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332A -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332A
KR20130116332A KR1020137021485A KR20137021485A KR20130116332A KR 20130116332 A KR20130116332 A KR 20130116332A KR 1020137021485 A KR1020137021485 A KR 1020137021485A KR 20137021485 A KR20137021485 A KR 20137021485A KR 20130116332 A KR20130116332 A KR 20130116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oriented electrical
group
electrica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후지쿠라
요시유키 우시가미
데스슈우 무라카와
신이치 가나오
마코토 아타케
다케루 이치에
고오지로오 호리
신이치 마츠이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33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72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65Both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Abstract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다.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는다.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다.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한다.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이다.

Description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NO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SAME, LAMINATE FOR MOTOR IRON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LAMINATE}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철심 재료에 적합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구동 모터로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비교적 용량이 큰 모터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모터에 사용되는 철심의 재료에는, 상용 주파수보다도 높은, 수 100㎐∼수 ㎑의 범위에서의 저철손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회전자에 사용되는 철심에는, 원심력 및 응력 변동에 견디기 위해, 소요의 기계 강도도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자동차의 구동 모터 이외에 사용되는 철심의 재료에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 철손의 저감 및/또는 강도의 향상 등을 도모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12).
그러나, 이들 기술로는, 철손의 저감 및 강도의 향상의 양립을 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실제로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한 것도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2-0083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6-33025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0904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7026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01800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8405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8306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3975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128428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8829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601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29094호 공보
본 발명은, 철손의 저감 및 강도의 향상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2)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
(3)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
(4)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균열(均熱)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sec 이상 60℃/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5)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6)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7)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을, 제1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제1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0℃/sec 이상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 어닐링 후에,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제2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10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상기 제2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8)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9)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10) 서로 적층된 복수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
(11)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에 기재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
(12)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
(13) 복수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서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2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또는 (14)에 기재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조성 및 조직을 적절하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철손의 저감 및 강도의 향상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은, 소정의 조성을 갖고 있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철손의 저감 및 강도의 향상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모터의 고효율화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1 제조 방법에서는, 소정의 조성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sec 이상 60℃/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2 제조 방법에서는, 소정의 조성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을, 제1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제1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0℃/sec 이상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다음에, 냉연판 어닐링 후에,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제2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10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제2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여기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함유량의 단위인「%」는「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슬래브의 조성은 그대로 무방향성 전자 강판에 인계되므로, 여기서 설명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조성은, 그 제조에 사용하는 슬래브의 조성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은, 예를 들어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한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다.
<C:0.002% 이상 0.01% 이하>
C는, Ti, V, Zr 및 Nb와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한다. 이 미세한 석출물은 강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C 함유량이 0.002% 미만이면, 강도의 향상에 충분한 양의 석출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C 함유량이 0.01% 초과이면,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기 쉽다. 조대한 석출물은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기 어렵다. 또한,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면, 철손이 열화되기 쉽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02% 이상 0.01% 이하로 한다. 또한, C 함유량은 0.00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Si:2.0% 이상 4.0% 이하>
Si는, 강의 고유 저항을 높여 철손을 저감시킨다. Si 함유량이 2.0% 미만이면, 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Si 함유량이 4.0% 초과이면, 강이 취화되어, 압연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2.0% 이상 4.0% 이하로 한다. 또한, Si 함유량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n:0.05% 이상 0.5% 이하>
Mn은, Si와 마찬가지로, 강의 고유 저항을 높여 철손을 저감시킨다. 또한, Mn은 황화물을 조대화하여 무해화한다. Mn 함유량이 0.05% 미만이면,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Mn 함유량이 0.5% 초과이면, 자속 밀도가 저하되거나, 냉간 압연시에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비용의 상승도 현저해진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05% 이상 0.5% 이하로 한다. 또한, Mn 함유량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Al:0.01% 이상 3.0% 이하>
Al은, Si와 마찬가지로, 강의 고유 저항을 높여 철손을 저감시킨다. 또한, Al은 탈산재로서 작용한다. Al 함유량이 0.01% 미만이면,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Al 함유량이 3.0% 초과이면, 강이 취화되어, 압연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1% 이상 3.0% 이하로 한다. 또한, Al 함유량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Ti, V, Zr, Nb>
Ti, V, Zr 및 Nb는, C 및/또는 N과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한다. 이 석출물은 강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파라미터 Q의 값이 0.9 미만이면, Ti, V, Zr 및 Nb에 대해 C가 과잉이므로, 마무리 어닐링 후에 C가 강판 내에 고용(固溶) 상태로 존재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C가 고용 상태로 존재하면, 자기 시효가 발생하기 쉽다. 파라미터 Q의 값이 1.1 초과이면, Ti, V, Zr 및 Nb에 대해 C가 부족하므로, 미세한 석출물을 얻는 것이 곤란해져, 원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파라미터 Q의 값은 0.9 이상 1.1 이하로 한다. 또한, 파라미터 Q의 값은 0.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N:0.001% 이상 0.004% 이하>
N은, C와 마찬가지로, Ti, V, Zr 및 Nb와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한다. 이 미세한 석출물은 강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N 함유량이 0.001% 미만이면, 강도의 가일층의 향상에 충분한 양의 석출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N 함유량이 0.004% 초과이면,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기 쉽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04% 이하로 한다.
<Cu:0.5% 이상 1.5% 이하>
본 발명자들은, Cu가 강에 함유되어 있으면,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석출물이 미세하게 석출되기 쉬운 것을 발견하였다. 이 미세한 석출물은 강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Cu 함유량이 0.5% 미만이면, 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u 함유량은 0.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u 함유량이 1.5% 초과이면, 강이 취화되기 쉽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1.5% 이하로 한다. 또한, Cu 함유량은 1.2%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Cu가 강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한 석출물이 미세하게 석출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매트릭스 내에 Cu의 국소적인 농도 분포가 발생하여, 탄화물의 석출 사이트로 되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석출물을 석출시킬 때에 Cu가 석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한편, Cu의 석출물은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Cu가 석출되어 있어도 된다.
<Sn:0.05% 이상 0.5% 이하>
본 발명자들은, Sn이 강에 함유되어 있으면,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석출물이 미세하게 석출되기 쉬운 것도 발견하였다. 이 미세한 석출물은 강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Sn 함유량이 0.05% 미만이면, 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Sn 함유량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n 함유량은 0.0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n 함유량이 0.5% 초과이면, 강이 취화되기 쉽다. 따라서, Sn 함유량은 0.5% 이하로 한다. 또한, Sn 함유량은 0.2%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0.5% 이상 5% 이하의 Ni, 0.005 이상 0.1% 이하의 P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Ni 및 P는, 강판의 고용 경화 등에 기여한다.
다음에,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금속 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금속 조직의 모상(매트릭스)은 페라이트 상이며, 금속 조직에 미재결정 조직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미재결정 조직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철손을 현저하게 열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미만이면,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높아진다.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200㎛ 초과이면, 미립 경화의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은 30㎛ 이상 200㎛ 이하로 한다. 또한,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은 10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페라이트립 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 석출물이 작을수록, 또한 이 석출물의 개수 밀도가 높을수록,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석출물의 사이즈는, 자기 특성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석출물의 직경이 자벽의 두께보다 작은 경우, 자벽 이동의 피닝에 의한 히스테리시스 손실의 열화(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2㎛ 초과이면,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석출물의 평균 입경은 0.2㎛ 이하로 한다. 이 평균 입경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순철의 자벽의 이론상의 두께는, 교환 에너지 및 이방성 에너지로부터 어림하면 0.1㎛ 정도이지만, 실제의 자벽의 두께는, 자벽이 형성되는 방위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과 같이, Fe 이외의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벽의 두께는, 그 종류 및 양 등의 영향도 받는다. 이 관점에서도 0.2㎛ 이하라고 하는 석출물의 평균 입경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2㎚)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의 상승의 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0.002㎛ 미만의 범위에서 석출물의 평균 입경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석출물의 평균 입경은 0.002㎛ 이상으로 한다.
또한, 석출물의 개수 밀도가 높을수록,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고, 페라이트립 내의 석출물의 개수 밀도가 1개/㎛3 미만이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어렵다. 이로 인해, 석출물의 개수 밀도는, 1개/㎛3 이상으로 한다. 이 개수 밀도는 100개/㎛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개/㎛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개/㎛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00개/㎛3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다음에,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1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조성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sec 이상 60℃/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또한, 제2 제조 방법에서는, 소정의 조성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다. 다음에,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을, 제1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제1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0℃/sec 이상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다음에, 냉연판 어닐링 후에,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제2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10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제2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한다.
우선, 제1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열간 압연의 슬래브 가열 온도가 1050℃ 미만이면, 열간 압연이 곤란해지기 쉽다. 슬래브 가열 온도가 1200℃ 초과이면, 황화물 등이 일단 용해되어, 열간 압연의 냉각 과정에서 황화물 등이 미세하게 석출되므로, 마무리 어닐링(냉간 압연 후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립의 성장이 저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슬래브 가열 온도는 1050℃ 이상 1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에서는, 예를 들어 조압연 및 마무리 압연을 행한다. 마무리 압연의 종료 온도(마무리 온도)는 750℃ 이상 9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생산성을 얻기 위함이다.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를 1.6㎜ 미만으로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생산성의 저하로도 이어진다. 한편,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가 2.7㎜이면, 그 후의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압하율을 과잉으로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압하율이 과잉으로 높은 경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집합 조직이 열화되어 자기 특성(자속 밀도, 철손)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1.6㎜ 이상 2.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 압연은, 1회만 행해도 되고,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끼우면서 2회 이상 행해도 된다.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마지막 압하율은 60% 이상 9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어닐링 후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금속 조직(집합 조직)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하여, 높은 자속 밀도 및 낮은 철손을 얻기 위함이다. 또한, 중간 어닐링을 행하는 경우, 그 온도는 900℃ 이상 1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조직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 압하율은 6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2% 이하로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마무리 어닐링에서는, 균열 과정에 있어서, 냉간 압연 강판에 포함되는,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일단 고용시키고, 그 후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킨다. 균열 온도가 950℃ 미만이면, 페라이트립을 충분히 성장시키는 것, 및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고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균열 온도가 1100℃ 초과이면, 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거나, 허스롤 등의 부대 설비가 손상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950℃ 이상 1100℃ 이하로 한다. 또한, 균열 시간이 20초간 미만이면, 페라이트립을 충분히 성장시키는 것, 및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고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20초간 이상으로 한다. 균열 시간이 2분간 초과이면, 생산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2분간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의 용해 온도는, Ti, V, Zr, Nb, C 및 N의 함유량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해, Ti, V, Zr, Nb, C 및 N의 함유량에 따라서 마무리 어닐링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무리 어닐링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인장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무리 어닐링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킨다.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sec 미만이면,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기 쉬워,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이 평균 냉각 속도가 60℃/sec 초과이면,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킬 수 없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2℃/sec 이상 60℃/sec 이하로 한다.
또한, 냉간 압연을 행하기 전에, 열간 압연 강판의 어닐링, 즉, 열연판 어닐링을 행해도 된다. 적절한 열연판 어닐링을 행함으로써,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집합 조직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하여, 보다 우수한 자속 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연판 어닐링의 균열 온도가 850℃ 미만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30초간 미만인 경우, 집합 조직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균열 온도가 1100℃ 초과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5분간 초과인 경우, 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거나, 허스롤 등의 부대 설비가 손상되기 쉬워져, 비용의 상승이 현저해진다. 따라서, 열연판 어닐링에 있어서의 균열 온도는 850℃ 이상 1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균열 시간은 30초간 이상 5분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 조직을 구비하고 있어, 높은 강도 및 낮은 철손을 얻을 수 있다. 즉, 마무리 어닐링의 균열 과정에 있어서 재결정이 발생하여 상기한 페라이트 상이 생성되고, 그 후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석출물이 생성된다. 또한, 마무리 어닐링 후에, 필요에 따라서 절연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제2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조건하에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을 행한다. 또한, 제1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슬래브 가열 온도를 1200℃ 이하로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래브 가열 온도가 1200℃ 초과이면, 마무리 어닐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립의 성장이 저해되기 쉬워지기 때문이지만, 제1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슬래브 가열 온도를 1200℃ 이하로 하는 것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1200℃ 초과이면, 냉연판 어닐링(냉간 압연 후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립의 성장이 저해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조건하에서 열연판 어닐링을 행해도 된다.
냉연판 어닐링에서는, 냉간 압연 강판에 포함되는,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고용시킨다. 균열 온도가 950℃ 미만이면, 페라이트립을 충분히 성장시키는 것, 및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고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균열 온도가 1100℃ 초과이면, 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거나, 허스롤 등의 부대 설비가 손상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950℃ 이상 1100℃ 이하로 한다. 또한, 균열 시간이 20초간 미만이면, 페라이트립을 충분히 성장시키는 것, 및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고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열 시간이 2분간 초과이면, 생산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2분간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연판 어닐링의 냉각 과정에서는, 고용된 Ti, V, Zr 및/또는 Nb를 가능한 한 석출시키지 않고, 그대로의 고용 상태를 유지한다.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0℃/sec 미만이면, Ti, V, Zr 및/또는 Nb가 다량으로 석출되기 쉽다. 따라서,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20℃/sec 이상으로 한다. 이 평균 냉각 속도는 60℃/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sec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무리 어닐링에서는, 냉연판 어닐링 후의 냉간 압연 강판에 고용되어 있는 Ti, V, Zr 및/또는 Nb를 사용하여,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킨다. 균열 온도가 400℃ 미만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10분간 미만인 경우,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균열 온도가 800℃ 초과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10시간 초과인 경우, 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거나, 허스롤 등의 부대 설비가 손상되기 쉬워져, 비용의 상승이 현저해진다. 또한,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400℃ 이상 800℃ 이하로 하고, 균열 시간은 10분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한다. 또한, 균열 온도는 5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미만이면,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기 쉬워,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이 평균 냉각 속도가 0.1℃/sec 초과이면, Ti, V, Zr 및/또는 Nb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킬 수 없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0.0001℃/sec 이상 0.1℃/sec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 조직을 구비하고 있어, 높은 강도 및 낮은 철손을 얻을 수 있다. 즉, 냉연판 어닐링에 있어서 재결정이 발생하여 상기한 페라이트 상이 생성되고, 그 후의 마무리 어닐링에 있어서 상기한 석출물이 생성된다. 또한, 마무리 어닐링 후에, 필요에 따라서 절연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냉연판 어닐링에 의한 냉각으로부터 그대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해도 된다. 즉, 냉연판 어닐링에 의한 700℃까지의 냉각 후에, 400℃ 미만까지 냉각하는 일 없이, 400℃ 이상 800℃ 이하의 범위에서 마무리 어닐링을 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제조 방법 및 제2 제조 방법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냉간 압연 후의 어닐링에 있어서, 페라이트립을 충분히 성장시키고 나서 석출물을 석출시킨다. 이로 인해, 석출물에 의해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석출물을 자벽의 두께보다 작게 석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자벽 이동의 피닝에 의한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하여 구성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하여 구성된 모터 철심용 적층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2)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1)이 복수 포함되어 있다. 이 모터 철심용 적층체(2)는, 예를 들어 복수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1)을 펀칭 등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하고, 적층하여, 코킹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무방향성 전자 강판(1)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모터 철심용 적층체(2)의 철손이 낮고, 기계적 강도가 높다.
모터 철심용 적층체(2)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완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 후에,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2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어닐링을 행하고, 이러한 어닐링이 완료되고 나서 완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어닐링을 행함으로써, 석출물의 석출에 의해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어닐링의 균열 온도가 400℃ 미만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2분간 미만인 경우,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균열 온도가 800℃ 초과인 경우 및 균열 시간이 10시간 초과인 경우, 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거나, 부대 설비가 손상되기 쉬워져, 비용의 상승이 현저해진다. 또한, 석출물이 조대하게 석출되어, 충분히 강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균열 온도는 400℃ 이상 8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균열 시간은 2분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균열 시간은 5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균열 시간은 10분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미만이면, 탄화물이 조대하게 석출되기 쉽다. 이 평균 냉각 속도가 0.1℃/sec 초과이면,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0.0001℃/sec 이상 0.1℃/sec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실험에 있어서의 조건 등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채용한 예이며,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다양한 조성의 강을 진공 용해에 의해 용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 열간 압연 강판(열연판)의 두께는 2.0㎜로 하였다. 계속해서, 열간 압연 강판의 산세를 행하고,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을 얻었다. 냉간 압연 강판(냉연판)의 두께는 0.35㎜로 하였다. 이어서,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였다. 마무리 어닐링에서는, 균열 온도를 1000℃로 하고, 균열 시간을 30초간으로 하고, 균열 온도(1000℃)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20℃/sec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다양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그 후,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해, 금속 조직의 관찰을 행하였다. 금속 조직의 관찰에서는, 예를 들어 입경의 측정(JIS G 0552) 및 석출물의 관찰을 행하였다. 또한,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으로부터 JIS 5호 시험편을 잘라내고, 그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으로부터 55㎜×55㎜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그 자기 특성을 단판 자기 특성 시험법(JIS C2556)으로 측정하였다. 자기 특성으로서는, 주파수가 400㎐, 최대 자속 밀도가 1.0T인 조건하에서의 철손(W10/400)을 측정하였다. 또한, 자기 시효의 영향을 보기 위해, 철손(W10/400)은, 200℃에서 1일간의 시효 처리 후에도 측정하였다. 즉,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해, 시효 처리의 전후에 철손(W10/400)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조건 No.C1∼No.C19에 있어서, 550㎫ 이상의 인장 강도 및 30W/kg 이하의 철손(W10/400)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조건 No.D1∼No.D8에서는, 인장 강도 및 철손의 양립이 곤란하였다.
(실험예 2)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강 No.A11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2.0㎜로 하였다. 그 후, 일부(조건 No.E7)의 열간 압연 강판의 어닐링(열연판 어닐링)을 표 3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계속해서, 열간 압연 강판의 산세를 행하고,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을 얻었다. 냉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0.35㎜로 하였다. 이어서,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표 3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다양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그 후,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해,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이 결과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조건 No.E1∼No.E7에 있어서, 550㎫ 이상의 인장 강도 및 30W/kg 이하의 철손(W10/400)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조건 No.F1∼No.F5에서는, 인장 강도 및 철손의 양립이 곤란하였다.
(실험예 3)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강 No.A11, No.A17 및 No.B2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2.0㎜으로 하였다. 그 후, 열간 압연 강판의 산세를 행하고,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을 얻었다. 냉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0.35㎜로 하였다. 계속해서,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 및 마무리 어닐링을 표 4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다양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그 후,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해,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이 결과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조건 No.G1∼No.G12에 있어서, 550㎫ 이상의 인장 강도 및 30W/kg 이하의 철손(W10/400)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조건 No.H1∼No.H10에서는, 인장 강도 및 철손의 양립이 곤란하였다.
(실험예 4)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강 No.A11 및 No.A17의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 열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2.0㎜로 하였다. 그 후, 열간 압연 강판의 산세를 행하고,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을 얻었다. 냉간 압연 강판의 두께는 0.35㎜로 하였다. 계속해서,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조건 No.I7 및 No.14만) 및 마무리 어닐링을 표 5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이어서, 마무리 어닐링 후의 냉간 압연 강판의 표면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다양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그 후, 각 무방향성 전자 강판으로부터, 압연 방향의 사이즈가 300㎜, 압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가 60㎜인 강판을 30매 펀칭하였다. 이러한 형상 및 사이즈의 강판은, 실제의 모터 코어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30매의 강판을 서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계속해서, 각 적층체의 어닐링의 어닐링을 표 5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이어서, 각 적층체로부터 시험용 강판을 뽑아내고, 이 강판에 대해,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즉, 모터 코어에 사용되는 적층체를 상정한 평가를 행하였다. 이 결과도 표 5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어닐링의 조건이 상기한 바람직한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비교예로 하였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닐링의 조건과 자기 특성, 기계 특성을 표 4에 나타낸다. 표 4로부터, 고강도와 저철손이 동시에 얻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자 강판 제조 산업 및 모터 등의 전자 강판 이용 산업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
  5.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sec 이상 60℃/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9.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간 압연을 행하여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냉연판 어닐링을, 제1 균열 온도가 950℃ 이상 1100℃ 이하, 균열 시간이 20초간 이상, 상기 제1 균열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20℃/sec 이상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 어닐링 후에,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의 마무리 어닐링을, 제2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10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상기 제2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가,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을 행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13. 서로 적층된 복수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
    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
  17. 복수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서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균열 온도가 400℃ 이상 800℃ 이하, 균열 시간이 2분간 이상 10시간 이하, 상기 균열 온도로부터 300℃까지의 냉각 속도가 0.0001℃/sec 이상 0.1℃/sec 이하인 조건하에서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C:0.002% 이상 0.01% 이하,
    Si:2.0% 이상 4.0% 이하,
    Mn:0.05% 이상 0.5% 이하 및
    Al:0.01% 이상 3.0% 이하를 함유하고,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 V, Zr, Nb, C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Ti], [V], [Zr], [Nb], [C]로 나타냈을 때,「Q=([Ti]/48+[V]/51+[Zr]/91+[Nb]/93)/([C]/12)」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Q의 값이 0.9 이상 1.1 이하이고,
    금속 조직의 모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상기 금속 조직은 미재결정 조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라이트 상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립의 평균 입경이 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페라이트립 내에, Ti, V, Zr 및 N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1개/㎛3 이상의 밀도로 존재하고,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경이 0.002㎛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 질량%로,
    N:0.001% 이상 0.004% 이하,
    Cu:0.5% 이상 1.5% 이하 및
    Sn:0.05% 이상 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이,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철심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37021485A 2011-08-18 2012-08-17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6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9066 2011-08-18
JP2011179072 2011-08-18
JPJP-P-2011-179072 2011-08-18
JP2011179066 2011-08-18
PCT/JP2012/070909 WO2013024899A1 (ja) 2011-08-18 2012-08-17 無方向性電磁鋼板、その製造方法、モータ鉄心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332A true KR20130116332A (ko) 2013-10-23

Family

ID=4771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85A KR20130116332A (ko) 2011-08-18 2012-08-17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21706B2 (ko)
EP (2) EP2746418B1 (ko)
JP (1) JP5321764B2 (ko)
KR (1) KR20130116332A (ko)
CN (1) CN103415638B (ko)
HK (1) HK1192593A1 (ko)
PL (2) PL3173503T3 (ko)
TW (1) TWI457449B (ko)
WO (1) WO201302489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489A (ko) * 2015-04-27 2017-12-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무방향성 전자 강판
KR20190003783A (ko) * 2016-08-05 2019-01-09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무방향성 전자 강판,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모터 코어의 제조 방법
KR20200065141A (ko) *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낮은 철손 및 우수한 표면품질을 갖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723A1 (ko) * 2019-12-18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121256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46415T3 (pl) 2011-08-18 2019-10-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Blacha cienka z niezorientowanej stali elektrotechnicznej, sposób jej wytwarzania, laminat na rdzeń ferromagnetyczny do silników i sposób jego wytwarzania
JP6262599B2 (ja) * 2013-11-29 2018-01-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軟磁性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軟磁性鋼材から得られる軟磁性部品
JP6679948B2 (ja) * 2016-01-19 2020-04-15 日本製鉄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658471B2 (ja) * 2016-11-25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ータ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コアの製造方法
TWI667672B (zh) * 2017-01-10 2019-08-01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捲繞鐵芯、及其製造方法
RU2692146C1 (ru) * 2018-05-25 2019-06-21 Олег Михайлович Губано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отроп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AU2020263862B2 (en) * 2019-04-25 2022-12-22 Nippon Steel Corporation Wound iron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38475B1 (ko) * 2020-12-21 2022-09-01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2071A (ko) * 2022-07-20 2024-0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346A (ja) 1988-06-27 1990-01-11 Nippon Steel Corp 高張力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305806B2 (ja) * 1993-05-21 2002-07-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張力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239988B2 (ja) 1996-06-28 2001-12-1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磁気特性に優れた高強度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88298A (ja) 1996-09-19 1998-04-07 Nkk Corp 無方向性電磁鋼板
JP3012826B2 (ja) 1998-02-10 2000-02-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セミプロセス無方向性電磁鋼板
EP1411138A4 (en) * 2001-06-28 2005-01-12 Jfe Steel Corp NO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JP2004084053A (ja) 2002-06-26 2004-03-18 Nippon Steel Corp 磁気特性の著しく優れた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4084083A (ja) 2002-08-23 2004-03-18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フィラメントが一方向に配列されたウェブの製造方法および該ウェブの製造装置
EP1580289B1 (en) 2002-12-05 2015-02-11 JFE Steel Corporation Non-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352691B2 (ja) 2002-12-05 2009-10-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打ち抜き性及び鉄損の優れた時効硬化性無方向性電磁鋼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ローターの製造方法
JP4833523B2 (ja) * 2004-02-17 2011-12-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4235132B2 (ja) 2004-03-09 2009-03-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4389691B2 (ja) 2004-06-22 2009-12-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42843A1 (de) 2004-09-04 2006-03-09 Bayer Materialscience Ag Metallacetylacetonate als Umesterungskatalysatoren
JP4589737B2 (ja) * 2005-01-20 2010-12-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粒成長後の磁気特性が優れたセミプロセス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24431B2 (ja) * 2005-02-08 2011-07-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
JP4349340B2 (ja) 2005-08-04 2009-10-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Cu含有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20110056592A1 (en) 2008-04-14 2011-03-10 Yoshihiro Arita High-strength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L2746415T3 (pl) 2011-08-18 2019-10-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Blacha cienka z niezorientowanej stali elektrotechnicznej, sposób jej wytwarzania, laminat na rdzeń ferromagnetyczny do silników i sposób jego wytwarzania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489A (ko) * 2015-04-27 2017-12-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무방향성 전자 강판
KR20190003783A (ko) * 2016-08-05 2019-01-09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무방향성 전자 강판,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모터 코어의 제조 방법
CN109563583A (zh) * 2016-08-05 2019-04-02 新日铁住金株式会社 无方向性电磁钢板、无方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及马达铁芯的制造方法
CN109563583B (zh) * 2016-08-05 2021-10-15 日本制铁株式会社 无方向性电磁钢板、无方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及马达铁芯的制造方法
US11295881B2 (en) 2016-08-05 2022-04-05 Nippon Steel Corporatio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core
KR20200065141A (ko) *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낮은 철손 및 우수한 표면품질을 갖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723A1 (ko) * 2019-12-18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8166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121256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173503T3 (pl) 2019-04-30
EP2746418A1 (en) 2014-06-25
CN103415638B (zh) 2015-09-02
TW201319272A (zh) 2013-05-16
CN103415638A (zh) 2013-11-27
PL2746418T3 (pl) 2017-05-31
EP2746418A4 (en) 2015-05-06
EP3173503A1 (en) 2017-05-31
US9721706B2 (en) 2017-08-01
US20130309525A1 (en) 2013-11-21
EP3173503B1 (en) 2018-09-26
HK1192593A1 (en) 2014-08-22
TWI457449B (zh) 2014-10-21
WO2013024899A1 (ja) 2013-02-21
JP5321764B2 (ja) 2013-10-23
EP2746418B1 (en) 2016-12-14
JPWO2013024899A1 (ja)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6332A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US11124854B2 (e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6891682B2 (ja) 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ロータ用モータ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ステータ用モータ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ータコアの製造方法
KR100973627B1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2284B1 (ko) 무방향성 전기 강판
KR101585307B1 (ko)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 그 제조 방법, 모터 철심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4586669B2 (ja)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20190104580A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과 모터 코어의 제조 방법 그리고 모터 코어
JP2017057462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06988B2 (ja)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70981B1 (ko)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
JP2020509184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9102A (ja)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166718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
JP6638359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9519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ステータコア、ロータコア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TWI796983B (zh) 無方向性電磁鋼板、馬達鐵芯、無方向性電磁鋼板的製造方法及馬達鐵芯的製造方法
JP5825479B2 (ja) 高強度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0

Effective date: 201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