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742B1 - 히팅블록 - Google Patents

히팅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742B1
KR101120742B1 KR1020110126699A KR20110126699A KR101120742B1 KR 101120742 B1 KR101120742 B1 KR 101120742B1 KR 1020110126699 A KR1020110126699 A KR 1020110126699A KR 20110126699 A KR20110126699 A KR 20110126699A KR 101120742 B1 KR101120742 B1 KR 10112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rtridge
heater
cap
bod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문
Original Assignee
임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문 filed Critical 임정문
Priority to KR102011012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2Hea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38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H05B3/0047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8Heating hoses; Heating co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블록히터 및 밸브블록히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및 토출구에 열을 가하여 고체 왁스가 용융된 상태에서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온도컨트롤러에 의한 온도조절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왁스의 용융 토출 및 카트리지의 일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내부확인부를 구비하여 카트리지 내부에 남아있는 왁스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핫멜트밸브에 의한 디스펜서방식을 통해 왁스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히팅 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되 전면이 개방된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전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내부확인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블록커버; 상기 본체블록의 후면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블록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본체블록히터삽입홈; 및 상기 본체블록히터삽입홈에 삽입설치되는 직선형의 본체블록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형의 카트리지 히터가 본체블록을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왁스가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의 내부확인부를 통해 내부에 남아있는 용융된 왁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밸브블록의 히터를 통해 왁스가 고체화되어 통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핫멜트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히팅블록 {Heating Block}
본 발명은 히팅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블록히터 및 밸브블록히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및 토출구에 열을 가하여 고체 왁스가 용융된 상태에서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온도컨트롤러에 의한 온도조절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왁스의 용융 토출 및 카트리지의 일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내부확인부를 구비하여 카트리지 내부에 남아있는 왁스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핫멜트밸브에 의한 디스펜서방식을 통해 왁스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히팅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장치에 이용되는 히팅블록은 발열기능을 내부에 구비하여 수용되는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반도체 웨이퍼 또는 LED의 겉면의 연마를 위해서는 상기 웨이퍼 또는 LED의 겉면에 왁스를 도포한 후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액체왁스보다는 접착력이 우수한 고체왁스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체왁스의 경우에는 작업 수행을 위해 왁스를 녹인 후에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일반적으로 히팅블록과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체왁스를 녹인 후 사용하곤 한다.
종래에는 고체왁스 용융을 위해 도1과 같은 실리콘(2) 재질의 러버히터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러버히터를 이용한 히팅블록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온도상승에 따라 히팅블록의 모양이 변화될 우려가 있고, 100℃ 내외의 온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히팅블록의 온도를 100℃로 상승시키는데 보통 30 ~ 4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러버히터를 이용한 히팅블록의 경우 투시창이 없어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카트리지(1)의 내부수용량을 증가시키게 될 경우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의 한계로 인해 일정온도유지를 위한 히팅블록의 가열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러버히터를 채용한 히팅블록의 경우 내부에 설치된 열선(3)의 단선이 빈번하기 때문에, 상기 열선(3)이 단선되는 경우 전체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33546호 (등록일자: 2011.04.29.) 는 본체 및 상부커버에 직선형의 히터를 부가하여 내부 액체의 가열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러버히터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직선형 히터(5,6)를 본체 모서리, 하단 및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버에 각각 설치하여 본체 내에 수용된 물질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단순히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잔량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남아 있으며, 또한 내부에 수용된 액을 필요에 따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KR 10-1033546 B1 2011.04.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형의 카트리지 히터를 본체의 일측에 복수개 구비하여 본체블록을 가열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직접 가열하지 않고도 고체왁스의 용융을 가능하게 하며, 카트리지에 내부확인부를 구비하여 카트리지 내부에 남아있는 용융된 왁스의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히팅블록의 온도상승 및 유지 등의 조절이 가능하며, 밸브블록에 직선형의 카트리지 히터를 더 구비하여 토출되는 왁스가 토출구멍내부에서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히팅블록의 하단에 핫멜트밸브를 구비하여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히팅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되 전면이 개방된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전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내부확인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블록커버; 상기 본체블록의 후면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블록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본체블록히터삽입홈; 및 상기 본체블록히터삽입홈에 삽입설치되는 직선형의 본체블록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본체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하단 일측에 내부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내부확인부가 구비되며, 최하단에 내부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카트리지의 상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밀폐하기 위한 캡블록과 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캡블록과 캡의 상부에는 상기 캡블록과 캡의 회전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핀 및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공기압 전달을 위한 플러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본체블록의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최하단에 위치한 토출구가 관통하기 위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카트리지의 내부확인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본체블록과 접하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하단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하단블록의 하단에는 히터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된 밸브블록 및 상기 밸브블록에 삽입설치되는 직선형의 밸브블록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의 밸브블록의 하단에는 용융된 왁스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핫멜트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형의 카트리지 히터가 본체블록을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종래 러버히터의 직접 가열방식에 의해 고체왁스가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내부확인부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남아있는 용융된 왁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히팅블록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왁스를 용융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용융된 왁스의 액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블록의 하부에 설치된 밸브블록에 카트리지 히터를 더 구비하여 토출되는 왁스가 고체화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왁스의 토출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블록의 하단에 핫멜트밸브를 구비하여 왁스가 적용되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러버히터를 이용한 종래 히팅블록의 평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직선형히터를 채용한 종래 히팅블록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블록의 결합된 형태의 정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블록의 결합된 형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를 히팅블록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3은 조립이 완성된 후 카트리지(40)의 내부확인부(41)가 전면에 나타나는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4는 상기 내부확인부(41)가 좌측에 나타나는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블록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3 ~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은 일측이 개방된 본체블록(10)에 블록커버(20)가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본체블록(10)은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데, 블록커버(20)가 상기 본체블록(10)에 나사결합되기 전에 카트리지(40)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40)에는 하단 일측에 내부확인부(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부확인부(41)가 본체블록(10)의 개방된 면에 위치되도록 삽입설치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4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 밀폐를 위한 캡블록(45)과 캡(46)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캡블록(45)은 상기 카트리지(40)와 회전에 의해 결합되게 되며, 상기 캡(46)은 카트리지(40)의 상부에 위치한 돌출부에 상기 캡(46)의 홈이 일측에서 끼워져 삽입되는 식으로 끼움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40) 상부의 상기 캡블록(45)과 캡(46)을 핀(47)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캡블록(45)이 회전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캡(46)이 카트리지(40) 상부의 돌출부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블록(45)과 캡(46)에는 상기 핀(47)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캡블록(45) 및 캡(46)에는 캡플러그(48)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캡플러그(48)를 통해 카트리지 내에 공기압이 전달되게 되어 카트리지 내의 용융된 왁스가 하부로 안정되게 토출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4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내부확인부(41)에는 내부에 남아 있는 왁스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밀폐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부확인부(41)를 200℃ 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강화유리(42)를 이용하여 밀폐함으로써 왁스의 내부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내부 왁스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함으로 인해 작업도중 내부 왁스가 바닥날 경우 작업을 중단하고 왁스를 다시 카트리지 내부에 채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200℃ 이상의 고온하에서도 카트리지 내부확인부(41)를 통해 카트리지 내부에 남아 있는 왁스의 양을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도중 수시로 카트리지 내부에 고체왁스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40)의 상기 내부확인부(41)에 형성되는 강화유리(42)에는 내부 왁스의 열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42)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내부 왁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파킹(43)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카트리지(40)의 최하단에는 내부의 용융된 왁스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44)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블록(10)의 일측에는 카트리지(40) 내부에 수용되는 왁스가 용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히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블록(10)의 길이에 걸쳐 히터삽입홈(12)이 복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40)의 내부확인부(41)가 삽입되기 위해 개방된 전면의 반대쪽 면의 양측 모서리에 히터가 장착될 수 있는 삽입홈(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본체블록히터(30)는 직선형의 카트리지히터를 이용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카트리지히터는 원형파이프 내에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 열을 절연시키는 절연재 및 열을 전도시키는 시즈(sheath)로 구성되며 절연된 리드인출부가 상기 전열선에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블록(10)은 열전도가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본체블록(10)의 길이에 걸쳐 일측에 형성된 히터삽입홈(12)에 직선형의 본체블록히터(3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블록히터(30)에 의한 열이 본체블록(10)을 통해 카트리지(40) 내부의 고체왁스로 전달되어 상기 고체왁스가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블록히터(30)에 의한 열이 카트리지(40) 내부에 수용된 고체왁스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본체블록(10)을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고체왁스를 안정적으로 녹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종래 러버히터에 의해 카트리지내의 고체왁스가 직접 가열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고체왁스가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블록(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수용되는 카트리지(40)와 본체블록(10)과의 사이에는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밀접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열전도를 위한 열전도 중개물질을 수용공간(11) 내측 또는 카트리지(40) 외부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히팅블록에 의하면, 본체블록히터(30)로 카트리지히터를 채용함으로써 히팅블록의 온도를 최대 200℃ 이상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열전도율의 개선을 통해 온도상승에 필요한 시간을 10분 내외로 단축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블록(10)의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최하단에 위치한 토출구(44)가 관통되기 위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카트리지(40)의 내부확인부(4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51)이 상기 본체블록(10)과 접하는 상부에 형성되는 하단블록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블록의 하단에는 히터삽입홈(61)이 일면에 복수개 형성된 밸브블록(60)이 인접하여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히터삽입홈(61)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면에 홈의 입구가 형성되고 깊이가 전면까지 이르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삽입홈(61)에는 밸브블록히터(70)가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밸브블록히터(70) 또한 직선형의 카트리지히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밸브블록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200℃이상의 고온으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블록(60)의 내부에는 카트리지(40)의 토출구(44)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홈에 카트리지(40)의 토출구(44)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44)가 위치한 밸브블록(6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핫멜트밸브(80)로 용융된 왁스를 흘려보내기 위한 통로가 관통되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40)에 남아있는 왁스는 상기 본체블록히터(30)의 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나, 토출구(44)로 토출되는 왁스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블록히터(30)의 열이 미치지 못해 굳어져 토출구(44)가 막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토출구(44)가 왁스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44)가 위치하는 밸브블록(60)에 밸브블록히터(70)를 삽입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본체블록히터(30)에 의한 열전달의 감소로 인해 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왁스가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블록에 히터삽입홈(61)을 구비한 후 상기 히터삽입홈(61)에 밸브블록히터(70)를 장착하여 가열함으로써 토출되는 왁스가 액체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60)의 하단에는 용융된 왁스가 최종 토출되는 통로인 핫멜트밸브(80)가 결합형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블록(60)에 구비된 밸브블록히터(70)의 열에 의해 상기 핫멜트밸브(80)의 토출구멍이 고온으로 유지됨으로써 토출되는 왁스가 고체화되어 핫멜트밸브(80)의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핫멜트밸브(80)는 고온의 액체가 흐르는 경우에도 기능의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서, 왁스가 도포되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히팅블록이 반도체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반도체 기판의 직경에 따라 토출되는 왁스의 양이 가감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핫멜트밸브(80)를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반도체 생산 공정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센서(미도시)를 본체블록에 부착함으로써 히팅블록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에 따라 히팅블록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체왁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 걸쳐 열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히팅블록의 감지온도에 따라 본체블록히터(30) 또는 밸브블록히터(70)를 구동함으로써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이 필요한 고체왁스의 종류 및/또는 용융된 왁스의 유지에 필요한 온도에 따라 온도콘트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히팅블록에 의하면, 고점도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카트리지 내부에 장착하기 어려운 특성상, 카트리지 하단에 내부확인부(41)를 구비하여 내부에 남아있는 왁스의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블록에 의하면, 종래 러버히터에 의한 직접 가열방식을 탈피하여, 열전도율이 좋은 본체블록 및 밸브블록을 통해 간접가열함으로써 고체왁스가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된 왁스가 토출구 내부에서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팅블록에 의하면, 온도콘트롤러를 통해 히팅블록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고체왁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토출되는 왁스의 양을 핫멜트밸브의 디스펜서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카트리지 2: 실리콘러버
3: 열선 4: 카트리지삽입홈
5,6: 히터 7: 온도센서
8: 손잡이
10: 본체블록 11: 수용공간
12: 본체블록히터삽입홈 20: 블록커버
21: 내부확인부안착홈 30: 본체블록히터
40: 카트리지 41: 내부확인부
42: 강화유리 43: 테프론 파킹
44: 토출구 45: 캡블록
46: 캡 47: 핀
48: 캡플러그 50: 하단블록
51: 내부확인부안착홈 60: 밸브블록
61: 밸브블록히터삽입홈 70: 밸브블록히터
80: 핫맬트밸브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갖되 전면이 개방된 본체블록(10);
    상기 본체블록(10)의 전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내부확인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1)이 구비되는 블록커버(20);
    상기 본체블록의 후면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블록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본체블록히터삽입홈(12); 및
    상기 본체블록히터삽입홈(12)에 삽입설치되는 직선형의 본체블록히터(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블록(10)의 하단에는 카트리지의 최하단에 위치한 토출구(44)가 관통하기 위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강화유리(42)를 이용하여 밀폐되는 카트리지(40)의 내부확인부(4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51)이 본체블록(10)과 접하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하단블록(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록(50)의 하단에는 밸브블록히터삽입홈(61)이 복수개 형성된 밸브블록(60)과 상기 밸브블록(60)에 삽입설치되는 직선형의 밸브블록히터(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밸브블록(60)의 하단에는 용융된 왁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핫멜트밸브(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에는 하단 일측에 내부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내부확인부(41)가 구비되며, 최하단에 내부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4)가 구비된 카트리지(40)가 장착되며,
    상기 카트리지(40)의 상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밀폐하기 위한 캡블록(45)과 캡(4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캡블록(45)과 캡(46)의 상부에는 상기 캡블록(45)과 캡(46)의 회전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핀(47)과 상기 카트리지(40) 내부에 공기압 전달을 위한 플러그(4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블록.
  3. 삭제
  4. 삭제
KR1020110126699A 2011-11-30 2011-11-30 히팅블록 KR10112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99A KR101120742B1 (ko) 2011-11-30 2011-11-30 히팅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99A KR101120742B1 (ko) 2011-11-30 2011-11-30 히팅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742B1 true KR101120742B1 (ko) 2012-03-09

Family

ID=4614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699A KR101120742B1 (ko) 2011-11-30 2011-11-30 히팅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7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3B1 (ko) 2012-04-09 2013-11-26 주식회사 허머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KR101686159B1 (ko) * 2015-07-02 2016-12-13 이삼해 히팅블록
KR20200044202A (ko) * 2018-10-10 2020-04-29 주식회사 클리셀 바이오 삼차원 프린터의 생체물질 항온을 위한 디스펜서부 워터 자켓 장치 및 그 장치의 멀티 온도 제어 방법
KR102109330B1 (ko) * 2018-12-18 2020-05-1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히팅 파이프 모듈
KR102199179B1 (ko) * 2020-06-02 2021-01-06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자동화 박리 장치
KR102535847B1 (ko) * 2022-07-11 2023-05-26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히트파이프 보호 커버 어셈블리
CN116694448A (zh) * 2023-05-09 2023-09-0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农业技术中心 一种多菌种的便捷保存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616A (ko) * 2003-01-24 2005-09-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액 조성물, 기록액, 액체 카트리지, 액체 토출 카트리지,액체 토출장치 및 액체 토출방법
KR101033546B1 (ko) 2008-03-04 2011-05-11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히팅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616A (ko) * 2003-01-24 2005-09-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액 조성물, 기록액, 액체 카트리지, 액체 토출 카트리지,액체 토출장치 및 액체 토출방법
KR101033546B1 (ko) 2008-03-04 2011-05-11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히팅 블럭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3B1 (ko) 2012-04-09 2013-11-26 주식회사 허머 공기압을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KR101686159B1 (ko) * 2015-07-02 2016-12-13 이삼해 히팅블록
KR20200044202A (ko) * 2018-10-10 2020-04-29 주식회사 클리셀 바이오 삼차원 프린터의 생체물질 항온을 위한 디스펜서부 워터 자켓 장치 및 그 장치의 멀티 온도 제어 방법
KR102163075B1 (ko) * 2018-10-10 2020-10-07 주식회사 클리셀 바이오 삼차원 프린터의 생체물질 항온을 위한 디스펜서부 워터 자켓 장치 및 그 장치의 멀티 온도 제어 방법
KR102109330B1 (ko) * 2018-12-18 2020-05-1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히팅 파이프 모듈
KR102199179B1 (ko) * 2020-06-02 2021-01-06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자동화 박리 장치
KR102535847B1 (ko) * 2022-07-11 2023-05-26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히트파이프 보호 커버 어셈블리
CN116694448A (zh) * 2023-05-09 2023-09-0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农业技术中心 一种多菌种的便捷保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742B1 (ko) 히팅블록
JP6014871B2 (ja) オーブン蒸気発生器システム及び方法
US9986867B2 (en) Nasal rinse system
US9494311B2 (en) Flow heaters
AU2012328794B2 (en) Modular heated dispensing device
KR20110124330A (ko) 세척과 제빙을 위한 장치
KR20110122112A (ko) 센서를 유격 없이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
JP3734693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当該装置における液体材料の温度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6052896A (zh) 温度探针
CN103889288A (zh) 流加热器
US2014036100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For Liquid
EP3728962B1 (fr) Dispositif de chauffage électrique avec station d'accueil des électrodes
KR20100027462A (ko) 차량의 워셔액 가열장치
CN107407499B (zh) 用于在液体粘合剂系统中使用的具有环形细缝区段的热交换装置及相关方法
KR101601529B1 (ko) 워셔액 가열장치
CN207314735U (zh) 一种石墨烯免布线自热地板
KR101499753B1 (ko) 용탕 정량 공급시스템
CN107042813A (zh) 机动车辆的冲洗流体分配装置和擦拭系统
CN208263291U (zh) 一种五金件的预热装置
KR101875104B1 (ko) 사출 성형용 히트 파이프 노즐장치
CN105299879B (zh) 一种防溢型加热器
CN2925346Y (zh) 快速加热的咖啡壶
JP2016008454A (ja) アスファルト溶融装置
PL1994818T3 (pl) Urządzenie do czyszczenia kubków udojowych i skojarzony z nim sposób
CN219166858U (zh) 一种用于热水袋的发热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