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381A -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381A
KR20130117381A KR1020120039570A KR20120039570A KR20130117381A KR 20130117381 A KR20130117381 A KR 20130117381A KR 1020120039570 A KR1020120039570 A KR 1020120039570A KR 20120039570 A KR20120039570 A KR 20120039570A KR 20130117381 A KR20130117381 A KR 20130117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unit
game
target
sc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옥희
Original Assignee
원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옥희 filed Critical 원옥희
Priority to KR102012003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381A/ko
Publication of KR2013011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20Scoring or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경기용 점수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이를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당구경기 점수를 표시함에 있어서, 경기종목을 지정하는 종목선택부와, 게임 참가 인원을 지정하는 인원 선택부를 구획하여 표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선택된 게임 참가 인원별로 목표점수를 선택하도록 미리 정해진 다수의 목표 득점군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2단계와, 각각의 게임차가인원별로 목표점수부, 득점점수부를 갖는 점수표시부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기시간 및 금액표시부를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을 제공하여, 당구 경기의 진행 및 설정을 디지털화함과 동시에 당구점수의 관리를 모래시계를 응용하여 시각적으로 처리하여 당구 게임의 재미를 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scoring methode for billiard game}
본 발명은 당구경기용 점수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 경기의 진행 및 설정을 디지털화함과 동시에 당구점수의 관리를 모래시계를 응용하여 시각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당구 게임의 재미를 더 할 수 있는 당구경기용 점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경기는 2명 이상이 개인 또는 조를 이루어 진행하게 되고, 점수를 산정함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실력차이에 따라 목표득점을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당구경기는 당구의 개인별 득점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나의 당구대에 각각 하나의 계산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의 당구점수계산대는 색이 다른 주판알 모양의 표시구를 각각 10개 씩 교대로 배치하여 한 줄에 50개씩 5내지 6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산대는 당구를 치고 계산할 때는 그 사람이 어느 정도 수준의 당구점수에 따라 미리 점수표시알을 한 알당 1점 내지 10점씩 계산하여 중앙이나 좌측으로 배치하여 당구 점수를 획득한 만큼 점수표시알을 이동시켜 당구점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2인 이상이 한 팀을 이루어 각 팀별로 경기를 할 경우는 그 팀의 팀원 모두의 당구점수를 합산한 후 그 점수만큼의 점수표시알을 배정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경기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산대는 당구 경기자 상호간에 당구를 치고 계산할 때 알을 잘못 옮겨 계산이 잘못되는 경우가 있고, 득점된 점수의 확인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경기자 상호간에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며, 특히 계산방식이 단조로워 당구 게이 전체가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177767호에는 ‘당구점수 관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숫자버튼 및 기능버튼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점등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당구 점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이루어진 당구대용 당구점수 관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하게 당구점수를 디지털화하여 사용이 간편하게 한 잇점은 있으나 여전히 당구 점수를 숫자로 단순하게 표시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당구경기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기방법의 선택 및 점수 표시를 디지털화하여 경기진행의 편의를 도모하고 경기자간의 오해의 소지를 없앨 수 있는 당구 경기용 점수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구 경기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당구 경기용 점수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을 터치하여 이를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당구경기 점수를 표시함에 있어서, 경기종목을 지정하는 종목선택부와, 게임 참가 인원을 지정하는 인원 선택부를 구획하여 표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선택된 게임 참가 인원별로 목표점수를 선택하도록 미리 정해진 다수의 목표 득점군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2단계와, 각각의 게임차가인원별로 목표점수부, 득점점수부를 갖는 점수표시부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기시간 및 금액표시부를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표점수부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고, 득점점수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되 목표점수부 하단이 득점점수부의 상단과 연통하는 모래시계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표점수부에는 경기자의 목표점수가 다수의 10단위 코인과 100단위 코인으로 표시되어 있고, 득점량에 따라 상기 목표점수부에 있는 코인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득점점수부로 이동하고, 득점점수부의 코인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목표점수부로 이동하여 득점상황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목표점수부는 10단위 코인이 모두 소진되면 어느 하나의 100단위 코인이 10개의 10단위 코인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는 경기방법의 선택 및 점수 표시를 디지털화함으로써 경기진행의 편의를 도모하고 경기자간의 오해의 소지를 없앨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점수의 표시를 모래시계를 이용하여 이미지화함으로써 당구 경기의 흥미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초기 상태로서 당구경기의 종류와 경기자의 수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이는 도면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각 경기자별 목표점수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화면을 보이는 도면
도 6 및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점수표시창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목표점수에서 득점된 점수를 빼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경기 점수표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초기 상태로서 당구경기의 종류와 경기자의 수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면을 터치하면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하여 점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크게 경기종목 및 경기인원을 선택하는 제 1단계를 포함한다. 이 제 1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10)상에 화면설명부(20)와, 경기종목을 지정하는 종목선택부(30)와, 게임 참가 인원을 지정하는 인원 선택부(32)를 구획하여 표시한다. 종목선택부(30)에는 당구 경기의 종류 즉 3구, 4구, 6볼, 포켓볼 등이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종목 이외에도 9볼, 스누커등 다양한 당구종목이 추가될 수 있다. 인원선택부(32)에는 당구경기를 할 수 있는 인원 2명 내지 6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 선택부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버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인원수를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단계를 거친후 상기 선택된 게임 참가 인원별로 목표점수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제 2단계에서는 미리 정해진 다수의 목표점수선택부(40)와 선택된 점수를 확인하는 합산부(50)를 배치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4구 경기가 선택되는 경우 일반적인 4구에 대응하는 목표점수 즉, 30, 50, 80, 100, 120, 150, 200, 250, 300, 400, 500, 700, 1000, 2000 등의 다수의 점수선택부(42)를 표시한다. 선택부(42)중 상기 1000점, 2000점의 경우 시각적으로 크게 구성하여 점수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자가 원하는 득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득점에 해당하는 점수가 합산부(50)에 표시되어진다. 이와 같이 목표점수가 선택되면 다음버튼(54)을 선택하면 다음 경기인원의 목표점수 선택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선택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버튼(52)을 누르면 전단계로 이동하여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목표점수는 상기 선택부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선택가능하다. 즉, 예시되지 않은 600점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00을 2회 누르거나 100과 500을 누르는 것에 의해 합산부(50)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선택된 인원수만큼 반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3명의 인원이 경기를 하며, 각각의 모표득점은 150점, 200점, 300점 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즉, 도 2에는 제 2단계의 제 1경기자의 점수선택화면을 예시하고 있고, 도 3에는 제 2경기자의 점수선택화면이 예시되고 있고 도 2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하게 된다. 다만 여기에는 완료버튼(56)이 추가되어 이를 선택하게 되면 인원수가 2명으로 끝나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다음 버튼(54)을 선택하면 제 3경기자의 점수선택화면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때에는 완료버튼(56) 또는 다음버튼(54)의 선택결과는 동일하며 모두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제 1단계 및 제 2단계를 거치면 종목과 인원수 그리고, 개인별 목표점수가 선택이 완료되면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제 3단계를 수행한다. 제 3단계에는 각각의 경기인원별로 선수표시부(70)(80)(90)를 포함한다. 가각 선수표시부(70)(80)(90)에는 각각 목표점수부(74)및 득점점수부(76)를 갖는 점수표시부(72)(82)(92)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기시간 및 금액을 표시하는 경기진행 시간표시부(60) 및 금액표시부(62)를 나타낸다. 선수표시부에는 선수이름 및 점수를 병기하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점수만을 표시하고 있다. 선수이름은 예시되지 않았으나 제 1단계에서 인원선택이후에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구현가능하며, 이러한 구현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표점수부(74)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고, 득점점수부(76)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되 목표점수부(74)의 하단이 득점점수부(76)의 상단과 연통하는 모래시계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표점수부(74)에는 경기자의 목표점수가 들어 있는데 이는 다수의 10단위 코인(77)과 100단위 코인(78)으로 표시된다. 상기 목표점수부는 10단위 코인이 모두 소진되면 어느 하나의 100단위 코인이 10개의 10단위 코인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기를 진행함에 있어 득점을 하게 되면 상기 목표점수부(74)에 있는 10단위 코인(77) 또는 100단위 코인(78)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득점점수부(76)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에는 제 1경기자가 50점을 획득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목표점수부(74)에 있는 10단위 코인(77)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아래의 즉점점수부(76)로 이동하게 되므로 5개의 10단위 코인(77)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득점의 표시가 완료 득점상황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도 6과 같이 목표점수부(74)에 100단위 코인(78)만 남게 되면 100단위 코인(78)은 도 7과 같이 10개의 10단위 코인(77)으로 변환되어 다음 득점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파울을 하는 경우에는 득점점수부(76)에 있는 10단위 코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코인은 목표점수부(74)로 이동하게 된다.
경기가 완료된 후 동일한 경기 다시 시작하려면 재경기버튼(58)을 선택하면 다 제 5도와 같은 상태로 리셋되어 새로운 경기를 진행하게 되고, 더 이상이 경기 진행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화면버튼(59)을 선택하면 초기의 제 1단계화면으로 전환되어 경기를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포함하는 범위 즉, 단순한 치환 및 변경에 의한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디스플레이 20 : 화면설명부
30 : 종목선택부 32 : 인원선택부
40 : 목표점수선택부 42 : 목표점수버튼
50 : 합산부 52: 이전버튼
54 : 다음버튼 56: 완료버튼
60 : 시간표시부 62 : 금액표시부
74 : 목표점수부 76: 득점점수부

Claims (4)

  1. 화면을 터치하여 이를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당구경기 점수를 표시함에 있어서,
    경기종목을 지정하는 종목선택부와, 게임 참가 인원을 지정하는 인원 선택부를 구획하여 표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선택된 게임 참가 인원별로 목표점수를 선택하도록 미리 정해진 다수의 목표 득점군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2단계와,
    각각의 게임차가인원별로 목표점수부, 득점점수부를 갖는 점수표시부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기시간 및 금액표시부를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목표점수부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고, 득점점수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되 목표점수부 하단이 득점점수부의 상단과 연통하는 모래시계모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점수부에는 경기자의 목표점수가 다수의 10단위 코인과 100단위 코인으로 표시되어 있고, 득점량에 따라 상기 목표점수부에 있는 코인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득점점수부로 이동하고, 득점점수부의 코인을 선택하면 선택된 코인은 목표점수부로 이동하여 득점상황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점수부는 10단위 코인이 모두 소진되면 어느 하나의 100단위 코인이 10개의 10단위 코인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경기 점수 표시방법.
KR1020120039570A 2012-04-17 2012-04-17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KR20130117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570A KR20130117381A (ko) 2012-04-17 2012-04-17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570A KR20130117381A (ko) 2012-04-17 2012-04-17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81A true KR20130117381A (ko) 2013-10-28

Family

ID=4963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570A KR20130117381A (ko) 2012-04-17 2012-04-17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5012A4 (en) * 2018-11-23 2023-02-08 Hyun Chul Kim BILLIARD ROOM SUPPORT SYSTEM AND SERVER THEREFO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5012A4 (en) * 2018-11-23 2023-02-08 Hyun Chul Kim BILLIARD ROOM SUPPORT SYSTEM AND SERVER THEREF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796B2 (en) Sporting event prediction and skill game
KR20130117381A (ko) 당구경기용 점수표시방법
US20160243436A1 (en) Tile matching game
KR101975512B1 (ko)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JP6929552B2 (ja) 遊技機
CN109475420B (zh) 棋盘游戏和骰子的改进
US6896262B2 (en) Method of playing a game and an apparatus suitable therefor
JP2020031817A (ja) 遊技機
JP2020031814A (ja) 遊技機
JP2020031820A (ja) 遊技機
US20090166972A1 (en) Scramble 500
TW201434516A (zh) 以電子裝置執行棋牌之方法及其電子裝置
US3434718A (en) Playing board with removable apertured overlay disposed above a shiftable writing medium
US11241612B1 (en) Memory tic tac toe
US7163203B2 (en) Game
WO2009036421A2 (en) Board and board game with timing features
JP6513173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7122932A (zh) 一种多人组队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U2013100821A4 (en) A board game
KR20160000164U (ko) 티 박스용 전자식 인포메이션 보드
US20200152082A1 (en) Electronic teaching games
US20200338447A1 (en)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of a computer device
US20110316229A1 (en) Dice Game
US20070284817A1 (en) Adult Board Game
JP2020031811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