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596A - 상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596A
KR20130115596A KR1020120038040A KR20120038040A KR20130115596A KR 20130115596 A KR20130115596 A KR 20130115596A KR 1020120038040 A KR1020120038040 A KR 1020120038040A KR 20120038040 A KR20120038040 A KR 20120038040A KR 20130115596 A KR20130115596 A KR 2013011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transparent ink
pvc plate
printed
pvc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2003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596A/ko
Publication of KR2013011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5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produced by processes involving moulding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패를 제조함에 있어서,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을 이용하여 상패를 제조하도록 하여 상패의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얻을 수 있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판으로 이루어진 상패 또는 은판으로 이루어진 상패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10)에 연출하고자 하는 문양을 따라 투명잉크(20)로 인쇄하는 제1공정(S1); 투명잉크(20)로 인쇄된 PVC판(20)을 UV광원(30)으로 조사하여 인쇄된 투명잉크(20)를 굳히는 제2공정(S2); 투명잉크(20)가 굳혀진 PVC판(20) 하단에 두께층(40)을 부착하는 제3공정(S3); PVC판(10) 하단에 부착된 상기 두께층(40)의 하단에 양면테이프(50)를 부착하는 제4공정(S4); 두께층(40)과 양면테이프(50)가 모두 부착된 PVC판(10)을 목형(60)으로 찍어 원하는 상패형상으로 형성하는 제5공정(S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패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medal}
본 발명은 상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금판이나 은판을 이용하여 상패를 제조함으로써 실제로 금속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업공정에 의해 작업효율성의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얻을 수 있도록 한 상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는 각종 경기 또는 대회에서 우승을 하거나 또는 하나의 조직에서 오랫동안 근무를 하거나 또는 봉사를 하거나 할 때 이를 기념하기 위해 수여하는 것으로, 이중 상패는 통상 조직에 이익되는 일을 했거나 또는 각종 대회에서 입상하였을 때 수여하는 것이고, 상패는 회사와 같은 조직생활에서의 근속을 기념하거나 또는 재직을 기념하거나 또는 기타 기념될 만한 활동이나 경험이 있을 경우에 수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패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크리스털 또는 유리를 이용한 상패 또는 트로피는 재질의 특성상 고급스러운 느낌으로 인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크리스털 또는 유리는 표면 경도가 매우 높고 매끄러워 상패로 이용할 경우, 원하는 이미지 및 문자 등을 표면에 직접 인쇄하기 어렵기 때문에 샌딩 가공을 통해 크리스털 표면을 음각하고 음각된 홈의 내부에 페인트나 잉크를 채워 넣은 후,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크리스털에 이미지 및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샌딩 또는 레이저가공 과정은 제품의 대량화가 어려웠으며, 매우 다양한 공정을 통해 수작업으로 제품이 생산되기 때문에 생산 시간 및 제조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샌딩 가공 공정은 미세한 부분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을 글씨나 이미지 등을 음각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상패 또는 트로피에 원하는 이미지 또는 문자를 마음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샌딩 가공 공정은 환경에 유해한 미세 분진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산화막(유제)에 의한 폐수발생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반제품의 주위에 소정문양으로 절삭된 고형물을 접착시켜 제조한 상패 및 수지자개를 매설하여 제조한 상패, 소정문양으로 밑그림 된 반제품에 핫 프레스(hot press)로 금박 또는 은박을 접착시켜 제조한 상패 등이 있으며, 이 중 소정문양으로 절단된 고형물을 반제품의 주위에 접착시켜 제조한 상패의 경우, 소정공정을 통해 반제품 형태의 상패를 미리 제작한 다음, 상기 반제품 주위에 접착시킬 소정문양의 고형물을 절삭한 후, 접착제를 이용해 상기 절삭된 고형물을 상기 반제품 주위에 접착시켜 상패를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상패 제조방법은, 반제품 주위에 접착되는 고형물의 경우, 강판이나 신주, 알루미늄, 자개 등의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해 소정문양으로 절삭하여 상기 반제품에 부착되어 사용되지만, 이러한 고형물의 절삭과정은 강판이나 신주 등 기계적 성질이 강한 재료를 여러 장 겹쳐 실톱을 이용해 절삭하기 때문에, 탄소강 재질의 실톱과 기계적 성질이 강한 재료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강성이 약한 실톱이 절단되거나, 또는 실톱과의 마찰열에 의해 절삭되는 강판이나 신주 등에 의해 열경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05-0089207호인 귀금속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순금의 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문구나 무늬, 마크, 기호 등이 입체적으로 새겨지는 귀금속판을 제조토록 함으로써 상패, 상패 등의 표시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념주화 및 기념메달과 같은 형태나 기념용 명함, 기념용 바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가공하여 장식품, 기념품, 선물용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10-1046693호인 디지털 상패 제조방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트로피나 상패의 재료로 사용되는 크리스털 또는 유리 등의 투명부재 표면에 직접 도안한 내용을 바로 인쇄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를 수행하고, 표면처리된 투명부재 표면에 원하는 이미지를 평판 인쇄함으로써, 상패 제조공정을 디지털화하여 친환경적인 상패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상패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상패 제조가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상패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패의 모체를 제조하는 공정이 종래 공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역시 종래 상패를 제조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89207호(2005.09.08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46693호(2011.06.29 등록)
본 발명은 종래 상패를 제조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으로 이용하여 상패를 제조함으로써 상패의 다양한 문양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금속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상패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상패 제조방법은,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에 연출하고자 하는 문양을 따라 투명잉크로 인쇄하는 제1공정; 투명잉크로 인쇄된 PVC판을 UV광원으로 조사하여 인쇄된 투명잉크를 굳히는 제2공정; 투명잉크가 굳혀진 PVC판 하단에 두께층을 부착하는 제3공정; PVC판 하단에 부착된 두께층의 하단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제4공정; 두께층과 양면테이프가 모두 부착된 PVC판을 목형으로 찍어 원하는 상패형상으로 형성하는 제5공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정에서 투명잉크로 PVC판을 인쇄하면 투명잉크가 인쇄된 부분이 광이 사라짐으로써 원하는 문양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5공정에서의 PVC판을 목형으로 찍어 형성된 상패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공정에서의 PV 하단에 부착되는 두께층은, 포맥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 판을 투명잉크로 인쇄하여 원하는 문양을 얻을 수 있고, 인쇄된 투명잉크를 UV광원으로 조사하여 굳힌 다음 목형으로 원하는 상패형상을 찍어내어 상패를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상패의 제조공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층에 의해 마치 금판이나 은판으로 제작된 상패의 느낌을 얻을 수 있고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패의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패의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패의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패의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상패제조방법은,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10)에 연출하고자 하는 문양을 따라 투명잉크(20)로 인쇄하는 제1공정(S1)과, 투명잉크(20)로 인쇄된 PVC판(20)을 UV광원(30)으로 조사하여 인쇄된 투명잉크(20)를 굳히는 제2공정(S2)과, 투명잉크(20)가 굳혀진 PVC판(20) 하단에 두께층(40)을 부착하는 제3공정(S3)과, PVC판(10) 하단에 부착된 상기 두께층(40)의 하단에 양면테이프(50)를 부착하는 제4공정(S4)과, 두께층(40)과 양면테이프(50)가 모두 부착된 PVC판(10)을 목형(60)으로 찍어 원하는 상패형상으로 형성하는 제5공정(S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PVC판(10)은, 금 또는 은이 표면에 피막처리되어 금색 또는 은색이 자연스럽게 PVC판(10)의 표면측으로 표현된다.
상기 제1공정(S1)에서의 투명잉크(20)를 PVC판(10)에 도포할 때 PVC판(10)의 표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투명잉크(20)가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PVC판(10)의 표면에 문양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만이 투명잉크(20)가 인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공정(S1)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부분은 투명잉크(20)가 상기 PVC판(10)의 표면측으로 인쇄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있고 문양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상기 PVC판(10)의 표면에 투명잉크(20)가 인쇄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인쇄지(미도시)를 상기 PVC판(10) 위에 올려 놓은 후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방법으로 투명잉크(20)를 도포하면 도포된 투명잉크(20)가 인쇄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PVC판(10) 위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공정(S1)에서 투명잉크(20)로 PVC판(10)을 인쇄하면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10) 표면에 투명잉크(20)가 인쇄된 부분에 대한 광택이 투명잉크(20)에 의해 표현되지 않게 되어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광택에 의해 원하는 문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투명잉크(20)를 제2공정(S2)에 의해 UV광원(30)으로 굳힘에 따라 PVC판(10)의 표면에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표현되는 문양이 더욱 확실하게 부각된다.
상기 제3공정(S3)에서의 PVC판(10) 하단에 부착되는 두께층(40)은, 포맥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맥스(fomax)는, 압축발포된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판재를 말하는 것으로, 중량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가공됨에 따라, 목재를 대신하는 공예품이나 벽걸이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포맥스를 상기 두께층(40)으로 구성함으로써 PVC판(10)의 얇은 두께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PVC판(10)에 대한 입체감을 더할 수 있어 상패로서의 활용이 충분이 가능하다.
더욱이, 포맥스로 이루어진 두께층(40)과 PVC판(10)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마치 두께가 있는 금판 상패나 은판 상패와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어 상패를 수여하는 사람이나 상패 수여자 모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제5공정(S5)에서의 PVC판(10)을 목형으로 찍어 형성된 상패형상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목형 또는 금형으로 상기 PVC판(10)과 두께층(40) 및 양면테이프(60)가 모두 부착된 상태로 찍어냄으로써 원하는 상패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PVC판 20 : 투명잉크
30 : UV광원 40 : 두께층
50 : 양면테이프 60 : 목형
S1 : 제1공정 S2 : 제2공정
S3 : 제3공정 S4 : 제4공정
S5 : 제5공정

Claims (4)

  1. 금 또는 은이 피막처리된 PVC판(10)에 연출하고자 하는 문양을 따라 투명잉크(20)로 인쇄하는 제1공정(S1);
    투명잉크(20)로 인쇄된 PVC판(20)을 UV광원(30)으로 조사하여 인쇄된 투명잉크(20)를 굳히는 제2공정(S2);
    투명잉크(20)가 굳혀진 PVC판(20) 하단에 두께층(40)을 부착하는 제3공정(S3);
    PVC판(10) 하단에 부착된 상기 두께층(40)의 하단에 양면테이프(50)를 부착하는 제4공정(S4);
    두께층(40)과 양면테이프(50)가 모두 부착된 PVC판(10)을 목형(60)으로 찍어 원하는 상패형상으로 형성하는 제5공정(S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S1)에서 투명잉크(20)로 PVC판(10)을 인쇄하면 투명잉크(20)가 인쇄된 부분에 대한 광택이 표현되지 않음으로써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광택에 의해 원하는 문양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공정(S5)에서의 PVC판(10)을 목형으로 찍어 형성된 상패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S3)에서의 PVC판(10) 하단에 부착되는 두께층(40)은, 압축발포 PVC 판재인 포맥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 제조방법.
KR1020120038040A 2012-04-12 2012-04-12 상패 제조방법 KR20130115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40A KR20130115596A (ko) 2012-04-12 2012-04-12 상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40A KR20130115596A (ko) 2012-04-12 2012-04-12 상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596A true KR20130115596A (ko) 2013-10-22

Family

ID=4963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040A KR20130115596A (ko) 2012-04-12 2012-04-12 상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511A (zh) * 2014-05-06 2014-08-13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彩印胶片鞋带束头的制造工艺
DE102013114874A1 (de) 2013-09-27 2015-04-02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Absorbieren von Frontalaufprallenergie eines Fahrzeug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874A1 (de) 2013-09-27 2015-04-02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Absorbieren von Frontalaufprallenergie eines Fahrzeugs
CN103976511A (zh) * 2014-05-06 2014-08-13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彩印胶片鞋带束头的制造工艺
CN103976511B (zh) * 2014-05-06 2016-01-27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彩印胶片鞋带束头的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3755C (en) A transaction card with 3d printing graphic surface
KR20130115596A (ko) 상패 제조방법
JP674840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CN204115182U (zh) 磁性油墨立体纹理空调装饰面板
JP2009132099A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及び合成樹脂成形品の表面処理方法
JP4840741B2 (ja) 加飾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100401925B1 (ko) 귀금속 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CN201171409Y (zh) 具有个性化的首饰
KR20110011769A (ko) 순금박판 성형방법에 의한 사각메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사각메달
JP5365348B2 (ja) 貴金属カード印刷用治具
KR101336029B1 (ko)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CN212332263U (zh) 黄金的浅浮微雕结构
KR20150143928A (ko) 홀로그램 입체문양이 형성된 카드 및 카드 제조방법
CN202137991U (zh) 一种铭板
KR100541355B1 (ko) 금속공예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03155B1 (ko)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CN205853716U (zh) 一种和纸张或布艺纺织品相结合的立体贵金属组合件
KR200395476Y1 (ko) 문양부착식 표지를 가진 앨범
KR101655861B1 (ko) 상패용 기념판의 제조방법.
KR100609560B1 (ko) 귀금속 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59083Y1 (ko) 귀금속 카드
JP6323891B1 (ja) 金属製の装飾用シールとその製造法
CN219759056U (zh) 一种呈立体状浮雕邮票
KR200461913Y1 (ko) 입체 패
KR20050089207A (ko) 귀금속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