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197A -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197A
KR20130117197A KR1020120040113A KR20120040113A KR20130117197A KR 20130117197 A KR20130117197 A KR 20130117197A KR 1020120040113 A KR1020120040113 A KR 1020120040113A KR 20120040113 A KR20120040113 A KR 20120040113A KR 20130117197 A KR20130117197 A KR 2013011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ing
braking
substrate
unit
scrib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606B1 (ko
Inventor
장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4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60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07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을 1차 브레이킹하는 제 1브레이킹 부; 및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1차 브레이킹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을 상기 기판에 제공하여, 상기 기판을 제 1단위 기판과 제 2단위 기판으로 2차 브레이킹하는 제 2브레이킹 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킹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킹 유닛을 구비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BREAKING UNIT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에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는 힘을 제공하여 다중의 브레이킹을 실시할 수 있는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 패턴이 형성된 2장의 유리 기판에 배향막 및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결합시켜 다수의 액정셀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셀 별로 파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종래의 스크라이브 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셀 단위로 파단한다.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는 로딩부와, 스크라이브 부와, 배출부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장치 또는 기판은 로딩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로딩된다.
상기 기판은 정렬되어 스크라이브 부로 이송된다.
상기 스크라이브 부에서는 상기 이송된 기판을 X 및 Y 축 방향을 따라 격자 상으로 분단한다.
이어, 상기 분단된 기판을 배출부에서 별도의 분단 장치를 사용하여 각 셀단 위로 파단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스크라이브 부에서 스크라이브된 기판을 별도의 분단 장치를 사용하여 분단하고, 배출부에서 분단된 기판을 셀별로 파단함에 따라 공정 라인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00480호(공개일: 2005년 01월 0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평판표시장치의 기판의 가로방향 절단 및 세로방향 절단이 한 장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단 장치를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에 수직 및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을 동시에 제공하여 다중 브레이킹을 실시함으로써, 브레이킹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킹에 따르는 불량률을 저감시켜 제조되는 각 단위기판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을 1차 브레이킹하는 제 1브레이킹 부; 및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1차 브레이킹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을 상기 기판에 제공하여, 상기 기판을 제 1단위 기판과 제 2단위 기판으로 2차 브레이킹하는 제 2브레이킹 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킹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되는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 및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상기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에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르힘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기 기판을 제 1,2단위기판으로 브레이킹하여 브레이킹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스크라이브 장치의 공정 라인을 축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방향을 따라 기판을 브레이킹시키는 부재를 브레이킹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킹 부재의 형상 변형되거나 정상 위치에 설정되지 못하는 경우, 상하로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기판에 대한 브레이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의 상태에 따라 수직 방향을 따르는 1차 브레이킹과 수평 방향을 따르는 2차 브레이킹의 시점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킹 실시 조건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킹에 요구되는 힘을 다중 방향을 따르도록 기판에 제공함으로써, 브레이킹 효율을 향상시키고, 브레이킹되는 단위기판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레이킹 유닛을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브레이킹 유닛의 I-I'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브레이킹 유닛을 사용하여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브레이킹 부가 제 1브레이킹 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브레이킹 유닛의 II-II'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사용하여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이 레벨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제공부를 구비하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제공부를 구비하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되는 제 2브레이킹 부재와 기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브레이킹 부에 점착 돌기가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브레이킹 부에 점착홈들이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킹 유닛은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의 설명에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레이킹 유닛을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는 크게 로딩 영역(1)과, 스크라이브 영역(2)과, 브레이킹 영역(3)이 인라인(inline)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는 이송부(10)와, 스크라이브 유닛(20)과, 브레이킹 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0)는 글래스 패널과 같은 기판(50)을 이송하는 이송 레일 또는 이송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로딩 영역(1), 스크라이브 영역(2) 및 브레이킹 영역(3)에 설치되어, 기판(50)을 상기 영역들(1,2,3) 순서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의 이송 경로(a)는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각 영역들(1,2,3) 순서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글래스 패널과 같은 기판(10)은 로딩 영역(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딩 영역(1)에서, 기판(50)은 도시되지 않은 정렬 유닛을 통하여 이송 경로(a)를 따르도록 미리 설정된 정렬 상태로 정렬된다.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로딩 영역(1)에서 정렬된 기판(50)을 스크라이브 영역(2)으로 이송한다.
상기 스크라이브 영역(2)에는 스크라이브 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20)은 상기 전달된 기판(50)에 스크라이브 라인(SL, 도 4참조)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SL)은 상기 기판(50)의 표면에서 X축 또는 Y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20)은, 기판(50)의 이송 경로(a), 예컨대 X축을 따르는 이송 경로(a)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 또는 Y축을 따라 설치되는 헤드 프레임(21)과, 상기 헤드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외부 동력을 통해 상기 헤드 프레임(21)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헤드 유닛(22)과, 상기 헤드 유닛(22)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됨을 통해 기판(50)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SL)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라이브 휠은, 기판(50)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SL)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스크라이브 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크라이브 영역(2)에서 기판(50)의 표면에는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20)의 작동을 통해 스크라이브 라인(SL)이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상기 스크라이브 영역(2)으로부터 이송부(10)를 통해 기판(50)을 전달 받는다.
브레이킹 유닛의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고, 도 3은 도 2의 브레이킹 유닛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사용하여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킹 유닛(30)은 브레이킹 영역(3)에 배치된다. 상기 기판(50)은 스크라이브 라인(SL)이 형성된 후, 이송부(10)에 의해 브레이킹 영역(3)으로 전달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다중의 브레이킹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기판(50)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SL)에 수직 방향을 따르는 힘(Fv)을 제공하는 1차 브레이킹과,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좌우측으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Fh, Fh')을 제공하는 2차 브레이킹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브레이킹 영역(3, 도 1참조)에서, Y축을 따라 위치되는 브레이킹 헤드(31)에서 외부 동력을 제공받아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승강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통하여 승강된다.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제 1브레이킹 부(100)와, 제 2브레이킹 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는 제 1브레이킹 몸체(110)와, 상기 제 1브레이킹 부 몸체(110)의 하단에 하방을 따라 뾰족하게 형성되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은 실질적으로 기판(50)에 형성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을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는, 상기 승강장치의 하강동작에 따라 기판(5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기판(50)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SL)을 1차 브레이킹한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0)는 1차 브레이킹과 동시에, 스크라이브 라인(SL)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 즉 수평 방형을 따르는 힘(Fh,Fh')을 기판의 표면에 제공하여, 기판(50)을 제 1,2단위기판(51,52)으로 2차 브레이킹한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0)는 상기 승강장치의 하강동작에 따라 상기 기판(50)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와 같은 2차 브레이킹 한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0)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하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0)는 한 쌍의 제 2브레이킹 부재(220)로 형성된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일단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양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제 1브레이킹 부재(120)로부터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벌어진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일단은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양측면 상단에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면은 일정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착력은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면에 일정 두께의 점착층(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면은 기판(50)의 표면과 접촉시 일정의 점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과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단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는 하방을 따라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는 하강시, 그 하단이 기판(50)의 표면에 점착되면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50)의 표면에, 하강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단과 점진적으로 접촉되어 수평 방향을 따르는 힘이 과도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 하면, 브레이킹 유닛(30)의 하방에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이 형성된 기판(50)이 위치된다.
승강장치를 통하여 브레이킹 유닛(30)은 하방을 따라 하강된다. 상기 하강되는 방향은 Z축을 따른다.
이때,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은 기판(50)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SL)에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양측에 설치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는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라 기판(50)을 제 1,2단위 기판(51,52)으로 분리되도록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의 하단 하면은 제 1브레이킹 부재(120)가 하강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양측에 위치되는 기판(50)의 표면에 점차적으로 점착된다.
이어,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0)는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라 기판(50)의 표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와 같이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2차 브레이킹되는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브레이킹이 완료되면, 승강장치의 상승동작에 의해 브레이킹 유닛(30)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실시예는, 기판(50)의 스크라이브 라인(SL)에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함과 아울러,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기판(50)을 양측으로 밀어내는 2차 브레이킹을 동시에 실시하여, 기판(50)을 제 1,2단위 기판(51,52)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실시예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SL)에 다중의 브레이킹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기판(50)을 안정적으로 제 1,2단위기판(51,52)으로 브레이킹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브레이킹 유닛의 제 2실시예
도 5는 제 2브레이킹 부가 제 1브레이킹 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사용하여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 하면, 제 2브레이킹 부(201)는 제 1브레이킹 부(100)의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1)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의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양측면부에 설치되는 제 2브레이킹 몸체(211)와, 제 2브레이킹 몸체(21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브레이킹 부재(22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몸체(211)와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재질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221)가 제 2브레이킹 몸체(211)에 비하여 탄성이 더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몸체(211)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양측면부에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볼트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볼트 체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제 2브레이킹 부(201)를 제 1브레이킹 부(100)로부터 탈착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시 다른 제 2브레이킹 부(미도시)로 교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실시예는, 기판(50)의 스크라이브 라인(SL)에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동시에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경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로 가해지는 힘을 제 2브레이킹 몸체(211)로 전달 및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제 2브레이킹 부(201)의 수명 연한을 효율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Fv'는 1차 브레이킹 시 힘의 방향이며, 'Fh','Fh''는 2차 브레이킹 시 힘의 방향이다.
브레이킹 유닛의 제 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보여주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을 사용하여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제 1브레이킹 부(100)와, 제 2브레이킹 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는, 제 1브레이킹 몸체(110)와, 상기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는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202)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의 양측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202)는 제 2브레이킹 몸체(212)와, 제 2브레이킹 부재(222)로 구성된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양측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양측부에는 승강홈(111)이 형성되고,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에는 상기 승강홈(111)에 끼워져 상기 승강홈(111)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돌기(2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는 승강 모듈(310,320)과 연결된다. 상기 각 승강 모듈(310,320)은 제어모듈(42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를 승강시킨다.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제 2브레이킹 몸체(212)의 승강 위치를 입력 받는 입력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위치는 가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듈(310,320)에 의해,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를 사용한 2차 브레이킹 시점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브레이킹 몸체(212)는 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는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의 하단에 접착과 같은 방식 또는 볼트 체결과 같은 방식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제어모듈(420)은 각 승강 모듈(310,320)을 사용하여, 각 제 2브레이킹 몸체(212)의 승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브레이킹 몸체(2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브레이킹 부재(222) 역시 승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승강모듈(310,320)을 사용하여,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승강모듈(310,320)을 사용하여,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위치를 서로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222)는 기판(50)의 표면에 접촉되어 2차 브레이킹에 요구되는 힘을 기판(50)에 제공하는 부재로서, 이의 승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2차 브레이킹의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이 설정된 이후에, 승강장치에 의해 제 1브레이킹 부(100)는 기판(50)의 표면을 향하여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브레이킹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브레이킹 부재(120)는 기판(50)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SL)에 수직 방향을 따르는 힘(Fv)을 제공하여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한다.
이와 동시에, 각 승강 위치가 조절된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Fh,Fh')을 기판(50)의 표면에 제공하여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한다.
이때,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조절 위치가 서로 동일한 경우, 기판(50)에 대한 2차 브레이킹은 동시에 실시되고,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조절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를 통한 2차 브레이킹의 시점은 서로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조절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양측에 위치되는 기판(50) 표면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하여, 2차 브레이킹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실시예는, 1차 브레이킹의 시점과 2차 브레이킹의 시점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일정의 시차를 두도록 함으로써, 기판(50)에 대한 1,2차 브레이킹의 실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실시예는기판(50)의 두께, 또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의 형성 상태에 따라 기판(50)을 제 1,2단위기판(51,52)으로 용이하게 브레이킹 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은 레벨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브레이킹 유닛이 레벨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레벨 조절부(400)는 레벨 측정기(410)와, 제어모듈(420)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 측정기(410)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측정기(410)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브라켓(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측부에 위치되는 스크라이브 장치 본체(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벨 측정기(410)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과 각 제 2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의 수직 레벨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상기 레벨 측정기(41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거리측정기일 수 있다.
상기 레벨 측정기(410)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의 제 1수직레벨과,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하단의 제 2수직레벨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모듈(4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 하단의 제 1수직레벨과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222) 하단의 제2수직 레벨간의 수평 레벨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승강모듈(310,320)을 사용하여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승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이는 기판(50)에 대하여 브레이킹을 실시하기 이전 또는 브레이킹을 실시하면서 일정 주기로, 제 1,2브레이킹 부재(120,222)의 레벨 상태를 조절 및 점검하는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실시예는, 브레이킹 실시 전 또는 일정 주기별로, 제 1,2브레이킹 부재(120,222)의 수평 레벨이 항상 일정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1,2차 브레이킹의 시점을 서로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모듈(420)은 1,2차 브레이킹이 실시된 직후 마다, 상기와 같은 수평레벨 조절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실시예는 기판(50)의 스크라이브 라인(SL)에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함과 동시에 2차 브레이킹이 동일시점에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제 1브레이킹 부재(120) 또는 제 2브레이킹 부재(222)의 변형으로 인한 부정확한 브레이킹의 실시 방지와, 브레이킹되어 제조되는 단위기판(51,52)의 품질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킹 유닛 제 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제공부를 구비하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브레이킹 유닛(30)은 하나의 승강모듈(350)에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브레이킹 몸체(110)에는 거리 센서(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600)는 기판(50)의 상면까지의 거리값(d1)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값(d1)을 제어 모듈(4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600)와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까지의 거리값(d2)은 제어모듈(420)에 미리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킹 공정 전,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하단과 기판(50) 상면과의 대기 거리값(d0)이 제어모듈(420)에 설정된다.
또한, 제 1브레이킹 몸체(110)는 승강모듈(350)과 연결된다. 상기 승강모듈(350)은 제어모듈(42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승강 구동된다.
특히,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에는 다수의 진공 흡착홀(221a)이 더 형성된다.
상기 진공 흡착홀(221a)은 진공 제공부(500)와 튜브(5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제공부(500)는 제어모듈(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모듈(42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진공 흡착홀(221a)에 진공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제공부를 구비하는 브레이킹 유닛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되는 제 2브레이킹 부재와 기판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50)에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이 형성된다.
기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브레이킹 유닛(30)에서 초기 위치는 도 9에 도시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초기 위치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가 대기 위치값(d0)을 이루는 위치일 수 있다.
제어모듈(420)은 승강모듈(350)을 구동하여, 상기 브레이킹 유닛(30)이 상기 초기 위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모듈(420)은 승강모듈(350)를 구동시켜 브레이킹 유닛(30)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420)은 제 1브레이킹 부재(120)가 작동 위치에 이르도록 하강시킨다. 상기 작동 위치는 하강되는 제 1브레이킹 부재(120)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SL)이 1차 브레이킹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승강모듈(350)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진공 제공부(500)를 사용하여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진공 흡착홀(221a)에 진공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100)의 제 1브레이킹 부재(120)는 상기와 같이 하강되면서 기판(50)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SL)에 접촉하면서 수직을 따르는 힘(Fv)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제 1브레이킹 부재(120)의 양측에 위치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그 끝단부터 점진적으로 기판(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가 작동 위치로 더 하강되면서,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은 기판(50)의 상면에 모두 접촉된다.
이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기판(50)의 상면을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강 동작이 수행되면서, 제 1브레이킹 부재(120)는 스크라이브 라인(SL)에 수직 방향을 따르는 힘(Fv)을 제공하여 1차 브레이킹을 실시하고, 이와 동시에,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을 경계로 양측에서 기판(50)을 진공 흡착한 상태로 기판(50)을 벌어지는 방향을 따라 힘(Fh,Fh')을 가하여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하고, 기판(50)을 제 1,2단위기판(51,52)으로 브레이킹한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에는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르는 브레이킹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120)가 작동 위치에 이르면, 제어모듈(420)은 진공 제공부(500)의 구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진공 흡착홀(221a)에 제공된 진공은 해제된다. 상기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는 기판(5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모듈(420)은 승강모듈(350)을 구동시켜 브레이킹 유닛(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어, 상기 제어모듈(420)은 도 1에 도시되는 이송부(10, 도 1참조)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브레이킹된 제 1,2단위 기판(51,52)을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4실시예는 1차 브레이킹과 동시에 단위기판들(51,52)로 분리될 기판(50)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여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함으로써, 2차 브레이킹시 기판(50)에 작용되는 힘에 대한 손실량을 최소한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브레이킹 부에 점착 돌기가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 하면, 상술된 제 1 내지 제 4실시예에 기술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에는 다수의 점착돌기들(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돌기들(230)은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이 기판(50)의 표면에 접촉되어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경우, 기판(50)과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점착돌기들(230)은 2차 브레이킹이 실시되는 동안에,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가 기판(5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공정 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브레이킹 부에 점착홈들이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4를 참조 하면, 상술된 제 1 내지 제 4실시예에 기술되는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에는 다수의 점착홈들(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홈들(240)은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이 기판(50)의 표면에 접촉되어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경우, 기판(50)과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점착홈들(240)은 2차 브레이킹이 실시되는 동안에, 각 제 2브레이킹 부재(221)가 기판(5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공정 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브레이킹 부재(221)의 하면에는 상술된 점착돌기(230)와 점착홈(240)이 서로 균일한 비율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점착돌기(230)의 경우, 돌출된 부분의 외면에 일정 두께의 점착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도면부호 '221'인 제 2브레이킹 부재를 대표적인 예롤 설명하였지만, 상기 점착돌기(230) 또는 점착홈(240)은 도면부호 '220', '222'인 제 2브레이킹 부재에도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
1 : 로딩 영역 2 : 스크라이브 영역
3 : 브레이킹 영역 10 : 이송부
20 : 스크라이브 유닛 30 : 브레이킹 유닛
100 : 제 1브레이킹 부 110 : 제 1브레이킹 몸체
120 : 제 1브레이킹 부재 200,201,202 : 제 2브레이킹 부
210,211,212 : 제 2브레이킹 몸체 220,221,222 : 제 2브레이킹 부재
230 : 점착돌기 240 : 점착홈
310,320,350 : 승강모듈 400 : 레벨조절부
410 : 레벨 측정기 420 : 제어모듈
500 : 진공제공부

Claims (8)

  1. 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을 1차 브레이킹하는 제 1브레이킹 부; 및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1차 브레이킹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을 상기 기판에 제공하여, 상기 기판을 제 1단위 기판과 제 2단위 기판으로 2차 브레이킹하는 제 2브레이킹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레이킹 부는, 상기 기판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1차 브레이킹하고,
    상기 제 2브레이킹 부는, 상기 기판과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기판을 2차 브레이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레이킹 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에 소정의 점착력을 제공하면서 2차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의 하면에는,
    상기 기판의 표면과의 점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점착 돌기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의 두께는,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의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레이킹 부는 상기 기판과 점진적으로 접촉되면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레이킹 부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의 양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브레이킹 부를 경계로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경계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힘을 상기 기판에 제공하는 제 2브레이킹 부재와,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2차 브레이킹의 시점을 조절하는 승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유닛은, 레벨 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레벨 조절부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1차 브레이킹하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의 제 1브레이킹 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의 하단의 수평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와,
    측정되는 상기 제 1브레이킹 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의 하단의 수평 레벨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승강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 2브레이킹 부재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유닛.
  8.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 및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KR1020120040113A 2012-04-18 2012-04-18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KR10189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13A KR101895606B1 (ko) 2012-04-18 2012-04-18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13A KR101895606B1 (ko) 2012-04-18 2012-04-18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97A true KR20130117197A (ko) 2013-10-25
KR101895606B1 KR101895606B1 (ko) 2018-10-18

Family

ID=4963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113A KR101895606B1 (ko) 2012-04-18 2012-04-18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18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분단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480A (ko) * 2003-06-27 2005-01-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WO2005028172A1 (ja) * 2003-09-24 2005-03-31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および基板分断方法
KR20070071194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제조방법
KR20070121640A (ko) * 2005-01-05 2007-12-27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워크의 브레이크 방법 및 장치, 스크라이브 및 브레이크방법, 및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JP4131853B2 (ja) * 2003-04-28 2008-08-1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00120525A (ko) * 2009-05-06 2010-11-1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브레이크 장치
KR20110123548A (ko) * 2010-05-07 2011-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JP4965632B2 (ja) * 2004-03-15 2012-07-0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基板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基板分断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1853B2 (ja) * 2003-04-28 2008-08-1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50000480A (ko) * 2003-06-27 2005-01-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WO2005028172A1 (ja) * 2003-09-24 2005-03-31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および基板分断方法
JP4965632B2 (ja) * 2004-03-15 2012-07-0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基板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基板分断方法
KR20070121640A (ko) * 2005-01-05 2007-12-27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워크의 브레이크 방법 및 장치, 스크라이브 및 브레이크방법, 및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KR20070071194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제조방법
KR20100120525A (ko) * 2009-05-06 2010-11-1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브레이크 장치
KR20110123548A (ko) * 2010-05-07 2011-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18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606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271B1 (ko) 캐리어기판 분리 시스템 및 분리 방법
KR101380978B1 (ko) 합착장치
JP2006231201A (ja) 塗布装置
KR101010310B1 (ko) 스크라이빙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및방법
KR101096599B1 (ko) 레이저 스크라이버
KR20130014835A (ko) 브레이킹 바를 이용한 브레이킹 장치
KR102638514B1 (ko) 유리 기판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7197A (ko) 브레이킹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US20140286735A1 (en) Lift mechanism for a glass substrate in an exposure machine
KR101711956B1 (ko) 평행이동형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KR20130071284A (ko) 기판 이송장치
KR101949159B1 (ko) 스크라이브 장치, 기판 절단 장치 및, 기판 스크라이브 방법
US10831068B2 (en) Lifting apparatus,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alignment, and substrate alignment method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JP2007090322A (ja) ディスペンサステージのガラス吸着構造
KR101970566B1 (ko) 디스플레이패널 제조용 캐리어기판 분리장치 및 디스플레이패널 제조방법
KR20160111603A (ko) 합착 기판의 절단 시스템
KR101280756B1 (ko) 기판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JP2013254056A (ja) 表示基板貼り合わせ装置、表示基板貼り合わせ方法および表示基板の製造方法
KR101087976B1 (ko) 기판 합착기
CN104635387A (zh) 一种液晶滴注计量设备与方法
KR101841476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180780B1 (ko) 기판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방법
CN211490244U (zh) 一种led灯支架原料用焊接机
KR20130041483A (ko) 평판표시패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