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099A -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099A
KR20130114099A KR1020137007170A KR20137007170A KR20130114099A KR 20130114099 A KR20130114099 A KR 20130114099A KR 1020137007170 A KR1020137007170 A KR 1020137007170A KR 20137007170 A KR20137007170 A KR 20137007170A KR 20130114099 A KR20130114099 A KR 2013011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xis
axis direction
termina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068B1 (ko
Inventor
히데토시 고다마
이즈미 노자와
다다히로 미즈타니
가즈토시 마츠자키
가즈마사 하라다
사토시 나카타
히데타카 가와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2/00139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105142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3/410,478 external-priority patent/US8297739B1/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898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63364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잉크 공급 구조물, 단자 지지 구조물, 및 제 1 규제부를 포함한다. 단자 지지 구조물은 잉크 공급 구조물의 장착 방향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 내에 배열되는 단자를 가지며, 따라서 단자의 접촉부는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 힘을 받는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본 출원은, 그 각각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2012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3694호, 2012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3698호, 2012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3653호, 2012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3652호, 2012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189836호, 2012년 3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410461호, 2012년 3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410478호, 2012년 3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410528호, 및 2012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PCT 특허 출원 제PCT/JP2012/001395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또는 그 부분)의 조합체, 및/또는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에 카트리지를 착탈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의 예가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JP-A-2007-230249에 대응), 미국 특허 제7,008,053호(JP-A-2005-022345에 대응), 미국 특허 제6,276,780호(JP-A-2002-019142에 대응), 미국 특허 제6,955,422호, 미국 특허 제6,074,042호 및 미국 특허 제7,018,0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공보 제2005/0151811호는 래칭 레버(3)와 전기 접점 단자 패드(102)를 갖는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레버(3)는 프린터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6)를 구비한다. 고정부(6)는 접점 패드(102)로부터 멀리에 배치된다. 고정부(6)가 카트리지 단자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프린터와의 결합은 각각의 프린터 단자에 대한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설정의 정확성 및 안정성에 대해 단지 제한적인 기여만 할 수 있다.
또한, 미국 공보 제2005/0151811호에서의 레버(3)는 사용자가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길어야 한다. 이는 또한 카트리지의 측벽으로부터 멀리 돌출한다. 이렇게 레버가 커지면 카트리지가 커지며, 이는 또한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재도 대형화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카트리지측 단자에 고정부(6)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구조물은 레버(3)의 가요성 섹션을 구비한다. 고정부(6)가 프린터와 확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인쇄 작업 중에 발생하는 진동은 레버(3)의 가요성 섹션을 통해서 카트리지 단자에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린터 단자에 대한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설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온캐리지(on-carriage) 타입의 잉크 카트리지에서 문제가 되는데, 왜냐면 이들 잉크 카트리지는 프린트 헤드가 부착되는 프린터 캐리지 상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온캐리지 프린터에서, 캐리지는 인쇄 작업 중에 인쇄 매체 위에서 전후로 스캐닝된다. 캐리지 내의 잉크 카트리지는 인쇄 작업 중에 발생하는 다른 진동뿐 아니라, 스캔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큰 가속력을 받는다.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서의 레버는 카트리지와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카트리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이 구성을 이루기 위한 충분한 성형성을 갖고 또한 레버가 프린터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 중에 탄성 변형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가요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료에 한정된다.
레버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하에 소성 변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버의 변형은 카트리지측 단자와 프린터 단자 사이의 위치상 오정렬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도통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은 또한 레버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미국 특허 제7,018,03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특별한 조치는 카트리지가 포장되는 동안, 특히 카트리지가 진공 패키지로 포장될 때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포장 중에 취해져야 한다.
미국 특허 제6,276,780호는 메모리 또는 전기 단자를 전혀 구비하지 않는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는 프린터와의 전기 접속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 단자에 대한 카트리지 단자의 안정적인 위치설정 및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 또는 구성을 가질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카트리지는 프린터 상에 배치되는 래치 기구(132)(미국 특허 제6,276,780호의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됨)에 의해 프린터에 부착된다. 래치 기구(132)와 결합하는 카트리지측 래치 경사면(220)은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래치 기구(132)의 피봇축으로부터 멀리 위치한다. 그 결과, 탄성 부재(156) 또는 압축력 시일(152)이 카트리지에 대해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힘(미국 특허 제6,276,780호의 도 12에서 화살표 X로 도시됨)을 인가할 때, 이 힘은 카트리지 래치 경사면(220)으로부터 리테이너 부분(134)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힘으로 쉽게 변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는 프린터의 사용 중에 프린터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6,276,780호에 개시된 결합은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이러한 내재적 위험을 갖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와 프린터 단자 사이에 적절한 접촉을 요하는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개시된 구성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구성에 있어서 카트리지 단자와 프린터 단자 사이의 접촉은 프린터의 단자로부터 카트리지에 대해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따라서 카트리지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6,276,780호의 래치 기구(132)는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에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적어도, 이 래치 기구가 카트리지의 횡방향 이동과 매치될 수 없고 그로 인해 래치 기구(132)가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6,074,042호는 전기 접점(54)을 갖는 잉크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그 도 12a 내지 도 13b에 도시하듯이, 전기 접점(54)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방향의 선단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54)은 프린터의 스프링 바이어스된 전기 접점(104)에 대해 편평하게 가압한다. 금속 전기 접점(54)의 외표면에서의 금속 산화, 오일 또는 기타 비전도성 물질은 카트리지의 전도성 금속과 프린터 전기 접점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으며, 어쩌면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의 전기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955,422호는 예를 들어 그 도 2a 내지 도 2d에서, 전극(7a)을 구비한 메모리 소자(7)를 갖는 카트리지(1)를 개시하고 있다. 전극(7a)은 프린터 내로의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 구성에서, 프린터 전극(106)은 회로 기판[이 기판 상에 전극(7a)이 형성됨]의 표면을 가로질러 긴 거리를 슬라이딩한다. 회로 기판의 표면은 통상 전기 절연성 수지 재료로 커버된다. 프린터 전극(106)이 회로 기판에 대해 스크레이핑될 때, 이들 프린터 전극은 이 절연을 손상시켜 회로 기판으로부터 절연 파편이 떨어져나오게 할 수 있다. 절연 파편은 프린터 전극(106)과 카트리지 전극(7a) 사이에 캐치될 수 있으며, 프린터와 카트리지 사이의 불량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전기 통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하듯이, 프린터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메모리 소자(7)의 표면을 프린터 전극(106)에 대해 가압하고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인출될 때 카트리지(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103)을 구비한다.
미국 특허 제7,008,053호는 도 5에서 프린터 상에 제공되는 탄성 피스(40)를 개시하고 있다.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완전히 장착될 때, 탄성 피스(40)의 하단부(40a)는 전극(14)이 설치되는 돌출부(12)의 상부에서 편평면(12a)에 대해 당접(abut)된다. 하단부(40b)와 편평면(12a) 사이의 당접은 돌출부(12)의 상방 이동을 규제한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구성은 돌출부(12)의 하방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돌출부(12) 근처에 배치되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 결과, 돌출부(12)가 프린터의 작동 중에 수직으로 상당히 진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극이 오정렬되거나 프린터 단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착탈 기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다 양호한 유용성 및 설치 용이성을 위해서 프린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프린터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통상 프린터를 구성하는 수많은 구성요소 및 관련 요소의 크기를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이들 구성요소 및 관련 요소는 프린터에 부착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부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을 구비한다.
프린터의 사용 개선을 위해서, 프린터의 모니터에는 보통 카트리지에 수용된 인쇄재에 관한 정보(에를 들면, 인쇄재의 잔량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 프린터에 부착되는 카트리지는 인쇄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구비할 것이다. 회로 기판은 프린터에 대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자(카트리지측 단자)를 갖는다. 인쇄재에 관한 정보는 이들 카트리지측 단자와 프린터 상의 단자(장치측 단자)의 접촉을 통해서 메모리와 프린터의 컨트롤러 사이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후술하듯이, 이들 요건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기구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 문제는 인쇄용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뿐 아니라 각종 다른 인쇄재(예를 들면, 토너)를 공급 또는 분사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인쇄 장치 및/또는 카트리지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 프린터, 및 프린터에 부착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소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적어도 일부를 보다 적절하게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술되는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를 제공한다.
[제 1 양태]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그 앞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그 후방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튜브 형태일 수 있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전방)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될 수 있는 다수의 장치측 전기 접촉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제 1(전방)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낸다.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상방 방향일 수 있다.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낸다.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전방 방향일 수 있다.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낸다.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측방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단자가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탄성력일 수 있는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한다.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상단부일 수 있음)에 조작 부재를 가질 수 있고 -Z축 방향 단부(하단부일 수 있음)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면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면;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과 교차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면과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면; 상기 제 1 면을 상기 제 3 면과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코너 섹션; 상기 코너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재 공급 구조물은 상기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제 1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는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경사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영역에서의 경사로 인해, 상기 힘은 -X축 방향 성분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는 또한,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이하의 두 실시예에서 두 개의 특징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특징은, 제 3 면이 경사면과 교차하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상기 제 3 면 상의 특정 위치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공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인쇄 장치의 레버와 결합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갖는다.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로 제작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레버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플라스틱, 열가소성 물질 및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는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양태의 카트리지에서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제 1 양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때에도, 레버는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장착된 상태의 카트리지에 대해 장치측 단자로부터 -X축 방향으로의 힘이 인가될 때,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제 3 면 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접점 근처의 위치에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장치측 단자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카트리지가 낙하하는 경우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측 단자가 예를 들어 플로어 표면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카트리지측 단자가 메모리 유닛이 탑재된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이는 충격에 약한 메모리 유닛의 손상을 방지하며 충격 내성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교차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의 레버는 제 1 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의 Z축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양태]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3 면이 경사면과 교차하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된다.
제 2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접점 근처의 위치에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장치측 단자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카트리지가 낙하하는 경우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측 단자가 예를 들어 플로어 표면에 직접 부딪힐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카트리지측 단자가 메모리 유닛이 탑재된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이는 충격에 약한 메모리 유닛의 손상을 방지하며 충격 내성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돌출부로서 형성될 때, 충격 내성의 효과는 더 증대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교차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의 레버는 제 1 면에 대해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의 Z축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양태]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평면 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부착된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는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의 힘을 받으며, 이 힘에 의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제 1 장치측 규제부에 대해 가압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평면 Yc와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 중 평면 Yc와 교차하는 위치 부근에 있는 부분은 카트리지가 외력의 인가에 의해 X축 또는 Z축 주위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거의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교차부 근처, 회로 기판의 에지 근처 또는 양자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카트리지측 단자에 대해 가장 근처인 위치에 움직임이 거의 없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다.
[제 4 양태]
제 4 양태는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가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전술한 실시예이며, 전술했듯이 상기 제 1 양태의 상기 실시예들과 별개로 또는 이들 실시예와 함께 실시될 수 있다.
제 4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움직임이 거의 없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카트리지측 단자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위치시키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접촉 기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제 5 양태]
제 4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단자들 중 일부는 다른 것들보다 멀리 돌출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 단자(731)는 더 멀리 돌출한다. 카트리지가 프린터 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측 단자는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힘을 받을 것이다. 카트리지가 너무 단단히 유지되면, 장치측 단자들 중 일부 단자[도 31의 예에서 단자(734)]와의 접촉이 적절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폭방향으로 단자의 내측에 완전히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는 경사면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충분히 경사질 수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화될 수 있다. 이들 이점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구성에 관련된다.
[제 6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는, 상기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4 면 상에 제공된다.
제 6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X축 방향 단부와 -X축 방향 단부 양자로부터 규제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 4 면 상의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갖는다. 이는 추가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대한 각각의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을 방지하고,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더 보장한다.
[제 7 양태]
제 6 양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리세스 또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삽입될 돌출부이다.
제 7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삽입함으로써,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부근의 주위로 카트리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의 피봇 지점이 제공된다. 이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제 8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의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8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레버에 대해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더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장치측 단자로부터 -X축 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9 양태]
제 8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1 부분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 및 카트리지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2 부분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갖는다.
제 9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1 당접부와 제 2 당접부를 가지며, 따라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에 대한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보장한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더 감소시키며,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도통 불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 10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레버의 조작 부재와 당접하고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 3 면 상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된다.
제 10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추가로 돌출부를 갖는다. 레버의 조작 부재와 돌출부를 사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로부터 카트리지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제 11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코너 섹션은 제 1 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단차면은 경사면의 -X축 방향측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단차면은 카트리지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에 제공된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와 접촉하는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를 갖는다.
제 1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측 단자가 구비된 코너 섹션에, 카트리지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가 제공된다. 이는 카트리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제 3 면측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제 12 양태]
제 1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는 장치측 바닥벽 부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부재는 단차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12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는, 단차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를 제공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카트리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제 3 면측의 Y축 방향 이동이 효과적으로 규제된다.
[제 13 양태]
제 11 양태 또는 제 12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면 측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의 일부가 경사면과 중첩된다.
제 13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는,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와 경사면이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이는 인쇄재 공급 튜브 주위로의 카트리지의 제 3 면측의 Y축 방향 이동을 더 규제한다.
[제 14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1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 구조물은 제 3 면보다 제 4 면에 가까운 상기 제 1 면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된다.
제 14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제 3 면보다 제 4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잉크 공급 구조물을 갖는다. 이 구조는 잉크 공급 구조물이 제 4 면보다 제 3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구조에 비해서 카트리지측 단자에 인쇄재가 부착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제 15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1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돌출부이다.
제 15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소형화될 수 있고 단순한 구조일 수 있는 돌출부로서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제공한다.
[제 16 양태]
제 1 양태 내지 제 1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장치측 단자들 중 접지 라인과 연결되는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에 제공되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되는 동안 임의의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가 대응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기 전에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 16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로부터 카트리지측 단자에 최초로 인가되는 힘이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거의 중앙에 발생된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에 인가되는 힘이 카트리지를 Y축 방향으로 경사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가 대응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기 전에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가 대응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한다.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의 접지 기능은 카트리지에 예기치않은 고전압이 가해질 때에도 고전압에 의한 트러블 및 고장을 유리하게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제 17 양태]
제 16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는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 17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와 장치측 접지 단자 사이의 접촉을 보장한다.
[제 18 양태]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의 저부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상기 카트리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고,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카트리지의 -Z축 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잉크 공급 구조물; 상기 잉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에 설치되고,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회로 기판;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 및 상기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인쇄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에 설치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는 이하의 두 실시예에서 특징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특징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기판 단부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기판 단부는 회로 기판의 표면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제 18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인쇄 장치의 레버에 의해 로크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갖는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이 구조는 상기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와 같이 레버의 회전축과 조작 부재 사이에 어떠한 결합 부재도 요구하지 않으며,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8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레버와 카트리지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며, 따라서 인쇄 장치, 및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전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X축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8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된다. 이는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와 같이 레버에 의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며, 제 1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보다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하며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카트리지측 단자가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같이, 카트리지측 단자가 제공된 경사면의 방향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측 단자 각각의 위치 또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기울기가 제조 오차로 인해 변경될 때에도, 경사면 방향의 이러한 미세 조정은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기판 단부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되고 기판 단부가 회로 기판의 표면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기판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측 단자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레버에 의해 로크되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주위는 카트리지에 외력이 인가되어도 위치 변동이 거의 없다. 위치 변동이 매우 작은 위치에 카트리지측 단자를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대한 각각의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제 19 양태]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 및 제 17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한다.
제 19 양태에 따른 인쇄재 공급 시스템은 제 1 양태 내지 제 1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따라서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X축 방향 및 Z축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하고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잉크 카트리지,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또는 잉크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인쇄 장치 부분의 조합체, 및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인쇄 장치(또는 그 부분)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구비하지 않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가 개시되며,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잉크젯 인쇄 장치는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구비한다. 인쇄 장치는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된 후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카트리지는 앞면 또는 제 1 표면, 뒷면 또는 제 2 표면, 상면 또는 제 3 표면, 및 하면 또는 제 4 표면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보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앞면 또는 제 1 표면과 뒷면 또는 제 2 표면은 상호 대향하고 상기 상면 또는 제 3 표면과 하면 또는 제 4 표면은 상호 대향한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를 구비한다. 잉크 카트리지는 또한,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하면 또는 제 4 표면에 배치되고, 잉크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 공급 구조물은 잉크 챔버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또한,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앞면 또는 제 1 표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은 그 안의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갖는다. 상기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 상에 구성 및 배열된다. 상기 단자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0도 내지 50도, 바람직하게는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인쇄 장치에 대한 단자 지지 구조물에서의 상호작용은 카트리지의 적절한 장착을 위해서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듯이, 비스듬히 교합함으로써, 카트리지는 상방 힘과 하방 힘을 모두 받을 수 있다. 이들 힘은 카트리지를 적소에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보디의 앞면 또는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는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 상에 구성 및 배열된다. 접촉부는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보디의 앞면 또는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의 뒷면 또는 제 2 표면 상의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2 규제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상기 레버는 또한 두 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보디의 앞면 또는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하면 또는 제 4 표면의 아래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하면 또는 제 4 표면 위에서 오목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 및 잉크 챔버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공급 구조물은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다. 잉크 공급 시스템은 전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공급 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갖는 단자 지지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 상에 구성 및 배열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은 또한, 인쇄 장치 상의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단자 지지 구조물 및 그 단자의 상기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자 지지 구조물은 평면을 결정하며 및/또는 상기 평면은 인쇄 장치 상의 각각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단자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평면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0도 내지 50도, 바람직하게는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상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적소에 있을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상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단자는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 상에 구성 및 배열된다. 상기 접촉부는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적소에 있을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들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에 평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접촉부에 의해 규정되는 이 평면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0도 초과 50도 미만의 각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은 또한, 앞면 또는 제 1 표면과 뒷면 또는 제 2 표면을 구비하는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앞면 또는 제 1 표면과 뒷면 또는 제 2 표면은 상호 대향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은 또한, 상기 보디의 뒷면 또는 제 2 표면에 근접하고 제 2 규제부로 지칭되는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단자 지지 구조물은 상기 보디의 앞면 또는 제 1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 2 규제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규제부는 보디의 뒷면 또는 제 2 표면에 근접할 수 있으며, 단자 지지 구조물은 보디의 제 1 표면 또는 앞면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고 있을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은 단자 지지 구조물에 근접하는 보디를 구비하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디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은 어댑터를 구비할 수 있고, 잉크 공급 구조물, 단자 지지 구조물 및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잉크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어댑터를 구비할 수 있고, 단자 지지 구조물 및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구조물은 상기 잉크 챔버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어댑터, 잉크젯 인쇄 장치 외부의 잉크 탱크, 튜브 및 보조 어댑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은 상기 보조 어댑터 상에 배치되고, 단자 지지 구조물과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외부 탱크로부터 보조 어댑터로 잉크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 시스템은 상부와 하부를 갖는 보디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향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본 발명은 전술한 카트리지,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조합체 또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체 카트리지, 액체 컨테이너, 인쇄재 컨테이너, 카트리지 어댑터, 회로 기판, 인쇄 장치,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다른 양태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이들 양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및/또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조합체를 검토할 때, 잉크 카트리지는 인쇄 장치에 부착 또는 장착 설치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개요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검토될 때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며, 이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기 위해, 도면에는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열, 구조,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도시된 배열, 구조,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배열, 구조,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은 반드시 실척으로 도시되지는 않고,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단일의 예시된 실시예를 명시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가 부착된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가 부착된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가 부착된 홀더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F4-F4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카트리지가 부착된 홀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카트리지로부터 레버에 어떻게 힘이 인가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카트리지로부터 레버에 어떻게 힘이 인가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F8-F8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카트리지가 그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카트리지 및 레버의 도시도이다.
도 10a는 회로 기판의 상세 구조의 도시도이다.
도 10b는 회로 기판의 상세 구조의 도시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F16-F16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접촉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레버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X축과 Z축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취한 레버의 샤프트 보디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며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카트리지가 홀더에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의 주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카트리지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동작의 도시도이다.
도 25는 카트리지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동작의 도시도이다.
도 26은 카트리지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동작의 도시도이다.
도 27은 카트리지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동작의 도시도이다.
도 27a는 홀더에 부착된 카트리지의 확대도이다.
도 27b는 홀더에 부착된 카트리지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전기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회로 기판과 부착 검출 회로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에 인가되는 외력의 도시도이다.
도 31은 경사면 방향으로의 미세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a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2b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2c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2d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2e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2f는 유리한 효과의 일 예의 도시도이다.
도 3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도시도이다.
도 3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e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f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g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h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i는 세장형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j는 회로 기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접촉 기구를 갖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갖는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갖는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b는 어댑터와 컨테이너 조립체로 구성된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갖는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9a는 일 수정예에 따른 레버의 구조의 도시도이다.
도 39b는 일 수정예에 따른 레버의 구조의 도시도이다.
도 40은 일 수정예에 따른 홀더에 대한 카트리지 부착의 도시도이다.
도 41a는 단자 형상의 수정예의 도시도이다.
도 41b는 단자 형상의 수정예의 도시도이다.
도 41c는 단자 형상의 수정예의 도시도이다.
도 42a는 기판 단자의 와이핑(wiping) 양과 기판 경사 각도(φ)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2b는 기판 단자의 와이핑 양의 도시도이다.
도 43a는 장치측 접지 단자에 의한 압상력(upward force)과 기판 경사 각도(φ)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3b는 장치측 접지 단자에 의한 압상력의 도시도이다.
도 44는 기판 단자의 와이핑 양과 기판 경사 각도(φ)의 다른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5는 장치측 접지 단자에 의한 압상력과 기판 경사 각도(φ)의 다른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A. 제 1 실시예
A-1.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상호 직교하는 XYZ 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의 XYZ 축은 다른 도면에서의 XYZ 축에 대응하고 있다. 이후의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 XYZ 축이 도시된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은 카트리지(20), 및 인쇄 장치로서 작용하는 프린터(50)를 구비한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에서, 카트리지(20)는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50)의 홀더(6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에서의 카트리지(20) 각각은 내부에 인쇄재로서 잉크를 수용한다. 카트리지(20)에 수용된 인쇄재로서의 잉크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 및 인쇄재 공급 튜브(후술됨)를 통해서 헤드(54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50)의 홀더(60)에 다수의 카트리지(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섯 가지 다른 색상[즉, 검정색, 노랑색, 자홍색(magenta), 밝은 자홍색, 청록색(cyan), 밝은 청록색]의 잉크를 각각 수용하는 여섯 개의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잉크를 언급하고 있지만 인쇄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재료도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듯이 개시된 카트리지, 조합체 및/또는 공급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발명은 그로 인해 한정되지 않아야 함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60)에 부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여섯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섯 개보다 많을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이 다른 잉크의 개수는 여섯 가지 색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섯 가지 색상보다 많을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60)에 부착된 두 개 이상의 카트리지(20)가 하나의 동일한 색상 잉크를 수용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20) 및 홀더(6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프린터(50)는 개인용 소형 잉크젯 프린터이다. 프린터(50)는 홀더(60)에 추가적으로, 컨트롤러(510), 및 홀더(60)를 구비하는 캐리지(520)를 갖는다. 캐리지(520)는 또한 헤드(540)를 구비한다. 프린터(50)는 홀더(60)에 부착된 카트리지(20)로부터 인쇄재 공급 튜브(후술됨)를 통해서 헤드(540)에 잉크를 공급하고 인쇄지 및 라벨과 같은 인쇄 매체(90)에 헤드(540)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문자, 도형 및 이미지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인쇄 매체(90)에 인쇄한다. 잉크젯 프린터에 관하여 기술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듯이 다른 프린터 형태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그로 인해 한정되지 않아야 함을 알 것이다.
프린터(50)의 컨트롤러(510)는 프린터(50)의 각 부분을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프린터(50)의 캐리지(520)는 헤드(540)가 인쇄 매체(90)를 가로질러 왕복으로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터(50)의 헤드(540)는 홀더(60)에 부착된 카트리지(20)로부터 잉크를 인쇄 매체(90)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잉크 분사 기구를 구비한다. 컨트롤러(510)와 캐리지(520)는 가요성 케이블(517)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헤드(540)의 잉크 분사 기구는 컨트롤러(5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520)는 헤드(540)와 홀더(60)를 갖는다. 헤드(540)를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캐리지(520) 상의 홀더(60)에 카트리지(20)가 부착된 이 형태의 프린터(50)를 "온-캐리지(on-carriage) 타입" 프린터로 지칭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520)와 다른 위치에 정지 홀더(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 홀더(60)에 부착된 카트리지(20)의 각각으로부터 잉크가 가요성 튜브를 통해서 캐리지(520)의 헤드(540)에 공급될 수 있다. 이 형태의 프린터를 "오프-캐리지 타입" 프린터로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50)는 캐리지(520) 및 인쇄 매체(9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인쇄 매체(90)에 대한 인쇄를 실현하기 위한 메인 스캔 피드(scan feed) 기구 및 서브 스캔 피드 기구를 구비한다. 프린터(50)의 메인 스캔 피드 기구는 캐리지 모터(522) 및 구동 벨트(524)를 구비하며, 구동 벨트(524)에 의해 캐리지 모터(522)의 파워를 캐리지(520)에 전달하여 캐리지(520)를 메인 스캐닝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시킨다. 프린터(50)의 서브 스캔 피드 기구는 피드 모터(532) 및 압반(platen)(534)을 구비하며, 피드 모터(532)의 파워를 압반(534)에 전달하여 인쇄 매체(90)를 메인 스캐닝 방향에 직교하는 서브-스캐닝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메인 스캔 피드 기구의 캐리지 모터(522) 및 서브 스캔 피드 기구의 피드 모터(532)는 컨트롤러(5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이 사용을 위한 통상적인 배향에 있을 때, X축은 인쇄 매체(90)가 이송되는 서브-스캐닝 방향(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을 나타낸다. Y축은 캐리지(520)가 전후로 이동하는 메인 스캐닝 방향[시스템(10)을 앞에서 바라볼 때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을 나타낸다. Z축은 중력 방향(수직 방향)으로의 축을 나타낸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사용 상태는 수평 평면에 설치된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평면은 X축 및 Y축에 평행한 평면, 즉 XY 평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X축 방향은 서브-스캐닝 방향(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그 역방향(후방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중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상방 방향)으로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Z축 방향의 역방향, 즉 중력 방향(하방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X축 방향측(앞쪽)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앞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Y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우측면에서 좌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좌방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그 역방향(우방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60)에 부착된 다수의 카트리지(20)는 "Y축 방향"으로 지칭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X축을 따르는 방향(전후 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방향(수직 방향)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지칭된다.
A-2.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
도 2 및 도 3은 카트리지(20)가 부착된 홀더(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20)가 부착된 홀더(6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카트리지(20)가 홀더(60)의 설계된 부착 위치에 적절히 장착된다. "설계된 부착 위치 및 장착 위치에 적절히 부착된" 상태는, 카트리지측 단자가 프린터(50)의 접점 기구(후술됨)에 구비되는 대응 장치측 단자와 각각 접촉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20)가 부착되거나 달리 말해서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듯이, 프린터(50)의 홀더(60)는 다섯 개의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를 갖는다. 이들 다섯 개의 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가 카트리지 챔버 또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602)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 챔버(602)는 각각의 카트리지(20)를 수용하기 위해 격벽(607)에 의해 다수의 슬롯(장착 공간)으로 분할된다. 격벽(607)은 카트리지(20)를 각각의 슬롯에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슬롯은 인쇄재 공급 튜브(640), 접점 기구(70), 레버(80),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 및 제 3 장치측 규제부로서 작용하는 돌출부(636)를 갖는다. 각 슬롯의 일측 면(+Z축 방향측 면, 상면)은 개방되고, 카트리지(20)는 이 개방측 면(개방 상면)을 통해서 홀더(60)에 착탈된다.
카트리지(20)는, 카트리지(20)가 레버(80)와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의해 로크되고 인쇄재 공급 구조물(후술됨)이 인쇄재 공급 튜브(640)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홀더(60)에 부착된다. 이 상태를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 간단히 "부착" 상태 또는 대안적으로 "장착" 상태로 지칭한다. 인쇄재 공급 튜브(640)가 카트리지(20)의 인쇄재 공급 구조물에 연결됨으로써, 카트리지(20)에 수용된 인쇄재로서의 잉크가 헤드(540)에 공급될 수 있다(도 1).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선단부(642)("연결 단부"로도 지칭됨) 및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기단부(645)를 갖는다. 기단부(645)는 바닥벽 부재(601)에 제공되고, 선단부(642)는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과 연결된다.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Z축에 평행한 중심축(C)을 갖는다. 중심축(C)을 따라서 기단부(645)로부터 선단부(642)로 향하는 방향이 +Z축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인쇄재 공급 튜브(640) 주위에는 탄성 부재(648)가 제공되어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 주위를 밀폐하며, 따라서 인쇄재 공급 구조물로부터 주위로의 잉크 누출이 방지된다. 부착 상태에서, 탄성 부재(648)는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가압력을 카트리지(20)에 인가한다.
부착(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후술됨)에 제공된 단자들과 홀더(60)의 각 슬롯 내의 접점 기구(70)의 단자들 사이의 전기 접속은 카트리지(20)와 프린터(50) 사이에서의 다양한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도 4의 F4-F4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돌출부(636)는 도시에서 생략되어 있다. 프린터(50)의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280)과 연결되며, 따라서 잉크는 인쇄재 유로(282)를 통해서 카트리지(20)로부터 헤드(540)(도 1)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선단부(642)에는 카트리지(20)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공체 필터(644)가 제공된다. 다공체 필터(644)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메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선단부(642)에 다공체 필터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린터(50)의 접점 기구(70)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X축 방향측에 설치되며,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에 제공된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20)가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가압력(Pt)이 접점 기구(70)의 단자로부터 회로 기판(40)에 인가된다. 카트리지(20)가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가압력(Ps)이 탄성 부재(648)로부터 잉크 공급 구조물(280)에 인가된다.
카트리지(20)의 착탈에 사용되는 레버(80)는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830)를 가지며 -Z축 방향 단부에 결합부(810)를 갖는다. 부착 상태에서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또는 결합부(810)(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되는 그 제 1 장치측 로크면)는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로크 위치(810L)는 회로 기판(40)에 제공된 단자와 접점 기구(70) 사이 접촉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결합부(810)는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와 결합한다.
레버(80)는 조작 부재(830)와 결합부(810) 사이의 위치에서 축(800c) 주위로 피봇된다. 레버(80)의 회전축(800c)은 제 1 로크 위치(810)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레버(80)의 조작 부재(830)를 사용한다. 카트리지(20)의 제거를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830)를 -X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가압은 +X축 방향측에서 -X축 방향측으로 향하는 힘 Pr("조작력 Pr"로 지칭됨)을 조작 부재(830)에 인가한다. 이 조작력(Pr)은 레버(80)를 축(800c) 주위로 회전시키고 결합부(810)를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결합부(810)에 대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결합이 해제되고 카트리지(20)가 홀더(6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측벽 부재(604) 상에 제공되며, 제 2 로크 위치(620L)에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홀더(60)의 측벽 부재(604)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제 2 로크 위치(620L)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제 2 규제 요소(220)로 지칭될 수도 있음]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은 부착 상태에서 그 +X축 방향 단부와 그 -X축 방향 단부 양자에 의해 규제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가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와 접촉하는 제 2 로크 위치(620L)는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하며, 카트리지(20)는 홀더(60)에 착탈되기 위해 상기 피봇 지점 주위로 회전한다. 즉, 카트리지(20)는 착탈을 위해서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제 2 로크 위치(620L) 주위로 회전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20) 및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따라서 카트리지(20)의 착탈을 위한 카트리지(20)의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장착 상태에서, 제 1 로크 위치(810L)는 제 2 로크 위치(620L)로부터 거리 Dz만큼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이는 홀더(60)로부터 카트리지(20)에 인가되는 가압력(Ps, Pt)에 의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20)는 설계된 부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카트리지(20)로부터 레버(80)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한다. 제 1 로크 위치(810L)가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도 6a의 상태에서는,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카트리지(20)로부터 레버(80)에 힘(F1)이 인가된다. 제 1 로크 위치(810L)가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도 6b의 상태에서는,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카트리지(20)로부터 레버(80)에 힘(F2)이 인가된다. 도 6a에 도시된 힘(F1)은 도 6b에 도시된 힘(F2)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는 X축 및 Z축 상에서의 제 1 로크 위치(810L), 제 2 로크 위치(620L) 및 회전축(800c)["피봇 중심(800c)"으로도 지칭됨]의 상호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두 위치 관계 사이의 차이는 Z축 상에서의 제 2 로크 위치(620L)의 차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원호(RT1)는 회전축(800c) 주위로의 제 1 로크 위치(810L)의 회전 궤적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원호(RT2)는 제 2 로크 위치(620L) 주위로의 제 1 로크 위치(810L)의 회전 궤적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로크 위치(810L)는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방향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원호(RT2)의 접선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F1)은 +X축 방향 벡터 성분과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힘(F1)은 원호(RT1)의 접선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F1t)과 원호(RT1)의 반경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F1r)으로 분해된다.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로크 위치(810L)는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방향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원호(RT2)의 접선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F2)은 -X축 방향 벡터 성분과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힘(F2)은 원호(RT1)의 접선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F2t)과 원호(RT1)의 반경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F2r)으로 분해된다.
도 6a와 도 6b의 비교로부터 명확하듯이, 힘(F1)의 크기가 힘(F2)의 크기와 동일할 때(F1=F2), 제 1 로크 위치(810L), 제 2 로크 위치(620L) 및 회전축(800c)의 상호 위치 관계는 원호(RT1)의 접선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에 있어서 "F1t<F2t"가 되며 원호(RT1)의 반경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에 있어서 "F1r>F2r"가 된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도 6a에서의 상태는 카트리지(20)로부터 레버(80)의 회전축(800c)을 향하여 커지는 힘 벡터 성분과, 레버(80)를 회전축(800c) 주위로 +Y축 방향으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방향으로 작아지는 힘 벡터 성분을 갖는다. 즉, 제 1 로크 위치(810L)가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제 1 로크 위치(810L)가 제 2 로크 위치(620L)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어느 경우에도,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X축 방향으로 어떤 힘도 작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양 경우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의 감소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A-3. 카트리지(20)의 세부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일 예로서 카트리지(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20)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F8-F8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회로 기판(40)의 상세 구조의 도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서의 화살표 F9로 도시된 방향으로 바라본 회로 기판(40)의 도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의 화살표 F10 방향으로 바라본 회로 기판(40)의 도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X축, Y축 및 Z축은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 상의 축을 나타낸다. 부착 상태에서의 +X축 방향측은 카트리지(20)의 앞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평면 Yc는, 카트리지(20)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즉, ZX 평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평면 CX는, 중심축(C)을 통과하고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즉, ZX 평면)이다.
도 7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20)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챔버(200), 하우징(22), 잉크 공급 구조물(280), 회로 기판(40) 및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구비한다. 카트리지(20)는 -Z축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하향 방향)인 장착 방향(SD)으로 홀더(60)에 부착된다. 실제로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삽입되는 동안 카트리지(20)의 특수 배향 또는 자세는 대체로 일정하지 않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장착되는 도중에, 카트리지(20)는 Z축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부착 직전의 상태 및 부착된 상태에서,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Z축에 평행한 중심축(C)을 갖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를 수용하며, 따라서 카트리지(20)의 특수 배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640)에 의해 규제되고,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이유로, 홀더(60)에 장착되는 동안 카트리지(20)의 전반적인 이동 방향이 -Z축 방향이기 때문에, -Z축 방향은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Z축 방향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로부터 제거되는 제거 방향(RD)(도 9)으로 간주될 수 있다. -Z축 방향과 +Z축 방향이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장착 방향(SD)과 제거 방향(RD)은 반대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우징(22)["카트리지 본체(22)"로도 지칭됨]은 카트리지(20)의 잉크 챔버(200)를 구비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22)은 또한 카트리지(20)의 외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합동 측면을 갖는 사각 프리즘 형상이거나 또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하우징(22)의 일부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0)는 길이(X축 방향 길이), 폭(Y축 방향 길이) 및 높이(Z축 방향 길이)를 가지며, 길이, 높이 및 폭은 이 순서로 작아진다. 그러나, 카트리지(20)의 길이, 폭 및 높이의 크기 관계는 이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높이, 길이, 폭의 순서로 작아질 수 있거나 높이, 길이, 폭이 각각 동일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20)의 하우징(22)은 제 1 벽 또는 바닥벽(201), 제 2 벽 또는 상벽(202), 제 3 벽 또는 앞벽(203), 제 4 벽 또는 뒷벽(204), 제 5 벽(205), 제 6 벽(206) 및 연결 벽(209)을 구비한다. 연결 벽(209)은 제 7 벽(207)과 제 8 벽(208)(도 9)을 구비한다. 제 1 내지 제 8 벽(201 내지 208)은 카트리지(20)의 잉크 챔버(200)를 구비하는 내부 공간을 규정한다. 이하 설명에서, 제 1 내지 제 8 벽에 할당된 부호 201 내지 208은 또한 카트리지의 하우징(22)을 구성하는 벽의 외표면[즉, 제 1 내지 제 8 면(201 내지 208)]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내지 제 8 벽의 외표면(제 1 내지 제 8 면)(201 내지 208)은 대체로 평면이다. "대체로 평면"이란 완전히 평탄한 평면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약간의 요철을 갖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체로 평면"은 부분적으로 약간의 요철이 있지만 여전히 카트리지(20)의 하우징(22)의 면 또는 벽으로 인정될 수 있는 평면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8 면(201 내지 208)은 평면 도시에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 1 면(제 1 벽)(201), 제 2 면(제 2 벽)(202), 제 3 면(제 3 벽)(203), 제 4 면(제 4 벽)(204), 제 5 면(제 5 벽)(205) 및 제 6 면(제 6 벽)(206)은 각각 하면(바닥벽)(201), 상면(상벽)(202), 앞면(앞벽)(203), 뒷면(뒷벽)(204), 좌측면(좌벽)(205) 및 우측면(우벽)(206)으로도 지칭된다. 이들 벽의 외표면은 또한 전방(203), 후방(204), 상부(202), 하부(201)로 또는 제 1 내지 제 4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 1 표면은 전방(203)을 지칭하고, 제 2 표면은 후방(204)을 지칭하며, 제 3 표면은 상부(202)를 지칭하고, 제 4 면은 하부(201)를 지칭한다.
제 1 면(201)과 제 2 면(202)은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한다. 제 1 면(201)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2 면(202)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203)과 제 4 면(204)은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한다. 제 3 면(203)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4 면(204)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5 면(205)과 제 6 면(206)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한다. 제 5 면(205)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6 면(206)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Z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1 면(201)은 부착 상태에서 바닥면을 형성한다. 제 1 면(201)은 X축 및 Y축에 평행하고 Z축에 수직한 XY 평면이다. 제 1 면(201)은 부착 상태에서 수평면이다.
+Z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2 면(202)은 부착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한다. 제 2 면(202)은 제 1 면(201)과 대향하며 제 1 면(202)에 평행하다. 즉, 제 2 면(202)은 X축 및 Y축에 평행하고 Z축에 수직한 평면(XY 평면)이다. 제 2 면(202)은 부착 상태에서 수평면이다.
+X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3 면(203)은 부착 상태에서 측면을 형성한다. 제 3 면(203)은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에 직교하며, Y축 및 Z축에 평행하고 X축에 수직한 평면(YZ 평면)이다. 제 3 면(203)의 변들 중에서, 가장 -Z축 방향측에 위치한 변(290)이 "제 1 변(290)"으로 지칭되고, 가장 +Z축 방향측에 위치한 변(291)이 "제 2 변(291)"으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서, "두 면이 상호 교차 또는 가로지른다"는 표현은 두 면이 실제로 상호 교차하는 상태뿐 아니라 한쪽 면의 연장면이 다른 면과 교차하는 상태 및 두 면의 연장면이 상호 교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X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4 면(204)은 부착 또는 장착 상태에서 측면을 형성한다. 제 4 면(204)은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에 직교한다. 제 4 면(204)은 제 3 면(203)에 평행하다. 제 4 면(204)은 Y축 및 Z축에 평행하고 X축에 수직한 평면(YZ 평면)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5 면(205) 및 -Y축 방향측에 위치한 제 6 면(206)은 부착 상태에서 측면을 형성한다. 제 5 면(205) 및 제 6 면(206)은 제 1 내지 제 4 면(201 내지 204)에 직교한다. 제 5 면(205) 및 제 6 면(206)은 X축 및 Z축에 평행하고 Y축에 수직한 평면(XZ 평면)이다. 제 6 면(206)은 제 5 면(205)에 평행하다.
도 9에 도시하듯이, 연결면(209)은 제 1 면(201)을 제 3 면(203)과 결합시킨다. 연결면(209)의 제 7 면(207)은 제 1 면(201)과 직교하며, Y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YZ 평면)이다. 제 7 면(207)은 제 1 면(201)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되며, "단차면(step)"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제 7 면(207)은 제 1 면(201)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7 면(207)은 제 8 면(208)의 -X축 방향측 및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8 면(208)은 제 7 면(207)을 제 3 면(203)과 결합시킨다. 제 8 면(208)은 +X축 방향 벡터 성분과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제 8 면(208)은 제 1 면(201) 및 제 3 면(203)에 대해 경사진다. 제 8 면(208)은 제 5 면(205) 및 제 6 면(206)과 직교한다. 즉, 제 8 면(208)은 XY 평면에 대해 경사지며 YZ 평면은 XZ 평면에 직교한다. 제 8 면(208)은 제 8 면(20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판 장착 부재(208T)를 갖는다.
제 1 면 내지 제 6 면(201 내지 206)의 관계는 제 1 면(202)과 제 2 면(202)의 대향 방향이 Z축 방향이고 제 3 면(203)과 제 4 면(204)의 대향 방향이 X축 방향이며 제 5 면(205)과 제 6 면(206)의 대향 방향이 Y축 방향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듯이, 회로 기판(40)은 제 8 면(208)의 기판 장착 부재(208T)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기판(40)은 제 8 면(208)과 같이, +X축 방향 벡터 성분과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달리 말해서 경사지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회로 기판(40)의 표면을 포함한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제 1 면(201) 및 제 3 면(203)에 대해 경사진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제 5 면(205) 및 제 6 면(206)과 직교한다. 즉,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XY 평면 및 YZ 평면에 대해 경사지고 XZ 평면에 대해 직교한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 또는 "경사면"으로도 지칭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0)의 표면은 "경사면"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접점 기구(70)(도 2)의 장치측 단자와 접촉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를 갖는다. 경사 각도는 0도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도 내지 5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도 내지 40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2a 및 도 42b는 회로 기판(40)의 경사 각도(φ)와, 장치측 단자에 의한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의 와이핑 양의 관계를 도시한다. 회로 기판(40)의 경사 각도(φ)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장착 방향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평면(110p)과 회로 기판(40)의 단자(400)가 배열되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단자(400)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은 평면(110p)에 대해 수직하지도 평행하지도 않다. 경사 각도(φ)는 일반적으로 예각(90도 미만)이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방향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평면(110p)은 카트리지(20)의 하면(201)에 평행하다. 또한, 단자(400)가 배열되는 평면은 회로 기판(40)의 기판 표면에 평행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경사 각도(φ)는 카트리지(20)의 하면(201)과 회로 기판(40)의 기판 표면 사이의 각도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0)은 약 0.7㎜의 두께이다. 단자(400)는 약 5 미크론의 두께이며, 회로 기판(40) 상에 제공된다. 단자(400)의 두께는 무시할 정도로 얇으며, 따라서 단자(400)의 표면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40)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0)의 표면을 포함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실질적으로 후술될 단자(접촉부) 평면(TP) 내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40)이 없어도 단자(400)의 두께에 대응하는 요철만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편의상,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또는 "단자 평면"과 교체 사용될 수 있다. 단자(431 내지 439)의 접촉부(cp)가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연관하여 언급될 때는,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또는 "접촉부 평면"이라는 용어도 교체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착탈 도중에,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20)의 앞면(203)(제 1 표면)은 카트리지(20)의 뒷면(204)(제 2 표면) 상에서 약간의 피봇 회전과 더불어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회로 기판(40)은 약간 회전하고 단자 베이스(709) 상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와 접촉하며,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는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 내지 739)에 의해 와이핑된다.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가 대응 장치측 단자에 의해 와이핑됨으로써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의 표면 상의 먼지나 산화물 코팅이 적절하게 제거되어 전기 전도성(전기 접속)이 향상된다.
도 42a의 그래프는 대응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에 의한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의 와이핑 길이(와이핑 양)를 세로축으로 도시하고, 기판 경사 각도(φ)를 가로축으로 도시한다. 계산은, 카트리지(20)의 제 2 표면(뒷면)(204)으로부터 대응 장치측 접지 단자(737)와 접촉하는 접지 단자(437)의 접촉부까지 X 방향으로의 거리(L0)가 63㎜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기판 경사 각도(φ)가 클수록 기판 표면은 수직 평면에 가까워지며 와이핑 양이 증가한다.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의 표면 상의 먼지나 산화물 코팅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 와이핑 양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2a에 의하면, 1㎜ 이상의 와이핑 양을 확보하기 위해 기판 경사 각도(φ)는 2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3a는 카트리지의 절반 삽입의 방지를 고려한, 기판 경사 각도(φ)에 대한 장치측 접지 단자(737)에 의한 압상력(F)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43a의 계산 역시, 도 42a의 계산과 마찬가지로, 상기 거리(L0)가 63㎜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다. 카트리지의 중량(잉크의 중량을 포함)은 30 그램으로 가정된다. 이 값은 가정용 잉크젯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의 표준 중량이다. "카트리지의 절반 삽입"은 도 25에 도시하듯이 레버(80)의 결합부(810)가 탄성 부재(682)의 바로 옆에 위치하는 상태, 즉 완전한 결합 직전의 상태를 지칭한다. 이 절반 삽입 상태는 "절반 결합"으로도 지칭된다. 이 절반 결합 상태에서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 내지 739) 중 장치측 접지 단자(737)만 회로 기판(40)에 압상력을 인가한다. 도 1에 도시된 인쇄 장치에서 홀더(60)는 커버를 갖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절반 결합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면, 카트리지(20)는 이 절반 결합 상태에 유지될 수 있다. 도 43a의 그래프는 카트리지(20)의 이러한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측 접지 단자(737)에 의한 압상력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도 43b는 기판 경사 각도(φ)에 대한 압상력(F)의 관계를 도시한다.
장치측 접지 단자(737)에 의한 압상력은 도 26의 절반 결합 상태에서 장치측 접지 단자(737)로부터 회로 기판(40)[및 카트리지(20)]에 인가되는 힘의 +Z방향 벡터 성분(본 실시예에서 수직 상방 벡터 성분)이다. 회로 기판(40)의 접지 단자(437)가 장치측 접지 단자(737)에 대해 가압되면,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탄성력에 의해 회로 기판(40)의 기판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접지 단자(437)에 인가된다. 도 43a의 압상력의 계산은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가압력(F0)이 기판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0.2 N이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압상력(F)(=F0×cosφ)은 가압력(F0)의 +Z방향 벡터 성분이기 때문에, 도 43b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기판 경사 각도(φ)=0도에서는 F=F0=0.2N이 유지된다. 압상력(F)은 기판 경사 각도(φ)의 변화에 따라 곡선 F=F0×cosφ를 따라서 변화한다. 도 43a의 곡선은 곡선 F=F0×cosφ이다. 기판 경사 각도(φ)가 증가할수록(φ가 90도에 접근), 기판 표면은 XZ 평면에 접근하고 압상력(F)을 감소시킨다. 63㎜의 거리(L0)와 30 그램의 중량을 갖는 카트리지(20)와 균형을 이루는 압상력(FB)은 대략 0.15 N(도 43a에서 굵은 수평선의 위치)이다. 이는 0.15 N 이상의 압상력이 카트리지(20)를 장치측 접지 단자(737)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0.15 N 이상의 압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43a에서 명확하듯이, 기판 경사 각도(φ)는 4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도 26의 절반 결합 상태에서 손을 떼면, 카트리지(20)는 절반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3a에 도시하듯이 기판 경사 각도(φ)가 40도 이하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절반 결합 상태에서 손을 뗄 때, 장치측 접지 단자(737)는 카트리지(20)의 앞면(203)을 +Z 방향(상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는 카트리지를 레버(80)의 결합부(810)로부터 명확히 결합해제시키며, 사용자가 부착 실패를 알기 쉽게 해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판 경사 각도(φ)는 40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4 및 도 45는 도 42 및 도 43a에서의 카트리지 치수보다 X 방향 치수가 더 큰 카트리지의 특징을 도시한다. 도 42 및 도 43a에서는 카트리지가 L0=63㎜의 거리를 갖는 것으로 가정했지만, 도 44 및 도 45에서는 L0=80㎜의 거리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5의 압상력의 계산은, 도 43a의 계산과 마찬가지로, F0=0.2 N이고 카트리지의 중량(잉크의 중량을 포함)은 30 g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다. 도 44의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도 42a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1㎜ 이상의 와이핑 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판 경사 각도(φ)가 2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L0)는 도 43a의 계산 시에 63㎜인 것에 대해 도 45의 계산 시에 80㎜지만, 30 그램의 중량을 갖는 카트리지(20)와 균형을 이루는 압상력(FB)은 도 43의 압상력과 거의 동일하고 대략 0.15 N(도 45에서 굵은 수평선의 위치)이다. 도 45의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도 43a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의 절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판 경사 각도(φ)가 4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도 42 내지 도 45의 특징을 고려하여, 기판 경사 각도(φ)는 25도 이상 40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증가된 가압력은 보다 큰 기판 경사 각도(φ)에서도 충분한 압상력을 보장한다. 이 경우에,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가압력 및 기판 경사 각도(φ)는, 사용자가 절반 결합 상태에서 카트리지(20)로부터 손을 뗄 때 카트리지(20)가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절반 결합 상태로부터 결합해제 상태로 변경될 수 있게 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면(207) 및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카트리지(20)의 외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7 면(207) 및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카트리지(20)의 외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면(201)과 제 3 면(203)을 결합시키는 코너 섹션(265)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9에서 코너 섹션(265)은 굵은 선으로 도시된다. 제 3 면(203) 및 코너 섹션(265)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듯이 홀더(60)의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603)(도 14)와 대향한다. 따라서 제 3 면(203) 및 코너 섹션(265)은 "제 1 대향 외벽면"으로 지칭된다. 제 4 면(204)은 부착 상태에서 후술하듯이 홀더(60)의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도 15)와 대향한다. 따라서 제 4 면(204)은 "제 2 대향 외벽면"으로 지칭된다.
도 10a에 도시하듯이, 회로 기판(40)은 +Z축 방향 단부에 보스 홈(401)을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보스 구멍(402)을 갖는다. 회로 기판(40)은 보스 홈(401) 및 보스 구멍(402)에 의해 카트리지(20)의 제 8 면(208)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 홈(401) 및 보스 구멍(402)은 카트리지(20)의 폭(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 홈(401)과 보스 구멍(402) 중 적어도 하나가 회로 기판(40)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40)은 접착제에 의해서 또는 제 8 면(208)에 제공된 결합 클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제 8 면(20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듯이, 회로 기판(40)은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뒷면(409)에 제공되는 메모리 유닛(420)을 구비한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뒷면(409)은 평면이다. 회로 기판(40)이 카트리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장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평면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부분 또는 변을 기판 단부(405)로 지칭한다.
카트리지측 단자(400)는 아홉 개의 단자(431 내지 439)를 구비한다. 메모리 유닛(420)은 카트리지(20)의 잉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의 잔량 및 잉크 색상)를 기억한다. 카트리지측 단자(400)는 전기 전도성이며, 카트리지(20)의 일부인 전기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전기 장치는 저항, 센서 또는 메모리 소자, 또는 당업자가 알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거나 전기를 공급받는 기타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하듯이, 아홉 개의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439)는 모두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장착 방향(SD)에 대략 수직한 2 열(row)로 배열된다. 대략 수직한 열은 카트리지(20)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열 중 장착 방향(SD)에 대해 뒤쪽 열을 제 1 단자 열(R1)[하측 라인(R1)]로 지칭하고, 장착 방향(SD)에 대해 앞쪽 열을 제 2 단자 열(R2)[상측 라인(R2)]로 지칭한다. 제 1 단자 열(R1)과 제 2 단자 열(R2)은 Z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단자 열(R1)은 제 2 단자 열(R2)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단자(431 내지 439) 각각의 중앙에는 접점 기구(70)와 접촉하는 접촉부(cp)가 제공된다. 제 1 단자 열(R1) 및 제 2 단자 열(R2)은 다수의 접촉부(cp)에 의해 형성된 라인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단자(431 내지 439)는 그 기능 또는 용도에 따라 하기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프린터(50) 상의 단자와의 구별을 위해, 각각의 명칭 앞에 "카트리지측"이라는 단어를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단자(437)"는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437)"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 1 단자 열(R1)>
(1) 부착 검출 단자(제 1 단자)(435);
(2) 전원 단자(436);
(3) 접지 단자(437);
(4) 데이터 단자(438); 및
(5) 부착 검출 단자(제 2 단자)(439).
<제 2 단자 열(R2)>
(6) 부착 검출 단자(제 3 단자)(431);
(7) 리셋 단자(432);
(8) 클럭 단자(433); 및
(9) 부착 검출 단자(제 4 단자)(434).
제 1 단자 열(R1)의 단자(435 내지 439)의 접촉부(cp) 및 제 2 단자 열(R2)의 단자(431 내지 434)의 접촉부(cp)는 교호적으로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접점 기구(70)에 제공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양호/불량한 전기적 접촉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프린터(50)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의 설계된 부착 위치에 적절히 부착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들 네 개의 단자(431, 434, 435, 439)를 일괄하여 "부착 검출 단자"로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 개의 카트리지측 단자(431, 434, 435, 439)는 회로 기판(40)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될 때, 이들 단자(431, 434, 435, 439)는 접지 단자(437)를 통해서 프린터(50) 상의 접지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다른 다섯 개의 카트리지측 단자(432, 433, 436, 437, 438)는 메모리 유닛(420)용 단자이다. 따라서 이들 다섯 개의 단자(432, 433, 436, 437, 438)는 "메모리 단자"로 지칭된다.
리셋 단자(432)는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될 리셋 신호(RST)를 수신한다. 클럭 단자(433)는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될 클럭 신호(SCK)를 수신한다. 전원 단자(436)는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될 전원 전압(VDD)(예를 들어, 정격 전압 3.3 V)을 받는다. 접지 단자(437)는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될 접지 전압(VSS)(0 V)을 받는다. 데이터 단자(438)는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될 데이터 신호(SDA)를 수신한다.
부착 검출 단자 중 하나로서의 제 1 단자(435)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435P)을 구비한다. 부착 검출 단자 중 하나로서의 제 2 단자(439)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439P)을 구비한다. 부착 검출 단자 중 하나로서의 제 3 단자(431)는 제 2 단자 라인(R)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외측 부분(431P)을 구비한다. 부착 검출 단자 중 하나로서의 제 4 단자(434)는 제 2 단자 라인(R)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외측 부분(434P)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4 외측 부분(435P, 439P, 431P, 434P)은 대응 단자의 실질적으로 직선적인 에지이며 실질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이것이 제한으로 간주되지는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에지들은 곡선형일 수 있으며 도 41a 및 도 41b의 예에서는 단자(431, 434)에 대해 도시한 것과 같은, Z축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단자의 외측 부분은 여전히 Y축 방향으로 에지의 최외측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접촉부(cp) 중에서, Y축 방향으로 중앙에 접촉부(cp)를 갖는 접지 단자(437)는 카트리지(20)의 폭(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나머지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의 접촉부(cp)는 평면(Yc)과 접지 단자(437)의 교차선을 축으로 하여 그에 대해 대칭적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접지 단자(437)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되는 도중에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에 앞서 접점 기구(7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홀더(60)로부터 회로 기판(40)에 최초로 인가되는 가압력은, 카트리지가 완전히 장착되기 전과 후의 모두에 카트리지(20)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거의 중심에 발생된다. 이는 회로 기판(40)에 인가된 가압력이 카트리지(20)를 Y축 방향으로 경사시키도록 작용하지 못하게 하며, 설계된 부착 위치에서의 카트리지(20)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접지 단자(437)가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에 앞서 홀더(60)의 접점 기구(70)와 접촉하는 것은, 카트리지(20)에 예기치않은 고전압이 인가될 때에도, 접지 단자(437)의 접지 기능에 의해, 고전압이 초래하는 트러블 및 고장을 유리하게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단자(437)는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6, 438, 439)보다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접지 단자(437)와 홀더(60)의 접점 기구(70)의 접촉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40) 상의 모든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하듯이,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제 1 면(201)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인쇄재 유로(282)를 통해서 잉크 챔버(200)와 연통된다.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잉크 챔버(200)에 수용된 잉크를 헤드(540)(도 1)에 공급하기 위해 프린터(50)의 인쇄재 공급 튜브(640)(도 5)와 연결된다. 즉,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잉크 챔버(200)에 수용된 잉크를 카트리지(20)의 외부에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 개방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제 1 면(201)으로부터 돌출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일 실시예에서, 이는 제 1 면(201)과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제 1 면에 근접하도록 상승된다.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은 제 1 면(201) 상에서 제 3 면(203)보다 제 4 면(204)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외표면과 제 3 면(203) 사이의 거리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외표면과 제 4 면(204)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개방 선단을 갖는다. 이 개방 선단에서의 표면은 개방면(288) 또는 대안적으로 장착 방향 선단으로 지칭되며, 부착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한다. 즉, 개방면(288)은 장착 방향(SD)으로 카트리지의 선단(XY 평면)이며, X축 및 Y축에 평행한 XY축 평면을 형성한다.
잉크 공급 구조물(280) 내부에는 개방면(288)의 +Z축 방향측 위치에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재 유로(282)와 접촉하는 위치에 수지 발포체(28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의 출하 전에,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개방면(288)은 캡 또는 필름과 같은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로 밀봉된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위해서, 개방면(288) 밀봉을 위한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카트리지(20)로부터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중심이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중심축(C)으로부터 편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Z축 방향으로 바라본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개방면(288)은 X축 및 Y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 선대칭적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개방면(288)은 비대칭적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가질 수도 있다. Z축 방향으로 바라본 개방면(288)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라운딩 처리된 사각형 형상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정확한 원, 타원형, 장원형(oval), 정방형 또는 장방형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일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하듯이, 평면(BP)은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개방면(288)의 장착 방향 선단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다. 거리 A는 평면(BP)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 사이의 거리이다. 거리 B는 평면(BP)과 제 2 규제 요소(220)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이다. 거리 C는 평면(BP)과 레버(80)의 축(800c) 주위로의 피봇 지점 사이의 거리이다. 도 9a에서 알 수 있듯이,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될 때, 평면(BP)과 제 2 규제 요소(220)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B)는 평면(BP)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될 때, 평면(BP)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 사이의 거리(A)는 평면(BP)과 레버(80)의 축(800c) 주위로의 피봇 지점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또한 도 9a에서 알 수 있듯이, 평면(TP)은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평행하고, 따라서 간명함을 위해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평면(TP)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평면(TP)은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다.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접점 기구(70)(도 2)의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를 갖는다.
도 7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3 면(203) 상에 제공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및 회로 기판(40)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설치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레버(80)(도 2)에 의해 로크되며, 따라서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3 면(203)으로부터 +X축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Z축 방향을 따라서 제 2 변(291)보다 제 1 변(29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1 변(29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Y축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212), 제 1 부분(212)으로부터 +Z축 방향(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14), 및 제 1 부분(212)으로부터 -Z축 방향(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215)을 구비한다. 전술했듯이, +Z축 방향(수직 상방향)은 일반적으로 제거 방향(RD)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장착 방향(SD)인 -Z축 방향(수직 하방향)에 대향한다. 제 1 부분 또는 결합부(212)는 레버(80)의 결합부와 협동하여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2 부분(214)은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 시에 제 1 부분(212)을 레버(80)의 예상 부위에 의해 로크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 1 부분(212)은 제 1 당접 부분으로서의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 및 제 2 당접 부분으로서의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을 구비한다.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Z축 방향을 향한다.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은 +X축 방향을 향한다. 제 3 부분(215)은 제 1 부분(212) 및 제 1 변(290)과 접촉한다.
카트리지(20)는 추가로, 제 4 면(204)에 제공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제 3 면(203)에 제공된 돌출부(260), 및 제 7 면(207)에 제공된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를 구비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제 4 면(204)으로부터 -X축 방향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홀더(60)의 관통 구멍 형태인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3)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 시에 카트리지(20)를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3)에 삽입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주위로 회전시킨다. 즉,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에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의해 로크되어 부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20)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및 회로 기판(40)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설치된다.
제 3 면(203) 상의 돌출부(260)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Z축 방향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60)는 제 3 면(203) 상에서 제 2 변(291)을 포함하는 가장 +Z축 방향 위치(최상측 위치)에 설치된다.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는 제 7 면(207)의 Y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규제 벽)로서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 부재(250)는 그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부(636)(도 2)를 수용하며, 돌출부(636)와 협동하여 부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도 11은 카트리지(20)의 배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자세히 설명한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규제 로크 요소로서의 규제 로크면(222), 경사면(224), 제 1 규제 측면(226) 및 제 2 규제 측면(228)을 구비한다.
규제 로크면(222)은 +Z축 방향을 향하며, 부착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한다. 규제 로크면(222)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할 때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하기 위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3)와 접촉한다.
규제 로크면(222)은 부착 상태에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의해 로크됨으로써,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 로크면(222)은 카트리지(20)의 폭(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이 평면(Yc)과 수직하게 제공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는 홀더(60)부터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가압력(Ps, Pt)을 받는다. 규제 로크면(222)은 이들 가압력(Ps, Pt)에 의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규제 로크면(222)과 접촉한다. 이로 인해,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가 X축 주위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감소된다.
경사면(224)은 규제 로크면(222)과 연결되고, +Z축 방향 벡터 성분 및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될 때 규제 로크면(222)은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로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다.
제 1 규제 측면(226)은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의 -Y축 방향 측면을 형성한다. 제 2 규제 측면(228)은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Y축 방향 측면을 형성한다. 제 1 규제 측면(226)은 -Y축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며, 제 2 규제 측면(228)은 +Y축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제 1 규제 측면(226) 및 제 2 규제 측면(228)은 각각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다. 제 1 및 제 2 규제 측면(226, 228)은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에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와 간섭하여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도 12는 카트리지(20)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평면(Yc)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제공된다.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이 평면(Yc)과 수직하게 제공된다.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카트리지(20)를 제 3 면(203) 측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볼 때 Y축 방향(폭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435P)과 제 2 외측 부분(439P) 사이의 범위(40Y)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을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범위(40Y)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1 외측 부분(435P)을 포함하는 제 1 가상선(435PL) 및 제 2 외측 부분(439P)을 포함하는 제 2 가상선(439PL)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가상선(435PL) 및 제 2 가상선(439PL)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도 13은 카트리지(20)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카트리지(20)의 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제 3 면(203)이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교차하는 교차부를 "교차 부분(295)"으로 지칭한다. "교차"라는 용어에 대한 상기 설명에 따르면, 제 3 면(203)이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교차하는 교차부는 실제 면(203)과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교차부뿐 아니라, 면(203)과 단자 지지 구조물(408) 중 하나와 상기 면(203)과 단자 지지 구조물(408) 중 다른 하나의 연장부의 교차부, 또는 면(203)과 단자 지지 구조물(408) 양자의 연장부의 교차부를 포함한다. 교차 부분(295)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부분(295)은 제 3 면(203)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교차 부분(295)은 제 3 면(203)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203) 상의 Z축 방향 길이의 중간 지점[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면(203)과 접촉부 평면(TP)의 교차부와 제 2 면(202)과 제 3 면(203)의 교차부 사이의 중간 지점]을 중점(203P)으로 지칭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교차 부분(295)에 가깝게 위치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고 기판 단부(405)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충분히 더 가까울 수 있음을, 보다 정확하게는, 규제부(210) 중 장치측 레버와 결합하는 부분이 상면(202)과 앞면(203)의 교차부보다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3 면(203) 중 제 2 변(291)보다 제 1 변(290)에 가까운 특정 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보다 정확하게는, 규제부(210) 중 장치측 레버와 결합하는 부분은 상면(202)과 앞면(203)의 교차부보다 교차 부분(295)에 가까운 위치에, 즉 중점(203P)으로부터 제 1 변(290)까지의 범위에 위치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1 변(290)에 충분히 가깝거나 근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근접한"이란 "가까운", "근처의" 또는 "그 위의(on)"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규제부(210) 중 장치측 레버와 결합하는 부분은 상면(202)과 앞면(203)의 교차부보다 교차 부분(295) 및/또는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면(202)과 앞면(203)의 교차부는 도 13에서 291로 도시되는 위치지만, 전술했듯이, 교차부는 두 면이 실제로 상호 교차하는 곳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며, 일 면이 다른 면의 연장부와 교차하는 곳 또는 도 35a 및 도 35d의 실시예에서 파선으로 도시하듯이 두 면의 연장부가 상호 교차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면(203)과 접촉부 평면(TP)의 교차부와 제 2 면(202)과 제 3 면(203)의 교차부 사이의 거리는 약 20㎜이다. 제 3 면(203)과 접촉부 평면(TP)의 교차부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 사이의 거리는 약 16㎜이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 중 특히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위치를 규제하는데 유효한 부분은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다. 따라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3 부분(215)을 생략하고 제 1 부분(212)을 제 1 변(290)과 접촉시켜 배치함으로써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 교차 부분(295) 또는 기판 단부(405)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도 13은 또한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의 X축 방향 범위(250) 및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X축 방향의 범위(408X)를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하듯이, 카트리지(20)를 X축 방향으로 제 1 면(201) 측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의 부분은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겹친다.
A-4. 홀더(60)의 상세 구성
A-4-1. 홀더(60)의 전체 구성
도 14 및 도 15는 홀더(6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홀더(60)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F16-F16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돌출부(636)는 도 17에서 생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50)의 홀더(60)는 카트리지(20)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카트리지 챔버(602)를 형성하기 위해 다섯 개의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를 갖는다. 다섯 개의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를 일괄하여 "챔버 형성 벽 부재(600)"로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섯 개의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는 수지 판 부재이고,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m-PPE)로 제조된다.
벽 부재(601)는 오목한 카트리지 챔버(602)의 하면을 규정한다. 벽 부재(603, 604, 605, 606)는 오목한 카트리지 챔버(602)의 측면을 규정한다. 벽 부재(601), 벽 부재(603), 벽 부재(604), 벽 부재(605) 및 벽 부재(606)는 각각 "장치측 바닥벽 부재(601)",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603)",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 "제 3 장치측 측벽 부재(605)" 및 "제 4 장치측 측벽 부재(606)"로 지칭된다.
벽 부재(601) 상에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각각 및 장치측 단자를 구비하는 접점 기구(70)의 각각이 X축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벽 부재(604) 측에 설치되고, 접점 기구(70)는 벽 부재(603) 측에 설치된다. 즉, 인쇄재 공급 튜브(640)는 벽 부재(603)보다 벽 부재(604)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접점 기구(70)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보다 벽 부재(603)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벽 부재(601) 상에서 인쇄재 공급 튜브(640) 주위에는 탄성 부재(648)가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했듯이, 탄성 부재(648)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280) 주위를 밀폐하여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부터 주위로의 잉크 누출을 방지한다. 탄성 부재(648)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280)을 되미는 방향(+Z축 방향)으로의 가압력(Ps)을 발생시킨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듯이, 홀더(60)는 카트리지 챔버(602)를 가로질러 벽 부재(601)와 대향하는 상측에 개구(OP)를 갖는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착탈될 때 카트리지(20)는 개구(OP)를 통과한다.
벽 부재(603)는 벽 부재(601)의 +X축 방향측에서 벽 부재(601)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 부재(603)의 가장 +X축 방향측은 외벽(603W)을 형성한다. 프린터(50)의 사용 상태에서, 외벽(603W)은 홀더(60)의 앞면을 형성한다. 외벽(603)은 다수의 카트리지(20)의 배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카트리지(20)의 착탈에 사용되는 레버(80)가 벽 부재(603) 상에 제공된다. 레버(80)는 리테이너(690)를 통해서 벽 부재(60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보다 정확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레버(80)는 벽 부재(603)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테이너(690)에 고정된다. 레버(80)의 회전축은 Y축 방향에 평행하다.
리테이너(690)는 측벽 부재(603)가 바닥벽 부재(601)와 교차하는 코너 섹션(장치측 코너 섹션)(600C)(도 17)에 제공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조작 부재(603)는 레버(80)의 +Z축 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이 조작 부재(830)를 +X축 방향측으로부터 -X축 방향측으로 가압할 때[즉, 사용자가 조작 부재(830)에 조작력(Pr)을 인가할 때], 레버(80)는 회전축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회전된다. 따라서 레버(80)는 X축 및 Z축 방향에 평행한 XZ 평면 상에서 회전된다.
레버(80)는 챔버 형성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와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된다. 레버(80)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세탈(POM)로 제조된다. 레버(80)는 카트리지(20)를 로크시키기에 충분한 특정 레벨의 강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80)는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로부터 인가되는 힘(예를 들면, 14.4 N의 힘)에 의해 레버(80)의 변형을 거의 초래하지 않는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로부터 14.4 N의 외력이 인가됨에 의한 레버(80)의 변형은 약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8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전혀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에서 레버(80)가 카트리지(20)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당히 변형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접점 기구(70)의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레버(80)를 챔버 형성 벽 부재(601, 603, 604, 605, 606)와 별개로 제공함으로써 레버(80) 형성 재료의 선택 자유도가 유리하게 증가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벽 부재(604)는 벽 부재(601)의 -X축 방향측에서 벽 부재(601)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벽 부재(604)는 카트리지 챔버(602)를 가로질러 벽 부재(603)와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 부재(604)는 프린터(50) 사용 상태에서 홀더(60)의 뒷면을 형성한다. 벽 부재(604)는 다수의 카트리지(20)의 배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벽 부재(604)에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가 제공된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X축 방향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다(도 17).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카트리지 챔버(602)를 향해 개방되는 오목부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했듯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로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로크 위치(620L)에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로크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관통 구멍으로서 구성되며, 장치측 로크면(622)을 갖는다. 장치측 로크면(622)은 -Z축 방향으로 향하는 평면이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의 규제 로크면(222)(도 11)을 로크시킨다. 장치측 로크면(622)의 +X축 방향 단부(624)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와 접촉하며 따라서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서 제거하기 위한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도 17에 도시하듯이, 홀더(60)의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되는 공간(670)을 갖는다. 공간(670)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착탈될 때 피봇 회전 지점으로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의 부근 주위로 카트리지(20)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670)은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로부터 +Z축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X축 방향으로 오목해지는 단차부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670)은 +Z축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X축 방향으로 낮아지는 벽 부재(604)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듯이, 벽 부재(605)는 벽 부재(601)의 -Y축 방향측에서 벽 부재(601)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 부재(605)는 프린터(50)의 사용 상태에서 홀더(60)의 우측면을 형성한다. 벽 부재(605)는 벽 부재(603, 604)와 연결된다. 벽 부재(605)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카트리지(20)의 배열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한다.
벽 부재(606)는 벽 부재(601)의 +Y축 방향측에서 벽 부재(601)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벽 부재(606)는 카트리지 챔버(602)를 가로질러 벽 부재(605)와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 부재(606)는 프린터(50)의 사용 상태에서 홀더(60)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벽 부재(606)는 벽 부재(603, 604)와 연결된다. 벽 부재(606)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카트리지(20)의 배열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한다.
전술한 벽 부재(601 및 603 내지 606)의 위치 관계에 따르면, 벽 부재(601)는 Z축 방향에 수직하고, 벽 부재(603)와 벽 부재(604)는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벽 부재(605)와 벽 부재(606)는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벽 부재(601)와 개구(OP)는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한다.
접점 기구(70)는 벽 부재(601)가 홀더(60)의 벽 부재(603)와 교차하는 코너 섹션(600C)에 제공된다. 접점 기구(70)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보다 벽 부재(60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접점 기구(70)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각 단자(431 내지 439)(도 10)에 대응하고 그와 접촉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상기 장치측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 베이스를 구비한다.
A-4-2. 접점 기구(70)의 상세 구성
도 18은 홀더(6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접점 기구(70)의 사시도이다.
접점 기구(70)는 단자 베이스(709), 및 상기 단자 베이스(709)에 설치되는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를 구비한다.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의 각각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탄성 부재이고, 장치측 경사면(708)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외력에 의해 변위된다.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5)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을 되미는 방향(+Z축 방향 벡터 성분과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압력 또는 탄성력(가압력)(Pt)을 발생시킨다. 탄성력(가압력)(Pt)은 카트리지(20)가 장치측 경사면(708)으로부터 돌출된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를 장치측 경사면(708) 쪽으로 가압할 때 반력으로서 발생된다.
아홉 개의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홉 개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가 제공된다. 장치측 단자(731)는 "부착 검출 단자(제 3 단자)(731)"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2)는 "리셋 단자(732)"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3)는 "클럭 단자(733)"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4)는 "부착 검출 단자(제 4 단자)(734)"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5)는 "부착 검출 단자(제 1 단자)(735)"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6)는 "전원 단자(736)"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7)는 "접지 단자(737)"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8)는 "데이터 단자(738)"로 지칭된다. 장치측 단자(739)는 "부착 검출 단자(제 2 단자)(739)"로 지칭된다. 카트리지측 단자와 구별하기 위해, 각각의 명칭 앞에 "장치측"이라는 단어를 붙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지 단자(737)"는 "장치측 접지 단자(737)"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아홉 개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8)는 일괄하여 장치측 단자(700)로 지칭된다.
아홉 개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는 Z축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를 갖는 제 1 장치측 단자 라인 및 제 2 장치측 단자 라인으로 배열된다. 제 1 장치측 단자 라인은 다섯 개의 장치측 단자(735 내지 739)를 구비하며, 제 2 장치측 단자 라인은 네 개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4)를 구비한다. 제 1 장치측 단자 라인은 제 2 장치측 단자 라인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단자의 개수는 아홉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로 기판(40)의 구성에 따라 아홉 개 이상 또는 아홉개 이하의 임의의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아홉 개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 중에서, Y축 방향으로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장치측 접지 단자(737)는 접지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치측 경사면(708)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치측 접지 단자(737)의 높이는 다른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6, 738, 739)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장치측 접지 단자(737)는 다른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6, 738, 739)에 앞서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의 조립을 가속화하기 위해,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는 단자 베이스(709) 상에 설치되고 접점 기구(70)와 유닛화(unitize)되어 홀더(60)에 통합된다. 그러나, 단자 베이스(709)를 이용한 접점 기구(70)의 유닛화는 필수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물이 홀더(60)의 바닥벽 부재(601) 또는 외벽(603W)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구조물에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가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베이스(709)는 필수가 아니다.
A-4-3. 레버(80)의 세부 구성
도 19는 레버(8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X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Y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한 샤프트 보디(850)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레버(80)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고 X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Y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한 레버(80)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의 설계된 부착 위치에 적절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80)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듯이, 레버(80)는 조작 부재(830),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 안내 부재(820) 및 결합부(810)를 구비한다. 레버(80)는 일 단부(+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830)를 갖고 다른 쪽(-Z축 방향 단부)에 결합부(810)를 갖는다. 레버(80)는 조작 부재(830)와 결합부(810) 사이에 회전축(800c)을 갖는다. 즉, 레버(80)는 조작 부재(830)와 결합부(810) 사이의 위치에서 회전축(800c) 주위로 피봇한다.
레버(80)의 조작 부재(830)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외력을 수용한다. 도 21에 도시하듯이, 조작 부재(830)는 레버(80)의 +Z축 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조작 부재(830)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조작 부재(830)는 홀더(60)의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603)(도 15)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조작 부재(830)는 조작면(835) 및 조작 부재 대향면(831)을 갖는다. 조작면(835)은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X축 방향측으로부터 -X축 방향측으로 인가되는 외력[도 5에 도시된 힘(Pr)]을 수용한다. 조작 부재 대향면(831)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에 대향하는 면이다.
도 19에 도시하듯이, 레버(80)의 단부들 사이의 거의 중간 위치에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가 제공된다.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는 레버(80)의 회전축(800c)을 형성한다. 회전축(800c)은 Y축 방향[카트리지(20)의 배열 방향]에 평행하다.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 중 하나의 샤프트 보디(850a)["제 1 샤프트 보디(850a)"로 지칭됨]는 레버(80)의 +Y축 방향측 외표면(893)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 중 다른 샤프트 보디(850b)["제 2 샤프트 보디(850b)"로 지칭됨]는 레버(80)의 -Y축 방향측 외표면(8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외표면(891, 893)은 측면(891, 893)으로도 지칭된다. 레버(80)에 제공된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는 후술되는 리테이너를 사용하여 회전축(800c)을 쉽게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 보디(850)의 각각은 내측 원호면(852), 외측 원호면(854) 및 반경방향 측면(856, 858)을 갖는다. 각각의 면(852, 854, 856, 858)은 샤프트 보디(850)의 원주면을 형성한다. 내측 원호면(852)과 외측 원호면(854)은 각각 "제 1 곡면(852)" 및 "제 2 곡면(854)"으로 지칭된다. 내측 원호면(852) 및 외측 원호면(854)의 중심은 회전축(800c)에 대응한다. 내측 원호면(852)은 외측 원호면(854)보다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가까운 위치(즉, 그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20에 도시하듯이, 내측 원호면(852)은 X축 및 Z축에 평행한 단면에서 회전축(800c) 주위로 반경(R1a)의 원호를 형성한다. 외측 원호면(854)은 X축 및 Z축에 평행한 단면에서 회전축(800c) 주위로 반경(R2a)의 원호를 형성한다. 반경(R1a)은 반경(R2a)보다 작다. 전술했듯이, 각각의 샤프트 보디(850)는 원주면의 부분으로서 동심적인 내측 원호면(852) 및 외측 원호면(854)을 가지며, 상기 내측 원호면은 외측 원호면(854)보다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축(800c)은 카트리지(20)와 간섭하지 않고 카트리지 챔버(602) 내의 카트리지(2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20)의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결합부(810)에 의해 로크될 수 있으며,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의 벗어남이 감소된다. 회전축(800c)이 카트리지(20)에서 먼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트리지(20)의 정확히 장착된 상태를 위해 설계된 부착 위치로부터 레버(80)의 일체의 이동은 결합부(810)의 Z축 방향으로의 상당한 변위를 초래한다. 회전축(800c)을 카트리지(2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게 되면 카트리지(20)가 설계된 부착 위치에 적절히 장착된 상태에서 레버(80)가 표준 자세를 벗어날 때 결합부(810)의 Z축 방향 변위가 감소된다. 즉 이러한 배치는 카트리지(20)가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의 벗어남이 감소된 상태에서 결합부(810)에 의해 로크될 수 있게 한다. 외측 원호면(854)의 반경(R2a)을 내측 원호면(852)의 반경(R1a)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샤프트 보디(850)의 강도 저하가 유리하게 방지된다. "로크 위치(제 1 로크 위치)(810L)"는, 카트리지(20)가 이상적인 설계된 위치로 설정된 부착 위치에 부착될 때 제 1 장치측 로크면(811)[결합부(810)의 제 1 부분]이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1 당접 부분]과 당접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결합부(810)는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로크시켜 카트리지(20)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1에 도시하듯이, 결합부(810)는 레버(80)의 -Z축 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결합부(810)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21에 도시하듯이, 결합부(810)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도 5)를 두 부분에 의해 로크시킨다. 결합부(810)는 제 1 부분(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으로서의 제 1 장치측 로크면(811), 홈(815), 및 제 2 부분(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으로서의 제 2 장치측 로크면(813)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810)의 두 개의 장치측 로크면(811, 813)은 상호 교차하도록 위치한다.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회전축(800c) 주위의 원호형 곡면이다. 따라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X축 및 Z축에 평행한 단면(즉, XZ 평면에 평행한 단면, Y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회전축(800c) 주위로 원호 형상을 갖는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위해, 이 구성은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을 매끄럽게 로크 위치(810L)로 이동시켜 카트리지(20)를 로크시킬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이 구성은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이 카트리지(20)를 매끄럽게 로크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 이 구성은 따라서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매끄러운 착탈을 보장한다.
로크 위치(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X축 방향으로 회전축(800c)에 가까이 있다. 즉, 로크 위치(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회전축(800c) 아래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크 위치(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회전축(800c)의 약간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로크 위치(810L)에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따라서 장착 상태의 카트리지(20)가 장치측 단자(700) 및 탄성 부재(648)로부터 받는 +Z축 방향 힘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인 제 1 장치측 로크면(811)과 접촉하는 평면은 로크 위치(810L)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이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20)가 프린터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과 제 1 장치측 로크면(81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의 제 1 로크 위치(810L)는, 회전축(800c)에 가깝고 회전축(800c)의 -X축 방향측에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장치측 로크면(811)과 접하는 평면을 거의 수평하게 만들고,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로부터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으로 +X축 방향 힘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로크 위치(810L)를 X축 방향으로 회전축(800c)에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과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의 실제 로크 위치가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약간 벗어날 때에도 Z축 방향으로 로크 위치의 편위가 유리하게 감소된다. 즉, 이는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편위를 감소시키고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의 양호한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X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에서 취한 레버(80)의 단면에서, 제 1 로크 위치(810L)는, 회전축(800c)을 통과하고 Z축 방향에 평행한 직선과 회전축(800c)을 로크 위치(810L)와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A)가 바람직하게 15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0도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 5도 이하이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각도(A)는 또한 1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도시하듯이, 안내 부재(820)는 +Z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 단부로 연장되도록 조작 부재(830)와 결합부(810) 사이에 제공된다. 안내 부재(820)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부착하는 도중에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도 12에 도시)를 결합부(8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920)는 설계된 부착 위치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다.
안내 부재(820)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안내 바닥벽(821) 및 상기 안내 바닥벽(821)으로부터 -X축 방향을 향해서 수직하게 각도형성된 한 쌍의 안내 벽(86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이다. 안내 바닥벽(821)과 한 쌍의 안내 벽(860)은 돌출부로서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쉽게 형성한다. 한 쌍의 안내 벽(860)은 +Y축 방향측에 제공되는 제 1 안내 벽(860a) 및 -Y축 방향측에 제공되는 제 2 안내 벽(860b)을 구비한다. 샤프트 보디(850a)는 제 1 안내 벽(860a)의 외표면(893)에 설치되고, 샤프트 보디(850b)는 제 2 안내 벽(860b)의 외표면(891)에 설치된다.
두 개의 안내 벽(860a, 860b) 사이의 간격, 즉 두 개의 안내 벽(860a, 860b)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길이보다 작지만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도 12에 도시됨)의 Y축 방향 길이보다 크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위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안내 부재(820)에 의해 수용되고, 한 쌍의 안내 벽(860a, 860b)이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안내 바닥벽(821)이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결합부(810)까지 용이하고 확실하게 안내된다.
안내 바닥벽(821) 중 결합부(810) 측에 있는 일부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2 부분(214)(도 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870)을 갖는다. 홈(870)은 안내 바닥벽(821)의 표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오목하다. 홈(870)은 안내 바닥벽(821)의 +Z축 방향 중간에서부터 -Z축 방향 단부까지 연장된다.
홀더(60)에 설치된 레버(80)는 그 자중에 의해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이 제 1 로크 위치(810L)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너(690)에 의해 샤프트 보디(850)가 유지될 때, 레버(80)는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을 회전축(800c)의 -X축 방향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기울어진다(도 21).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80)의 중심을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레버(80)가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80)의 중심을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레버(80)가 기울어질 수도 있다.
A-4-4. 리테이너(690) 세부 구성
도 22는 리테이너(690)의 분해 사시도 및 레버(80) 사시도이다. 레버(80)는 리테이너(690)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홀더(6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22는 레버(80)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690)의 부분 구성을 도시한다. 리테이너(690)는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와 제 2 리테이너 부재(680)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리테이너(690)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ABS 수지로 제조된다.
제 1 리테이너 부재(650)는 한 쌍의 직립부(651)와 관통 구멍(65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리테이너 부재(650)는 또한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로서 작용하는 돌출부(636)를 갖는다.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의 한 쌍의 직립부(651)는 레버(80)를 수용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각의 직립부(651)는 레버(80)의 샤프트 보디(850)를 수용하기 위해 베어링 요소(654)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직립부(651)는 제 2 리테이너 부재(680)와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결합 구멍(656)을 갖는다.
제 2 리테이너 부재(680)는 한 쌍의 직립부(681)와 관통 구멍(68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리테이너 부재(680)는 또한 탄성 부재(682)를 갖는다.
제 2 리테이너 부재(680)의 한 쌍의 직립부(681)는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의 한 쌍의 직립부(65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각의 직립부(681)는 레버(80)의 샤프트 보디(850)가 베어링 요소(654)로부터 의도치않게 결합해제되지 않도록 베어링 부재(654)를 봉쇄하기 위한 봉쇄면(684)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직립부(681)는 또한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의 결합 구멍(656)에 끼워질 결합 돌출부(686)를 갖는다.
홀더(60)에 대한 레버(80)의 부착을 위해, 레버(80)의 각각의 샤프트 보디(850)를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의 한 쌍의 직립부(651)의 대응 베어링 요소(654) 내에 끼움으로써 레버(80)는 한 쌍의 직립부(651) 사이에 설치된다. 이후 두 개의 리테이너 부재(650, 680)가 조립됨으로써, 레버(80)의 샤프트 보디(850)가 끼워진 베어링 요소(654)는 제 2 리테이너 부재(680)의 대응 봉쇄면(684)에 의해 봉쇄된다. 이후 제 1 및 제 2 리테이너 부재(650, 680)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658, 688)에 끼워진 나사에 의해 홀더(60)의 벽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레버(80)가 홀더(6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23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80)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레버(80)의 샤프트 보디(852)와 제 1 리테이너 부재(650)의 베어링 요소(654)의 관계를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을 통과하고 X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에서 취한, 카트리지(20)를 로크시키는 레버(80)의 단면도이다. 도 23에서의 파선은 레버(80)의 샤프트 보디(850)의 투영된 형상을 도시하며, 2점 쇄선은 베어링 요소(654)와 봉쇄면(684)의 투영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3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레버(80)의 회전축(800c)은 샤프트 보디(850)의 내측 원호면(852) 및 외측 원호면(854)과 베어링 요소(654)의 접촉을 통해서 위치된다. 레버(80)를 반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회전시키면 샤프트 보디(850)의 반경방향 측면(856)이 베어링 요소(654)와 당접된다. 이는 레버(80)의 추가적인 반시계방향 회전(+Y축 방향으로 볼 때)을 제한한다. 레버(80)를 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회전시키면 샤프트 보디(850)의 반경방향 측면(858)이 봉쇄면(684)과 당접된다. 이는 레버(80)의 추가적인 시계방향 회전(+Y축 방향으로 볼 때)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레버(80)의 안정적인 회전이 보장되고 카트리지(20)가 설계된 부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레버(80)의 회전 중에, 탄성 부재(682)는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레버(80)의 결합 뒷면(880)과 당접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682)는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 중에 레버(80)의 회전 가능한 범위를 제한한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 시에, 탄성 부재(682)는 레버(80)의 결합 뒷면(880)과 당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결합 뒷면(880)을 -X축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는 레버(80)의 결합부(810)를 로크 위치(제 1 로크 위치)(810L)까지 확실하게 이동시킨다.
A-5.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
도 24 내지 도 27은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부착 또는 장착하기 위한 동작(부착 동작)을 도시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도 5 및 도 1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이 순서의 시계열로 배열된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위해서, 상기 동작은 먼저 도 24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20)를 홀더(60)의 상면을 통해서 삽입한다. 상기 동작은 이후 카트리지(20)의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측이 먼저 홀더(60) 내에 진입하도록 카트리지(2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삽입한다. 도 24의 상태에서, 카트리지(20)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홀더(60) 내에서 레버(80)의 결합부(810)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20)는 도 24의 상태로부터,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삽입되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그 주위로 시계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피봇되며, 따라서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이 홀더(60)의 바닥벽 부재(601)를 향해서 이동된다. 도 25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이후, 카트리지(20)의 Y축 방향 및 X축 방향 이동이 레버(80)의 안내 부재(820), 즉 도 19에 도시된 한 쌍의 안내 벽(860a, 860b) 및 안내 바닥벽(821)에 의해 규제되는 동안,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20)가 그 제 3 면(203) 측을 압입하기 위해 도 25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회전되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추가로 -Z축 방향으로 압입된다. 도 26에 도시하듯이, 레버(80)는 이후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회전한다. 레버(80)는 탄성 부재(682)와 당접되고, 레버(80)를 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되미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탄성 부재(682)로부터 받는다. 이 가압력은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갖는 외력이다. 따라서, 레버(80)의 회전 가능한 범위는 탄성 부재(682)에 의해 제한된다. 레버(80)가 탄성 부재(682)와 당접하고 탄성 부재(682)에 의해 가압되는 도 26의 상태는, 카트리지(20)가 더 압입되고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레버(80)의 안내 부재(820)를 타고 넘을 때까지 유지된다.
카트리지(20)가 그 제 3 면(203) 측을 압입하기 위해 도 26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회전되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결국 레버(80)의 안내 부재(820)를 타고 넘는다. 이후 레버(80)는 도 27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X축 방향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결합부(810)는 제 1 로크 위치(810L)로 이동하고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제 1 로크 위치(810L)에 로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하단의 확대도로 도시하듯이, 결합부(810)의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제 1 부분)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제 1 당접부)과 당접하여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결합부(810)의 제 2 장치측 로크면(813)(제 2 부분)은 또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제 2 당접부)과 당접하여 카트리지(20)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도 27의 확대도에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과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은 두 개의 개별적인 거의 직교하는 표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27a에 도시하듯이, 제 1 규제부(210)의 제 1 부분(212)은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과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이 동일 표면의 개별 섹션으로 구성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27b에 도시하듯이, 제 1 규제부(210)의 제 1 부분(212)은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과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이 동일 표면의 개별 섹션으로 구성되도록 편평한 경사면 또는 기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의 부분으로서, 카트리지(20)의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이후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가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와 결합하고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와 결합하는 동안 인쇄재 공급 튜브(640)와 연결된다. 이는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완성시킨다. 설계된 부착 위치에 카트리지(20)가 적절히 부착되면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카트리지(20)와 프린터(50) 사이에 신호 전달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 및 도 27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682)는 레버(80)와 당접하지 않고 따라서 레버(80)에 외력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레버(80)가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결합부(810)가 제 1 로크 위치(810L)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보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682)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80)와 당접하여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레버(80)에 인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적용에서, 탄성 부재(682)는 레버(80)의 위치에 관계없이 레버(80)에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힘을 계속 인가한다. 이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부착하기 위해 결합부(810)를 충분한 힘으로 제 1 로크 위치(810L)로 이동시킨다. 이는 결합부(810)에 의한 카트리지(20)의 로크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단단한 클릭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682)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전체 부품 개수가 감소된다.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830)를 -X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사용자는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의 외력(Pr)(도 5)을 조작 부재(830)에 인가한다. 그러면 레버(80)는 결합부(810L)를 회전축(800c) 주위로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도 23의 화살표 Y2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결합부(810)로부터 결합해제시키고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의 +Z축 방향 이동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다.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에 대한 규제가 해제되면 접점 기구(70)로부터의 가압력(Pt)에 의해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카트리지(20)를 도 27의 상태에서 도 26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20)는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에 삽입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더 회전됨으로써,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을 홀더(60)의 바닥벽 부재(601)로부터 끌어당긴다. 이는 카트리지(20)를 도 26의 상태에서 도 25의 상태로 이동시키고 추가로 도 24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외력을 돌출부(260)에 인가하여 카트리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조작은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을 반시계 방향으로(+Y축 방향으로 볼 때) 회전시키고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을 잡고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를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로부터 끌어당겨서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제거한다.
도 27의 확대도에 도시하듯이, 레버(80)의 조작 부재(830)는 조작 부재 대향면(831)을 구비한다. 부착된 상태의 카트리지를 홀더(6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 부재(830)를 누르면, 조작 부재 대향면(831)은 돌출부(260)와 접촉한다. 조작 부재 대향면(831)은 -X축 방향 벡터 성분 및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레버(80)를 회전축(800c) 주위로 화살표 Y27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 대향면(831)이 돌출부(260)와 접촉하고 돌출부(260)가 -X축 방향 벡터 성분 및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는 홀더(60)로부터 카트리지(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의 일부에 걸려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Z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때에도,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은 조작 부재 대향면(831)과 돌출부(260)를 사용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6. 부착 검출 단자를 이용한 부착 검출 방법
도 2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과 프린터(5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린터(50)는 디스플레이 패널(590), 전원 회로(580), 주 제어 회로(570) 및 서브-제어 회로(55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90)은 사용자에게 프린터(50)의 동작 상태 및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와 같은 각종 정보를 알리기 위한 표시부로서 작용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90)은 프린터(50)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조작부(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전원 회로(580)는 제 1 전원 전압(VDD)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전원(581), 및 제 2 전원 전압(VHV)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전원(582)을 구비한다. 제 1 전원 전압(VDD)은 논리 회로에 사용되는 일반 전원 전압(예를 들면, 정격 전압 3.3 V)이다. 제 2 전원 전압(VHV)은 헤드(540)(도 2)를 구동하여 잉크를 분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높은 전압(예를 들면, 정격 전압 42 V)이다. 이들 전압(VDD, VHV)은 서브-제어 회로(550)에 공급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회로에도 공급된다. 주 제어 회로(570)는 CPU(571)와 메모리(572)를 구비한다. 서브-제어 회로(550)는 메모리 제어 회로(551)와 부착 검출 회로(552)를 구비한다. 주 제어 회로(570)와 서브-제어 회로(550)를 포함하는 회로를 "제어 회로"로 지칭한다.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도 10)에 제공된 아홉 개의 단자 중에서, 리셋 단자(432), 클럭 단자(433), 전원 단자(436), 접지 단자(437) 및 데이터 단자(438)는 메모리 유닛(4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유닛(420)은 어드레스 단자를 갖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메모리 유닛(420)에서, 액세스될 메모리 셀은 클럭 단자(433)로부터 입력되는 클럭 신호(SCK)의 펄스 개수 및 데이터 단자(438)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메모리 유닛(420)은 클럭 신호(SCK)와 동기하여, 데이터 단자(43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 단자(438)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클럭 단자(433)는 서브-제어 회로(550)(도 28)로부터의 클럭 신호(SCK)를 메모리 유닛(420)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린터(50)는 메모리 유닛(4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예를 들면, 정격 전압 3.3 V)과 접지 전압(0 V)을 전원 단자(436)와 접지 단자(437)에 각각 인가한다. 메모리 유닛(4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은 프린터(50)에 의해 직접 인가되는 제 1 전원 전압(VDD)일 수 있거나 또는 제 1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제 1 전원 전압(VDD)보다 낮게 발생될 수 있다. 데이터 단자(438)는 서브-제어 회로(550)와 메모리 유닛(420)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셋 단자(432)는 서브-제어 회로(550)로부터 메모리 유닛(420)으로 리셋 신호(RST)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도 3)에서 배선을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모두 접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접지 단자(437)와 연결되어 접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접지 단자(437) 이외의 경로에 의해 접지될 수도 있다. 이 설명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메모리 단자의 일부[또는 메모리 유닛(420)]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접지 단자(437) 이외의 메모리 단자 또는 메모리 유닛(420)과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검출 단자가 메모리 단자 또는 메모리 유닛과 전혀 연결되지 않으면 부착 체크 신호 이외의 어떤 신호나 전압도 부착 검출 단자에 인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정확한 부착 검출이 보장된다. 도 28의 예시된 예에서는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가 배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지만, 연결 경로의 일부는 저항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8에서,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를 회로 기판(40)의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와 연결하는 각각의 연결 경로에는 경로명 SCK, VDD, SDA, RST, OV1, OV2, DT1, DT2가 할당된다. 메모리 유닛에 대한 연결 경로에 대한 경로명에는 신호 명칭이 사용된다.
도 29는 회로 기판(40)과 부착 검출 회로(552)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회로 기판(40)의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대응 장치측 단자(731, 734, 735, 739)를 통해서 부착 검출 회로(552)에 연결되어 있다. 회로 기판(40)의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는 접지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731, 734, 735, 739)와 부착 검출 회로(552) 사이의 연결 경로는 풀업(pull-up) 저항을 통해서 서브-제어 회로(550)의 전원 전압(VDD)(정격 전압 3.3 V)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9의 예시된 예에서, 회로 기판(40) 상의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 중 세 개의 단자(431, 434, 435)는 대응 장치측 단자(731, 734, 735)와 양호한 연결 상태에 있다. 그러나, 부착 검출 단자(439)는 대응 장치측 단자(739)와 불량한 연결 상태에 있다. 연결 상태가 양호한 세 개의 장치측 단자(731, 734, 735)에 대한 연결 경로의 전압은 L 레벨(접지 전압 레벨)인 반면, 연결 상태가 불량한 장치측 단자(739)에 대한 연결 경로의 전압 레벨은 H 레벨(전원 전압 VDD 레벨)이다. 부착 검출 회로(552)는 이들 연결 경로의 전압 레벨을 체크하여,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731, 734, 735, 739) 각각에 대한 연결 상태의 양호/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회로 기판(40)의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의 접촉부(cp)는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의 접촉부(cp)를 포함하는 제 1 영역(400P) 외측에 배치된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의 접촉부(cp)는 제 1 영역(400P)을 포함하는 사각형 제 2 영역(400T)의 네 개의 코너에 배치된다. 제 1 영역(400P)은 다섯 개의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의 접촉부(cp)를 포함하는 가능한 최소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영역(400T)은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의 모든 접촉부(cp)를 포함하는 가능한 최소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 모두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 경우, 카트리지(20)는 큰 경사가 없으며,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에 대한 양호한 접촉 상태를 보장한다.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자의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경우, 카트리지는 큰 경사를 가지며,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자의 불량한 접촉 상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자의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 부착 검출 회로(552)는 디스플레이 패널(590)에 부착 실패를 알리는 정보(문자 또는 화상)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부착 실패를 통지한다.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의 접촉부(cp)는 하기의 이유로,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의 접촉부(cp)를 포함하는 제 1 영역(400P)을 둘러싸는 네 개의 코너에 배치된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가 어느 정도 기울어질 여유가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20)의 회로 기판(40)은 홀더(60)의 접점 기구(70)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가 기울어져 회로 기판(40) 상의 상측 라인(R2)(도 10a)에 있는 단자(431 내지 434)(보다 구체적으로 그 접촉부)가 하측 라인(R1)(도 10a)에 있는 단자(435 내지 439)(보다 구체적으로 그 접촉부)보다 접점 기구(70)로부터 멀어지면 상측 라인(R2)의 단자(431 내지 434) 중 임의의 단자에서 접촉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가 기울어져 회로 기판(40) 상의 하측 라인(R1)(도 10a)에 있는 단자(435 내지 439)(보다 구체적으로 그 접촉부)가 상측 라인(R2)(도 10a)에 있는 단자(431 내지 434)(보다 구체적으로 그 접촉부)보다 접점 기구(70)로부터 멀어지면 하측 라인(R1)의 단자(435 내지 439) 중 임의의 단자에서 접촉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가 기울어져 회로 기판(40)(도 10a)의 좌측단이 우측단보다 접점 기구(70)로부터 멀어지면 회로 기판(40)의 좌측에 있는 단자(431, 432, 435, 436, 437) 중 임의의 단자에서 접촉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가 기울어져 회로 기판(40)(도 10a)의 우측단이 좌측단보다 접점 기구(70)로부터 멀어지면 회로 기판(40)의 우측에 있는 단자(433, 434, 437, 438, 439) 중 임의의 단자에서 접촉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접촉 불량은 메모리 유닛(420)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메모리 유닛(420)에 데이터를 기입하는데 있어서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메모리 단자(432, 433, 436, 437, 438)의 접촉부(cp)를 포함하는 제 1 영역(400P) 외측의 네 코너에 배치되는 네 개의 부착 검출 단자(431, 434, 435, 439) 모두의 접촉부(cp)를 접촉 양호/불량에 대해 체크하면 이러한 기울어짐으로 인한 접촉 불량 및 그로 인한 메모리 유닛(420)에서의 액세스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A-7.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
A-7-1. 상기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 및 미국 특허 제6,276,780호에 개시된 구성에 비한 본 실시예의 유리한 특정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에서는, 홀더(60) 상에 레버(80)가 제공되고, 카트리지(20) 상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제공된다.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레버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된다. 홀더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인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구성과 달리, 레버의 회전축과 조작 부재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와 카트리지 측면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을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은 레버(80)와 카트리지의 제 3 면(203) 사이의 거리, 즉 X축 방향 치수를 단축시키며, 레버의 길이, 즉 Z축 방향 치수를 단축시킨다. 이는 프린터(50) 및 전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의 상당한 소형화뿐 아니라, 카트리지(20)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재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을 유리하게 절감한다. 이 유리한 효과는 미국 특허 제6,276,780호에 기재되어 있듯이 단순히 레버를 카트리지 대신에 프린터 홀더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달성되지 않는다. 이 유리한 효과는, 레버(80)의 회전축(800c)을 조작 부재(830)와 결합부(810) 사이에 제공하고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레버(80)의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은 비교적 짧은 레버(80), 및 크기가 작고 구성이 단순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예를 들면,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성에 비해서 레버(80) 및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강성이 증가되며 레버(80) 및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카트리지(20)]에 대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결과 레버(80) 및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소성 변형 또는 크리프 변형 가능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부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는 홀더(60)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와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 사이에 정상적이거나 양호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도통 불량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20)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특히 진공 포장 시에 레버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이 유리한 효과를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에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에서,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레버(80)의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전술했듯이,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는 카트리지(20)의 부착 상태에서 회로 기판(40)을 되미는 방향으로(즉, +Z축 방향 벡터 성분과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압력(Pt)을 발생시킨다. 이 가압력(Pt)은 카트리지(20)를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인쇄재 공급 시스템(10)에서는, 레버(80)의 회전축(800c)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레버(80)는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측에서 -Z축 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레버(80)의 회전축(800c)의 -Z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에 설치된다. 카트리지(2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레버(80)에는 도 5의 화살표 M으로 도시하듯이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 모멘트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되게 하도록 작용한다. 이 모멘트는 또한, 가압력(Pt)의 X축 방향 벡터 성분에 의해 카트리지(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서 레버(80)의 결합부(810)를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는 장치측 바닥벽 부재(601) 및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대해 가압될 힘을 받는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은 카트리지(20)가 홀더(60)로부터 의도치 않게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와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 사이의 정상적이거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27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결합부(810)의 제 1 부분(811)과 당접하여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 및 결합부(810)의 제 2 부분(813)과 당접하여 카트리지(20)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카트리지측 로크면(213)을 구비한다. 이는 도 5에 화살표 M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보장하며,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9)와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 사이의 도통 불량 가능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1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2 부분(214)을 갖는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 시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의 -Z축 방향측 위치에 로크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 도중에, 사용자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대해 도 27의 상태보다 -Z축 방향으로 더 깊이 가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2 부분(214)이 레버(80)의 제 2 장치측 로크면(813)과 당접함으로써,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결합부(810)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결합부(210)가 의도치 않은 로크 위치에서 결합부(810)에 의해 로크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A-7-2. 카트리지 부착 상태에서 외력의 영향 감소
도 30은 부착 또는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20)에 인가되는 외력을 도시한다. 프린터(50)의 인쇄 작업 중에, 홀더(60)와 카트리지(20)는 메인 스캔 방향[Y축 방향 또는 카트리지(2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동한다. 따라서, 카트리지(20)는 홀더(60)의 가속 및 감속 중에 폭 방향의 외력(관성력)을 받는다. 외력을 받는 카트리지(20)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도 27) 및 인쇄재 공급 튜브(640) 주위로 폭 방향 벡터 성분(Y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은 화살표 YR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 측은 화살표 YR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2) 측은 또한 화살표 YR3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화살표 YR1의 방향과 화살표 YR2의 방향은 Z축 주위로의 회전 방향이며, 이는 Y축 방향 벡터 성분(폭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화살표 YR3의 방향은 X축 주위로의 회전 방향이며, 이는 Y축 방향 벡터 성분(폭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카트리지(20)를 화살표 YR3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카트리지(20)의 제 5 면(205) 또는 제 6 면(206) 중 어느 하나가 +Z축 방향으로 끌려올라간다. 그러나, 전술했듯이, 이러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은 레버(80)에 의해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교차 부분(295)에 가깝다. 즉,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회로 기판(40)의 기판 단부(405)에 가깝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레버(80)에 의해 로크되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주위는 외력에 의한 위치 변동이 거의 없다. 위치 변동이 매우 작은 위치에 카트리지측 단자(400)를 설치함으로써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각 단자(431 내지 439)의 위치상 오정렬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이러한 유리한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적어도 일부[구체적으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를 Y축 방향(폭 방향)으로[카트리지(20)를 제 3 면(203) 측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 1 외측 부분(435P)과 제 2 외측 부분(439P)(도 10a)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의 코너 섹션(265)은 제 1 면(201)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제 7 면)(207)을 갖는다. 제 7 면(207)은 경사면(제 8 면)(208)의 -X축 방향측 및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7 면(207)은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를 갖는다.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듯이, 홀더(60)는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돌출부)(636)를 갖는다.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는 돌출부(636)와 접촉한다. 이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 및 잉크 공급 구조물(280) 주위로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의 폭 방향 이동을 더 규제한다.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는 본 실시예에서 기술했듯이, 그 사이에 돌출부(636)를 수용하기 위해 제 7 면(207)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는 인쇄재 공급 튜브(640) 및 잉크 공급 구조물(280) 주위로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의 폭 방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한다.
도 13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40)의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50)는 X축 방향으로[카트리지(20)를 제 1 면(201) 측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볼 때] 부분적으로 상호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카트리지(20)의 화살표 YR1 방향 이동을 더 효과적으로 규제하며 따라서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이동(편위)을 방지한다.
상기 설명에서, 카트리지(20)에 인가되는 폭방향 외력은 카트리지(20)의 메인 스캔 방향 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관성력이다. 그러나, 카트리지(20)에 인가되는 외력은 이러한 관성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프-캐리지 타입 프린터에서, 인쇄 헤드는 메인 스캔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카트리지(20)는 고정 홀더(60)에 부착되므로 메인 스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프-캐리지 타입 프린터에서, 카트리지(20)는 외력을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인쇄 헤드의 메인 스캔 방향 이동에 기인하는 진동으로 인해 카트리지(20)에 외력(관성력)이 인가될 수 있다.
A-7-3.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의 기울기 감소
도 1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카트리지(20)의 폭(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Yc)과 교차하도록 제공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는 홀더(60)로부터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가압력(Ps, Pt)을 받는다. 이들 가압력(Ps, Pt)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레버(80)의 결합부(810)에 대해 가압한다. 부착 상태의 카트리지(20)가 외력에 의해 X축 또는 Z축 주위로 회전할 때도,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 부근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교차 부분(295)에 가깝게, 즉 기판 단부(405)에 가깝게 위치한다. 움직임이 거의 없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접점 기구(7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보장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 중, 특히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위치를 규제하는데 효과적인 부분은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다. 따라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을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3 부분(215)을 생략하고 제 1 부분(212)을 제 1 면(290)과 접촉하여 배치시키면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 교차 부분(295) 또는 기판 단부(405)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접점 기구(7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더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접촉부(cp) 중에서, Y축 방향으로 중앙에 접촉부(cp)를 갖는 접지 단자(437)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나머지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의 접촉부(cp)는 평면(Yc)과 접지 단자(437)의 교차선을 축으로 하여 이에 대해 대칭되도록 배열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평면(Yc)은 특히 움직임이 거의 없다. 카트리지측 단자(400)는 움직임이 거의 없는 평면(Yc) 상에 또는 그 근방에 제공된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제공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카트리지측 단자(400)를 평면(Yc) 상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접점 기구(7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더 보장된다.
A-7-4. 부착 상태의 경사진 카트리지(20)의 미세 조정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는 Y축 방향으로,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435P)과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가장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439P) 사이의 범위(40Y)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된 후, 카트리지측 단자(400)는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Z축 방향 벡터 성분의 힘을 받으며, 따라서 카트리지(20)의 기울기,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측 단자(400)가 제공되는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방향을 미세 조정한다. 제조 오차에 의해 각각의 장치측 단자(731 내지 739)의 장치측 경사면(708)으로부터의 위치, 또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의 수평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방향의 미세 조정은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도 31은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방향의 미세 조정을 도시한다. 카트리지(20)의 자세의 미세 조정 이후 카트리지(20)의 위치는 파선으로 도시된다. 본 예에서, 장치측 단자(700) 중 부착 검출 단자(731)는 장치측 경사면(708)(도 18)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설계된 양보다 더 돌출한다. 이 경우,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부착 검출 단자(731)로부터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힘(Ph)을 받는다.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을 범위(40Y)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20)는 X축 주위로 더 회전할 수 있다. 즉,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힘(Ph)을 인가함으로써 카트리지(20)의 자세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도 31의 도시된 예에서, 카트리지(20)의 자세는 제 6 면(206) 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미세 조정된다.
A-7-5.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의 유리한 효과
카트리지(20)는 제 4 면(204) 상에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도 27)를 가지며, 이 규제부는 카트리지(20)의 +X축 방향 측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더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제 4 면(204)으로부터 -X축 방향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홀더(60)의 관통 구멍 형태의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3)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착탈하기 위해 카트리지(20)를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3)에 삽입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의 부근 주위로 회전시킨다.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따라서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 구성은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 형태의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에 쉽게 제공될 수 있다.
A-7-6. 돌출부(260)의 유리한 효과
도 27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는 제 3 면(203)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Z축 방향측에 돌출부(260)를 갖는다. 홀더(60)로부터 카트리지(20)를 분리시키기 위해, 레버(80)의 조작 부재(830)에 +X축 방향측으로부터 -X축 방향측으로 힘을 가하면 조작 부재(830)가 돌출부(260)와 접촉하여 돌출부(260)를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Yh)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돌출부(260)는 +Z축 방향 벡터 성분의 힘을 받는다. 이는 조작 부재(830)를 이용하여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쉽게 분리시킨다. 카트리지(20)가 홀더(60)의 일부에 걸려서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이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때에도,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은 돌출부(260)를 사용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부재(830)로부터 돌출부(260)에 외력이 직접 인가되지만, 조작 부재(830)로부터 돌출부(26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작 부재(830)를 회전시키면 결합부(810)가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의 +Z축 방향 이동에 대한 규제가 해제된다.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이동에 대한 규제가 해제되면 접점 기구(70)로부터의 가압력(Pt)에 의해 카트리지(20)의 제 3 면(203) 측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카트리지(20)의 돌출부(260)는 동시에 방향(Yh)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방향(Yh)으로 이동하는 돌출부(260) 주위를 잡고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쉽게 분리시킨다. 돌출부(260)를 제공함으로써, 조작 부재(830)로부터 돌출부(260)에 외력을 직접 인가하지 않고서도 카트리지(20)를 홀더(60)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성이 향상된다.
A-7-7. 잉크 공급 구조물(280) 위치의 유리한 효과
도 27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201) 상의 제 3 면(203)보다 제 4 면(204)에 가까운 위치에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제공된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외표면과 제 3 면(203) 사이의 거리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의 외표면과 제 4 면(204)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카트리지측 단자(400)는 제 3 면(203)과 인접한 경사진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제공된다. 즉,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카트리지측 단자(400)에서 떨어진 위치에 제공된다. 이는 잉크가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접착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한다.
A-7-8. 접지 단자(437)의 유리한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측 단자(400)의 접촉부(cp) 중에서, Y축 방향으로 중앙에 접촉부(cp)를 갖는 접지 단자(437)는 카트리지(20)의 폭(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Yc)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접지 단자(437)는 카트리지(20)가 홀더(60)에 부착되는 도중에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에 앞서 접점 기구(7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홀더(60)로부터 회로 기판(40)에 최초로 인가되는 가압력은 카트리지(20)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거의 중심에 발생된다. 이는 회로 기판(40)에 인가된 가압력이 카트리지(20)를 Y축 방향으로 경사시키도록 작용하지 못하게 하며, 따라서 설계된 부착 위치에서의 카트리지(20)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접지 단자(437)가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431 내지 436, 438, 439)에 앞서 홀더(60)의 접점 기구(70)와 접촉하는 것은, 카트리지(20)에 예기치않은 고전압이 인가될 때에도, 접지 단자(437)의 접지 기능에 의해, 고전압이 초래하는 트러블 및 고장을 유리하게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A-7-9.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의 형상의 유리한 효과
도 21에 도시하듯이,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X축 및 Z축에 평행한 단면에서 회전축(800c) 주위로 원호 형상의 곡면이다. 이는 홀더(60)를 카트리지(20)에 착탈하기 위한 매끄러운 동작을 보장한다.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20)를 홀더(60)에 부착하는 도중에 탄성 부재(648)(도 27)에 의한 +Z축 방향으로의 되밀기 양이 감소된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장치측 단자(700)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이러한 유리한 효과의 일 예를 도 32a 내지 도 32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2a 내지 도 32f의 수직 방향이 Z축 방향에 대응하는 바, 그 상측 방향이 +Z축 방향에 대응하고 그 하측 방향이 -Z축 방향에 대응하며, 이들 방향은 상호 대향한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을 이용한 카트리지의 부착을 도시하며, 이 순서로 시계열로 배치된다.
도 32a에 도시하듯이,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위해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안내 바닥벽(821)과 당접하면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2b에 도시하듯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안내 바닥벽(821)을 통해서 -Z축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화살표 Y32 방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카트리지(20)를 -Z축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카트리지(20)에서 손을 떼면, 카트리지(20)는 탄성 부재(648) 및 장치측 단자(700)의 가압력(Ps, Pt)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압상된다. 도 32c에 도시하듯이,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이 곡면으로 형성될 때 카트리지(20)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압상(pressed-up) 양은 D1이다.
도 32d 내지 도 32f에 도시하듯이, 제 1 장치측 로크면(811t)이 평면으로 형성될 때,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압상 양은 D2이며, 이는 D1보다 크다.
카트리지(20)가 부착된 상태에서,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평면으로 형성된 제 1 장치측 로크면(811t)보다 -Z축 방향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의 압상 양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또는 제 1 로크 위치(810L)에 위치하는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은 X축 방향으로 회전축(800c)에 가깝다(도 21). 이는 실제 로크 위치가 제 1 로크 위치(810L)로부터 X축 방향으로 편위될 때에도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것은 홀더(60)에 대한 카트리지(20)의 Z축 방향 편위를 방지한다.
B. 추가 실시예
도 3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50)를 도시한다. 도 3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7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의 프린터(50)와의 차이는 리테이너(690a)가 탄성 부재(682)를 갖지 않는 것이다. 그 밖에 제 2 실시예의 프린터(50a)는 제 1 실시예의 프린터(50)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부호로 지칭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프린터(50)에 부착된 카트리지(20)는 제 1 실시예의 프린터(50)에 부착된 카트리지(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3에 도시하듯이, 리테이너(690a)는 레버(80)를 -X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레버(80)는 그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이 그 자중에 의해 제 1 로크 위치(810L)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20)의 제 1 카트리지측 로크면(211)은 레버(80)의 제 1 장치측 로크면(811)에 의해 로크된다.
제 2 실시예의 프린터(50a)는 제 1 실시예의 프린터(60)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탄성 부재를 갖지 않는 리테이너(690)의 구성은 리테이너(690)의 손상 또는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전체 부품 개수가 감소되어 프린터(50a)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C. 제 3 실시예
도 3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b)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도 7)와의 차이는 카트리지(20b)의 크기이다. 그 밖에 제 3 실시예의 카트리지(20b)는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부호로 지칭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의 프린터는 카트리지(20b)를 위해 채택되지만, 홀더(60) 및 제 1 실시예의 홀더(60)에 제공된 각각의 부재[예를 들면, 레버(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카트리지(20b)는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보다 큰 치수를 가지며, 많은 양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b)는 대형 용지(예를 들면, A2 내지 A0 사이즈)를 인쇄할 수 있는 대형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b)는 장착 방향(SD)으로서 -Z축 방향으로 대형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Z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X축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은 수직 상방 방향이며, -X축 방향은 수직 하방 방향이다.
D. 카트리지 구성의 수정예
도 35 내지 도 37은 카트리지 구성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이들 카트리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프린터 용으로 설계된다.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이들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는 유사한 부호로 지칭된다.
D-1. 카트리지 외형의 수정예
도 35a 내지 도 35h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외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5a에 도시된 카트리지(20c)는 타원형 또는 장원형 측면의 하우징을 갖는다. 카트리지(20c)는 앞면에 제공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 및 회로 기판(40)을 갖는다. 카트리지(20c)의 하면에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형성되고, 카트리지(20c)의 뒷면에는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가 형성된다. 이 카트리지(20c)는 그 앞면 쪽에서 볼 때 일정한 폭을 갖는다. 이 카트리지(20c)는, 제 1 및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10, 220), 회로 기판(40) 및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프린터(50)의 대응 부분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도 7에 도시된 카트리지(20)와 호환될 수 있다.
도 35b에 도시된 카트리지(20d)는 도 7에 도시된 카트리지(20)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도 7의 카트리지(20)와의 큰 차이는 제 8 면(208)이 제 3 면(203)의 하단으로부터 연속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도 35g에 도시된 카트리지(20l)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가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가깝게 제공되는 배치와 더불어, 카트리지(20d)와 설계 및 형상이 유사하다. 도 35c 및 도 35d에 도시된 카트리지(20e, 20f)는 도 7의 카트리지(20)에 포함되는 제 7 면을 갖지 않는다. 도 35e에 도시된 카트리지(20g)는 스프링(A)에 의해 제 8 면(208)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40)을 갖는다. 도 35f에 도시된 카트리지(20h)는 제 8 면(208) 대신에, 힌지면 또는 가동면(208h)을 가지며, 이 가동면(208h) 상에 회로 기판((40)이 장착된다. 카트리지(20h)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가동면(208h)은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한다. 카트리지(20h)가 프린터 내에 적절하게 장착되고 가동면(208h)이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있으면, 회로 기판(40) 상의 단자의 접촉부는 접촉부 평면(TP) 상에 정렬된다. 이들 카트리지(20c 내지 20g) 또한, 제 1 및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10, 220), 회로 기판(40) 및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프린터(50)의 대응 부분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도 7에 도시된 카트리지(20)와 호환될 수 있다. 도 35h에 도시된 카트리지(20m)는, 일 단부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와 연결되고 타 단부에서 힌지 또는 기타 피봇 기구를 거쳐서 카트리지(20m)의 상부(202)에 연결되는 세장형 부재(211a)를 갖는다. 단자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편평한 형상이지만, 세장형, 선형 또는 기타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i는 세장형 단자(400n)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j)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접촉부(cp)는 단자 평면(TP) 상에 정렬된다. 도 35j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j)는 도 18에 도시된 장치측 접점 기구(70)와 거의 동일한 구성(단자의 구성을 포함)을 갖는 접점 기구(70j)를 구비한다. 접점 기구(70j)는, 카트리지(20j)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접점 기구(70)의 단자(700)와 접촉하고 단자 평면(TP) 상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접촉부를 갖는 탄성 단자를 갖는다. 단자가 편평한 형상이 아닌 도 35i 및 도 35j와 같은 실시예에서, "단자 지지 구조물" 및 "경사면"은, 접촉부를 지지하고 따라서 접촉부 평면(TP)에 의해 도시되는 단자의 부분과 거의 동일한 카트리지 단자의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장치측 레버와 결합하는 규제부(210)의 부분은 (1) 상면(202)과 앞면(203)의 교차부, (2) 상면(202)과 앞면(203) 중 하나와 상면(202)과 앞면(203) 중 다른 하나의 연장부의 교차부, 또는 (3) (예를 들면, 카트리지 보디가 도 35a 및 도 35d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상의 상면 및 앞면을 가질 때) 상면(202)과 앞면(203) 양자의 연장부의 교차부보다 접촉부 평면(TP)이 앞면(203)과 교차하는 곳과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도 35j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j)의 회로 기판(40j)은 접점 기구(70j)의 내부에 배치되고, 접점 기구(70j)를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 장치측 접점 기구(70)와 접촉한다.
도 35a 내지 도 35h에 도시된 예로부터 명확하듯이, 카트리지 외형의 다양한 다른 수정예가 존재한다. 도 35a 및 도 35d에 파선으로 도시하듯이 대략 직방체 이외의 외형을 갖는 카트리지의 경우에, 직방체의 여섯 개 면, 즉 하면(201)(제 1 면), 상면(202)(제 2 면), 앞면(203)(제 3 면), 뒷면(204)(제 4 면), 좌측면(205)(제 5 면) 및 우측면(206)(제 6 면)은 가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과 "평면"이라는 용어는 도 35a 또는 도 35d에 도시된 가상 평면 또는 비실제(상상) 평면 및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제 평면을 의미한다. "면"과 "평면"이라는 용어는 편평면과 곡면 모두를 포함한다.
D-2. 어댑터를 구비한 카트리지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구비한 카트리지(20i)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20i)는 잉크 챔버(200)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와 어댑터(299)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후 인쇄 장치의 홀더에 장착되기 위해 교합될 수 있다. 잉크 챔버(200) 내의 인쇄재가 모두 소모되면, 사용자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를 새 것으로 교체하거나, 컨테이너 조립체(200i)에 인쇄재를 재충전한다. 어댑터(299)는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카트리지(20i)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와 호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i)용 하우징(22i)은 컨테이너 조립체(200i)용 하우징과 어댑터(299i)용 하우징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컨테이너 조립체(200i)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잉크 챔버(200), 잉크 공급 구조물에 잉크 또는 인쇄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유로(282), 및 수지 발포체(284)를 구비한다. 컨테이너 조립체(200i)는 카트리지(20i)의 제 2 면(202)에 대응하는 제 2 면(202i)을 갖는다. 컨테이너 조립체(200i)는 카트리지(20i)의 제 1 면(201) 및 제 3 면 내지 제 8 면(203 내지 208)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면(201i), 제 3 면(203i), 제 4 면(204i), 제 5 면(도시되지 않음), 제 6 면(206i), 제 7 면(207i) 및 제 8 면(208i)을 갖는다. 제 1 면(201i)과 제 2 면(202i)은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1 면(201i)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2 면(202i)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203i)과 제 4 면(204i)은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3 면(203i)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4 면(204i)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5 면(도시되지 않음)과 제 6 면(206i)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5 면(도시되지 않음)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6 면(206i)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7 면(207i)과 제 8 면(208i)은 제 1 면(201i)을 제 3 면(203i)과 연결하는 연결면을 형성한다. 제 7 면(207i)은 제 1 면(201i)과 직교하며, Y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YZ 평면)을 형성한다. 단차면으로서의 제 7 면(207i)은 제 1 면(201i)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따라서, 제 7 면(207i)은 제 1 면(201i)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7 면(207i)은 제 8 면(208i)의 -X축 방향측 및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8 면(208i)은 제 7 면(207i)을 제 3 면(203i)과 연결하며, +X축 방향 벡터 성분 및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제 8 면(208i)은 제 1 면(201i) 및 제 3 면(203i)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제 5 면(도시되지 않음) 및 제 6 면(206i)과 직교한다. 즉, 제 8 면(208i)은 XY 평면 및 YZ 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XZ 평면에 직교한다.
어댑터(299)는 카트리지(20i)의 제 1 면(201), 제 3 면(203), 제 4 면(204), 제 5 면(205), 제 6 면(206), 제 7 면(207) 및 제 8 면(208)에 대응하는 면을 갖는다. 카트리지(20i)의 제 2 면(202)에 대응하는 어댑터(299)의 면은 개구이다. 어댑터(299)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어댑터(200)의 제 1 면(201)은 잉크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다. 그 밖에, 카트리지(20i)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의 구성에 비해서 일부가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도 36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99)에 제공되거나 또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40)은 도 36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99)에 제공되거나 또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규제부(210)와 회로 기판(40)이 모두 컨테이너 조립체(200i) 또는 어댑터(299)에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하나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어댑터(299)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0i)는 전술했듯이 컨테이너 조립체(200i)와 어댑터(299)의 조합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20j)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20j)는 잉크 챔버(200)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조립체(200j)와 어댑터(299j)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후 인쇄 장치의 홀더에 장착되기 위해 교합될 수 있다. 잉크 챔버(200) 내의 인쇄재가 모두 소모되면, 사용자는 컨테이너 조립체(200j)를 새 것으로 교체하거나, 컨테이너 조립체(200j)에 인쇄재를 재충전한다. 어댑터(299)는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카트리지(20j)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와 호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j)용 하우징(22j)은 컨테이너 조립체(200j)용 하우징과 어댑터(299j)용 하우징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컨테이너 조립체(200j)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잉크 챔버(200) 및 잉크 공급 구조물(280)을 구비한다. 컨테이너 조립체(200j)는 카트리지(20j)의 제 2 면(202) 및 제 6 면(206)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면(202j) 및 제 6 면(206j)을 갖는다. 컨테이너 조립체(200j)는 또한 카트리지(20j)의 제 1 면(201), 제 3 면(203), 제 4 면(204), 제 5 면(205), 제 7 면(207) 및 제 8 면(208)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면(201j), 제 3 면(203j), 제 4 면(204j), 제 5 면(도시되지 않음), 제 7 면(207j) 및 제 8 면(208j)을 갖는다. 제 1 면(201j)과 제 2 면(202j)은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1 면(201j)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2 면(202j)은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203j)과 제 4 면(204j)은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3 면(203j)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4 면(204j)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5 면(도시되지 않음)과 제 6 면(206j)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제 5 면(도시되지 않음)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6 면(206j)은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7 면(207j)과 제 8 면(208j)은 제 1 면(201j)을 제 3 면(203j)과 연결하는 연결면을 형성한다. 제 7 면(207j)은 제 1 면(201j)과 직교하며, Y축 및 Z축에 평행한 평면(YZ 평면)을 형성한다. 단차면으로서의 제 7 면(207j)은 제 1 면(201j)에 대해 수직하게 각도 형성된다. 따라서, 제 7 면(207j)은 제 1 면(201j)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7 면(207j)은 제 8 면(208j)의 -X축 방향측 및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8 면(208j)은 제 7 면(207j)을 제 3 면(203j)과 연결하며, +X축 방향 벡터 성분 및 -Z축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제 8 면(208j)은 제 1 면(201j) 및 제 3 면(203j)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제 5 면(도시되지 않음) 및 제 6 면(206j)과 직교한다. 즉, 제 8 면(208j)은 XY 평면 및 YZ 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XZ 평면에 직교한다.
어댑터(299j)는 카트리지(20j)의 제 1 면(201), 제 3 면(203), 제 4 면(204) 및 제 5 면(205)에 대응하는 면을 갖는다. 카트리지(20j)의 제 2 면(202) 및 제 6 면(206)을 형성하는 어댑터(299j)의 면은 개구이다. 어댑터(299j)는 컨테이너 조립체(200j)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어댑터(299j)는 또한 제 1 면(201)의 부분에 개구를 갖는다. 컨테이너 조립체(200j)에 제공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어댑터(299j)의 제 1 면(201)에 제공된 개구에서 노출되며, 인쇄재 공급 튜브(640)(도 2)와 연결된다. 카트리지(20j)는 제 1 실시예(도 7 참조)의 구성보다 단순한 구성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갖지만, 제 1 실시예(도 7)와 동일한 구성의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도 37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99j)의 일부일 수 있거나, 컨테이너 조립체(200j)(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40)은 도 37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99j)에 제공되거나 또는 컨테이너 조립체(200j)(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규제부(210)와 회로 기판(40)이 모두 컨테이너 조립체(200j) 또는 어댑터(299)에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하나는 컨테이너 조립체(200j)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어댑터(299j)에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20j)는 제 1 실시예의 제 3 면(203) 및 제 4 면(204)보다 낮은 높이(짧은 Z축 방향 길이)의 제 3 면(203) 및 제 4 면(204)을 갖지만,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높이(동일한 Z축 방향 길이)의 제 3 면(203) 및 제 4 면(204)을 가질 수도 있다. 카트리지(20j)는 돌출부(260)를 갖지 않지만, 제 1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260)를 가질 수도 있다. 그 밖에 카트리지(20j)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의 구성에 비해서 일부가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카트리지(20j)는 전술했듯이 컨테이너 조립체(200j)와 어댑터(299j)의 조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7b는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구성된 카트리지(20p)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카트리지(20p)가 어댑터(299p)와 컨테이너 조립체(200p)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어댑터(299p)는 카트리지(20p)가 프린터에 장착되기 전에 컨테이너 조립체(200p)의 단부(201p)(점선으로 도시됨) 위에 끼워진다. 또한, 단자(400p)는 어댑터(299p)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된다. 단자가 편평면에 형성될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카트리지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거나에 관계없이, 단자가 형성되는 편평면은 "경사면" 또는 "단자 지지 구조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20k)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카트리지(20k)는 어댑터(299k), 외부 탱크(200T), 튜브(200L) 및 보조 어댑터(200S)를 구비한다. 어댑터(299k)는 도 37을 참조하여 전술한 어댑터(299j)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외부 탱크(200T)는 인쇄재를 수용하며, 도 1에 도시된 프린터(50) 외측에 설치된다. 보조 어댑터(200S)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k)을 갖는다. 튜브(200L)는 외부 탱크(200T)로부터 보조 어댑터(200S)로 인쇄재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외부 탱크(200T), 보조 어댑터(200S) 및 튜브(200L)는 잉크 또는 인쇄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 조립체(200k)로서 작용한다. 도 38에 파선으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20k)는 따라서 컨테이너 조립체(200k)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20k)는 도 36에 도시된 카트리지(20i) 및 도 37에 도시된 카트리지(20j)와 같이 컨테이너 조립체(200k)와 어댑터(299k)로 분리될 수 있다. 외부 탱크(200T) 내의 인쇄재가 모두 사용된 후, 사용자는 외부 탱크(200T)를 새 것으로 교체하거나, 외부 탱크(200T)에 인쇄재를 재충전한다. 어댑터(299k)는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카트리지(20k)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와 호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k)의 하우징(22k)은 가상 컨테이너 조립체(200k)용 하우징과 어댑터(299k)용 하우징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가상 컨테이너 조립체(200k)의 구성 및 어댑터(299k)의 구성은 도 37을 참조하여 전술한 카트리지(20j)의 구성에 비해서 일부가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하다. 그 밖에 카트리지(20k)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카트리지(20)의 구성에 비해서 일부가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카트리지(20k)는 전술했듯이 컨테이너 조립체(200k)와 어댑터(299k)의 조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E. 레버의 수정예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682)는 레버(80)와 별개로 제공된다(도 22). 레버(8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레버의 수정예를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a 및 도 39b는 일 수정예에 따른 레버(80a)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9a는 레버(80a)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9b는 레버(80a)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1 실시예의 레버(80)와의 차이점은, 레버(80)가 추가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아암 부재(890)를 갖고, 다른 형상의 조작 부재(830a)를 가지며, 홈(870)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밖에 레버(80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버(도 19)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레버(80a)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도 40은 홀더(60a)에 대한 카트리지(20)의 부착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는 제 2 부분(214)(도 12)을 갖지 않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a)를 갖는다. 레버(80a)의 샤프트 보디(850)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603)에 부착된다. 레버(80a)가 샤프트 보디(850) 주위로 회전할 때, 아암 부재(890a)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603)의 탄성 변형될 부분으로서 형성된 돌출부(603t)와 당접한다.
F. 카트리지측 단자의 수정예
도 41a 내지 도 41c는 회로 기판 상의 단자 형상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된 회로 기판(40)과의 차이점은 회로 기판(40c 내지 40e)의 단자(431 내지 439) 형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도 41a에 도시된 회로 기판(40c) 및 도 41b에 도시된 회로 기판(40d) 상의 각각의 단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략 직방체 형상(도 10a) 대신에,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다. 도 41c에 도시된 회로 기판(40e)에서는, 아홉 개의 단자(431 내지 439)가 일 열로 배열되며, 여기에서 부착 검출 단자(435, 439)는 양 단부에 배치되고, 부착 검출 단자(431, 434)는 각각 부착 검출 단자(435)와 전원 단자(436) 사이, 및 부착 검출 단자(439)와 데이터 단자(438)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회로 기판(40c 내지 40e)에서, 이들 단자(431 내지 439)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이들 단자(431 내지 439)의 접촉부(cp)는 도 10a에 도시된 회로 기판(4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개별 단자는 접촉부(cp)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 다양한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G. 다른 수정예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능한 수정예의 일부 예를 후술한다.
G-1. 제 1 수정예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면(204)에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와 홀더(60)의 각 슬롯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극이 존재할 때,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 측의 +Z축 방향 이동은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 없이도 제 4 면(204)의 외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와 당접함으로써 규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20)가 홀더(60) 내에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과 홀더(60)의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 사이에는 예를 들어 고무로 제조된 탄성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 측의 +Z축 방향 이동은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 및 홀더(60)의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대한 탄성 부재의 마찰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이 탄성 부재는 카트리지(20) 또는 홀더(60)와 별개의 부재일 수 있거나, 카트리지(20)의 제 4 면(204) 또는 홀더(60)의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가 없는 적용에서,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도 1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220)는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지만, 예를 들어 리세스와 같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 후자의 적용에서,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604)에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620)는 돌출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60)는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2) 중 제 4 면(204) 측을 -Z축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추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60)는 슬라이드 가능한 막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챔버(602)에 배치된 후,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2) 중 제 4 면(204) 측이 막대 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G-2. 제 2 수정예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부분(295)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지만, 범위(40Y) 내에서 제 3 면(203) 상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되거나 범위(40Y)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12).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범위(4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가 장착된 경사면의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G-3. 제 3 수정예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하듯이, 레버(80)가 한 쌍의 샤프트 보디(850)를 가지며, 리테이너(690)가 베어링 요소(654)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80)가 베어링 요소를 가질 수도 있고, 리테이너(690)가 샤프트 보디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서 레버(80) 및 제 2 리테이너 부재(680)를 구비하는 리테이너(690)가 사용되어 홀더(60)에 부착된다. 그러나, 리테이너(690)는 필수는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80)를 수용 및 고정하기 위해 베어링 부재가 홀더(60)의 외벽(603W)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G-4. 제 4 수정예
전술했듯이,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와 그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이외의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 컨테이너, 예를 들면 후술되는 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 컨테이너에 적용될 수 있다:
1.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화상 기록 장치;
2.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용 칼라 필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색 재료 분사 장치;
3. 예를 들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및 전계발광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의 전극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재료 분사 장치;
4. 바이오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유기물이 포함된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액체 분사 장치;
5. 정밀 피펫으로 사용되는 시료 분사 장치;
6. 윤활유 분사 장치;
7. 수지액 분사 장치;
8. 시계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정밀 기계류에 윤활유를 핀포인트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장치;
9. 예를 들어 광통신 소자에 사용되는 미세 반구 렌즈(광학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 수지액과 같은 투명 수지액을 기판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액체 분사 장치;
10. 기판을 에칭하기 위해 산성 또는 알칼리성 에칭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액체 분사 장치; 및
11. 다른 임의의 액적을 미소량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헤드가 구비된 액체 분사 장치.
"액적"은 액체 분사 장치에서 분사되는 액체 상태를 의미하며, 입자 형상, 눈물방울 형상 또는 테이퍼진 실모양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는 액체 분사 장치에 의해 분사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액체"는 임의의 액상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점성 또는 저점성의 액체 상태 재료, 졸, 겔 워터, 다양한 무기 용제 및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이 "액체"에 포함된다. "액체"는 물질의 세 상태 중 한 상태로서의 액체 상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안료 입자 또는 금속 입자와 같은 기능적 고형물 입자의 용해물, 분산물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잉크, 및 액정이 포함된다. "잉크"는 일반 수성 잉크와 유성 잉크뿐 아니라 겔 잉크 및 핫멜트 잉크와 같은 각종 액체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G-5. 제 5 수정예
본 발명은 하기 변형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변형예 각각에서의 요소에 붙이는 괄호 안의 부호는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각 요소의 부호에 대응한다.
G-5-1. 제 1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면(201)으로서,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 제 1 면(201); 상기 제 1 면(201)과 대향하는 제 2 면(202); 상기 제 2 면(202)과 연결되는 일 변(291) 및 상기 일 변(291)과 대향하는 다른 변(290)을 갖도록 구성된 제 3 면(203)으로서, 상기 제 1 면(201)과 제 2 면(202)이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대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면(201)과 제 2 면(20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면(203); 상기 제 3 면(203)과 대향하는 제 4 면(204)으로서, 상기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4 면(204); 상기 제 1 면(201)을 제 3 면(203)과 연결하는 외표면(26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코너 섹션(265); 상기 코너 섹션(265)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로서,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제 3 면(203)에 제공되고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카트리지측 단자(400)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G-5-2. 제 2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면(201)으로서,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 제 1 면(201); 상기 제 1 면(201)과 대향하는 제 2 면(202); 상기 제 2 면(202)과 연결되는 일 변(291) 및 상기 일 변(291)과 대향하는 다른 변(290)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면(201)과 제 2 면(202)이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대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면(201)과 제 2 면(20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면(203); 상기 제 3 면(203)과 대향하는 제 4 면(204)으로서, 상기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4 면(204); 상기 제 1 면(201)을 제 3 면(203)과 연결하는 외표면(26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코너 섹션(265); 상기 코너 섹션(265)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로서,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제 3 면(203)에 제공되고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일 변(291)보다 다른 변(290)에 가깝게 위치된다.
G-5-3. 제 3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면(201)으로서,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 제 1 면(201); 상기 제 1 면(201)과 대향하는 제 2 면(202); 상기 제 2 면(202)과 연결되는 일 변(291) 및 상기 일 변(291)과 대향하는 다른 변(290)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면(201)과 제 2 면(202)이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대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면(201)과 제 2 면(20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면(203); 상기 제 3 면(203)과 대향하는 제 4 면(204)으로서, 상기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4 면(204); 상기 제 1 면(201)을 제 3 면(203)과 연결하는 외표면(26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코너 섹션(265); 상기 코너 섹션(265)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로서,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제 3 면(203)에 제공되고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일 변(291)보다 다른 변(290)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변형예 중 임의의 변형예는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을 유리하게 방지하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제 1 내지 제 3 변형예 중 임의의 변형예에서, 부착 상태에서 대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면 측에서 제 2 면 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제 2 면 측에서 제 1 면 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으로 할 때,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5-4. 제 4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카트리지측 단자(700)에 가깝게 위치한다.
압상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압상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할 때,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4 변형예는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의 위치상 오정렬을 유리하게 방지하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G-6. 제 6 수정예
본 발명은 하기 변형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변형예 각각에서의 요소에 붙이는 괄호 안의 부호는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각 요소의 부호에 대응한다.
G-6-1. 제 1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면(201)으로서,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 제 1 면(201); 상기 제 1 면(201)과 대향하는 제 2 면(202); 상기 제 2 면(202)과 연결되는 일 변(291) 및 상기 일 변(291)과 대향하는 다른 변(290)을 갖도록 구성된 제 3 면(203)으로서, 상기 제 1 면(201)과 제 2 면(202)이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대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면(201)과 제 2 면(202)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면(203); 상기 제 3 면(203)과 대향하는 제 4 면(204)으로서, 상기 제 1 면(201) 및 제 2 면(202)과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제 4 면(204); 상기 제 1 면(201), 제 2 면(202), 제 3 면(203) 및 제 4 면(204)과 교차하도록 구성된 제 5 면(205); 상기 제 5 면(205)과 대향하는 제 6 면(206); 상기 제 1 면(201)을 제 3 면(203)과 연결하는 외표면(26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코너 섹션(265); 상기 코너 섹션(265)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로서,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제 3 면(203)에 제공되고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면(205)과 제 6 면(206)의 대향 방향(Y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0)는 카트리지측 단자(400)가 제공되는 범위(40Y)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G-6-2. 제 2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20)는, 인쇄 장치와 연결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20)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400)로서,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0)를 인쇄 장치(50)의 장치측 단자(700)로부터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측 단자(400); 및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400)와 동일한 외표면 측에 제공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1)로서, 부착 상태에서 인쇄 장치(50)의 레버(80)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20)의 압상 방향(+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211)를 포함하며, 카트리지의 폭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211)는 카트리지측 단자(400)가 제공되는 범위(40Y)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또는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카트리지측 단자는 장치측 단자로부터 압상 방향 힘을 받는다.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가 제공되는 부분의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제 1 또는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Z축 방향 또는 압상 방향의 역방향에 대응한다.
G-7. 제 7 수정예
본 발명은 하기 설명예 및 변형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설명예 각각에서의 요소에 붙이는 괄호 안의 부호는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각 요소의 부호에 대응한다.
G-7-1. 제 1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전방(203), 후방(204), 상부(202), 하부(201)를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전방(203)과 후방(204)이 상호 대향하고 상부(202)와 하부(201)가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하부(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40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2. 제 2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전방(203), 후방(204), 상부(202), 하부(201)를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전방(203)과 후방(204)이 상호 대향하고 상부(202)와 하부(201)가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하부(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40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단자(400)는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단자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3. 제 3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제 1 표면(203), 제 2 표면(204), 제 3 표면(202) 및 제 4 표면(201)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202)과 제 4 표면(201)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4 표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접촉부(cp)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접촉부 구조물(408) 상에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접촉부(400)는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제 2 표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표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4. 제 4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잉크 카트리지(20)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제 1 표면(203), 제 2 표면(204), 제 3 표면(202) 및 제 4 표면(201)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202)과 제 4 표면(201)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4 표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400)는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에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단자(400)는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로부터의 탄성력(Pt)의 벡터 성분이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 압박하도록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단자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제 2 표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표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5. 제 5 변형예
잉크 카트리지(20)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 및 잉크 카트리지(20)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전방(203), 후방(204), 상부(202), 하부(201)를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전방(203)과 후방(204)이 상호 대향하고 상부(202)와 하부(201)가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전기 장치;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하부(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의 단자(400)는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고, 상기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6. 제 6 변형예
잉크 카트리지(20)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 및 잉크 카트리지(20)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전방(203), 후방(204), 상부(202), 하부(201)를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전방(203)과 후방(204)이 상호 대향하고 상부(202)와 하부(201)가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하부(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의 단자(400)는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고, 상기 단자(400)는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7. 제 7 변형예
잉크 카트리지(20)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 및 잉크 카트리지(20)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제 1 표면(203), 제 2 표면(204), 제 3 표면(202) 및 제 4 표면(201)을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202)과 제 4 표면(201)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4 표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의 단자(400)는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고, 상기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제 2 표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표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8. 제 8 변형예
잉크 카트리지(20)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 및 잉크 카트리지(20)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는, 제 1 표면(203), 제 2 표면(204), 제 3 표면(202) 및 제 4 표면(201)을 갖는 카트리지 보디(22)로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202)과 제 4 표면(201)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22);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4 표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잉크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가지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의 단자(400)는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고, 상기 단자(400)는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잉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결합부(212)를 갖는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단자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0)의 전방(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0)의 제 2 표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203)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22)의 제 1 표면(203)을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표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9. 제 9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은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E)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갖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단자(400)는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로부터의 탄성력(Pt)의 벡터 성분이 잉크 챔버(200)를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 압박하도록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에 구성 및 배열되는, 단지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cp)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충분한 기울어짐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203)과 후방(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방(203)과 후방(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후방(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제 2 표면(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레버는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고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추가로,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근접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보디(22)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디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9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j)를 추가로 포함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j) 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잉크 챔버(200)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10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k), 잉크젯 인쇄 장치(50) 외부의 잉크 탱크(200T), 튜브(200L) 및 보조 어댑터(200S)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보조 어댑터(200S) 상에 배치되고,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k)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00L)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외부 탱크(200T)로부터 보조 어댑터(200S)로 잉크를 공급한다.
적응예 1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202)와 하부(201)를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향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10. 제 10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50)는 추가로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은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갖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단자(400)는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로부터의 탄성력(Pt)의 벡터 성분이 잉크 챔버(200)를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 압박하도록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408) 상에 구성 및 배열되는, 단지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결합부(212)를 갖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400)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단자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203)과 후방(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방(203)과 후방(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후방(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제 2 표면(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레버는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고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추가로,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근접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보디(22)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디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9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j)를 추가로 포함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j) 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잉크 챔버(200)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10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k), 잉크젯 인쇄 장치(50) 외부의 잉크 탱크(200T), 튜브(200L) 및 보조 어댑터(200S)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보조 어댑터(200S) 상에 배치되고,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k)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00L)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외부 탱크(200T)로부터 보조 어댑터(200S)로 잉크를 공급한다.
적응예 1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202)와 하부(201)를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향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11. 제 11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으로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는 부분;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갖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단자(400)는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로부터의 탄성력(Pt)의 벡터 성분이 잉크 챔버(200)를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 압박하도록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는, 단지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cp)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충분한 기울어짐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203)과 후방(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방(203)과 후방(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후방(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제 2 표면(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고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추가로,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근접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보디(22)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디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9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j)를 추가로 포함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j) 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잉크 챔버(200)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10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k), 잉크젯 인쇄 장치(50) 외부의 잉크 탱크(200T), 튜브(200L) 및 보조 어댑터(200S)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보조 어댑터(200S) 상에 배치되고,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k)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00L)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외부 탱크(200T)로부터 보조 어댑터(200S)로 잉크를 공급한다.
적응예 1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202)와 하부(201)를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향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7-12. 제 12 변형예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부분으로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포함하는 부분;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200); 상기 잉크 챔버(200)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50)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280)로서,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갖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로서, 상기 단자(400)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는, 단지 지지 구조물(408); 및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400)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선단(288)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이제 제 7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프린터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잉크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단자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프린터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프린터 단자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프린터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프린터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프린터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단자 평면(TP)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단자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00)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00)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한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203)과 후방(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방(203)과 후방(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후방(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전방(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을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203)과 제 2 표면(204)은 상호 대향하고, 제 2 규제부(220)가 상기 보디(22)의 제 2 표면(204)에 근접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은 상기 보디(22)의 제 1 표면(203)에 근접하고,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잉크젯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되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측 규제부가 프린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800c)을 가지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레버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고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있으며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추가로,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7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408)에 근접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보디(22)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디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9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j)를 추가로 포함하며, 단자 지지 구조물(408) 및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j) 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잉크 챔버(200) 상에 배치되고, 잉크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299)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10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299k), 잉크젯 인쇄 장치(50) 외부의 잉크 탱크(200T), 튜브(200L) 및 보조 어댑터(200S)를 추가로 포함하며, 잉크 공급 구조물(280)은 상기 보조 어댑터(200S) 상에 배치되고, 단자 지지 구조물(408)과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299k)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00L)는 잉크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50)에 잉크를 공급할 때 상기 외부 탱크(200T)로부터 보조 어댑터(200S)로 잉크를 공급한다.
적응예 11
상기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202)와 하부(201)를 구비하는 보디(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향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G-8. 제 8 수정예
본 발명은 하기 설명예 및 변형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설명예 각각에서의 요소에 붙이는 괄호 안의 부호는 제 1 실시예 또는 어댑터를 구비한 카트리지의 수정예에 기재된 각 요소의 부호에 대응한다.
G-8-1. 제 1 변형예
하기 구조를 갖는 인쇄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20)로서, 인쇄 장치(50)는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203)과 제 2 면(204)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202)과 제 4 면(201);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200); 상기 제 4 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200)로부터 인쇄 장치(50)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280)로서,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제 2 면(204)보다 상기 제 1 면(203)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로서, 상기 단자(400)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400)의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상기 제 3 면(202) 및 제 1 면(203)의 교차부(291)보다 상기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8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제 3 면과 제 1 면의 교차부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액체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장치측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제 1 면(203)과 접촉부 평면(TP)의 교차부(295)와 제 3 면(202)과 제 1 면(203)의 교차부(291) 사이의 중점(203P)보다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점이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의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우측 단자(439)의 우측 에지(439P)의 연장선(439PL)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좌측 단자(435)의 좌측 에지(435P)의 연장선(435PL)의 우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6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22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장치측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7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적응예 9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어댑터(299, 299j, 299k)를 포함하고, 단자(400)의 접촉부(cp)와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G-8-2. 제 2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인쇄 장치(50)는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203)과 제 2 면(204)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202)과 제 4 면(201);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200); 상기 제 4 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200)로부터 인쇄 장치(50)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280)로서,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제 2 면(204)보다 상기 제 1 면(203)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로서, 상기 단자(400)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400)의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제 1 면(203)이 제 3 면(202)과 교차하는 제 2 교차부보다 제 1 면(203)이 접촉부 평면(TP)과 교차하는 제 1 교차부(295)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8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제 1 면이 제 3 면과 교차하는 제 2 교차부보다 제 1 면이 접촉부 평면과 교차하는 제 1 교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액체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장치측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제 1 교차부(295)와 제 2 교차부 사이의 중점(203P)보다 제 1 교차부(29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점이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접촉부(cp)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의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우측 단자(439)의 우측 에지(439P)의 연장선(439PL)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좌측 단자(435)의 좌측 에지(435P)의 연장선(435PL)의 우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22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장치측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5
상기 잉크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7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8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적응예 9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어댑터(299, 299j, 299k)를 포함하고, 단자(400)의 접촉부(cp)와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G-8-3. 제 3 변형예
하기 구조를 갖는 인쇄 장치(5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20)로서, 인쇄 장치(50)는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와 피봇 지점을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203)과 제 2 면(204)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202)과 제 4 면(201);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200); 상기 제 4 면(201)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200)로부터 인쇄 장치(50)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280)로서,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제 2 면(204)보다 상기 제 1 면(203)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로서, 상기 단자(400)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400)의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그 결합부(212)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 아래의 위치에서 레버(80)와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8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 아래의 위치에 배치하기 때문에,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액체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장치측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TP)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점이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의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우측 단자(439)의 우측 에지(439P)의 연장선(439PL)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좌측 단자(435)의 좌측 에지(435P)의 연장선(435PL)의 우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 2 면(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22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장치측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제 1 면(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6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제 4 면(20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적응예 7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어댑터(299, 299j, 299k)를 포함하고, 단자(400)의 접촉부(cp)와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G-8-4. 제 4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인쇄 장치(50)는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50)는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는, 상호 대향하는 전방(203)과 후방(204) 및 상호 대향하는 상부(202)와 하부(201);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200); 상기 하부(201)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200)로부터 인쇄 장치(50)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280)로서, 카트리지(20)의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280); 상기 후방(204)보다 상기 전방(203)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로서, 상기 단자(400)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에 장착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400)의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 및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상부((202)보다 접촉부 평면(TP)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8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상부보다 접촉부 평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액체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카트리지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카트리지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카트리지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카트리지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카트리지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 단자와 카트리지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카트리지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 단자의 표면은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카트리지의 설치 중에 장치측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카트리지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카트리지 단자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카트리지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카트리지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카트리지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전방(203)과 접촉부 평면(TP)의 교차부와 상부(202)와 전방(203)의 교차부 사이의 중점(203P)보다 접촉부(cp)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점이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TP)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의 전방(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우측 단자(439)의 우측 에지(439P)의 연장선(439PL)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좌측 단자(435)의 좌측 에지(435P)의 연장선(435PL)의 우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트리지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 위에 피봇 지점을 갖는 회전 가능한 레버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가능한 레버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 위에 피봇 지점을 가질 때,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22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장치측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6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카트리지(20)가 인쇄 장치(50)의 홀더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될 때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7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8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카트리지(20)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9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전방(203)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20)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10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은 상기 하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적응예 11
상기 카트리지(20)에 있어서, 어댑터(299, 299j, 299k)를 포함하고, 단자(400)의 접촉부(cp)와 제 1 규제부(210)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200)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적응예 12
상기 카트리지(20)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의 결합부는 레버(80)가 결합부 위에 피봇 지점을 갖도록 인쇄 장치(50)의 가동 레버(80)와 결합된다.
적응예 13
카트리지(20)와 인쇄 장치(50)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상기 카트리지(20); 및 상기 카트리지(20)에 탄성력(Pt)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 및 카트리지(20)의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결합하여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결합부(810)를 갖는 레버(80)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50)를 포함한다.
적응예 14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을 가지며,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은 카트리지(20)의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 위에 제공된다.
회전 가능한 레버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 위에 피봇 지점을 가질 때,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15
상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은 카트리지(20)의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우측에 제공된다.
레버의 피봇 지점이 카트리지의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우측에 제공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카트리지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G-8-5. 제 5 변형예
인쇄 장치(50)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50)가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731-739)를 포함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은, 전기 장치; 액체 소스(200i, 200j, 200T); 상기 액체 소스(200i, 200j, 200T)로부터 인쇄 장치(50)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280)로서, 평면(BP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SD) 선단(288)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280);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400)를 갖는 어댑터(299, 299j, 299k)로서, 상기 단자(400)는 상기 공급 시스템(20i, 20j, 20k)이 인쇄 장치(50)에 액체를 공급할 때 단자(400)의 접촉부(cp)에서 접점 형성 부재(731-739)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Pt)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400)의 접촉부(cp)는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TP)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어댑터(299, 299j, 299k); 및 상기 어댑터의 전방(203)에 제공되고, 상기 레버(80)의 결합부(810)와 결합하여 어댑터의 장착 방향(SD)에 대향하는 방향(RD)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210)로서, 상기 접촉부 평면(TP)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210)를 포함한다.
이제 제 8 수정예의 상기 변형예의 이점 중 일부를 설명할 것이다. 어댑터와 인쇄 장치 사이에 확실한 전기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단자는 어댑터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동안 정확히 배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접촉부 평면에 인접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제 1 규제부의 위치설정 작용은 위치설정이 가장 필요한 부위(즉, 단자 지지 구조물의 단자)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진다.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도중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자의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의 위치설정이 보다 안정적이며, 따라서 어댑터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유지된다.
더욱이, 레버가 어댑터와 일체적으로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의 재료는 가요성 및 내구성 요건은 덜 고려하고 액체 내성과 같은 다른 특성에 더 집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어댑터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 및 배송을 위한 어댑터의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레버가 어댑터의 일체적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어댑터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어댑터의 수송 또는 배송을 위해 어댑터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나 상자와 같은 포장재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송 비용 및 부품 비용이 유리하게 절감된다. 또한, 레버가 어댑터와 일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 1 어댑터측 규제 요소는 예를 들어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서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 및 높은 강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어댑터측 규제 요소의 소성 변형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부착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어댑터는 어댑터 장착 구조물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어댑터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정상적 또는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키고 불량한 전기 통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 1 어댑터측 규제 요소가 작은 크기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카트리지와 달리, 어댑터의 수송 및 배송을 위한 포장 시에 레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 이는 포장 요건을 감소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어댑터 단자와 어댑터의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단지 강성인 구조일 수 있다(미국 공개 제2005/0151811호의 가요성 레버와 경우가 다름). 이 경우, 결합부로부터 어댑터 단자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기 통신이 보다 안정적이다.
단자의 접촉부 평면(TP)은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기 때문에, 어댑터 단자의 표면은 어댑터가 인쇄 장치에 삽입되는 동안 적절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어댑터의 설치 중에 장치측 단자가 회로 기판에 대해 긴 거리를 스크레이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 파편(먼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장치측 단자는 어댑터가 인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탄성력을 어댑터 단자에 대해 인가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955,422호에 기재된 스프링(103)과 같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장치측 단자로부터의 탄성력은 장치측 단자와 어댑터측 단자 양자를 함께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규제부와 레버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어댑터를 인쇄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6,955,422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추가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어댑터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어댑터 단자의 위치는 어댑터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해서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어댑터 단자가 이와 같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이들 어댑터 단자는 장착 방향 및 그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7,008,053호의 탄성 피스(40) 및 관련 구성에 의한 일방적 규제에 비해서, 어댑터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오정렬 또는 분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적응예 1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TP)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다.
도 42a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논의했듯이, 접촉부 평면이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을 때, 과도한 와이핑이 방지되며 절반 삽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적응예 2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어댑터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우측 단자(439)의 우측 에지(439P)의 연장선(439PL)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431-439) 중 최좌측 단자(435)의 좌측 에지(435P)의 연장선(435PL)의 우측에 위치한다.
어댑터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어댑터가 너무 견고하게 유지되면,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도 31의 단자(734)]와의 접촉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를 다수의 단자의 최우측 접촉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의 최좌측 접촉부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댑터는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적응예 3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후방(204)에 제 2 규제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220)는 인쇄 장치(50)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220)의 결합부(22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B)는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보다 크다.
제 2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 제 1 규제부가 장치측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보다 멀리 위치할 때의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적응예 4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어댑터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와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A)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과 상기 선단(288)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BP) 사이의 거리(C)보다 작다.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가 어댑터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레버는 어댑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 1 규제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 또는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다수의 단자와 접점 형성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통 불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접점 형성 부재로부터 장착된 어댑터에 힘이 가해질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5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어댑터를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레버(80)의 피봇 지점(800c)의 좌측에 있다.
어댑터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도록 어댑터가 장착될 때, 제 1 규제부는 레버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레버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로크해제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추가로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어댑터가 힘을 받을 때에도, 제 1 규제부는 어댑터와 함께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레버의 결합부로부터 로크해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응예 6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 20k)에 있어서, 어댑터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210)의 결합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어댑터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어댑터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제 1 규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는 다수의 단자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사이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의 매우 근처에 위치한다.
적응예 7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i, 20j)에 있어서, 그 내부에 액체 소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조립체(200i, 200j)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응예 8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j)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조립체(200j) 상에 액체 공급 구조물(280)이 제공된다.
적응예 9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20k)에 있어서, 그 내부에 액체 소스를 갖는 탱크(200T); 액체 공급 구조물(280)을 갖는 보조 어댑터(200S); 및 상기 탱크와 보조 어댑터(200S)를 연결하는 튜브(200L)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카트리지가 설치될 때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조합체의 부분으로서 및/또는 인쇄 장치에 잉크 또는 기타 인쇄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카트리지 자체의 부분일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부분에 따른 각각의 양태에 기재된 사항은 전술한 다양한 변형예 중 임의의 것에 추가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여러가지 적응예를 가지며 상기 실시예 및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임의의 개수의 특징은 하나의 단일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특징보다 적거나 많은 특징을 갖는 대체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기능성 또한,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될 방식으로 다수의 구성요소 사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넓은 발명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 포함되는 수정예를 망라하도록 의도됨을 알아야 한다. 그 예시적 실시예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본 특징들을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상기 개시된 발명의 형태 및 상세에 대한 생략과 치환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에 대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미래에 개발되는 변경 및 수정을 망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하기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포괄적 및 구체적 특징 전부와, 그 사이에 포함된다고 일컬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모든 진술을 망라하도록 의도된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Claims (107)

  1. 잉크젯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에 대해 가압될 때 잉크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는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1 표면, 제 2 표면, 제 3 표면 및 제 4 표면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보디로서,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과 제 4 표면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제 4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로서, 잉크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가지며, 상기 단자는 잉크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단자 지지 구조물 상에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 및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그 결합부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제 2 표면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제 4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9.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젯 인쇄 장치의 부분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부분 및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및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제 1 표면, 제 2 표면, 제 3 표면 및 제 4 표면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보디로서,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이 상호 대향하고 제 3 표면과 제 4 표면이 상호 대향하는 카트리지 보디;
    전기 장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제 4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챔버로부터 잉크젯 인쇄 장치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구조물로서, 잉크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잉크 공급 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가지며,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 상의 단자는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고, 상기 단자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단자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단자 지지 구조물; 및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 규제부로서, 그 결합부는 상기 단자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약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제 2 표면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표면을 잉크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잉크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제 4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7.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고,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면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면;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과 교차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면과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면;
    상기 제 1 면을 상기 제 3 면과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코너 섹션;
    상기 코너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상기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제 1 면 상에 제공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경사면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 및
    상기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제 3 면이 경사면과 교차하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상기 제 3 면 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표면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 및 뒷면에 제공되는 메모리 유닛을 갖도록 구성된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Z축 방향측의 기판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4 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리세스 또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삽입될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의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1 부분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 및 카트리지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2 부분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6.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레버의 조작 부재와 당접하고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 3 면 상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섹션은 제 1 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단차면은 경사면의 -X축 방향측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단차면은 카트리지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에 제공된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와 접촉하는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는 장치측 바닥벽 부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부재는 단차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면 측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의 일부가 경사면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0.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 구조물은 제 3 면보다 제 4 면에 가까운 상기 제 1 면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1. 제 1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2. 제 1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장치측 단자들 중 접지 라인과 연결되는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에 제공되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되는 동안 임의의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가 대응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기 전에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3. 제 32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는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4.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의 저부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상기 카트리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고,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카트리지의 -Z축 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
    인쇄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에 설치되고,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회로 기판;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 및
    상기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인쇄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에 설치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회로 기판의 표면의 +Z축 방향측에 설치되는 기판 단부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5.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 및
    제 17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36.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고,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면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면;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과 교차하는 두 개의 면으로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면과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면;
    상기 제 1 면을 상기 제 3 면과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코너 섹션;
    상기 코너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상기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제 1 면 상에 제공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경사면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 및
    상기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3 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제 3 면이 경사면과 교차하는 교차 부분에 가까운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표면에 제공되는 카트리지측 단자 및 뒷면에 제공되는 메모리 유닛을 갖도록 구성된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Z축 방향측에 있는 기판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Z축 및 X축에 평행한 평면과 교차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0.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제 4 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리세스 또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제 2 장치측 규제 요소에 삽입될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2. 제 36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의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3. 제 36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1 부분과 당접하는 제 1 당접부, 및 카트리지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의 제 2 부분과 당접하는 제 2 당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4. 제 36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레버의 조작 부재와 당접하고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 3 면 상에서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의 +Z축 방향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5. 제 36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섹션은 제 1 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단차면은 경사면의 -X축 방향측과 -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단차면은 카트리지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에 제공된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와 접촉하는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는 장치측 바닥벽 부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 장치측 규제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부재는 단차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면 측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 3 카트리지측 규제 요소의 일부가 경사면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8. 제 36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 구조물은 제 3 면보다 제 4 면에 가까운 상기 제 1 면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9. 제 36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0. 제 36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장치측 단자들 중 접지 라인과 연결되는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는 카트리지의 폭 또는 Y축 방향 길이의 중앙에 제공되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되는 동안 임의의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가 대응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기 전에 장치측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1. 제 50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접지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는 다른 카트리지측 단자의 Z축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2.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의 저부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상기 카트리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고,
    부착된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에 대한 X축, Y축 및 Z축은 각각 카트리지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인쇄재 공급 튜브와 연결되도록 카트리지의 -Z축 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인쇄재 공급 구조물;
    인쇄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에 제공되고 각각의 장치측 단자에 대응하며, 상기 장치측 단자로부터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측 단자; 및
    상기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에 의해 로크되어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인쇄재 공급 구조물의 +X축 방향측과 레버의 회전축의 -Z축 방향측에 설치되는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는,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1 단자, 및
    가장 -Y축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외측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측 규제부는 Y축 방향으로 제 1 외측 부분과 제 2 외측 부분 사이 범위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3.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 및
    제 36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i) 장치측 바닥벽 부재, (ⅱ)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및 (ⅲ)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와 교차하고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장치측 측벽 부재를 갖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
    상기 장치측 바닥벽 부재 상에 제공되는 기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될 선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인쇄재를 헤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쇄재 공급 튜브;
    장치측 바닥벽 부재가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와 교차하는 장치측 코너 섹션에 제공되는 다수의 장치측 단자; 및
    제 1 장치측 측벽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Z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중심축(C)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며, X축은 인쇄재 공급 튜브와 장치측 단자가 따라서 배열되고 Z축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며, Y축은 Z축과 X축 양자에 직교하는 축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향하는 Z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Z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은 인쇄재 공급 튜브로부터 장치측 단자로 향하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일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Y축 방향은 다른 단부로 향하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측 단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 성분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접촉하며,
    상기 레버는 카트리지를 로크시켜 카트리지의 +Z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Z축 방향 단부에 조작 부재를 갖고 -Z축 방향 단부에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를 가지며, 상기 레버는 회전축으로서 조작 부재와 제 1 장치측 규제 요소 사이의 특정 위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54. 하기 구조를 갖는 인쇄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면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과 제 4 면;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
    상기 제 4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로부터 인쇄 장치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로서,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
    상기 제 2 면보다 상기 제 1 면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 및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그 결합부는 상기 제 3 면 및 제 1 면의 교차부보다 상기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제 1 면과 접촉부 평면의 교차부와 제 3 면과 제 1 면의 교차부 사이의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6. 제 54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7. 제 54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연장선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연장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8. 제 54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 2 면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9.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0. 제 59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1. 제 54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2. 제 54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제 4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3. 제 54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포함하고,
    단자의 접촉부와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4. 인쇄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면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과 제 4 면;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
    상기 제 4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로부터 인쇄 장치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로서,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
    상기 제 2 면보다 상기 제 1 면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 및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제 1 면이 제 3 면과 교차하는 제 2 교차부보다 제 1 면이 접촉부 평면과 교차하는 제 1 교차부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제 1 교차부와 제 2 교차부 사이의 중점보다 제 1 교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6. 제 64 항 또는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7. 제 64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연장선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연장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8. 제 64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 2 면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9. 제 64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0. 제 69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1. 제 64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2. 제 64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제 4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3. 제 64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포함하고,
    단자의 접촉부와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4. 하기 구조를 갖는 인쇄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결합부와 피봇 지점을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면 및 상호 대향하는 제 3 면과 제 4 면;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
    상기 제 4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로부터 인쇄 장치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로서,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
    상기 제 2 면보다 상기 제 1 면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 및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그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 아래의 위치에서 레버와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6. 제 74 항 또는 제 75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연장선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연장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7. 제 74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 2 면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8. 제 74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9. 제 74 항 내지 제 7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제 1 면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0. 제 74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제 4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1. 제 74 항 내지 제 8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포함하고,
    단자의 접촉부와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2. 인쇄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전방과 후방 및 상호 대향하는 상부와 하부;
    전기 장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
    상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로부터 인쇄 장치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로서, 카트리지의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
    상기 후방보다 상기 전방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 및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상부보다 접촉부 평면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전방과 접촉부 평면의 교차부와 상부와 전방의 교차부 사이의 중점보다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4. 제 82 항 또는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5.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연장선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연장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6. 제 82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 위에 피봇 지점을 갖는 회전 가능한 레버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7. 제 82 항 내지 제 8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후방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는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의 홀더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될 때 회전의 피봇 지점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9. 제 82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0. 제 89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1. 제 82 항 내지 제 9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보디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2. 제 82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은 상기 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3. 제 82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포함하고,
    단자의 접촉부와 제 1 규제부는 상기 어댑터 상에 배치되며, 액체 챔버는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4. 제 82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트리지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부는 레버가 결합부 위에 피봇 지점을 갖도록 인쇄 장치의 가동 레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95.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조합체는
    제 82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 및 카트리지의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갖는 레버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96.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두 단부의 중간에 피봇 지점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은 카트리지의 제 1 규제부의 결합부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은 카트리지의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98. 인쇄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가 다수의 장치측 접점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장치;
    액체 소스;
    상기 액체 소스로부터 인쇄 장치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 구조물로서, 평면을 규정하는 장착 방향 선단을 갖는 액체 공급 구조물;
    상기 전기 장치에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단자를 갖는 어댑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공급 시스템이 인쇄 장치에 액체를 공급할 때 단자의 접촉부에서 접점 형성 부재와 접촉하여 그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은 접촉부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방에 제공되고, 상기 레버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어댑터의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 1 규제부로서, 상기 접촉부 평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99.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평면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25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0.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다수의 단자 중 최우측 단자의 우측 에지의 연장선의 좌측과 다수의 단자 중 최좌측 단자의 좌측 에지의 연장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1. 제 98 항 내지 제 10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제 2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인쇄 장치의 각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제 2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2.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와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의 피봇 지점과 상기 선단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어댑터를 제 1 규제부의 결합부가 우측에 위치하고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레버의 피봇 지점의 좌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4. 제 98 항 내지 제 10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전방을 액체 공급 구조물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바라볼 때, 제 1 규제부의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어댑터가 장착될 때 어댑터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5. 제 98 항 내지 제 10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액체 소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조립체 상에 액체 공급 구조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107. 제 98 항 내지 제 10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액체 소스를 갖는 탱크;
    액체 공급 구조물을 갖는 보조 어댑터; 및
    상기 탱크와 보조 어댑터를 연결하는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KR1020137007170A 2012-01-12 2012-12-26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KR10156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3653 2012-01-12
JP2012003694 2012-01-12
JPJP-P-2012-003652 2012-01-12
JP2012003698 2012-01-12
JPJP-P-2012-003698 2012-01-12
JP2012003652 2012-01-12
JPJP-P-2012-003653 2012-01-12
JPJP-P-2012-003694 2012-01-12
WOPCT/JP2012/001395 2012-03-01
PCT/JP2012/001395 WO2013105142A1 (en) 2012-01-12 2012-03-01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13/410,528 2012-03-02
US13/410,528 US8439482B1 (en) 2012-01-12 2012-03-02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13/410,478 2012-03-02
US13/410,461 2012-03-02
US13/410,478 US8297739B1 (en) 2012-03-02 2012-03-02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13/410,461 US8297738B1 (en) 2012-01-12 2012-03-02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JPJP-P-2012-189836 2012-08-30
JP2012189836A JP2013163364A (ja) 2012-01-12 2012-08-30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PCT/JP2012/008314 WO2013105195A1 (en) 2012-01-12 2012-12-26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97A Division KR101913890B1 (ko) 2012-01-12 2012-12-26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99A true KR20130114099A (ko) 2013-10-16
KR101560068B1 KR101560068B1 (ko) 2015-10-13

Family

ID=49370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97A KR101913890B1 (ko) 2012-01-12 2012-12-26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KR1020137007170A KR101560068B1 (ko) 2012-01-12 2012-12-26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97A KR101913890B1 (ko) 2012-01-12 2012-12-26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3) EP2802459B1 (ko)
KR (2) KR101913890B1 (ko)
CN (4) CN104723691B (ko)
AR (1) AR089713A1 (ko)
AU (2) AU2012367439B2 (ko)
BR (1) BR112013006690A2 (ko)
CA (1) CA2806705C (ko)
CL (1) CL2014000624A1 (ko)
DE (1) DE202013000268U1 (ko)
ES (3) ES2741317T3 (ko)
GB (1) GB2499105B (ko)
HK (2) HK1187307A1 (ko)
IL (1) IL231002A0 (ko)
IT (1) ITTO20130019A1 (ko)
MX (1) MX2013003348A (ko)
PE (1) PE20141866A1 (ko)
PL (1) PL2614960T3 (ko)
RU (1) RU2604791C2 (ko)
SG (3) SG10201505419YA (ko)
TW (2) TWI566954B (ko)
WO (1) WO2013105195A1 (ko)
ZA (1) ZA201401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30195A1 (it) * 2013-03-12 2013-06-11 Fameccanica Data Spa Metodo ed apparato per l'applicazione discontinua a passo di quantita' controllate di materiale assorbente in granuli
JP6232932B2 (ja) * 2013-10-31 2017-11-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軸付きロール機構、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528564B2 (ja) * 2014-08-29 2019-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6202052B2 (ja) * 2014-08-29 2017-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EP3064359A1 (de) * 2015-03-06 2016-09-07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Druckmaterialbehälter oder Adapter für einen Druckmaterialbehälter
JP2016187877A (ja) * 2015-03-30 2016-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205044309U (zh) * 2015-08-24 2016-02-24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紧固定墨盒以及与墨盒保持部连接的墨盒
CN106739531B (zh) * 2017-01-11 2019-03-12 珠海欣威科技有限公司 通过杠杆定位的墨盒
DE102017102529B4 (de) 2017-02-09 2020-07-16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Tintenstrahldrucker
CN109591458B (zh) * 2018-11-28 2020-07-24 郑州新世纪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墨管排线固定装置
JP7275604B2 (ja) * 2019-01-31 2023-05-18 株式会社リコー 移動体、液体を吐出する装置
CN110027324A (zh) 2019-05-06 2019-07-19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喷嘴墨盒、喷墨组件及电路基板
CN110515286B (zh) * 2019-08-27 2024-05-10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供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018A (en) *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CA1304983C (en) * 1987-10-23 1992-07-14 David W. Pinkernell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JP3582592B2 (ja) 2001-04-03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646665A (en) * 1993-04-30 1997-07-08 Hewlett-Packard Company Side biased datum scheme for inkjet cartridge and carriage
AU688545B2 (en) * 1994-08-24 1998-03-12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US6074042A (en) 1997-06-04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RU2170675C1 (ru) 1998-05-18 2001-07-2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Струйное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чернильный картридж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KR100375690B1 (ko) * 1999-11-16 2003-03-17 주식회사 잉크테크 잉크카트리지 고정구
TW541247B (en) * 2000-01-31 2003-07-11 Hewlett Packard Co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6276780B1 (en) * 2000-06-19 2001-08-21 Xerox Corporation Fail-safe ink tank latching system
US6796635B2 (en) * 2000-10-11 2004-09-2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CN1899833A (zh) * 2000-10-11 2007-01-2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盒和喷墨打印机
US6644780B2 (en) * 2001-03-24 2003-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rriage with clamping device for reliable mounting of printheads
JP3783585B2 (ja) 2001-07-13 2006-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053999A (ja) 2001-08-22 2003-02-2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CA2379725C (en) 2001-04-03 2007-06-1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JP2004122487A (ja) 2002-09-30 2004-04-22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タンクホルダ、ヘッド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タンク着脱方法
ES2324122T3 (es) 2002-11-26 2009-07-30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de tinta.
JP3624950B2 (ja) * 2002-11-26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2589199Y (zh) * 2002-12-27 2003-12-03 嘉兴天马打印机耗材有限公司 墨盒填充固定架
US7384124B2 (en) 2003-01-17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age for ink cartridg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31927A (ja) 2003-10-30 2005-05-26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その液体容器
JP4058436B2 (ja) *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MXPA04012681A (es) * 2003-12-26 2005-07-01 Canon Kk Recipiente para liquido y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JP4058434B2 (ja) *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US7384116B2 (en) * 2004-10-20 2008-06-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4613667B2 (ja) * 2005-03-31 2011-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検出装置、液体容器、液体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4144637B2 (ja) * 2005-12-26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DE102006036716B3 (de) * 2006-06-02 2007-09-27 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rüstung eines Druckers
JP5288743B2 (ja) * 2006-08-23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102008009460A1 (de) * 2008-02-15 2009-08-20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mit Leiterplattenelement
US8091993B2 (en) * 2008-05-22 2012-01-10 Videojet Technologies Inc. Ink containment system and ink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nkjet cartridge
JP2012001395A (ja) 2010-06-17 2012-01-05 Shimizu Corp 高強度コンクリート
JP5465105B2 (ja) 2010-06-21 201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計算機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パイプライン処理方法
JP5573402B2 (ja) 2010-06-21 2014-08-20 株式会社リコー 会議支援装置、会議支援方法、会議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585235B2 (ja) 2010-06-21 2014-09-10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制御装置、ストレージ制御方法、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5442541B2 (ja) 2010-06-21 2014-03-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Web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5569475B2 (ja) * 2010-09-03 2014-08-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5720148B2 (ja) * 2010-09-03 2015-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2012189836A (ja) 2011-03-11 2012-10-04 Canon Inc 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6954B (zh) 2017-01-21
CN103370203B (zh) 2016-08-31
GB2499105B (en) 2014-09-17
CN103481666A (zh) 2014-01-01
SG10201505419YA (en) 2015-08-28
CN103481666B (zh) 2015-06-17
AU2013202147A1 (en) 2013-08-01
ES2543792T3 (es) 2015-08-21
ES2531151T3 (es) 2015-03-11
EP2653316A1 (en) 2013-10-23
MX2013003348A (es) 2013-08-26
ITTO20130019A1 (it) 2013-07-13
CN106240160B (zh) 2018-04-03
WO2013105195A1 (en) 2013-07-18
EP2802459A1 (en) 2014-11-19
GB201300618D0 (en) 2013-02-27
NZ620415A (en) 2016-03-31
ZA201401028B (en) 2016-01-27
IL231002A0 (en) 2014-03-31
PE20141866A1 (es) 2014-12-24
DE202013000268U1 (de) 2013-04-24
CA2806705A1 (en) 2013-07-12
AU2013202147B8 (en) 2016-12-15
BR112013006690A2 (pt) 2016-06-07
SG2014008221A (en) 2014-03-28
RU2013112679A (ru) 2016-03-10
CA2806705C (en) 2016-02-23
KR20140102176A (ko) 2014-08-21
AU2013202147B2 (en) 2016-11-17
EP2802459B1 (en) 2019-07-17
RU2604791C2 (ru) 2016-12-10
CN106240160A (zh) 2016-12-21
TW201345737A (zh) 2013-11-16
HK1187307A1 (en) 2014-04-04
KR101560068B1 (ko) 2015-10-13
EP2614960B1 (en) 2014-12-03
EP2614960A1 (en) 2013-07-17
ES2741317T3 (es) 2020-02-10
AR089713A1 (es) 2014-09-10
KR101913890B1 (ko) 2018-10-31
TWI637859B (zh) 2018-10-11
CN104723691A (zh) 2015-06-24
GB2499105A (en) 2013-08-07
AU2012367439B2 (en) 2015-02-05
TW201720667A (zh) 2017-06-16
CL2014000624A1 (es) 2014-12-05
CN103370203A (zh) 2013-10-23
SG10201710233UA (en) 2018-01-30
AU2012367439A1 (en) 2013-08-22
EP2653316B1 (en) 2015-05-06
PL2614960T3 (pl) 2015-04-30
HK1187863A1 (en) 2014-04-17
CN104723691B (zh)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068B1 (ko)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AU2012101587A4 (e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JP6443480B2 (ja) カートリッジ
JP2013163364A (ja)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880054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888362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CA2915590C (e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JP5532155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NZ620415B2 (e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