가는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는 팝업커버(30)를 밀어 올려 회전(Ma)시켜줌으로써 팝업커버(30)는 스프링힌지(30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위로 젖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의 입구부위가 개방되고, 지지로드(42)에 연결된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가 수납공간(3a)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도 4(다)는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가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변속단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는 변속버튼패널(43)이 자중에 의해 연결핀(4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Mb)되어 위치각(Sb)만큼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변속버튼패널(43)의 변속패턴이 노출되어진다.
상기 변속버튼패널(43)은 지지로드(42)의 받침턱(42b)으로 지지됨으로써 수평한 상태를 이루어 이에 적용된 변속패턴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손가락으로 변속패턴을 가볍게 터치하거나 눌러줌으로써 원하는 변속단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패널보호커버(45)의 밀착턱(45b)은 지지로드(42)의 받침턱(42b)과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패널보호커버(45)의 젖혀짐이 방지된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내부수용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5(가)는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가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콘솔연결부(3)에 노출된 작동버튼(10)을 다시 눌러줌으로써 솔레노이드(41)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솔레노이드(41)의 오프 전환은 상기 작동버튼(10)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시동 오프를 검출한 ECU의 제어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나)는 솔레노이드(41)의 로드(41a)가 솔레노이드(41)로 들어감으로써 로드(41a)의 하향 이동력(Fb)으로 이에 연결된 지지로드(42)가 함께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밑으로 내려가는 지지로드(42)는 이에 연결된 변속버튼패널(43)과 패널보호커버(45)를 함께 밑으로 내려주고, 밑으로 내려가는 변속버튼패널(43)은 수납공간(3a)의 입구부위와 접촉됨으로써 변속버튼패널(43)는 위로 젖혀지는 회전(Mbb)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변속버튼패널(43)의 회전(Mbb)으로 패널보호커버(45)와 패널보호커버(45)는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 5(다)는 변속조작수단(40)이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패널보호커버(45)와 패널보호커버(45)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또한 팝업커버(30)는 자중에 의해 회전(Mab)되어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로 인해, 콘솔연결부(3)의 수납공간(3a)의 입구부위는 팝업커버(30)로 막혀질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클러스터(1)와 콘솔(2)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3)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20)과, 콘솔(2)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3a)을 가리도록 콘솔연결부(3)에 힌지결합된 팝업커버(30)와, 팝업커버(30)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수납공간(3a)으로부터 빠져 나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으로 변속단을 전송하는 변속조작수단(40)으로 구성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한 폐쇄되었던 콘솔점유공간이 개방되어 다양한 기능의 버튼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특히 콘솔점유공간에 돌출되어 고정된 콘솔형 변속레버로 인한 예기치 못한 2차 상해 위험성도 방지할 수 있다.
1 : 클러스터 2 : 콘솔
3 : 콘솔연결부 3a : 수납공간
4 : 부가공간 10 : 변속레버장치
20 : 작동버튼 30 : 팝업커버
30a : 스프링힌지 40 : 변속조작수단
41 : 솔레노이드 41a : 로드
42 : 지지로드 42a,43a,45a : 힌지연결단
42b : 받침턱 43 : 변속버튼패널
45 : 패널보호커버 45b : 밀착턱
46 : 연결핀
A,a : 파킹버튼 B,b,bb : 변속버튼
C,c,cc : 부가기능버튼
aa : 중립버튼
Sa : 설치각 Sb : 위치각

Claims (10)

  1. 클러스터와 콘솔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형성된 수납공간이 가려지도록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부위로 힌지결합된 팝업커버와;
    상기 작동버튼에 의한 구동시 상기 팝업커버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상기 콘솔연결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변속단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변속조작수단;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조작수단의 작동신호는 상기 콘솔연결부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조작수단의 작동신호는 엔진의 시동이나 시동꺼짐을 검출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4. 청구항 1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조작수단은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인출되는 로드의 끝부위로 연결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TCU로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을 갖춘 변속버튼패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변속버튼패널은 연결핀을 이용해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되지 않는 구간에 예각의 범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변속버튼패널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패널에는 P-R-N-D을 위한 변속버튼과, 상기 P-R-N-D이외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가기능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패널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된 투명재질의 패널보호커버로 상기 변속버튼패널의 한쪽면을 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패널보호커버는 연결핀을 이용해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이 형성되지 않는 구간에 예각의 범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보호커버에는 한쪽 끝부위로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힌지연결단과 함께 상기 지지로드의 받침턱과 밀착되도록 돌출된 밀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9. 클러스터와 콘솔을 이어주는 콘솔연결부의 내부로 형성된 수납공간이 가려지도록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부위로 힌지결합된 팝업커버와;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인출되는 로드의 끝부위로 연결되어 상기 팝업커버을 밀어 올리도록 이동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변속단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변속 버튼을 갖춘 변속버튼패널과, 상기 변속버튼패널의 변속버튼의 형성면을 가려주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된 투명재질의 패널보호커버로 이루어진 변속조작수단;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신호는 상기 콘솔연결부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으로 제어되거나, 엔진의 시동이나 시동꺼짐을 검출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20120039659A 2012-04-17 2012-04-17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138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59A KR101382694B1 (ko) 2012-04-17 2012-04-17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59A KR101382694B1 (ko) 2012-04-17 2012-04-17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01A true KR20130117401A (ko) 2013-10-28
KR101382694B1 KR101382694B1 (ko) 2014-04-17

Family

ID=4963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59A KR101382694B1 (ko) 2012-04-17 2012-04-17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373B1 (ko) * 2013-12-20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반형 전자식 자동변속기용 레버장치
KR101499223B1 (ko) * 2014-03-04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714258B1 (ko) * 2015-11-18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이동형 스위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252B1 (ko) 2016-03-08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861Y2 (ja) * 1992-06-29 1999-09-20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変速装置の変速操作装置
JP2583259Y2 (ja) * 1992-10-28 199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車載用映像表示装置
KR20120006422A (ko) * 2010-07-12 2012-01-18 강용구 자동차용 버튼식 자동 변속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373B1 (ko) * 2013-12-20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반형 전자식 자동변속기용 레버장치
KR101499223B1 (ko) * 2014-03-04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714258B1 (ko) * 2015-11-18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이동형 스위치 모듈
US10408337B2 (en) 2015-11-18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Movable switch module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694B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234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6948972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変速アクチュエータ
US9021911B2 (en) Attachable electronic shift lever
CA2875921C (en) Shift device for vehicle
KR101382694B1 (ko)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1305824B1 (ko)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JP2008518845A (ja) 回転スイッチを備えた操作装置
KR101499224B1 (ko) 부채형 전자식 변속레버
EP3225884A1 (en) Rotary shifter device
KR10241837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209945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CN107923518A (zh) 用于切换车辆的变速器的线控换档单元
CN102900840A (zh) 集成控制的换档杆设备
JP2006200716A (ja) シフト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KR20140076831A (ko)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101338742B1 (ko)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JP5015614B2 (ja) 車両走行系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5244948B2 (ja) シフト装置
KR10248524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06159948A (ja) セレクト装置
JP2011230771A (ja) シフト装置
JP4729509B2 (ja) 車両運転席の衝撃吸収構造
JP6094458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7497704B2 (ja) 車両の変速操作装置
KR100653744B1 (ko) 수동기능을 갖는 자동변속기의 오토레버및 스위치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