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347A -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347A
KR20130114347A KR1020120036616A KR20120036616A KR20130114347A KR 20130114347 A KR20130114347 A KR 20130114347A KR 1020120036616 A KR1020120036616 A KR 1020120036616A KR 20120036616 A KR20120036616 A KR 20120036616A KR 20130114347 A KR20130114347 A KR 2013011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air
unit
air pressur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223B1 (ko
Inventor
신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머
Priority to KR102012003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223B1/ko
Priority to PCT/KR2012/008590 priority patent/WO2013081297A1/ko
Priority to EP12853819.6A priority patent/EP2786723A4/en
Priority to JP2014543403A priority patent/JP2015509007A/ja
Priority to US13/697,992 priority patent/US8905268B2/en
Publication of KR2013011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8Instruments or appliances for wax-shaping or wax-remo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는 내부 공간에 액상의 왁스가 수용되는 중공관 형상의 왁스 저장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왁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노즐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액상을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부와;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가압하는 가압 모드와, 외부로의 공기 유출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감압하는 감압 모드로 작동하는 공기압 제공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통시키는 왁스 이동 통로와, 상기 가압 모드에서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감압 모드에서 외부의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상기 왁스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부를 갖는 디스펜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히터를 내장한 펜 타입의 왁스 디스펜서에 왁스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에어 펌핑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왁스가 토출되며, 토출되는 왁스가 디스펜서 작동부의 조작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WAX DISPENSER FOR DENTAL TECHNOLOGY USING AIR PRESSURE AND WAX DISPENSER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왁스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공기압에 의해 왁스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개선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왁스 디스펜서(Wax dispenser)란,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용 의치 제작 시 사용되는 치과 기공용 기구로서 치아 형태의 석고모형에 왁스를 코팅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최근, 치의료 기술과 의치 재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치과 치료 내지 미용을 위해 의치를 사용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치과 기공사 등 의치를 제조하는 왁스 디스펜서 사용자는 실제 작업 수행 시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 속도나 품질 등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에 대한 관심과 그 보급에 대한 요청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왁스 디스펜서에 관한 기존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알코올 램프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의 조각도를 가열한 후 가열된 조각도의 팁으로 왁스를 용융시켜 석고모형에 덧씌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리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9-25346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막대 형태의 고체 왁스를 왁스 디스펜서 후단 측에 삽입하고 내장 히터를 통해 용융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 수행 시 용융된 왁스가 왁스 디스펜서의 각도에 따라 왁스 디스펜서 후단 측으로 누출되거나 고체 왁스가 절단되는 등 안전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밀한 동작을 요하는 왁싱 공정에서 건(gun) 타입의 기구는 그 구조상 사용자의 동작을 제한하여 작업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기술들은 왁스 디스펜서의 내부 왁스 저장소는 물론 왁스가 토출되는 노즐에까지 왁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기술과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펜 형태의 왁스 디스펜서에 왁스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공기압에 따라 왁스가 토출되며, 토출되는 왁스가 정밀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포이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왁스 디스펜서에 왁스를 충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왁스가 적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작업 시 왁스 고화에 의한 노즐의 폐색이나 지나친 가열에 의한 왁스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왁스 디스펜서의 자세와 무관하게 충전된 왁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공간에 액상의 왁스가 수용되는 중공관 형상의 왁스 저장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왁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노즐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액상을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부와;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가압하는 가압 모드와, 외부로의 공기 유출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감압하는 감압 모드로 작동하는 공기압 제공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통시키는 왁스 이동 통로와, 상기 가압 모드에서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감압 모드에서 외부의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상기 왁스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부를 갖는 디스펜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외부 연결관과; 상기 왁스 저장부와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왁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내부 연결관과;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내부 연결관을 연통시키는 공기 연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이 외부와 개방되거나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개폐하는 후단 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연결 통로는 상기 후단 캡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을 폐쇄할 때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내부 연결관을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 제공부는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공기 연결 통로 간의 연통을 단속하는 공기압 단속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 단속 밸브는 상기 공기 연결 통로와 연통된 제1 연통홀과, 상기 외부 연결관과 연통된 제2 연통홀을 갖는 밸브관과, 상기 밸브관 내부에 수용되는 개폐 볼과, 상기 개폐 볼을 상기 제1 연통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볼은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연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연결관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연통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공기 연결 통도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따라 배치되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가 발열하도록 상기 발열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노즐부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부재의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간은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 개폐부는 상기 왁스 이동 통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하고, 내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발열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폐쇄하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관과; 상기 탄성 접촉부가 상기 발열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왁스 이동 통로가 개방되도록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관을 가압 변형시키는 사이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의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와; 일측이 상기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상기 공기압 제공부와 연결되는 에어 케이블과; 상기 에어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가압 모드 또는 상기 감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공기압 제공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거나 상기 공기압 제공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펌핑부는 공기를 토출하는 펌핑 토출 포트와, 공기를 흡입하는 펌핑 흡입 포트를 갖는 에어 펌프와;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상기 펌핑 흡입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에어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모드 전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전환 밸브는 상기 에어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연결되는 토출 연결 포트와; 상기 펌핑 흡입 포트와 연결되는 흡입 연결 포트와;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가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1 전환 위치와,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감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2 전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밸브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 밸브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에 개방된 제1 더미 포트 및 제2 더미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전환부는 상기 제1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상기 제1 더미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상기 제2 더미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펌핑부는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토출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핑 흡입 포트와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로 흡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흡입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공기압 조절부와 상기 흡입 공기압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 또는 상기 에어 펌프로 흡입되는 공기압을 임시 저장하여 기 설정된 공기압으로 토출 또는 흡입하는 공압 실린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상기 히터부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에어 케이블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히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펌핑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 펌핑부와 연결되는 에어 접속 포트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접속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케이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케이블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 접속 포트에 접속 가능한 형태의 에어 접속 잭과, 상기 에어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접속 포트에 접속 가능한 형태의 전원 접속 잭을 갖는 접속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를 내장한 펜 타입의 왁스 디스펜서에 왁스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에어 펌핑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따라 왁스가 토출되며, 토출되는 왁스가 디스펜서 작동부의 조작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이 펌핑부의 흡입 작동에 따라 왁스 디스펜서에 왁스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된 왁스가 모두 소모될 때 왁스 디스펜서의 노즐부를 왁스 탱크에 담근 상태로 스포이드 원리와 같이 왁스를 흡입하여 충전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 형태의 발열체를 노즐에 삽입하여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왁스가 적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작업 수행 시 왁스 고화에 의한 노즐의 폐색이나 지나친 가열에 의한 왁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왁스 디스펜서의 자세와 무관하게 충전된 왁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공기압 제공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개폐 모듈을 디스펜서 작동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의 에어 펌핑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의 에어 펌핑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의 접속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은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100)(이하, '왁스 디스펜서(100)'라 함), 에어 케이블(500) 및 에어 펌핑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펌핑부(300)는 본체부(700)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타입의 외관을 가지며, 그 내부에 세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는 펜 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의치 성형 작업 수행 시 사용자의 파지 및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왁스 디스펜서(100)는 본체부(700)와 에어 케이블(500)을 통해 연결되어, 본체부(700)에 설치된 에어 펌핑부(300)의 동작에 따라 내부 공기압이 상승하여 왁스를 토출하고나, 내부 공기압이 하강하여 왁스를 흡입, 즉 충전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 저장부(120), 노즐부(130), 히터부(140), 공기압 제공부(150) 및 디스펜서 작동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왁스 저장부(120), 노즐부(130), 히터부(140), 공기압 제공부(150) 및 디스펜서 작동부(160) 등과 같이 왁스 디스펜서(1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은 펜 타입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왁스 저장부(120)는 내부 공간(121)에 액상의 왁스가 수용되는 중공관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왁스 저장부(120)는 도 2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중앙 영역에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왁스 저장부(120)의 전단(도 2의 좌측 방향)에는 노즐부(130)가 위치하고, 왁스 저장부(120)의 후단에는 공기압 제공부(150)가 위치하게 된다.
히터부(140)는 왁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왁스가 액상을 유지하도록, 왁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왁스를 가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부재(142)와 발열 슬리브(14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발열 슬리브(141)는 발열 부재(142)가 발열하도록 발열 부재(14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슬리브(141)는 후술할 전원 케이블(520)을 통해 본체부(700)의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발열 부재(142)는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과, 디스펜서 작동부(160)에 형성된 후술할 왁스 이동 통로(161)를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부재(142) 중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에 위치하는 구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하며, 이를 통해 발열 부재(142)의 발열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왁스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열 부재(142)는, 도 2의 확대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30)의 내부(131)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왁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액상의 왁스가 디스펜서 작동부(160)의 왁스 이동 통로(161)를 따라 이동하면서 왁스 이동 통로(161)를 따라 연장된 발열 부재(142)에 의해 가열되고, 노즐부(130)로 이동하여 노즐부(130)로부터 토출될 때까지 노즐부(130) 내부로 연장된 발열 부재(142)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노출부로 토출되기 전에 액상의 왁스가 고체 상태로 응고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 즉 히터부(14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노즐부(130) 내부에 남아 있던 왁스가 응고되더라도 히터부(140)의 작동에 따라 노즐부(130) 내부에 위치한 발열 부재(142)에 의해 노즐부(130) 측의 고체 상태의 왁스도 액상으로 전환되어 별도의 조치없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공기압 제공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왁스 저장부(120)의 후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압 제공부(150)는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을 가압하는 가압 모드와,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을 감압하는 감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압 제공부(150)는 에어 펌핑부(300)로부터 에어 케이블(5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즉 압축 공기에 의해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을 가압하게 되고, 에어 케이블(500)을 통해 어에 펌핑부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을 감압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 모드의 경우, 압축 공기에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의 공기압이 높아져 디스펜서 작동부(160)가 왁스 저장부(120)와 노즐부(130)를 연통시키게 되면 왁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왁스가 노즐부(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반대로, 감압 모드의 경우, 공기압 제공부(150)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어 왁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121)의 공기압이 낮아져 디스펜서 작동부(160)가 왁스 저장부(120)와 노즐부(130)를 연통시키게 되면 노즐부(130)를 통해 외부의 왁스가 왁스 저장부(1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의 공기압 제공부(150)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제공부(150)는 외부 연결관(151)과, 내부 연결관(152) 및 공기 연결 통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연결관(151)은 에어 케이블(500)과 연결되어 왁스 디스펜서(100) 외부, 즉 에어 케이블(50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거나 에어 케이블(500)로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내부 연결관(152)은 왁스 저장부(120)의 후단에 배치되어 왁스 저장부(120)와 연통된다.
여기서, 공기 연결 통로(153)는 외부 연결관(151)과 내부 연결관(152)을 연통시킴으로써, 에어 케이블(500), 외부 연결관(151), 공기 연결 통로(153), 내부 연결관(152) 및 왁스 저장부(120) 간에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디스펜서(10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이 외부와 개방하거나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개폐하는 후단 캡 유닛(1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후단 캡 유닛(154)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후단 캡 유닛(154)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연결 통로(153)는 후단 캡 유닛(154)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캡 유닛(154)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폐쇄할 때 외부 연결관(151)과 내부 연결관(152)을 연통시키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단 캡 유닛(154)이 하우징(110)의 후단에 힌지 결합하여 회동 운동을 통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 때, 후단 캡 유닛(154)은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후크 고정 부재(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제공부(150)는 외부 연결관(151)과 후단 캡 유닛(154)에 형성된 공기 연결 통로(153) 간의 연통을 단속하는 공기압 단속 밸브(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압 단속 밸브(156)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관(156a), 개폐 볼(156d) 및 탄성 부재(156e)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밸브관(156a)은 외부 연결관(151)과 후단 캡 유닛(154)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연결관(151)과 후단 캡 유닛(154)에 형성된 공기 연결 통로(153)를 연통시킨다. 여기서, 밸브관(156a)에는 공기 연결 통로(153)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홀(156c)과, 외부 연결관(151)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156b)이 형성된다.
개폐 볼(156d)은 볼 형태로 마련되어 밸브관(156a)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156e)는 개폐 볼(156d)을 제1 연통홀(156c)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때, 개폐 볼(156d)은 후단 캡 유닛(15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탄성 부재(156e)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통홀(156c)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외부 연결관(151)을 통해 에어 펌핑부(300)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노출되는 상태에서 후단 캡 유닛(154)이 개방되더라도 제1 연통홀(156c)을 통해 압축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아 압축 공기의 토출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캡 유닛(154)이 내부 연결관(152)의 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개폐 볼(156d)이 후단 캡 유닛(154)에 의해 탄성 부재(156e)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 연통홀(156c)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1 연통홀(156c)과 공기 연결 통도가 연통되어 압축 공기가 내부 연결관(152) 측으로 전달되거나, 내부 연결관(152)을 통해 공기가 흡입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작동부(1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작동부(160)는 왁스 저장부(120)와 노즐부(130)를 연통시키는 왁스 이동 통로(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펜서 작동부(160)는 가압 모드에서 왁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왁스가 노즐부(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감압 모드에서 외부의 왁스가 노즐부(130)를 통해 왁스 저장부(120)로 유입되도록 왁스 이동 통로(161)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부(16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압 모드에서 통로 개폐부(162)의 작동에 따라 왁스 이동 통로(161)를 개방하게 되면, 왁스 이동 통로(161)를 통해 왁스 저장부(120)의 왁스가 노즐부(130)로 노출됨으로써, 왁스 작업의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감암 모드에서 통로 개폐부(162)의 작동에 따라 왁스 이동 통로(161)를 개방하고, 노즐부(130)를 후술할 왁스 탱크(720)에 저장된 왁스에 삽입하게 되면, 노즐부(130)를 통해 왁스 탱크(720)의 왁스가 왁스 저장부(120)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로 개폐부(16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관(163)과 사이드 버튼(164)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관(163)은 왁스 이동 통로(161)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탄성관(163)은 내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왁스 이동 통로(161)를 통과하는 발열 부재(142)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왁스 이동 통로(161)를 폐쇄하는 탄성 접촉부(163a)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관(163)은 사이드 버튼(164)의 조작에 따라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사이드 버튼(164)은 탄성 접촉부(163a)가 발열 부재(142)로부터 이격되어 왁스 이동 통로(161)가 개방되도록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탄성관(163)을 가압 변형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버튼(164)이 탄성관(163)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고, 일측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사이드 버튼(164)을 푸시(Push) 조작하게 되면, 사이드 버튼(164)이 탄성관(163)을 가압 변형시켜 탄성 접촉부(163a)가 발열 부재(14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왁스 이동 통로(161)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확대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관(163)과 사이드 버튼(164)을 관통하는 관통공(165)이 형성되고, 해당 관통공(165)에 전달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사이드 버튼(164)의 푸시(Push) 조작이 탄성관(163)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는 본체부(700)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 케이블(500)을 통해 왁스 디스펜서(100)의 공기압 제공부(150)와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 펌핑부(300)는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 또는 감암 모드로 동작하도록, 에어 케이블(500)을 통해 공기압 제공부(150)로 공기를 토출시키거나 공기압 제공부(150)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즉, 에어 펌핑부(300)의 압축 공기 토출에 따라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로 작동하게 되고, 에어 펌핑부(300)의 공기 흡입에 따라 공기압 제공부(150)가 감압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은 공기압 제공부(150)가 감압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는 에어 펌프(310) 및 모드 전환 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펌핑부(300)는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 및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310)는 실질적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압축 공기를 형성하거나, 에어 펌프(310)로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로써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에어 펌프(310)는 공기를 토출하는 펌핑 토출 포트(311)와, 공기를 흡입하는 펌핑 흡입 포트(31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모드 전환 밸브(320)는 에어 펌프(310)의 펌핑 토출 포트(311)와 펌핑 흡입 포트(312) 중 어느 하나를 에어 케이블(5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모드 전환 밸브(320)가 에어 펌프(310)의 펌핑 토출 포트(311)를 에어 케이블(500)에 연결시키는 경우,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반면, 모드 전환 밸브(320)가 에어 펌프(310)의 펌핑 유입 포트를 에어 케이블(500)에 연결시키는 경우, 공기압 제공부(150)가 감압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밸브(3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 포트(321), 토출 연결, 흡입 연결 포트(323) 및 밸브 전환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전환 밸브(320)는 제1 더미 포트(327) 및 제2 더미 포트(32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드 전환 밸브(320)가 5 포트 전환 밸브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케이블 연결 포트(321)는 에어 케이블(500)과 연결되고, 토출 연결 포트(322)는 펌핑 토출 포트(311)와 연결되고, 흡입 연결 포트(323)는 펌핑 흡입 포트(3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더미 포트(327) 및 제2 더미 포트(326)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에 개방된다.
여기서, 밸브 전환부(324)는 케이블 연결 포트(321)와 토출 연결 포트(322)를 연결하는 제1 전환 위치와, 케이블 연결 포트(321)와 흡입 연결 포트(323)를 연결하는 제2 전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한다. 이 때, 제1 전환 위치로 작동하여 케이블 연결 포트(321)와 토출 연결 포트(322)가 연결되면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제2 전환 위치로 작동하여 케이블 연결 포트(321)와 흡입 연결 포트(323)가 연결되면 공기압 제공부(150)가 감압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전환부(324)의 조작은 조작 레버(325)의 수동 조작에 따라 조작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며, 전자 구동 방식의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밸브 전환부(324)는 제1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흡입 연결 포트(323)를 제1 더미 포트(327)로 연결시켜, 가압 모드로 동작할 때 에어 펌프(310)의 펌핑 흡입 포트(312)를 통한 흡입력이 제1 더미 포트(327)로 전달되어 제1 더미 포트(327)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반면, 밸브 전환부(324)는 제2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토출 연결 포트(322)를 제2 더미 포트(326)로 연결시켜, 감압 모드로 동작할 때 에어 펌프(310)의 펌핑 토출 포트(3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제2 더미 포트(326)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는 펌핑 토출 포트(311)와 토출 연결 포트(322)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310)의 펌핑 토출 포트(31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한다. 그리고,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는 펌핑 흡입 포트(312)와 흡입 연결 포트(323)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310)로 흡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 및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가 에어 펌프(3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 또는 에어 펌프(310)로 흡입되는 공기압을 임시 저장하여 기 설정된 공기압으로 토출 또는 흡입하는 공압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는 제1 실린더(331), 제1 피스톤(332) 및 제1 탄성 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331)는 제1 피스톤(332)이 그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제1 피스톤(332)은 제1 실린더(331)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1 피스톤(332)에 의해 제1 실린더(331)의 내부 공간이 제1 공간(334)과 제2 공간(335)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의 제1 탄성 부재(333)는 제1 실린더(331)의 제2 공간(335)에 수용되어 제1 피스톤(332)에 제1 공간(334)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실린더(331)의 제1 공간(334)은 펌핑 토출 포트(311)와 토출 연결 포트(322) 사이의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토출 연결 포트(322)로의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예를 들어, 상술한 사이드 버튼(164)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에어 펌프(310)가 작동하게 되면, 에어 펌프(310)의 펌핑 토출 포트(3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제1 실린더(331)의 제1 공간(334)에 유입되면서 공기압이 높아져 제1 피스톤(332)을 제2 공간(335)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 피스톤(332)의 제2 공간(335)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토출 연결 포트(322)로의 공기의 흐름이 개방되고 에어 펌프(31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제1 탄성 부재(333)가 제1 피스톤(332)을 다시 제1 공간(334)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피스톤(332)의 이동이 따른 공기압에 의해 공기가 토출 연결 포트(322)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실린더(331)의 사이즈와 제1 탄성 부재(333)의 탄성력의 조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과 그 공기압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는 제1 피스톤(332)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 센서(337a,33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피스톤(332)이 제1 탄성 부재(333)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하게 되면, 이를 제1 위치 감지 센서(337a,337b)가 감지하여 에어 펌프(31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332)이 제1 탄성 부재(333)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하게 되면, 이를 제1 위치 감지 센서(337a,337b)가 감지하여 에어 펌프(310)가 재작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위치 감지 센서(337a,337b)가 마그네틱 센서 타입으로 마련되고, 제1 피스톤(332)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검출하도록 제1 피스톤(3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마찬가지로,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는 제2 실린더(341), 제2 피스톤(342) 및 제2 탄성 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341)는 제2 피스톤(342)이 그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제2 피스톤(342)은 제2 실린더(341)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2 피스톤(342)에 의해 제2 실린더(341)의 내부 공간이 제3 공간(344)과 제4 공간(345)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의 제2 탄성 부재(343)는 제2 실린더(341)의 제3 공간(344)에 수용되어 제2 피스톤(342)에 제4 공간(34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실린더(341)의 제3 공간(344)은 펌핑 흡입 포트(312)와 흡입 연결 포트(323) 사이의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흡입 연결 포트(323)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예를 들어, 상술한 사이드 버튼(164)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에어 펌프(310)가 작동하게 되면, 에어 펌프(310)의 펌핑 흡입 포트(3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제2 실린더(341)의 제3 공간(344)의 공기압이 낮아져 제2 피스톤(342)이 제3 공간(344)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2 피스톤(342)의 제3 공간(344)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흡입 연결 포트(323)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이 개방되고 에어 펌프(31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제2 탄성 부재(343)가 제2 피스톤(342)을 다시 제4 공간(345)으로 이동시켜 제2 피스톤(342)의 이동이 따른 공기압에 의해 흡입 연결 포트(323)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2 실린더(341)의 사이즈와 제2 탄성 부재(343)의 탄성력의 조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과 그 공기압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는 제2 피스톤(342)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 감지 센서(347a,34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피스톤(342)이 제4 공간(345)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하게 되면, 이를 제2 위치 감지 센서(347a,347b)가 감지하여 에어 펌프(31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피스톤(342)이 제2 탄성 부재(343)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동하게 되면, 이를 제2 위치 감지 센서(347a,347b)가 감지하여 에어 펌프(310)가 재작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위치 감지 센서(347a,347b)가 마그네틱 센서 타입으로 마련되고, 제2 피스톤(342)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검출하도록 제2 피스톤(3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미설명 참조번호 336a, 336b, 346a, 346b는 각각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 및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핑부(400)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공기압 제공부(150)가 감압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공기압 제공부(150)가 가압 모드로 동작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하에서는 두 실시예의 차별화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에어 펌프(410)의 펌핑 토출 포트(411)와 모드 전환 밸브(420)의 토출 연결 포트(422)가 직접 연결되고, 에어 펌프(410)의 펌핑 흡입 포트(412)와 모드 전환 밸브(420)의 흡입 연결 포트(423)가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가 모드 전환 밸브(420)의 케이블 연결 포트(421)와 에어 케이블(500)을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모드 전환 밸브(420)에는 한 쌍의 더미 포트(426,427)이 마련된다.
그리고,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는 에어 펌프(4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함과 동시에, 에어 펌프(410)로 흡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함께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는 통합 실린더(431), 통합 피스톤(432), 토출용 탄성 부재(433b), 흡입용 탄성 부재(43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실린더(431)는 통합 피스톤(432)에 의해 제5 공간(434)과 제6 공간(435)으로 구획되고, 토출용 탄성 부재(433b)가 제6 공간(435)에 수용되어 통합 피스톤(432)에 제5 공간(434)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흡입용 탄성 부재(433a)가 제5 공간(434)에 수용되어 통합 피스톤(432)에 제6 공간(43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에 에어 펌프(410)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면, 토출용 탄성 부재(433b)와 통합 피스톤(4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가 상술한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에 에어 펌프(410)로부터의 흡입력이 발생하면, 흡입용 탄성 부재(433a)와 통합 피스톤(4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가 상술한 흡입 공기압 조절부(34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의 미설명 참조번호 436a, 436b는 통합 공기압 조절부(430)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이고, 미설명 참조번호 437a, 437b, 438a, 438b는 각각 통합 피스톤(432)에서 토출 공기압 조절부(330)의 제1 위치 감지 센서(337a,337b)와 유입 공기압 조절부(340)의 제2 위치 감지 센서(347a,347b)의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 감지 센서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700)에 수용된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발열 부재(142)의 방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데,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히터부(140)는 전원 케이블(5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5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케이블(500)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히터부(140)와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에어 케이블(500)의 내표면과 전원 케이블(520) 사이의 공간(510)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7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7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펌핑부(300)와 연결되는 에어 접속 포트(711)와,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접속 포트(7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케이블(500)의 가장자리에는 에어 접속 포트(711)와, 전원 접속 포트(71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모듈(9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접속 모듈(9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케이블(500)의 내부에 배치된 전원 케이블(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접속 포트(712)에 접속 가능한 형태의 전원 접속 잭(920)과, 에어 케이블(500)과 연통되어 에어 접속 포트(711)와 접속 가능한 형태의 에어 접속 잭(910)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케이블(500)에 설치된 접속 모듈(900)을 본체부(700)에 접속시키는 방법만으로 왁스 디스펜서(100)와 본체부(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에어 라인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7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30)와, 상술한 왁스 탱크(7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히터부(140)의 온도나, 모드 전환 밸브(32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왁스 디스펜서 110 : 하우징
120 : 왁스 저장부 130 : 노즐부
140 : 히터부 141 : 발열 슬리브
142 : 발열 부재 150 : 공기압 제공부
151 : 외부 연결관 152 : 내부 연결관
153 : 공기 연결 통로 154 : 후단 캡 유닛
155 : 후크 고정 부재 156 : 공기압 단속 밸브
160 : 디스펜서 작동부 161 : 왁스 이동 통로
162 : 통로 개폐부 163 : 탄성관
163a : 탄성 접촉부 164 : 사이드 버튼
165 : 관통공 300 : 에어 펌핑부
310 : 에어 펌프 311 : 펌핑 토출 포트
312 : 펌핑 흡입 포트 320 : 모드 전환 밸브
321 : 케이블 연결 포트 322 : 토출 연결 포트
323 : 흡입 연결 포트 324 : 밸브 전환부
325 : 조작 레버 326 : 제2 더미 포트
327 : 제2 더미 포트 330 : 토출 공기압 조절부
340 : 흡입 공기압 조절부 500 : 에어 케이블
700 : 본체부 900 : 접속 모듈

Claims (18)

  1. 내부 공간에 액상의 왁스가 수용되는 중공관 형상의 왁스 저장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왁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노즐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액상을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부와;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가압하는 가압 모드와, 외부로의 공기 유출에 의해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감압하는 감압 모드로 작동하는 공기압 제공부와;
    상기 왁스 저장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통시키는 왁스 이동 통로와, 상기 가압 모드에서 상기 왁스 저장부에 저장된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감압 모드에서 외부의 왁스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상기 왁스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부를 갖는 디스펜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외부 연결관과;
    상기 왁스 저장부와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왁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내부 연결관과;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내부 연결관을 연통시키는 공기 연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이 외부와 개방되거나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개폐하는 후단 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연결 통로는 상기 후단 캡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을 폐쇄할 때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내부 연결관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제공부는 상기 외부 연결관과 상기 공기 연결 통로 간의 연통을 단속하는 공기압 단속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단속 밸브는
    상기 공기 연결 통로와 연통된 제1 연통홀과, 상기 외부 연결관과 연통된 제2 연통홀을 갖는 밸브관과,
    상기 밸브관 내부에 수용되는 개폐 볼과,
    상기 개폐 볼을 상기 제1 연통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볼은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연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후단 캡 유닛이 상기 내부 연결관의 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연결관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연통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공기 연결 통도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따라 배치되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가 발열하도록 상기 발열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노즐부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재의 상기 왁스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간은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폐부는
    상기 왁스 이동 통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하고, 내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발열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왁스 이동 통로를 폐쇄하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관과;
    상기 탄성 접촉부가 상기 발열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왁스 이동 통로가 개방되도록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관을 가압 변형시키는 사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와;
    일측이 상기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상기 공기압 제공부와 연결되는 에어 케이블과;
    상기 에어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가압 모드 또는 상기 감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공기압 제공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거나 상기 공기압 제공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핑부는
    공기를 토출하는 펌핑 토출 포트와, 공기를 흡입하는 펌핑 흡입 포트를 갖는 에어 펌프와;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상기 펌핑 흡입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에어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모드 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밸브는
    상기 에어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연결되는 토출 연결 포트와;
    상기 펌핑 흡입 포트와 연결되는 흡입 연결 포트와;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가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1 전환 위치와, 상기 공기압 제공부가 상기 감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 포트와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2 전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밸브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밸브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에 개방된 제1 더미 포트 및 제2 더미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전환부는 상기 제1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상기 제1 더미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전환 위치로 작동할 때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상기 제2 더미 포트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핑부는
    상기 펌핑 토출 포트와 상기 토출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토출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흡입 포트와 상기 흡입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에어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로 흡입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흡입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공기압 조절부와 상기 흡입 공기압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 또는 상기 에어 펌프로 흡입되는 공기압을 임시 저장하여 기 설정된 공기압으로 토출 또는 흡입하는 공압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드시펜서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의 상기 히터부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에어 케이블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히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핑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 펌핑부와 연결되는 에어 접속 포트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접속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케이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케이블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 접속 포트에 접속 가능한 형태의 에어 접속 잭과, 상기 에어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접속 포트에 접속 가능한 형태의 전원 접속 잭을 갖는 접속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KR1020120036616A 2011-11-28 2012-04-09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KR10133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16A KR101333223B1 (ko) 2012-04-09 2012-04-09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PCT/KR2012/008590 WO2013081297A1 (ko) 2011-11-28 2012-10-19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EP12853819.6A EP2786723A4 (en) 2011-11-28 2012-10-19 WAX DISPENSER FOR DENTAL WORK, AND WAX DISPENSER SYSTEM FOR DENTAL WORK UTILIZING THE SAME
JP2014543403A JP2015509007A (ja) 2011-11-28 2012-10-19 歯科技工用ワックスディスペン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技工用ワックスディスペンサーシステム
US13/697,992 US8905268B2 (en) 2011-11-28 2012-10-19 Wax dispenser for dental technology and wax dispenser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16A KR101333223B1 (ko) 2012-04-09 2012-04-09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47A true KR20130114347A (ko) 2013-10-17
KR101333223B1 KR101333223B1 (ko) 2013-11-26

Family

ID=4963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16A KR101333223B1 (ko) 2011-11-28 2012-04-09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2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219B2 (ja) * 1992-03-31 1996-11-06 安井貿易株式会社 ペン型加熱工具
KR20050001892A (ko) * 2003-06-26 2005-01-07 안재완 전기 왁스 조각도
KR20090035675A (ko) * 2009-03-23 2009-04-10 주식회사 허머 치아 성형용 왁스 디스펜서
KR101120742B1 (ko) 2011-11-30 2012-03-09 임정문 히팅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223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268B2 (en) Wax dispenser for dental technology and wax dispenser system using the same
US11529220B2 (en) Portable teeth cleaning apparatus
CN103068356B (zh) 静电喷雾装置
CN104379086B (zh) 用于分配液体的不连续喷发的弹簧驱动泵
JP2011521772A (ja) スプレーデバイス装置
CN101636233A (zh) 具有改进供气的配送器装置
US20100072302A1 (en) Discharge device
DK1233111T3 (da) Skylningsstyreapparat
KR101333223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CN106218225B (zh) 一种恒定液位液压供墨系统
JP2006205045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02628293B (zh) 卫生清洗装置
JP476766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721434B1 (ko) 화장재 충진장치
JP2001031195A (ja) ダイヤフラム式液体充填装置
KR101312930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KR20120007654U (ko) 전자 담배 액상 공급 장치
KR101358887B1 (ko) 공기 주입식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JP5644887B2 (ja) アイロン
JP2021102431A (ja) 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マスタシリンダ
US20110073679A1 (en)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JP2011062540A (ja) アイロン
ITMI20131960A1 (it) Tiralatte manuale
KR101312932B1 (ko) 탄성 튜브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CN213130027U (zh) 台式冲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