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928A -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928A
KR20130114928A KR1020120037359A KR20120037359A KR20130114928A KR 20130114928 A KR20130114928 A KR 20130114928A KR 1020120037359 A KR1020120037359 A KR 1020120037359A KR 20120037359 A KR20120037359 A KR 20120037359A KR 20130114928 A KR20130114928 A KR 2013011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urrent
speed display
display area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583B1 (ko
Inventor
김병기
고평식
김종필
김흥룡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speed outsid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속도표시영역; 및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2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속도표시영역이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시선각을 변경함이 없이 제1속도표시영역 및 제2속도표시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속도표시장치{A Speed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속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속도와 도로의 제한속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속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이하, 차량과 혼용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배출장치, 공조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는 클러스터(Cluster)가 있으며, 상기 클러스터는 각종 주행정보(주행가능 거리, 주행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평균연비, 순간연비 등)와 상태정보(변속표시, 연료게이지, 냉각게이지, 알피엠게이지, 주행속도게이지 및 각종경고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가 확인하는 정보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현재의 주행속도가 있으며, 운전자는 현재 주행속도를 각종 장치의 주행속도 게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 도로에는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제한속도가 있으며, 따라서, 운전자는 주행속도 게이지를 확인하면서 주행하는 도로의 제한속도에 맞춰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하지만, 각 도로마다 제한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며, 매번 제한속도를 확인하고자 하면 주행에 대한 집중력이 저하되어 오히려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운전자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속도 표시 장치,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UD System) 등을 통해, 각 도로 상의 주행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UD System) 등은 차량의 주행속도와 각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상기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각 상황에 맞게 운전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속도 표시 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각 도로의 제한속도를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해 주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들을 동시에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운전자가 현재의 주행속도를 확인하고, 다시 도로의 제한속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주행속도 및 제한속도의 인지속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그만큼, 운전자의 전방주시가 어려워 사고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속도와 도로의 제한속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속도표시영역; 및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2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은 제1현재속도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은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 및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속되는 더미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재의 차량속도가 상기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 및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재의 차량속도가 상기 현 도로의 제한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은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은 제2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은 제3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색 내지 제3색은 서로 다른 색인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제4색으로 표시되는 제1초과속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색은 제1색 내지 제3색과 서로 다른 색인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초과속도표시부의 둘레영역에 위치하는 제2초과속도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초과속도표시부는 숫자로 표시되는 속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속도표시장치는 제2속도표시영역이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시선각을 변경함이 없이 제1속도표시영역 및 제2속도표시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속도표시영역에서 현재의 차량속도를 제공하고, 제2속도표시영역에서는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시선각을 변경함이 없이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운전자의 주행속도 및 제한속도의 인지속도 빨라지므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그만큼 사고위험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속도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속도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속도표시장치(1)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표시부(10)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차량의 각종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정보(주행가능 거리, 주행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평균연비, 순간연비 등)와 상태정보(변속표시, 연료게이지, 냉각게이지, 알피엠게이지, 주행속도게이지 및 각종경고등)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표시부(10)에서 속도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속도표시장치(1)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UD System)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속도표시장치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표시부(1)는 현재속도 표시영역(11) 및 상기 현재속도 표시영역(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한속도 표시영역(1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한속도 표시영역(12)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 및 현재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로부터 어느 정도 초과했는지를 표시하는 초과속도 표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현재속도 표시영역(11)에는 차량의 속도가 90Km/h 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한속도 표시영역(12)의 제한속도 표시부(13)에는 현 도로의 제한속도가 80Km/h 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제한속도 표시영역(12)의 초과속도 표시부(14)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로부터 10Km/h 만큼 초과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현재속도 표시영역(11)으로부터 차량의 현재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한속도 표시영역(12)으로부터 현 도로의 제한속도 및 초과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구조의 속도표시장치는 현재속도 표시영역(11)과 제한속도 표시영역(12)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속도와 제한속도, 또한, 현재의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로부터 어느정도 초과했는지를 한눈에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즉, 운전자가 현재의 주행속도를 확인하고, 다시 도로의 제한속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주행속도 및 제한속도의 인지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제한속도의 초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늦어질 뿐만 아니라, 주행속도 및 제한속도를 인지하는 동안에는 전방주시가 어렵기 때문에, 이들의 인지속도가 늦어지는 만큼 사고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100)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표시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차량의 각종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정보(주행가능 거리, 주행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평균연비, 순간연비 등)와 상태정보(변속표시, 연료게이지, 냉각게이지, 알피엠게이지, 주행속도게이지 및 각종경고등)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표시부(10)에서 속도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속도표시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UD System)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속도표시장치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표시부(110)는 제1속도표시영역(120) 및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2속도표시영역(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130)이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한다함은 제1속도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제2속도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운전자가 시선각을 이동함이 없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2속도표시영역(130)이 제1속도표시영역(120)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시선각을 이동함이 없이 제1속도표시영역 및 제2속도표시영역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조건하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은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1현재속도 표시영역에 해당한다.
즉, 운전자는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을 통해, 현재의 차량 주행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a에서 현재의 차량 주행속도는 60Km/h이고, 도 3b에서는 현재의 차량 주행속도는 80Km/h에 해당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현재의 차량 주행속도가 숫자로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술한 도 1의 현재속도 표시영역(11)에서와 같이, 현재의 차량 주행속도를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130)은 게이지 라인의 형태로 구성되어,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속도표시영역(130)은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 및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으로부터 연속되는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을 포함하며,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 또는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은 게이지 라인 형태의 제2속도표시영역 중,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은 상술한 제1속도표시영역과 동일하게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1속도표시영역에서는 현재의 차량속도를 숫자 또는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서는 게이지 라인의 증감에 따라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출발하지 않은 상태, 즉, 차량의 속도가 0Km/h인 경우에는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차량의 현재속도를 제외한 다른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상황에 따라,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 및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13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31은 기준라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차량의 현재속도를 표시하는 시작라인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운전자는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을 통해 현재의 차량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제2속도표시영역(130)을 통해, 차량의 현재속도 및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차량의 현재속도와 도로의 제한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차량속도를 나타내는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으로부터 연속되는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도로의 제한속도를 70Km/h로 가정시, 도 3a에서는 차량속도가 60Km/h이기 때문에, 차량속도는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았고, 따라서,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 및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133b)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는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한속도 표시부(134)가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한속도 표시부(134)를 통해,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을 통해, 제한속도까지 어느정도의 속도가 남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의 용이한 파악을 위해,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은 제1색으로 표시하고,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은 제2색으로 표시하며,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133b)은 제3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색, 제2색 및 제3색은 서로 다른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차량속도를 나타내는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은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도로의 제한속도를 70Km/h로 가정시, 도 3b에서는 차량속도가 80Km/h이기 때문에, 차량속도는 제한속도를 초과하였고, 이 경우,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는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제한속도 표시부(134)가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속도 표시 장치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제한속도 초과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제1초과속도표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의 차량속도가 80Km/h이기 때문에, 차량속도는 제한속도를 초과하였고, 제한속도로부터 10Km/h가 초과하였기 때문에, 제한 속도를 초과한 양에 대해서 제1초과속도표시부(135)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초과속도표시부는 제4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4색은 제1색 내지 제3색과 서로 다른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색을 달리하여 제1초과속도표시부를 두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제1초과속도표시부의 둘레영역에 숫자로 표시되는 제2초과속도표시부(140)를 두어, 운전자가 제한 속도 초과량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속도표시장치는 제1속도표시영역(120) 및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2속도표시영역(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120)은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1현재속도 표시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130)은 게이지 라인의 형태로 구성되어,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속도표시영역(130)은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 및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으로부터 연속되는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을 포함하며, 차량의 현재 속도가 제한속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 및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현재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4)가 포함되며,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 및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133b)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현재 속도가 제한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134)가 포함되며,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133)에는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만이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용이한 파악을 위해,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은 제1색으로 표시하고,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133a)은 제2색으로 표시하며,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133b)은 제3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색, 제2색 및 제3색은 서로 다른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현재 속도가 제한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제한속도 초과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제1초과속도표시부(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초과속도표시부는 제4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4색은 제1색 내지 제3색과 서로 다른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132)에 색을 달리하여 제1초과속도표시부를 두는 것과는 별도로, 숫자로 표시되는 제2초과속도표시부(140)를 두어, 운전자가 제한 속도 초과량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현재 속도가 제한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속도표시영역(120) 및 제2초과속도표시부(140)을 점멸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였음을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속도표시영역이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시선각을 변경함이 없이 제1속도표시영역 및 제2속도표시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속도표시영역에서 현재의 차량속도를 제공하고, 제2속도표시영역에서는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시선각을 변경함이 없이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운전자의 주행속도 및 제한속도의 인지속도 빨라지므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그만큼 사고위험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속도표시장치 110 : 정보표시부
120 : 제1속도표시영역 130 : 제2속도표시영역
132 :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 133 : 더미 속도표시영역
134 : 제한속도 표시부 133a :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
133b :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
135 : 제1초과속도표시부 140 : 제2초과속도표시부

Claims (8)

  1. 제1속도표시영역; 및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제2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은 현재의 차량속도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속도표시영역은 제1현재속도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속도표시영역은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 및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속되는 더미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차량속도가 상기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 및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차량속도가 상기 현 도로의 제한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현 도로의 제한속도를 표시하는 제한속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속도표시영역은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속도표시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표시영역은 제2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표시영역은 제3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색 내지 제3색은 서로 다른 색인 속도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재속도 표시영역은 제4색으로 표시되는 제1초과속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색은 제1색 내지 제3색과 서로 다른 색인 속도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과속도표시부의 둘레영역에 위치하는 제2초과속도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초과속도표시부는 숫자로 표시되는 속도표시장치.
  8. 제 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표시장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UD System)인 속도표시장치.
KR1020120037359A 2012-04-10 2012-04-10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KR10134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59A KR101341583B1 (ko) 2012-04-10 2012-04-10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59A KR101341583B1 (ko) 2012-04-10 2012-04-10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28A true KR20130114928A (ko) 2013-10-21
KR101341583B1 KR101341583B1 (ko) 2013-12-16

Family

ID=4963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359A KR101341583B1 (ko) 2012-04-10 2012-04-10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5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71A (ko) * 2015-09-04 2017-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KR20200143342A (ko) * 2015-09-04 2020-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AU2022201720B2 (en) * 2021-03-14 2023-08-24 Apple Inc. User interfaces with variable appearan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2109B2 (ja) 2006-01-30 2011-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速度表示装置
KR100911566B1 (ko) 2008-04-29 2009-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통합정보 계기판
JP5472003B2 (ja) 2010-09-20 2014-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速度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71A (ko) * 2015-09-04 2017-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KR20200143342A (ko) * 2015-09-04 2020-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AU2022201720B2 (en) * 2021-03-14 2023-08-24 Apple Inc. User interfaces with variable appear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583B1 (ko)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3483B2 (en) System for maintaining consumable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7726255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8594918B2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range of a motor vehicle
WO2010035441A1 (ja) 燃費向上のための運転操作を運転者に指導するための装置
EP2193512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 deviation of a vehicle parameter
RU2014137176A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система рекомендаций для водителя
US20100083894A1 (en) Multi-colored features for instrument cluster gauges
KR101341583B1 (ko) 차량용 속도표시장치
US9898971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ively control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
CN107010040B (zh) 制动器性能减退和制动能力仪表
CN106683228B (zh) 基于驾驶环境的燃油经济性评价方法、装置、服务器
SE1251304A1 (sv) Bränsleförbrukningsanalys i ett fordon
CN104533441A (zh) 基于安全视认的夜间隧道入口段照明标准测算方法及其系统
GB250502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vehicle
KR20120020745A (ko) 자동차용 클러스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171523B1 (ko) 차량의 속도표시용 무드램프 장치와 속도표시 방법
CN101819048A (zh) 用于显示多个可检测的可变的量值的装置
KR20150106202A (ko) 빅데이터 기법을 사용한 주변 위험차량 경고 방법 및 시스템
JP2007062515A (ja) 車両用計器装置及びこの車両用計器装置を備える車両
JP5503585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30117430A (ko) 사각지대 정보 제공장치 및 정보 제공방법
US2022011488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dicating expected speed of vehicle
JP5408920B2 (ja) 省燃費運転診断装置、省燃費運転診断システム、走行制御装置、省燃費運転採点装置及び省燃費運転診断方法
JP2013141974A (ja) タイヤ温度表示装置
CN104417367B (zh) 汽车发动机冷却液温度显示、预警与报警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