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155B1 -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 Google Patents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155B1
KR100503155B1 KR10-2003-0064588A KR20030064588A KR100503155B1 KR 100503155 B1 KR100503155 B1 KR 100503155B1 KR 20030064588 A KR20030064588 A KR 20030064588A KR 100503155 B1 KR100503155 B1 KR 10050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ous metal
foil
plaque
metal foil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397A (ko
Inventor
전기경
Original Assignee
전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경 filed Critical 전기경
Priority to KR10-2003-006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1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금 등으로 되는 귀금속박(Foil)과 귀금속판을 이용하여 각종 상패나 감사패, 기념패 등을 제조하기 위한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귀금속을 박(Foil) 형상으로 형성 한 후 저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중으로 겹치도록 적층하되 그 사이에 폴리에스테르계열의 접착수지층을 형성, 열압프레스에 의해 적정 압력으로 열압하여 상기 귀금속 박과 금속판간을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한 후, 귀금속박(Foil) 표면층에 여러가지 문양이나 무늬, 문자 등을 열전사하여 귀금속이 갖는 질감에 의한 표현 특성이 그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가치와 장식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귀금속박(Foil)을 이용한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상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A medal precious metal card manufacture method and the medal}
본 발명은 순금 등으로 되는 귀금속박(Foil)과 귀금속판을 이용하여 각종 상패나 감사패, 기념패 등을 제조하기 위한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귀금속을 박(Foil) 형상으로 형성 한 후 저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중으로 겹치도록 적층하되 그 사이에 폴리에스테르계열의 접착수지층을 형성, 열압프레스에 의해 적정 압력으로 열압하여 상기 귀금속 박과 금속판간을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한 후, 귀금속박(Foil) 표면층에 여러가지 문양이나 무늬, 문자 등을 열전사하여 귀금속이 갖는 질감에 의한 표현 특성이 그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가치와 장식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귀금속박(Foil)을 이용한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상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나 기념패 또는 감사패 등의 장식물을 제작할 경우 일정두께를 갖는 재료의 표면층에 각종 문양이나 무늬 또는 문자(이하 모양이라 통칭함) 등을 인쇄하거나 또는 상기 재료의 표면층으로 양각 또는 음각법을 적용하여 각종 모양 등을 각인하는 방법등을 통하여 상패나 기념패 등을 제조하였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또한 이와는 달리 적정두께를 갖는 금속판 특히 동판등의 표면층을 각종 모양등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부식방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동판 등을 상패나 기념패의 표면층에 부착 또는 고정하여 장식적 아름다움과 상품의 가치 상승 효과를 기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경우 표면층 자체에 다양한 문자, 무늬 등을 각인하는 방법에 의해 표현하는 작업이 난해하고, 특히 금속판등에 부식방법에 의해 그 표면층에 다양한 무늬, 문자등을 완성하더라도 오랜 시간 경과 후 변색되는 등의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금속판 표면에 필름지를 부착하고 그 위에 인쇄를 하는 방법이 있으나, 필름지가 금속판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 및 필름지 자체의 탈색과정에 의해 상패, 감사패 등을 장시간 원상태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공고된 특허등록 제12175호인 "합성카아드"가 개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과 적용 범위는 다르다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인 귀금속(특히 순금)의 박(Foil)을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므로 하기에서와 같이 그 구성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상기 특허 제12175호는,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귀금속이나 합금들 중의 최소한 하나를 구성하는 얇은 금속판과 겹침으로써, 전기한 얇은 금속판의 최소한 한부분을 덮고, 전기한 얇은 금속판의 양쪽 면 중의 최소한 하나에 고정되는 제2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합성카아드의 경우 얇은 금속박피판 양측 또는 일측면에 상기 금속박피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강판으로 되는 제2부재를 겹친 후 압연하고, 그 보강판으로 되는 제2부재 표면층에 무늬 등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합성카아드등을 얻어, 각종 명함이나 신용카드, 신분증 등에 적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에서는 상당히 얇은 박피판으로 되는 귀금속판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으로 되는 제2부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그 제2부재에 소망하는 문자나 무늬, 문양등을 인쇄하여서 되는 것이고 그 이외에 추가 제조과정으로 그 제2부재 표면층을 별도의 필름을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조되어지는데 귀금속판을 보강판으로 되는 제2부재와 압연처리하게 되므로 금속박피판의 표면층이 매우 매끄럽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 특히 순금과 같은 금속의 경우 순금 특유의 질감등을 표현하는데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귀금속판과 보강판을 단순하게 압연처리하여 얻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귀금속판과 보강판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60239호가 있는바, 이 경우는 얇은 판체로 압연한 귀금속 박판의 상,하면에 투명비닐지로 코팅하고 그 일측표면에 OHP 필름을 적층한 후 상,하부면을 코팅비닐로 재차 코팅처리 함으로써 상기 OHP 필름에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각종 무늬나 문양 문자 등을 손쉽게 인쇄 하여 상품화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쉽게 탈색 및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된 특허등록출원 제2001-57259호 『귀금속 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이 개시되어 있는데, 위 특허의 경우 금, 백금, 은 등의 귀금속을 얇은 박판으로 압연가공하고 필요로 하는 크기로 절단 가공토록 하는 귀금속 압연공정 및 재단공정과, 귀금속 박판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유연한 상태를 유지토록 열처리 하는 열처리공정과, 종이 또는 트레싱 페이퍼로 이루어지는 인쇄지에 레어저프린터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각종 무늬나 문자 등의 표시내용을 인쇄토록 하는 인쇄지 준비공정과, 준비된 귀금속 박판의 표면에 표시내용이 인쇄된 인쇄지를 올려놓고 압연가공하여 인쇄지와 대향되는 무늬와 표시내용을 음각으로 성형토록 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표시내용이 새겨진 귀금속 박판의 전후면에 얇은 투명비닐지를 포개어 코팅처리하는 1차 코팅공정과, 일표면에 각종 문자나 무늬 등의 또다른 표시내용이 인쇄된 얇은 필름지를 안착시킨 후, 투명비닐지의 코팅지로 상,하면을 코팅토록 하는 2차코팅공정으로 이루어져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특허의 경우, 귀금속 박판을 열처리하여 먼저 유연하게 한 다음 각종 무늬나 문자 등의 표시내용이 인쇄된 트레싱 페이퍼 부분과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하여 입체적으로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귀금속 박판과 인쇄지의 표시내용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특허의 경우, 귀금속박피판을 일차 열처리 가공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후, 트레싱 페이퍼에 인쇄한 다음 재차 트레싱 페이퍼와 귀금속박피판간을 압연가공처리하는 일련의 번잡한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공정의 번잡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다른 무늬나 문양등이 인쇄된 코팅지를 형성한 후 압연과정을 거쳐 코팅처리하게 되는데 장시간 사용시 상기 코팅지 또는 트레싱 페이퍼가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경우 금, 은 등으로 되는 귀금속 자체의 질감 표현이 상기 트레싱 페이퍼나 코팅지 등으로 인해 충분하게 발휘되지 못하고, 단지 매끈한 표면을 갖으며 광택을 갖는 정도의 수준에 머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작업과정에 의해 금, 은 등으로 되는 귀금속 박(Foil)과 귀금속판을 이용하여서 되는 상패용 귀금속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금속박과 귀금속판 사이에 게제하여 귀금속박과 귀금속판과의 열압프레싱공정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상기 귀금속박이 귀금속판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현상을 배제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 은등의 귀금속 자체의 질감이나 시각성 등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하고, 귀금속 박(Foil) 자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나 모양, 문자 등이 엠보싱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미려함과 상품의 고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금, 순은으로 되는 귀금속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연을 통하여 귀금속 박(Foil)(10)과 동을 일정두께로 압연처리하여 금속판(10')을 얻는 제1공정과,
상기 귀금속 박(Foil)(10)과 상기 금속판(10') 한쌍을 상하 한조로 형성하여 적층하되, 그 적층되는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 사이에 접착수지층(20)을 형성하여 열압프레스(30)에 의해 180℃의 온도를 유지하며 열압 접착하는 제2공정과,
상기 귀금속 박(Foil)(10) 표면층으로 다양한 무늬나 문자, 문양등을 열전사하여 표시부(40)를 형성하는 제3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기술사상의 범주내에서,
상기 제2공정에서 상기 접착수지층(20) 표면으로 음각 또는 양각에 의해 무늬가 표현되는 엠보싱부(2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상패나 감사패 등의 기념품 등에 채용되어 문자나 무늬, 문양등을 형성하게 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에 관한 것인바,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귀금속박(10)과 금속판(10') 사이에 접착수지층(20)이 게재되는 한조의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을 열압프레싱하는 제2공정과, 상기 귀금속 박(Foil)(10)에 무늬나 모양 및 문자등을 열전사하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정인 귀금속 박(Foil)(10) 형성공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압연과정에 의한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보통 박(Foil)이라 함은 매우 얇은 금속판을 일컫는 것으로 보통 5/100mm 전후 이하의 두께를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하여 두께 3mm 정도 되는 박강판(또는 박판; sheet)보다 더욱 얇은 판을 일컫는 것이며, 이와같이 박(foil)의 재료로 전연성이 큰 금, 은, 동,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전연성이 상당한 순금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판(10')은 상기한 귀금속 박(10)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으로 약 3mm 내외의 두께를 갖는 박판을 말하는 것으로 동재질의 판재를 압연과정을 거쳐 얻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공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순금을 이용하여 귀금속 박(Foil)(10)과 동을 이용하여 금속판(10')을 형성 한 후, 한조로 되는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 사이에 접착수지층(20)을 게재하여 열압프레스(30)에 의한 180℃ 정도의 고온을 유지하며 적정 고압(일반적인 프레스 압력을 말하는 것임)으로 프레싱 작업하여 상기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이 상기 접착수지층(20)이 용융 압착되며 접착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귀금속 박(foil)(10)의 경우 주지된 바와 같이 종이보다 더욱 얇은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점에 착안하여 상기 접착수지층(20)에 각종 무늬등을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양각 및 음각 적용하여 제2공정에서 접착수지층(20) 상측면에 적층되는 귀금속 박(10) 외표면으로 상기 접착수지층(20)에 형성한 무늬등이 표출되며 엠보싱 처리되도록 하는 엠보싱부(21)가 형성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와같이 형성된 접착수지층(20)을 상술한 한조로 되는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사이에 게재한 상태에서 180℃ 정도의 온도를 갖으며 적정압을 유지하는 열압프레스(30)로 열압착하여 상기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이 접착 되도록 하는데, 상기 접착수지층(20)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21)가 열압프레싱 작업에 의해 상기 귀금속 박(10) 표면상으로 상기 엠보싱부(21)의 모양, 무늬와 동일한 형상이 엠보싱 처리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엠보싱부(21)의 음각 및 양각부분이 귀금속 박(foil)(10)의 표면층에 그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귀금속 박(foil)(10)과 접하는 열압프레스(30)의 단부측 부위에는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쿠션부(31)를 형성하여 열압프레싱되어질 때 상기 엠보싱부(21)의 양각 및 음각에 대응되며 열압되도록 하여, 상술한 음각 및 양각의 엠보싱부(21)가 그대로 귀금속 박(foil)(10)의 표면층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수지층(30)은 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귀금속 박(10)과 금속판(10')이 열압프레스에 의해 접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패나 기념패등을 제조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무늬등이 인쇄된 필름지가 박리되는 등의 현상 없이 장시간 제품이 생산된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보관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선발명 특허와 같이 코팅재로 사용되는 제2부재등의 별도의 수단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며 간편하게 귀금속박과 금속판간의 접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이와같은 효과는 미리 접착수지층(20)에 작업자가 원하는 바탕 무늬나 문자 또는 로고 등의 엠보싱부(21)를 음각 및 양각 처리하여 얻은 상태에서, 귀금속 박(foil)(10) 표면층으로 그 엠보싱부(21)가 그대로 표현되어 입체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패(50) 등의 제작시 상품의 고품격화에 대한 표현은 물론이거니와, 순금등의 귀금속 자체로부터 발현되는 질감등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각 및 음각으로 되는 엠보싱부(21)가 일표면층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수지층(20)이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 사이에 게재되어 적정 온도 및 적정압력으로 열압프레싱되어지면서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이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귀금속 박(foil)(10)이 쉽게 박리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부(21)의 경우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고나 문자 또는 여러가지 형태의 무늬등을 베이스 무늬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압프레싱에 의해 상기 귀금속 박(foil)(10) 표면상으로 상기 엠보싱부(21)에 의해 입체적인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2공정에 의해 접착이 완료된 귀금속 박(foil)(10)의 표면층으로 여러가지 색상등을 포함하여 각종 문자나 무늬 등을 갖는 표시부(40)를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적정온도 및 압력으로 열전사하여 표현되도록 하여 완성된 귀금속 카드(1)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3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상기의 공정 중 제3공정에서 순금등으로 되는 귀금속 박(foil)(10)의 표면층에 직접 열전사하지 않고 상기 귀금속 박(foil)(10)의 표면층으로 종래와 같이 필름지를 접착 고정한 후, 그 필름지 표면에 원하는 소정의 문자나 무늬 등의 표시부(40)가 열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상기의 공정에 의해 완성된 귀금속 카드(1)를 상패(50)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이를 이용하여 직접 제작된 도면 대용 사진인바, 본 발명은 이와같은 상패 또는 감사패 이외에도 귀금속 박(10)을 이용한 다양한 장식품, 명함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금이나 순은 등을 이용하고 그 저면으로 형성되는 동 재질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한조의 귀금속 박(foil)과 금속판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 사이에 접착수지층을 게재하되 상기 접착수지층에 음각 및 양각으로 무늬 또는 문자나 로고 등을 형성하게 되는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적정압력과 온도를 제공하는 열압프레스에 의해 열압프레싱 함으로써, 엠보싱부에 의해 귀금속 박(foil) 표면상으로 그 모양이나 무늬 문자 및 로고등이 입체상으로 표현되면서, 순금이나 순은 등 귀금속 자체로부터 발현될 수 있는 질감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귀금속 박(foil) 표면상으로 색상을 갖으며 상패 또는 기념패 등의 문구나 각종 문양 및 무늬 등을 열전사하여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방법에 의해 금박 등을 이용하여 상패나 기념패등을 제조하더라도 필름지의 부착성과 압연과정에서의 롤링 작업에 의해 금박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열압프레싱 작업을 거쳐 박 표면이 그대로 눌려지면서도 순금 자체가 지니고 있는 질감 효과나 시각적 효과등을 그대로 발휘 할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접착수지층에 형성된 엠보싱부가 박 표면상으로 그대로 발현되어 입체적 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상품의 고품격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박피판에 무늬나 문자등이 인쇄된 필름지가 장시간 경과후 박리되는 현상과 필름지의 변색등에 의해 최초 인쇄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박 표면상에 열전사된 각종 표시부가 장시간 경과하더라도, 인쇄 초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순금 등의 귀금속을 이용한 박상의 상패용 귀금속카드의 제조과정에서의 공정수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생산가의 부가적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패용 귀금속카드 단면도이고,
도 3은 제2공정에 의해 열압프레싱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해 형성된 귀금속 박 표면에 열전사하여 표시부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접착수지층에 엠보싱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접착수지층에 엠보싱부를 형성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에 의해 얻은 접착수지층에 귀금속 박을 상하면에 각각 취부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d는 도 5c에 의한 귀금속박을 열압프레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의해 얻은 귀금속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얻은 귀금속카드를 상패등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패등을 도면 대용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귀금속 박 10'; 금속판
20; 접착수지층 21; 엠보싱부
30; 열압프레스 31; 쿠션부
40; 표시부 50; 상패

Claims (5)

  1. 순금, 순은으로 되는 귀금속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연을 통하여 귀금속 박(Foil)(10)과 동을 일정두께로 압연처리하여 금속판(10')을 얻는 제1공정과,
    상기 귀금속 박(Foil)(10)과 상기 금속판(10') 한쌍을 상하 한조로 형성하여 적층하되, 그 적층되는 귀금속 박(Foil)(10)과 금속판(10') 사이에 접착수지층(20)을 형성하여 열압프레스(30)에 의해 180℃의 온도를 유지하며 열압 접착하는 제2공정과,
    상기 귀금속 박(Foil)(10) 표면층으로 다양한 무늬나 문자, 문양등을 열전사하여 표시부(40)를 형성하는 제3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에서 상기 접착수지층(20) 표면으로 음각 또는 양각으로 되는 무늬등으로 되는 엠보싱부(2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10')은 동재질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층(20)은 폴리에스테르계열의 수지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상패용 귀금속카드.
KR10-2003-0064588A 2003-09-17 2003-09-17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KR10050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88A KR100503155B1 (ko) 2003-09-17 2003-09-17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88A KR100503155B1 (ko) 2003-09-17 2003-09-17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97A KR20050028397A (ko) 2005-03-23
KR100503155B1 true KR100503155B1 (ko) 2005-07-21

Family

ID=3738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588A KR100503155B1 (ko) 2003-09-17 2003-09-17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19B1 (ko) * 2006-12-01 2007-12-17 허영창 상패용 귀금속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033381B1 (ko) * 2008-11-11 2011-05-09 남기성 에칭플레이트를 이용한 카드 제조방법
CN102774069A (zh) * 2012-08-03 2012-11-14 昆山大百科实验室设备工程有限公司 双金属复合装饰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97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655A (en) Decorative plaques and process
US4520064A (en) Decorative plaques and process
US6979487B2 (en) Glossy print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503155B1 (ko) 상패용 귀금속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품
KR20100100139A (ko) 복잡한 장식물이 삽입된 플라스틱카드
US6093273A (en) Manufacturing process of metal foil card
US4047996A (en) Plastic plates adapted to be imprinted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mprinting on plastic plates
KR100401925B1 (ko) 귀금속 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110011769A (ko) 순금박판 성형방법에 의한 사각메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사각메달
JP3115562B2 (ja) 金箔を用いた装飾用シ−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64194B2 (ja) 模様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62025B2 (ja) 透視性を有する着色表示カードの製造方法
JP2010131769A (ja) 金属箔装飾方法
JP2531233B2 (ja) 貴金属成形体の製造法
JP3125616U (ja) 装飾パネル
JP2570273Y2 (ja) 凸状模様を有するカード
TWI294798B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ecious metal card for plaques and article made using the method
JPH03278947A (ja) レリーフ状装飾カードの製造方法
CN100491062C (zh) 制造饰板用贵重金属卡片的方法及用该方法制造的物品
KR100609560B1 (ko) 귀금속 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6112A (ko) 귀금속 카드 및 그 제조방법
CN114023182B (zh) 一种浮雕烫金标签的制作方法
KR200259083Y1 (ko) 귀금속 카드
JPH0414450A (ja) 化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KR101013335B1 (ko) 귀금속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