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632A -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632A
KR20130115632A KR1020120038113A KR20120038113A KR20130115632A KR 20130115632 A KR20130115632 A KR 20130115632A KR 1020120038113 A KR1020120038113 A KR 1020120038113A KR 20120038113 A KR20120038113 A KR 20120038113A KR 20130115632 A KR20130115632 A KR 20130115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ng
variable
antenna
connecting rod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756B1 (ko
Inventor
문영찬
소성환
김인호
최오석
양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2003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56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17 priority patent/WO2013154311A1/ko
Priority to EP13776004.7A priority patent/EP2838158B1/en
Priority to JP2014559841A priority patent/JP5869706B2/ja
Priority to CN201380019252.2A priority patent/CN104205489B/zh
Publication of KR2013011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32A/ko
Priority to US14/444,439 priority patent/US99173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1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relative movement between primary active elements and secondary devices of antennas or antenna systems
    • H01Q3/1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relative movement between primary active elements and secondary devices of antennas or antenna systems for varying relative position of primary active element and a reflecting device
    • H01Q3/1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relative movement between primary active elements and secondary devices of antennas or antenna systems for varying relative position of primary active element and a reflecting device wherein the primary active element is movable and the reflecting device is fix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에 있어서, 신호가 방사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레이돔과; 수직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와; 레이돔과 다수의 방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다수의 방사부의 방사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다수의 방사부별로 각각 하나의 기준점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방향가변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ADJUSTABLE BEAM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기에 적용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 조절과, 수평 스티어링 조절 및 수평 빔폭의 제어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가변 빔 제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안테나는 수직 (및/또는 수평) 빔틸팅(beam tilting)이 가능한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가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보급되고 있다.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에서 빔틸트 방식은 크게 기구적인 빔틸트 방식과 전기적인 빔틸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구적 빔틸트 방식은 통상 안테나에서 지지폴과 결합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수동 또는 동력작동 브라켓 구조에 기반한 방식이다. 이러한 브라켓 구조의 작동에 의해 안테나의 설치 기울기가 가변되어 안테나의 수직 빔틸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기적 빔틸트 방식은 다중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에 기반한 방식으로서, 수직으로 배열된 각 안테나 방사 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가변시켜 전기적 수직 빔틸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수직 빔틸트에 관한 기술로는 'EMS Technologies, INc.'에서 출원한 미국 특허 번호 제6,864,837호(명칭: VERTICAL ELECTRICAL DOWNTILT ANTENNA, 발명자: Donald L. Runyon 외 2명, 특허일: 2005년 3월 8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평 방향으로 안테나 빔을 제어하여 섹터 지향 방향을 셀 사이트의 가입자 분포에 맞춰 조정하는 기술까지 개발되었다. 안테나 빔을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2열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 열에 공급되는 신호의 전기적 위상 제어를 통한 전기적인 수평 빔 제어 방식과, 1열의 안테나를 사용하되 이를 기계적으로 수평이동시켜(Steering)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수평 지향방향을 조정할 경우에는 음영 지역 발생 억제 및 오버랩 존의 최소화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수평 빔폭 가변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수평 빔폭을 가변하기 위한 기술로서, 수평 방향으로 2열 이상의 안테나를 구현한 후, 각 열의 반사판의 수평 지향 방향을 기계적으로 엇갈리게 제어하여 빔폭을 제어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 특허 출원된 제2003-95761호(명칭: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빔 제어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용 안테나에서는 수직 빔 틸트 조절과, 수평 스티어링 조절 및 수평 빔폭의 제어가 가능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섹터별로 더욱더 최적화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적용할 경우에 비교적 복잡하고 고비용의 기구적 장비가 추가로 채용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안테나 특성이 불안정해질 여지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설치시에 보다 안정성이 뛰어나며, 외부 환경에 의한 장애 발생 가능성을 줄이며, 안테나 특성이 보다 안정화 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수직 빔 틸트 조절과, 수평 스티어링 조절 및 수평 빔폭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능, 저비용 및 망 최적화에 적합한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에 있어서, 신호가 방사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레이돔과; 수직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와; 상기 레이돔과 상기 다수의 방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방사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방사부별로 각각 하나의 기준점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방향가변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방사부는 각각 하나의 방사소자와; 상기 하나의 방사소자의 배면에서 해당 방사소자를 지지하는 하나의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과 제1연결막대를 통해 연결되는 구형 구조물과; 상기 구형 구조물을 구형 관절 구조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가변모듈은 상기 제1연결막대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부속지를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별도의 부속지는, 상기 제1연결막대와 상기 반사판이 연결되는 구형 구조물의 제1축과 평면상 90도 각도를 이루는 제2축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중심축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가변모듈은, 상기 구형 주조물의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기 위해 상하로 길게 신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랙기어부를 지지하며,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가변부와; 상기 상하가변부를 상기 구형 구조물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가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각각의 구형 구조물의 제2연결막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와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는 설치시에 보다 안정성이 뛰어나며, 외부 환경에 의한 장애 발생 가능성을 줄이며, 안테나 특성이 보다 안정화 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수직 빔 틸트 조절과, 수평 스티어링 조절 및 수평 빔폭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 중 일 방사부의 상세 구조도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 중 방향가변모듈의 상세 구조도
도 4는 레이돔과 방사부의 배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도면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가 방사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레이돔(10)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20)와; 레이돔(10)과 다수의 방사부(2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30)와; 다수의 방사부(20)의 방사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다수의 방사부(20)별로 각각 하나의 기준점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방향가변모듈(후술하는 랙기어부 40, 상하가변부 50, 좌우가변부 60을 포함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30)에는 해당 안테나의 송수신 신호 증폭 및 필터링과 같은 신호 처리 동작을 비롯하여 안테나의 자세 제어 등과 관련한 제어 동작을 위한 신호처리 및 제어 장비(3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면에는 해당 장비(3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핀(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32)들은 별도의 하우징을 가진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안테나의 외부에 추가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수의 방사부(20)는 각각 방사소자(22)와; 각각의 방사소자(22)의 배면에서 해당 방사소자(22)를 지지하는 반사판(24)과; 각각의 방사부(20)의 반사판(24)을 하나의 기준점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해당 기준점을 중심으로 위치가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대(28)를 구비한다.
각각의 방사소자(22)는 통상적인 구조의 복사체 및 발룬 구조를 가지는 다이폴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진 패턴이 형성되는 다수의 방사 패턴부가 형성되는 복사체가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부분 구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해당 복사체를 지지하며 급전하기 위한 급전 및 발룬 구조를 가지는 다이폴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반사판(24)은 방사소자(22)에 대해 오목한 부분 형태나 접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안테나 구조는 길게 신장되는 하나의 평판형 반사판에 다수의 방사소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통상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 각각의 방사소자별로 각각 적절한 구조의 반사판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하나의 평판형 반사판에 다수의 방사소자들이 배치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각 방사소자의 체결에 의한 PIMD(Passive InterModuation Distortion) 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사소자들이 인접한 방사소자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각각의 방사소자별로 최적화된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각의 반사판(24)이 부분 구면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동일 부피내에서 평면 형태의 반사판에 비해 반사판 면적을 더 크게 가져 갈수 있다.
레이돔(10)은 각각의 방사부(20)의 볼록한 형태의 방사소자(22)에 대응되는 면이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볼록한 부분 구면(12)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도 4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10)의 부분 구면(12)은 방사소자(22)가 상하, 좌우 회전이동을 하여도 항상 레이돔(12)과 방사소자(22)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방사소자(22) 개별 틸트에 대한 전기적 특성이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레이돔(10)의 구조는 방사소자의 형상에 맞는 최적화된 설계에 따라 전체 구조가 슬림해질 수 있다. 또한 항력 계수 면에서도 구면 형태이므로 유리하며, 바람에 의한 영향도 기존의 레이돔 구조와 대비하여 줄어들어서 설치되는 타워에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안테나에 신호처리 및 제어 장비(32) 등이 추가될 경우에, 무게와 더불어 바람에 의한 항력을 줄어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데, 이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구조는 종래에 비해 상당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 중 일 방사부의 상세 구조도로서, 도 2a는 방사부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2c는 방사부의 배면도, 도 2d는 방사부의 평면도, 도 2e는 방사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방사부(20) 각각은 방사소자(22) 및 반사판(24)과 더불어, 반사판(24) 후면의의 중심부와 제1연결막대(262)를 통해 제1축(예를 들어, Y축, 편의상 전면에 해당하는 축)이 고정되게 연결되는 구형 구조물(26)을 구비한다. 구형 구조물(26)에서 상기 제1축과 평면상 90도 각도를 이루는 제2축(예를 들어, X축, 편의상 좌우면에 해당하는 축)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264)가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266)의 회전중심축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방사부(20)의 반사판(24)을 하나의 기준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28)는 상부지지대(282)와 하부지지대(284)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상부지지대(282)와 하부지지대(284)는 각각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상부 및 하부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위치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방사부(2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28)는 구형 구조물(26)의 제1연결막대(262)가 상기 구형 구조물 (26)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홈 또는 홀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제2연결막대(264)가 상기 구형 구조물(26)을 기준으로 좌우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홈 또는 홀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8)는 프레임부(30)나 레이돔(10)의 내면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살펴보면, 제2연결막대(264)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66)의 회전시에 구형 구조물(26)이 이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결국 제1연결막대(262)가 구형 구조물(26)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방사부(20)가 상하로 회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막대(264)를 구형 구조물(26)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국 제1연결막대(262)가 구형 구조물(26)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방사부(20)가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형 구조물(26) 및 지지대(28)의 연결 구조 및 구형 구조물(26)을 통해 방사부(20)가 회전하는 구조는 구형 관절 구조(ball and socket joint)를 이용한 고정 및 회전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형 구조물(26)은 구형 관절 구조의 볼(ball)에 해당하며, 상기 지지대(28)는 구형 관절 구조의 소켓에 해당한다.
이때, 방사부(20)를 구형 구조물(26)과 연결하는 제1연결막대(262)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부속지(예를 들어, 상기 제2연결막대 264 등)를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 예를 들어, 방향가변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방사부(20)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 중 방향가변모듈의 상세 구조도로서, 도 3a는 방향가변모듈의 일측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3b는 방향가변모듈의 다른측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3c는 방향가변모듈 중 상하가변부의 주요부 사시도, 도 3d는 방향가변모듈 중 좌우가변부의 주요부 사시도, 도 3e의 도 3d의 좌우 가변 상태를 나타낸 관련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방향가변모듈은 상기 구형 주조물(26)의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264)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266)와 연결되기 위해 상하로 길게 신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4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4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랙기어부(40)를 지지하며,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예를 들어, Z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가변부(50)와; 상기 상하가변부(50)를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Z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가변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하가변부(50)는 제1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기어(54)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기어(54)는 상기 랙기어부(40)에서 상기 제2연결막대(264)의 피니언 기어(266)와 연결되는 면 또는 다른 면에 형성되는 랙기어 구조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52)의 회전에 의해 이때 제1회전기어(54)가 회전하며, 이와 연결되는 랙기어부(4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제2연결막대(264)의 피니언 기어(26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모터(5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기어(54)는 가이드/고정 구조물(56)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가이드/고정 구조물(56)은 상기 랙기어부(40)를 상하로 홈 구조에 끼워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Z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가이드/고정 구조물(56)은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지지대(28)에 고정되면서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Z축)으로 길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58)에 일측이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가이드/고정 구조물(56) 자체는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고정 구조물(56)에서는 일 측에서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기어구조(562)가 일부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구조(562)는 좌우가변부(6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하가변부(50)가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랙기어부(40)가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Z)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구형 구조물(26)의 제2연결막대(264)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방사부(20)가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좌우가변부(60)는 제2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기어(64)를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기어(64)는 상기 가이드/고정 구조물(56)의 회전기어구조(562)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좌우가변부(60)의 제2모터(62)는 별도의 구조물을 통해 완전히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지지대(58)의 하단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2모터(62)의 회전에 의해 이때 제2회전기어(64)가 회전하며, 이와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고정 구조물(56)의 회전기어구조(56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랙기어부(40)는 다수의 방사부(20)의 각각의 구형 구조물(26)의 제2연결막대(264)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66)와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상하가변부(50) 및 좌우가변부(60)만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방사부(20)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을 전체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랙기어부(40)와 상기 다수의 방사부(20)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지 않고, 랙기어부(40)와 상하가변부(50) 및 좌우가변부(60)가 다수의 방사부(20)별로 각각 분리되어 다수개 구비할 경우에는 각각의 방사부(20)별로 각각 다르게 상하 및 좌우 방향을 가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록 구비되는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나, 보다 최적화되고 정밀한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를 채용할 여지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랙기어부(40)를 구비할 필요없이, 상하가변부(50)가 구형 구조물(26)의 제2연결막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266)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를 살펴볼 경우에, 종래의 수직 및 수평 빔 가변 안테나에서는 안테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전체적으로 하나로 구성된 평판형 반사판의 위아래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회전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면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각 방사소자별 회전축이 지지되며, 안테나 중간에 구동부를 배치할 수 있어 회전시 불안정한 부분이 상당히 개선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형 관절 형태의 회전축을 구현함으로써, 상하 좌우 운동을 하나의 중심점(구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구현할 수 있어 기구적인 구동부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안테나의 볼륨을 줄이고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가 방사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레이돔(10')과; 수직으로 2열씩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20, 20')와; 레이돔(10')과 수직으로 2열씩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20, 2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30')와; 수직으로 2열씩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20, 20')의 방사 방향을 가변하는 방향가변모듈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방사부(20) 및 이와 관련한 구조를 2열씩(이중으로) 배열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각 구성부의 상세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2열 또는 3열 이상으로 방사부들이 배열되는 것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열의 방사부들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수직 빔틸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다중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다중 위상 천이기를 랙기어부(4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중 위상 천이기가 랙기어부와 더불어 이동 및 회전이 될 수 있으므로, 다중 위상 천이기와 각각의 방사소자간의 연결 케이블이 꼬임을 방지하고, 연결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랙기어부(40) 2개가 구비될 경우에 2개의 랙기어부(4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2개의 랙기어부(40)간에 적정 위치에서 서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구조물과, 랙기어부(40)의 상하 및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추가적인 가이드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에 있어서,
    신호가 방사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레이돔과;
    수직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배열되는 다수의 방사부와;
    상기 레이돔과 상기 다수의 방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방사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방사부별로 각각 하나의 기준점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방향가변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을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사부는 각각,
    하나의 방사소자와;
    상기 하나의 방사소자의 배면에서 해당 방사소자를 지지하는 하나의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과 제1연결막대를 통해 연결되는 구형 구조물과;
    상기 구형 구조물을 구형 관절 구조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가변모듈은 상기 제1연결막대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부속지를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부속지는,
    상기 제1연결막대와 상기 반사판이 연결되는 구형 구조물의 제1축과 평면상 90도 각도를 이루는 제2축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중심축에 고정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가변모듈은,
    상기 구형 주조물의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막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기 위해 상하로 길게 신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기어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랙기어부를 지지하며, 상기 구형 구조물(26)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가변부와;
    상기 상하가변부를 상기 구형 구조물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가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각각의 구형 구조물의 제2연결막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와 공통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해당 안테나의 송수신 신호 증폭 및 필터링을 위한 신호 처리 동작과 안테나의 자세 제어를 위한 제어 동작을 위한 신호처리 및 제어 장비가 구비되며, 외부면에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각각의 방사소자는 복사체 및 발룬 구조를 가지는 다이폴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복사체는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부분 구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부의 각각의 반사판은 상기 방사소자에 대해 오목한 부분을 가지는 부분 구면 형태 또는 접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은 다수의 방사부의 각각 볼록한 형태의 방사소자에 대응되는 면이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볼록한 부분 구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전기적 수직 빔틸트를 위해, 다중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가 상기 랙기어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빔 제어 안테나.
KR1020120038113A 2012-04-12 2012-04-12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KR101869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13A KR101869756B1 (ko) 2012-04-12 2012-04-12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PCT/KR2013/002917 WO2013154311A1 (ko) 2012-04-12 2013-04-08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EP13776004.7A EP2838158B1 (en) 2012-04-12 2013-04-08 Variable beam contro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4559841A JP5869706B2 (ja) 2012-04-12 2013-04-08 移動通信システム用可変ビーム制御アンテナ
CN201380019252.2A CN104205489B (zh) 2012-04-12 2013-04-08 用于移动通信系统的可变波束控制天线
US14/444,439 US9917361B2 (en) 2012-04-12 2014-07-28 Variable beam contro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13A KR101869756B1 (ko) 2012-04-12 2012-04-12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32A true KR20130115632A (ko) 2013-10-22
KR101869756B1 KR101869756B1 (ko) 2018-06-21

Family

ID=4932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113A KR101869756B1 (ko) 2012-04-12 2012-04-12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17361B2 (ko)
EP (1) EP2838158B1 (ko)
JP (1) JP5869706B2 (ko)
KR (1) KR101869756B1 (ko)
CN (1) CN104205489B (ko)
WO (1) WO20131543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96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조립체
US10998756B2 (en) 2016-12-09 2021-05-04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Microgr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lfunction
KR102580963B1 (ko) * 2022-05-25 2023-09-20 포산 이하이슨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주파수 다중 빔 독립식 전기적 조정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9224A1 (de) * 2013-05-31 2014-12-04 Kathrein-Werke Kg Modulare 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HF-Geräte
GB2534555A (en) 2015-01-20 2016-08-03 Kathrein Werke Kg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ed alignment of antennas
KR101769404B1 (ko) * 2016-01-22 2017-08-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안테나 일체형 기지국 장치 및 안테나 고정 장비
CN106299694A (zh) * 2016-08-10 2017-01-04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阵列天线
DE102017001543A1 (de) 2017-02-16 2018-08-16 Kathrein-Werke Kg Antenne, insbesondere Mobilfunkantenne
US11056778B2 (en) 2017-04-26 2021-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ssembly with modularized radios and interconnects
WO2018204255A1 (en) * 2017-05-03 2018-11-08 Idac Holdings, Inc. Beam recovery mechanism
KR102054777B1 (ko) * 2018-07-20 2020-01-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변형 패시브 릴레이 장치, 이를 운용하는 제어 서버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9980334A (zh) * 2019-03-12 2019-07-05 广东司南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宽频带双极化天线
CN110661102B (zh) * 2019-09-29 2021-05-07 华南理工大学 移相装置及基站天线
KR102238357B1 (ko) * 2019-12-05 2021-04-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변형 패시브 릴레이 장치, 이를 운용하는 제어 서버 및 이의 운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459A (ko) * 2005-11-08 2007-05-11 (주)에이스안테나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빔방향 가변장치
US20100201590A1 (en) * 2009-02-11 2010-08-12 Gregory Girard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with motor and clu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5271A (en) * 1943-12-20 1952-05-06 Kline Morris Antenna lobe shifting device
US4110009A (en) * 1975-12-19 1978-08-29 Bunch Jesse C Heliostat apparatus
FR2473796A1 (fr) * 1980-01-11 1981-07-17 Thomson Csf Support d'antenne orientable et antenne equipee d'un tel support
US4862185A (en) * 1988-04-05 1989-08-29 The Boeing Company Variable wide angle conical scanning antenna
US4878062A (en) * 1988-07-28 1989-10-31 Dayton-Granger, Inc. Global position satellite antenna
US5818385A (en) * 1994-06-10 1998-10-06 Bartholomew; Darin E. Antenna system and method
JPH08321713A (ja) * 1995-05-25 1996-12-03 Nec Eng Ltd アンテナ指向装置
JP2806880B2 (ja) * 1996-06-12 1998-09-30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背面組み合せセクターアンテナ装置
JP2000509950A (ja) * 1997-03-03 2000-08-02 セレトラ・リミテッド 通信を改善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ID24651A (id) * 1997-04-30 2000-07-27 Cit Alcatel Suatu sistem yang terutama mengarah pada satelit-satelit non-geostasioner
IT1304083B1 (it) * 1998-12-22 2001-03-07 Italtel Spa Sistema e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elle antenne di una retedi telefonia radiomobile
EP1273069A2 (fr) 2000-03-07 2003-01-08 Emmanuel Livadiotti Dispositif de diffusion hertzienne et pylone pour un tel dispositif
US6943750B2 (en) * 2001-01-30 2005-09-13 Andrew Corporation Self-pointing antenna scanning
JP2003060431A (ja) * 2001-08-10 2003-02-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ンテナ装置
JP2003152419A (ja) * 2001-08-28 2003-05-23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
JP2003133824A (ja) * 2001-10-29 2003-05-09 Tasada Kosakusho:Kk 衛星通信用アンテナ装置
KR100813024B1 (ko) 2002-06-14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향막 도포 방법 및 장치
US6864837B2 (en) 2003-07-18 2005-03-08 Ems Technologies, Inc. Vertical electrical downtilt antenna
CN2678153Y (zh) * 2003-12-17 2005-02-09 台扬科技股份有限公司 抛物面天线调整装置
US7015871B2 (en) * 2003-12-18 2006-03-21 Kathrein-Werke Kg Mobile radio antenna arrangement for a base station
KR100713202B1 (ko) 2003-12-23 2007-05-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빔 제어장치
EP1667278A1 (en) 2004-11-23 2006-06-07 Alcatel Base station panel antenna with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s and shaped reflector
GB0425813D0 (en) * 2004-11-24 2004-12-29 Finglas Technologies Ltd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
DE102005007711A1 (de) * 2005-02-18 2006-08-31 Zumtobel Staff Gmbh & Co. Kg Leuchte mit einem Strahler und verstellbare Haltevorrichtung für einen Strahler
JP2007180819A (ja) * 2005-12-27 2007-07-12 Paamu:Kk 無線icタグ用多面アンテナユニット
EP1870790A1 (fr) * 2006-06-23 2007-12-2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un objet dans toutes les directions
US8351987B2 (en) * 2006-09-27 2013-01-08 Dragonwave, Inc.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integrated antenna structures
JP4341781B2 (ja) * 2007-03-19 2009-10-07 株式会社 仲池技研 アンテナ雲台
WO2008141297A1 (en) * 2007-05-10 2008-11-20 Viasat, Inc. Spherical motor positioning
US20080282828A1 (en) * 2007-05-19 2008-11-20 The Boeing Company Pointing a plurality of elements in the same direction
EP2232633A4 (en) * 2007-11-26 2014-03-12 Powerwave Technologies Inc WIRELESS INCLINATION ANTENNA AND AZIMUT VARIABLES WITH SINGLE TRAINING FOR WIRELESS NETWORK
US8184064B2 (en) * 2009-09-16 2012-05-22 Ubiquiti Networks Antenna system and method
EP2507867A4 (en) * 2009-12-02 2015-09-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PANELELLELLE WITH SEALED RADIO BODY
KR101085890B1 (ko) 2009-12-21 2011-11-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459A (ko) * 2005-11-08 2007-05-11 (주)에이스안테나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빔방향 가변장치
US20100201590A1 (en) * 2009-02-11 2010-08-12 Gregory Girard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with motor and clutch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8756B2 (en) 2016-12-09 2021-05-04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Microgr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lfunction
WO2018139896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조립체
US11437713B2 (en) 2017-01-26 2022-09-06 Kmw Inc. Antenna assembly
KR102580963B1 (ko) * 2022-05-25 2023-09-20 포산 이하이슨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주파수 다중 빔 독립식 전기적 조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7361B2 (en) 2018-03-13
EP2838158A1 (en) 2015-02-18
JP5869706B2 (ja) 2016-02-24
CN104205489A (zh) 2014-12-10
WO2013154311A1 (ko) 2013-10-17
EP2838158B1 (en) 2020-05-06
JP2015512218A (ja) 2015-04-23
CN104205489B (zh) 2017-02-22
EP2838158A4 (en) 2015-10-14
US20140333500A1 (en) 2014-11-13
KR101869756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970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用可変ビーム制御アンテナ
EP1964206B1 (en) Variable beam controlling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7015871B2 (en) Mobile radio antenna arrangement for a base station
US8260336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a radiation beam by beam steering
US7382329B2 (en) Variable beam controlling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8643559B2 (en) Triple stagger offsetable azimuth beam width controlled antenna for wireless network
JP4838263B2 (ja) アンテナ装置とそれに関する方法
US11133575B2 (en) Small cell base stations with strand-mounted antennas
US983154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figuring antenna arrays
JP5647334B2 (ja) 低減されたビーム幅を有する平面アレイアンテナ
EP3248241B1 (en) Ground to air antenna array
CN211655048U (zh) 天线组件和无线通信设备
KR101720484B1 (ko) 추가안테나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Kuo et al. Shaped reflector antennas for outdoor BTS of 4G/5G mobile communications
KR102669830B1 (ko) 기지국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CA2922043A1 (en) Ground to air antenna array
KR20240072844A (ko) 기지국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