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746A -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746A
KR20130114746A KR1020137024216A KR20137024216A KR20130114746A KR 20130114746 A KR20130114746 A KR 20130114746A KR 1020137024216 A KR1020137024216 A KR 1020137024216A KR 20137024216 A KR20137024216 A KR 20137024216A KR 20130114746 A KR20130114746 A KR 2013011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ank
valve body
ve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커 트로이트
Original Assignee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1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6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the closure member being a movable b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하우징 (10), 밸브 하우징 (10) 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몸체, 탱크의 위치에 의존해 상기 밸브 몸체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도 있는 통기 경로 (16) 를 형성하는 탱크 측 및 연결 측 또는 대기 측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를 포함하고,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에 유지하는 수직 힘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횡방향 힘이 초과되면,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또는 편향되어 통기 경로 (16) 가 개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횡방향 힘 미만으로 떨어질 때 통기 경로 (16) 를 폐쇄하는 위치를 다시 자동적으로 취하는,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5) 에 관한 것이다. 밸브 몸체는 볼 (15) 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압력이 탱크 측에서 우세할 때 상기 밸브 몸체가 밸브 시트에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PRESSURE EQUALIZING VALVE FOR A FUEL TANK OR SECONDARY FLUID TANK O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상태에 의존하여 작동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통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적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연료를 차량의 내연 엔진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충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통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들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 있는 연료 탱크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 있는 보조 유체 탱크들은, 예를 들어 선택적 촉매 배기가스 정화를 위한 액체 환원제를 수용하기 위한 요소 (urea) 탱크들이다. 예를 들어 세척 유체을 위한 것과 같은 세정 유체용 탱크들, 오일 또는 다른 서비스 유체용 탱크들이 보조 유체 탱크들로 간주된다.
공지된 탱크들이 용기들로부터 재급유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재급유는 충전 상태에 의존해서 스위칭 오프될 수 있는 분배 노즐들을 통해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들 또는 환원제 탱크들을 재급유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분배 노즐들은 탱크의 필러 (filler) 파이프 내에서 상승하는 유체 기둥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작동된다. 이 유체 기둥은 분배 노즐 상의 블로홀 (blowhole) 을 폐쇄하고 이는 다시 분배 노즐이 스위칭 오프되도록 한다. 재급유될 시스템의 필러 파이프 내 유체 기둥의 상승은 재급유 통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탱크 내에서 상승되는 유체에 의해서 발생되고, 재급유 통기 밸브는 다음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서 변위되는 가스 유동량이 더 이상 탱크로부터 누출될 수 없도록 탱크의 재급유 통기 경로를 폐쇄하여, 유체 기둥이 필러 파이프 내에서 상승된다.
이러한 재급유 통기 밸브들은, 예를 들어 플로우트 밸브들 (float valves) 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탱크 내에서 상승되는 유체 레벨은 플로우트를 상승시키고 이는 다음으로 통기 경로를 폐쇄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단순 재급유 통기 밸브가 침지 튜브를 통해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 침지 튜브의 개구부는 탱크 내에서 상승되는 유체 레벨에 의해서 폐쇄되어, 유체 레벨 위에서 상승하는 가스 체적이 더 이상 탱크로부터 누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들에서, 탱크의 통기 및/또는 압력 균등화 또한 탱크에 의해서 폐쇄된 체적과 대기 사이에서 어느 정도 발생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연료 탱크들은 일반적으로 재급유 통기 밸브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소위 작동적 통기 밸브들을 구비하고, 이 통기 밸브들을 통해서 연료 탱크 내에 존재하는 가스는 차량의 작동 중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라인과 연료 증기 필터를 통해서 대기에 배출될 수 있다.
연료는 예를 들어 온도 의존적 방식으로 팽창되고, 그리고 차량의 구동 동역학에 의존해서 다소의 연료가 액체로부터 가스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소위 균등화 체적은 연료 탱크의 유체 레벨 위에 어느 경우든 빈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균등화 체적은 연료로 채워지도록 허여되어서는 안 된다.
충전 상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재급유가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따라서 연료 탱크 상에 제공된 작동적 통기 밸브들은 압력 유지 기능을 구비해야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통기 경로가 필러 파이프 안으로 삽입된 충전 노즐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분배 노즐에 의해서 차량의 필러 파이프로 스위칭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분배 노즐을 필러 파이프 안으로 삽입할 때, 스위치는 분배 노즐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작동적 통기 경로를 차단하고 그리고 재급유 통기 경로를 개방한다.
대안적으로는, 재급유 통기 밸브들에 스프링 부하식 밸브 몸체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밸브 몸체들은 탱크 내 미리 정의된 과잉 압력을 넘어서 활성 탄소 필터로 작동적 통기 경로를 개방하기만 한다. 마지막으로, 개별 재급유 통기 밸브들을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려사항들은 또한, 예를 들어 배기 가스의 촉매 탈질을 위한 수성 요소 용액의 형태로 액체 환원제를 함유하는 요소 탱크를 재충전/재급유하기 위해서, 보조 유체 탱크를 재급유하는 것에 적용된다. 상기 탱크들이 가스 변위 방법으로 용기들에 의해서 재급유되지 않고 분배 노즐에 의해서 재급유된다면,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합한 시간에 분배 노즐을 스위칭 오프하는 것이 여기서 필요하다. 매우 상이한 이유들 때문에, 과충전은 바람직하지 않다. 유체 레벨 위에서, 균등화 체적은 통기 라인들 및 여기에 선택적으로 제공된 밸브들이 액체 요소로 젖어있지 않도록 빈 상태로 남아있어야 한다. 또한, 성에 (frost) 의 결과로서 액체/고체상의 전이시 요소의 팽창이 가능해야 한다. 요소는 증발 동안에 큰 결정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결정 형성은 탱크의 이동가능한 부분들을 차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차량의 작동 동안에, 탱크와 대기 사이의 압력이 균등화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은 특히,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진 연료 탱크들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간단한 가능한 수단을 이용하여 탱크의 압력을 주변환경과 균등화하는 것을 허여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과충전이 탱크의 재급유 동안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어느 경우든 확실하게 방지된다.
먼저,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하우징, 밸브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몸체, 탱크 측 및 연결 측 또는 대기 측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는 탱크의 위치에 의존해서 밸브 몸체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도 있는 통기 경로를 형성하고, 미리 결정된 횡방향 힘이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에 유지하는 수직 힘에 비하여 초과될 때 밸브 몸체는 들어 올려지거나 편향될 수 있고 따라서 통기 경로를 개방시키고, 그리고 상기 횡방향 힘 밑으로 떨어질 때 통기 경로를 폐쇄하는 위치를 다시 자동적으로 취하고, 그리고 밸브 몸체는 탱크 측의 초과 압력이 상기 밸브 몸체 측에 유압식으로 작용되어 상기 밸브 몸체가 밸브 시트 안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구성에 의해서, 특히 논리턴 (non-return) 밸브와 같은 압력 균등화 밸브의 구성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수단으로 과충전 방지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탱크 내 존재하는 (prevailing) 가스 압력은 통기 경로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밸브 몸체에 작용되고 탱크 내 존재하는 균등화 체적의 통기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하식 밸브 몸체에 의한 압력 유지 기능은 본 발명의 의미 범위에서 완전히 제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는, 위치에 의존해서 또는 구동 동역학의 결과로서 가해질 수도 있는, 밸브 몸체의 수직 힘에 경사져 작용되는 횡방향 힘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프링들 또는 잠금 요소들과 같은 추가의 이동가능한 부재들이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압력 균등화 밸브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에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통기 경로만이 제공되고, 이 통기 경로는 차량의 그리고/또는 장착 위치에 있는 탱크의 휴지 위치 및 수평 위치에서 밸브 몸체에 의해서 폐쇄된다.
차량 또는 탱크의 대응하는 횡방향 경사에 의해 또는 횡방향 가속력들이 탱크 안으로 도입될 때에도, 밸브 몸체는 통기 경로를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편향되어, 선택적으로 압력 균등화가 탱크와 주변환경/대기 사이에서 간단하게 가능하다. 다음으로 밸브 몸체는 통기 경로를 폐쇄하는 자신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밸브 몸체가 시일링 시트에 유지되고, 중력에 의해서 작동되고, 그리고 장착 위치에서 기준 평면에 대한, 바람직하게는 수평 평면에 대한 미리 결정된 횡방향 경사를 초과할 때, 또는 탱크의 미리 결정된 횡방향 가속도를 초과할 때,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편향되는 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밸브 몸체가 볼로서 구성되고, 이 볼은 장착 위치에서 수평 기준 평면 내에서 대략적으로 연장되는 환상 시일링 시트를 폐쇄하는 점이 제공된다.
압력 균등화 밸브는, 예를 들어, 탱크에 용접된 (welded) 플라스틱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밸브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하우징 내에 배치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스틸 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기준 평면의 대략적 수평 정렬로, 무게력 (weight force) 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작동되는 밸브 몸체가 밸브 시트와 협력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수평에 대해서 약 4 내지 7°의 경사 각 위치에서, 밸브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통기 경로를 폐쇄하는 자신의 위치에 남아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밸브 몸체 챔버가 밸브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그리고 밸브 몸체 챔버 내에 밸브 몸체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점이 제공된다.
밸브 몸체 챔버는 탱크 측에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부, 및 밸브 몸체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고, 그리고 기준 평면이 대략 수평으로 정렬될 때, 밸브 몸체에 의해서 폐쇄되는 출구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밸브 시트는 장착 위치에서 밸브 몸체 챔버의 더 낮은 레벨에 형성된다는 점이 제공된다.
밸브 시트는, 예를 들어, 밸브 몸체 챔버의 바닥에 요부 또는 홈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밸브 시트에는, 차량이 상기 언급된 경사 각 위치 내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 예를 들어 차량의 재급유 동안에, 밸브 몸체가 휴지된다.
밸브 몸체는 반드시 볼로서 구성될 필요는 없고, 대신에 밸브 몸체는, 적합한 방식으로 밸브 시트와 협력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 시일링 표면들을 갖는 임의의 형상/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밸브 몸체의 작동 모드를 위한 유일한 기하학적 요구조건은, 상기 밸브 몸체가 틸팅 (tilting) 움직임/경사 위치/횡방향 가속도에 의해서, 밸브 시트와 협력하는 밸브 몸체의 부분들이 밸브 시트 밖으로 간단하게 이동되도록 편향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시트는 밸브 몸체 챔버 바닥의 요부 또는 홈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탱크 측 통기 개구부에, 가스들에 대해서 투과성이지만 액체들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또는 다공성 폐쇄 몸체가 구비된다는 점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소수화된 또는 소유화된 (oliophobized) 다공성 재료가 멤브레인, 예를 들어 또한 다공성 소성체 (sintered body) 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예를 들어 극성 유체 또는 비극성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가 제공되느냐에 따라서 극성 또는 비극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재료이다. 이러한 멤브레인 또는 이러한 폐쇄 몸체는 밸브 하우징 안으로 유체의 도입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가 요소 탱크용 과충전 방지 밸브로서 제공될 때 바람직하며, 이는 요소가, 바람직하지 않게도 밸브 하우징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이러한 멤브레인 또는 이러한 다공성 폐쇄 몸체를 연료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의 탱크 측의 통기 개구부에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소유화된 플라스틱 재료가 멤브레인 또는 폐쇄 몸체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충전 상태에 의존하여 작동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통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적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에 의해서 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는 작동적 통기 밸브가, 탱크의 위치에 의존해서 대기 측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과충전 방지 밸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는 상기 설명된 압력 균등화 밸브의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 또는 조합된 이러한 복수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과충전 방지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요소 탱크와 같은 보조 유체 탱크의 개략도를 매우 간략화된 도면으로서 도시하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의 밸브 몸체의 확대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요소 탱크 (1) 는 필러 파이프 (2), 재급유 통기 장치 (3) 및, 예를 들어 개구부 측의 필러 파이프 (2) 의 단부를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연료 증기 필터에 안내되는 재급유 통기 라인 (4) 을 포함한다.
요소 탱크 (1) 는, 작동적 통기 라인 (6) 을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연료 증기 필터에 또한 연결되는 압력 균등화 밸브 (5) 를 더 포함한다.
요소 탱크 (1)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소 탱크는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 기초한 단일층 또는 다층 압출물 (공압출물 (co-extrudate)) 의 압출 블로우 몰딩에 의해서 얻어질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도시된 요소 탱크 (1)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요소 탱크 대신,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균등화 밸브 (5) 는 연료 탱크뿐만 아니라 임의의 보조 유체 탱크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요소 탱크 (1) 의 충전은, 필러 파이프 (2) 의 개구부 (7) 안으로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충전 노즐 및/또는 분배 노즐에 의해서 필러 파이프 (2) 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일어난다. 재급유 동안에, 유체 레벨 (8) 은, 상기 유체 레벨이, 예를 들어 요소 탱크 (1) 안으로 돌출된 재급유 통기 라인 (4) 의 단부에 도달하여 이를 폐쇄할 때까지 (침지관 스위치 오프 (switch-off)) 요소 탱크 (1) 내부에서 상승된다. 또한, 요소 탱크 (1) 의 통기는 따라서 재급유 통기 라인 (4) 을 통해서 더 이상 일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필러 파이프 (2) 를 통해서 요소 탱크 (1) 안으로 들어가는 유체는 그 위에 존재하는 가스 체적을 더 이상 변위시키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필러 파이프 (2) 내 유체 기둥이 분배 노즐에 도달하여 충전 공정이 중단되도록 할 때까지 요소 탱크 (1) 내부 압력의 증가 및 필러 파이프 (2) 내 유체 기둥의 상승을 유발한다.
요소 탱크 (1) 가 장착된 차량이 구동될 때 유체 레벨 (8) 위에 남아 있는 균등 체적 (9) 과 대기 사이 압력의 균등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작동적 통기가 압력 균등화 밸브 (5) 와 작동적 통기 라인 (6) 을 통해서 제공된다.
도 2 는, 작동적 통기가 가능하지 않은 폐쇄 위치로 도시된 압력 균등화 밸브 (5) 의 단면을 도시한다.
압력 균등화 밸브 (5) 의 도 2 에 도시된 상기 스위칭 상태는 차량이 대략 수평 위치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재급유 동안 차량 및 탱크의 정상 위치로서 수평 평면은 이하 기준 평면으로 지칭된다.
압력 균등화 밸브 (5) 는, 바람직하게는 용접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연료 탱크의 플라스틱 재료와 호환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밸브 하우징 (10) 을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 (10) 은 탱크 측에서 개방되고 요소 탱크 (1) 로부터 원격 측에서 작동적 통기 라인 (6) 을 수용하기 위한 니플 (nipple) (11) 을 구비한다. 니플 (11) 은 작동적 통기 라인 (6) 을 스로틀 (throttle) 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나무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그러나, 작동적 통기 라인 (6) 은 또한 밸브 하우징 (10) 에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밸브 하우징 (10) 은 탱크 측의 통기 개구부에서, 예를 들어 요소 탱크 (1) 에 용접된다. 멤브레인 캐리어는 12 로 지칭되며, 요소 탱크 (1) 의 개구부 안에 스냅결합되거나 또는 용접된다. 대안적으로는, 멤브레인 캐리어 (12) 는 밸브 하우징 (10) 안에 본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 하우징 (10) 은, 볼 캐리어 (13) 가 상기 하우징 안에 용접되고 그리고 밸브 하우징 (10) 이 밸브 몸체 챔버 (14) 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2 부분 구성의 것이다. 밸브 몸체 챔버 (14) 는, 도 2 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밸브 하우징 (10) 과 볼 캐리어 (13) 사이에 형성된 미로 타입의 통기 경로 (16) 를 폐쇄하는 볼 (15) 을 밸브 몸체로서 수용한다. 통기 채널로서 구성된 상기 통기 경로는 밸브 몸체 챔버 (14) 를 형성하는 원형 통기 보어 (17) 를 형성하고, 상기 통기 보어는 밸브 몸체로서 볼 (15) 을 위한 환상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밸브 몸체 챔버 (14) 는, 통기 보어 (17) 에 공간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유입 개구부 (18) 를 통해서 요소 탱크 (1) 의 체적과 연통된다. 유압적으로, 즉 유압 회로 다이어그램의 의미에서, 유입 개구부 (18) 는 통기 보어 (17) 와 직렬로 연장된다.
통기 보어 (17) 는 밸브 하우징 챔버 (14) 의 바닥 요부 (19) 의 거의 중심에 배치된다.
바닥 요부 (19) 및 볼 (15) 의 확대 부분도가 도 3 에 도시된다.
바닥 요부 (19) 는 기준 평면에 대해서 약 5°내지 15°의 각도를 구비한 원추도 (오목률) 을 갖는다.
도 3 의 도시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바닥 요부 (19) 에 원형 주변 밸브 시트 표면 (20) 이 제공되며, 이 밸브 시트 표면은 통기 보어 (17) 의 주변부를 형성하며, 이 밸브 시트 표면 안에 볼 (15) 이 선형 방식으로 지지되게 된다. 특히, 임의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선형 접촉은 바람직하다.
바닥 요부 (19), 밸브 시트 표면 (20) 및 볼 (15) 의 사이즈는, 볼 (15) 이 밸브 몸체 챔버 (14) 의 주위 벽들 중 하나의 벽에 대해서 지지될 때까지 현저하게 4°초과 (4°내지 7°의 공차 (tolerance)) 의 횡방향 경사가, 볼 (15) 이 도 3 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 편향되도록 치수 지어 지고, 이 위치에 있을 때 통기 보어 (17) 및 따라서 통기 경로 (16) 는 개방된다. 횡방향 경사를 보상할 때, 볼 (15) 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자동적으로 굴러 돌아간다. 밸브 몸체 챔버 (14) 의 안치수 (clear width) 는 볼 (15) 의 직경보다 현저하게 크다.
요소 탱크와 주위환경 사이의 압력 균등화는 유입 개구부 (18) 와 작동적 통기 라인 (16) 을 통해서 생성될 수도 있다.
만약 밸브 몸체 및/또는 볼 (15) 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정상 위치에 위치되면, 탱크의 내부 압력이 유입 개구부 (18) 를 통해서 볼 (15) 에 작용되고 그리고 상기 볼을 밸브 시트 표면 (20) 에 유지한다. 볼은 통기 경로 (16) 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논리턴 (non-return) 요소의 방식으로 작동된다.
가스 투과성 멤브레인은 21 로 표시되고, 이 멤브레인은 탱크 측의 밸브 하우징 (10) 의 개구부 내에서 그리고/또는 탱크 개구부 자체 내에서 연장된다. 멤브레인 (21) 은, 예를 들어 비극성 유체들에 대해서 비투과성이나 가스들의 통과를 허용하는 소수성, 다공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멤브레인 (21) 은,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된 십자가형 지지 구조체 (22) 에 의해서 볼 캐리어 (13) 에 대해서 지지되어 탱크 내측에 압력이 있는 경우에 너무 많이 편향되는 것이 방지된다.
1 요소 탱크 2 필러 파이프
3 재급유 통기 장치 4 재급유 통기 라인
5 압력 균등화 밸브 6 작동적 통기 라인
7 필러 파이프 개구부 8 유체 레벨
9 균등화 체적 10 밸브 하우징
11 니플 12 멤브레인 캐리어
13 볼 캐리어 14 밸브 몸체 챔버
15 볼 16 통기 경로
17 통기 보어 18 유입 개구부
19 바닥 요부 20 밸브 시트 표면
21 멤브레인 22 십자가형 지지 구조체

Claims (11)

  1.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5) 로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하우징 (10),
    상기 밸브 하우징 (10) 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몸체,
    상기 탱크의 위치에 의존해 상기 밸브 몸체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도 있는 통기 경로 (16) 를 형성하는 상기 탱크 측 및 연결 측 또는 대기 측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에 유지하는 수직 힘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횡방향 힘이 초과되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또는 편향되어 상기 통기 경로 (16) 가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횡방향 힘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통기 경로 (16) 를 폐쇄하는 위치를 다시 자동적으로 취하고, 또한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탱크 측 상의 초과 압력이 상기 밸브 몸체 상에 유압식으로 작용되어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밸브 시트 안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균등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밸브 시트에 유지되고, 중력에 의해서 작동되고, 그리고 장착된 위치에서, 기준 평면, 바람직하게는 수평 평면에 대한 미리 결정된 횡방향 경사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탱크의 미리 결정된 횡방향 가속도를 초과할 때,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볼 (15) 로서 구성되고, 상기 볼은 장착된 위치에서, 대략적으로 수평 기준 평면에서 연장되는 환상 시일링 시트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의 거의 수평 정렬에 의해서, 무게력 (weight force) 에 의해 배타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몸체 챔버 (14) 가 상기 밸브 하우징 (10) 안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 챔버 안에서 상기 밸브 몸체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 챔버 (14) 는 상기 탱크 측에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부 (18) 및 하나의 배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부는 상기 밸브 몸체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기준 평면에 정렬될 때 상기 밸브 몸체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장착 위치에서 상기 밸브 몸체 챔버 (14) 의 더 낮은 레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 몸체 챔버 (14) 의 바닥의 요부 또는 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측의 상기 통기 개구부에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21) 또는 다공성 폐쇄 몸체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은 가스들에 대해서만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10. 차량용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로서,
    충전 상태에 의존하여 작동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통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적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상기 탱크에 있어서,
    상기 작동적 통기 밸브는 과충전 방지 밸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과충전 방지 밸브는 상기 탱크의 위치에 의존해서 대기 측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과충전 방지 밸브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KR1020137024216A 2011-03-14 2012-02-09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KR20130114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13959 DE102011013959A1 (de) 2011-03-14 2011-03-14 Druckausgleichsventil für Kraftstoff- oder Nebenflüssigkeitsbehälter an einem KFZ
DE102011013959.1 2011-03-14
PCT/EP2012/000584 WO2012123055A2 (en) 2011-03-14 2012-02-09 Pressure equalizing valve for a fuel tank or secondary fluid tank on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746A true KR20130114746A (ko) 2013-10-17

Family

ID=4559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216A KR20130114746A (ko) 2011-03-14 2012-02-09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2729B2 (ko)
EP (1) EP2686190B1 (ko)
JP (1) JP5839740B2 (ko)
KR (1) KR20130114746A (ko)
CN (1) CN103380018B (ko)
DE (1) DE102011013959A1 (ko)
WO (1) WO20121230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129A1 (de) * 2014-07-09 2016-01-14 Kautex Textron Gmbh & Co. Kg Vorratsbehälter zur Aufnahme einer wässrigen Harnstofflösung
JP6693117B2 (ja) * 2015-12-18 2020-05-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尿素水タンクの配置構造
DE102016010179B4 (de) * 2016-08-19 2023-07-06 Dürr Somac GmbH Handlingsystem für eine Befüllanlage
DE102017221596A1 (de) * 2017-11-30 2019-06-06 Aft Automotive Gmbh Füllstandsventil für eine Druckausgleichsleitung einer Fluidtankanordnung sowie entsprechende Fluidtankanordnung
US10940755B2 (en) * 2018-11-15 2021-03-09 Stant Usa Corp. Diesel exhaust fluid tank venting system
EP3750737A1 (de) * 2019-06-14 2020-12-16 Magna Steyr Fuel Systems GmbH Belüft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2214C2 (de) 1979-03-28 1983-02-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stofftanks von Fahrzeug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S56141473A (en) 1980-04-07 1981-11-05 Nissan Motor Co Ltd Pressure controller equipped with liquid effluence preventing mechanism
DE3116719A1 (de) 1981-04-28 1982-11-1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entlueften eines fluessigkeitsbehaelters, insbesondere eines kraftstoffbehaelters von kraftfahrzeugen"
JPS62173552U (ko) * 1986-04-23 1987-11-04
JPS63126126U (ko) * 1987-02-12 1988-08-17
FR2622667B1 (fr) 1987-11-02 1990-02-23 Muller Francis Clapet de mise a l'air libre d'un reservoir
FR2625284B1 (fr) * 1987-12-23 1990-04-20 Peugeot Valve de regulation de la pression a l'interieur d'un reservoir de carburant
US5042519A (en) * 1990-04-03 1991-08-27 Club Car, Inc. Fuel tank vent
ZA966579B (en) 1995-08-04 1998-02-02 Wakamoto Pharma Co Ltd O/W emulsion composition for eye drops.
IL114959A0 (en) 1995-08-16 1995-12-08 Aran Eng Dev Ltd Over filling valve
DE19629627C2 (de) 1996-07-23 1998-09-10 Daimler Benz Ag Sicherheitsvorrichtung zur Vermeidung des Kraftstoffaustritts
FR2776576B1 (fr) 1998-03-27 2000-06-16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 mise a l'air libre pour un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776577B1 (fr) 1998-03-27 2000-06-16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 mise a l'air libre pour un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802481B1 (fr) * 1999-12-17 2002-03-01 Itw De France Dispositif de mise a l'air libre d'un reservoir de carburant
DE10027569B4 (de) 2000-06-02 2004-1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es mit Druckentlüftungsventilen
FR2821801B1 (fr) 2001-03-07 2003-07-04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Systeme de securite pour reservoir a carburant liquide
US6601601B2 (en) 2001-12-19 2003-08-05 Richard Tamian Adjustable vibration valve
DE202005001931U1 (de) 2005-02-07 2005-04-07 Boellhoff Verbindungstechnik Be- und Entlüftungsventil
WO2006096892A1 (en) 2005-03-08 2006-09-14 Sidney Richard Hart Safety closure valve for fluid fuel operated appliances
US7318424B2 (en) * 2005-05-14 2008-01-15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Integrated vapor management and rollover valve for a fuel tank
US7882823B2 (en) * 2006-02-13 2011-02-08 Eaton Corporation Double shut-off refueling valve
JP2009174550A (ja) * 2008-01-21 2009-08-06 Nissan Motor Co Ltd ブリーザ
US8171952B2 (en) * 2008-02-01 2012-05-08 Eaton Corporation Multi-function control valve for fuel vapor system
US8272398B2 (en) * 2009-03-18 2012-09-25 Eaton Corporation Liquid discriminating vent valve
US8485214B2 (en) * 2009-06-22 2013-07-16 Eaton Corporation Small engine emissions control valve
US20110005614A1 (en) * 2009-07-07 2011-01-13 Eaton Corporation Ven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9740B2 (ja) 2016-01-06
CN103380018B (zh) 2016-10-05
EP2686190A2 (en) 2014-01-22
US20140034147A1 (en) 2014-02-06
DE102011013959A1 (de) 2012-09-20
US9132729B2 (en) 2015-09-15
EP2686190B1 (en) 2017-06-14
CN103380018A (zh) 2013-10-30
WO2012123055A2 (en) 2012-09-20
JP2014514196A (ja) 2014-06-19
WO2012123055A3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746A (ko) 차량 상의 연료 탱크 또는 보조 유체 탱크용 압력 균등화 밸브
EP1786645B1 (en) Dual function valve for fuel tanks
US7913671B2 (en) Device for the venting circuit of a liquid tank and valve incorporating said device
EP2647516B1 (en) Method and valve for the venting of a saddle fuel tank
JP5419686B2 (ja) 液体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69842A1 (en) Refueling shut-off system with fill-limit vent valve
JP4494572B2 (ja) 液体タンクの通気システム
CN102481839A (zh) 排气阀
US11560049B2 (en) Fill limit venting valve with high shut-off height
KR20140084270A (ko) 벤트 밸브
CN110300679B (zh) 浮阀
WO2017068882A1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US9925864B2 (en) Method and valve for venting a fuel tank
US20130233733A1 (en) Fuel t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42899A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KR100632255B1 (ko) 연료 증발가스 배출 제어시스템
JP4847370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
EP3184342B1 (en) Valve apparatus with a weigh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