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005A -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005A
KR20130114005A KR1020130037663A KR20130037663A KR20130114005A KR 20130114005 A KR20130114005 A KR 20130114005A KR 1020130037663 A KR1020130037663 A KR 1020130037663A KR 20130037663 A KR20130037663 A KR 20130037663A KR 20130114005 A KR20130114005 A KR 2013011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pplication
communication
meta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361B1 (ko
Inventor
고재우
김호동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에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이용됨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콘텐츠를 서로 공유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 문서, 스케쥴, 전화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 간에 콘텐트를 서로 효과적으로 송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에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는 것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며, 상기 절차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콘텐트를 인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lin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NFC 통신과 다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bandwidth) 및 상기 콘텐트의 상기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제 1 디바이스 상에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제어부;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는 것인, 제 1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며, 상기 절차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콘텐트를 인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lin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NFC 통신과 다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bandwidth) 및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며, 상기 분할된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절차를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복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로의 콘텐트 전송을 인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동영상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TV(300)에게 문서 파일을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린터(400)에게 문서 파일을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트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음악, 동영상, 이미지, 문서, 연락처, URL,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및 각종 문서에 포함된 객체일 수 있다.
또한, 문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문서, 워드 프로세싱 문서,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서에 포함된 객체는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콘텐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이름 또는 식별자,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사이즈, 콘텐트의 저작자, 콘텐트의 러닝 타임,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명,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 정보, 디바이스들 간에 콘텐트의 전송하기 위한 조건, 및 콘텐트의 전송 대상(타겟)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랩톱, TV, 프린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의 기능 및 수신 디바이스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발신 디바이스를 제 1 디바이스로 칭하고, 수신 디바이스를 제 2 디바이스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는 복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의 콘텐트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미리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사이즈, 및 통신 수단들의 통신 모드들의 특성(예를 들어, 통신 모드들의 대역폭(bandwidth))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는, 비디오 콘텐트의 특성 및 비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비디오 콘텐트의 재생을 위하여 비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와 근접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위치, 시간, 콘텐트의 용량,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디바이스가 포함된 네트워크의 상태, 디바이스의 리소스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은, 디바이스가 위치한 곳의 날씨, 온도, 디바이스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 디바이스의 리소스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 제 2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에 관한 센싱 정보,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먼저 전송하고,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의 콘텐트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한다. 콘텐트의 선택은, 제 2 디바이스(2000)와의 통신이 확립(establish)되기 전에 미리 수행되거나, 제 2 디바이스(2000)와의 통신이 확립되면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 중인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소정의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가 재생되면, 재생된 동영상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A’를 통하여, ‘a.mpg’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a.mpg’ 파일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이 확립(establish)되고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통신 채널이 형성될 때 실행 중인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1000)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에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선택 목록에서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선택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콘텐트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되기 위하여 선택된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화면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객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콘텐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객체는,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로부터 객체가 선택되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잇는 주소의 링크 정보가 객체와 연관되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문서 파일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콘텐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할 전송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전송 대상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와 연관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에 표시된 사용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에 연관된 디바이스를 전송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획득한다.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트의 이름, 종류, 사이즈, 저작자, 러닝 타임, 및 선택된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선택된 콘텐트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어, 주소)에 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건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특성, 콘텐트의 사이즈,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가 보안 네트워크, 예를 들어, 비즈니스에 관련된 로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되고, 콘텐트의 전송 시간이 평일 오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친구, 가족, 동료 관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콘텐트에 액세스가 허용된 사용자의 리스트로서,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콘텐트에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의 리스트로서,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 S2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서버(미도시) 또는 주변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206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신을 확립한다. 단계 S206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 NFC 통신 범위 내에 서로 위치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NFC 통신 채널을 확립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00에서 콘텐트가 선택될 때 콘텐트의 전송 대상이 결정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이 유효한 전송 대상이면, 단계 S2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콘텐트가 전송될 전송 대상에 관한 정보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 및 콘텐트의 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트를 위한 연관 정보는 전송 대상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송 대상이 콘텐트의 이름에 연관되고, 제 2 전송 대상은 콘텐트의 링크에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트를 위한 연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단계 S206에서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저장된 연관 정보를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 또는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연관 정보를 NFC 통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 또는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의 사이즈가 클 경우, 연관 정보를 복수의 작은 사이즈로 분할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6에서 통신 채널이 형성되었지만, 제 1 디바이스(1000)는 다른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210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요청할 콘텐트를 선택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도의 설정, 또는 제 2 디바이스(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 현재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요청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는, 콘텐트의 이름, 종류, 용량, 저작자, 러닝 타임, 및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콘텐트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콘텐트의 전송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 2 디바이스(2000)의 사양 및 제 2 디바이스(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가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S210가 생략될 수 있으며, 후술할 단계 S2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연관정보에 매칭된 콘텐트를 제 1 디바이스(1000)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요청할 콘텐트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단계 S21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미리 결정된 콘텐트에 대한 연관정보가 수신되면, 연관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콘텐트를 제 1 디바이스(1000)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2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한다. 단계 S212에서 제 2 디바이스는 단계 S206에서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하면서, 제 2 디바이스(2000)에 대한 콘텐트의 전송을 위하여 제 2 디바이스(200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는 후술할 단계 S214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이용되는 통신 채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은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과 상이할 수 있다.
단계 S21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요청된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단계 S21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NFC, Bluetooth 및 WIFI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망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NFC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미리 수신된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S214를 수행하지 않고, 후술할 단계 S246에서 콘텐트를 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216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요청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만약, 제 1 디바이스(1000)가 NFC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와 연결된 경우에는 콘텐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링크 정보는 상이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전송 요청된 콘텐트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형식으로 콘텐트를 변환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 ‘C.mpg’를 요청하면서,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C.mpg’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1’, ‘애플리케이션 #2’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1’, ‘애플리케이션 #2’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1’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1’에 적합하도록 콘텐트를 가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제 2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제 2 디바이스(2000)가 애플리케이션의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이용되는 제어 명령의 종류 및 제 2 디바이스(2000)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미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은 콘텐트의 연관 정보와 함께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되거나, 콘텐트와 함께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18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연관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을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디바이스(2000) 내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2000)는 연관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잇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가 전화번호부인 경우에, 제 2 디바이스(2000)는 전화번호부를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으로 폰북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는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제 1 디바이스(1000)의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할 수 있으며, 동기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서로 콘텐트 공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를 이용하여 ‘B.JPG’ 파일을 실행하고, ‘B.JPG’ 파일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 경우에,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B.JPG’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 및 제 2 디바이스(2000)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는 서로 동기화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하여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제 2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제 2 디바이스(2000)가 애플리케이션의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숍에서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아메리카노’를 선택하고, 제 1 디바이스(1000)를 매장 단말(미도시)에 근접(통신 범위 내에 위치)시키면, 매장 단말(미도시)은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주문 정보 및 주문을 접수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미도시)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주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복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단계 S300은 도 2의 단계 S214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FC,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법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2 디바이스(200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전송할 콘텐트를 분할한다. 단계 S3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복수의 세그먼트들(segments)로 분할 할 수 있으며, 분할된 세그먼트들은 각각의 통신 채널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되거나 각각의 통신 채널에 적합한 사이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제 1 세그먼트는 WIFI 통신을 통해 전송되고, 콘텐트의 제 2 세그먼트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콘텐트의 분할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분할된 콘텐트를 결합 또는 재조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분할된 콘텐트를 복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분할된 콘텐트에 대한 결합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결합 정보는 분할된 콘텐트의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제 1 디바이스(1000)가 복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하나의 콘텐트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콘텐트를 각각 상이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 파일은 WIFI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고, 이미지 파일은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고, 문서 파일은 NFC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트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로의 콘텐트 전송을 인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제 2 디바이스(2000)가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한다. 단계 S400은 도 2의 단계 S212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하면서 제 2 디바이스(2000)의 물리적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전송 요청을 인증한다. 단계 S402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미리 설정된 콘텐트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전송을 인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402에서 전송 요청이 인증되면, 단계 S4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는 복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면,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 채널이 형성됨을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미리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및 콘텐트의 용량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한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와 근접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와 근접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위치, 시간, 콘텐트의 용량,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디바이스가 포함된 네트워크의 상태,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은, 디바이스가 위치한 곳의 날씨, 온도, 디바이스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종류,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 디바이스의 리소스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 제 2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 별도의 소스, 예를 들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별도의 콘텐트 전송 요청이 없더라도,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가 재생되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A’를 통하여, ‘a.mpg’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a.mpg’ 파일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됨에 따라, 통신 채널이 형성될 때 실행 중인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1000)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6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에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선택 목록에서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화면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콘텐트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에는 소정의 링크 정보가 연관될 수 있으며, 객체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소스에 액세스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객체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문서 파일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6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선택하면서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할 전송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에 표시된 사용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사용자에 연관된 디바이스를 전송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단계 S6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의 NFC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NFC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하면서, 제 2 디바이스(200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는 후술할 단계 S604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NFC, Bluetooth 및 WIFI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망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NFC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미리 수신된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606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전송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획득한다.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된 콘텐트의 이름, 종류, 용량, 저작자, 러닝 타임, 및 전송된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 전송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선택된 콘텐트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에 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건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특성,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방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가 보안 네트워크, 예를 들어, 비즈니스에 관련된 로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되고, 콘텐트의 전송 시간이 평일 오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친구, 가족, 동료 관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6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6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의 콘텐트의 전송을 인증한다. 단계 S608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미리 설정된 콘텐트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전송을 인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만약, 제 1 디바이스(1000)가 NFC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와 연결된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 채널을 별도로 결정하지 않고 NFC 통신 채널이 형성될 때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가 NFC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와 연결된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단계 S6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될 때, 제 1 디바이스(1000)가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선택된 콘텐트 또는 콘텐트의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근접하고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가 선택되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된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1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를 통신 채널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를 NFC 통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이 클 경우, 연관 정보를 복수로 분할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4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연관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을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동등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디바이스(2000) 내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2000)는 연관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14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가 전화번호부인 경우에, 제 2 디바이스(2000)는 전화번호부를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으로 폰북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616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S616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제 1 디바이스(1000)의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할 수 있으며, 동기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서로 콘텐트 공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를 이용하여 ‘B.JPG’ 파일을 실행하고, ‘B.JPG’ 파일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 경우에,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B.JPG’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 및 제 2 디바이스(2000)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B’는 서로 동기화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하여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예를 들어, 동영상 또는 오디오 파일)가 재생되면, 재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70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에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선택 목록에서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화면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에는 소정의 링크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문서 파일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701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전송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획득한다.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된 콘텐트의 이름, 종류, 용량, 저작자, 러닝 타임, 및 선택된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 전송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선택된 콘텐트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에 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건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701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서버(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7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NFC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단계 S702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 근접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2000)와 NFC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704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NFC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만약, 콘텐트의 용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의 용량이 기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단계 S7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NFC, Bluetooth 및 WIFI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망의 상태에 기초하여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NFC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관 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된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7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를 NFC 통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이 클 경우, 연관 정보를 복수로 분할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연관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을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된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디바이스(2000) 내에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2000)는 연관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7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714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S712에서 제 2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제 1 디바이스(1000)의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할 수 있으며, 동기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서로 콘텐트 공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정보 테이블은 콘텐트 명 필드(80), 종류 필드(81), 저작자 필드(82), 러닝 타임 필드(83), 용량 필드(84),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필드(85), 애플리케이션 필드(86),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 정보 필드(87), 전송 조건 필드(88) 및 전송 대상 필드(89)와 같이, 다양한 필드를 포함한다.
콘텐트 명 필드(80)에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선택된 콘텐트의 이름이 기록되며, 예를 들어, ‘AA.mpg’, ‘BB.txt’가 기록될 수 있다. 종류 필드(81)에는 선택된 콘텐트의 종류가 기록되며, 예를 들어, ‘동영상’, ‘문서’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필드(82)에는 콘텐트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며, 러닝 타임 필드(83)에는 콘텐트의 러닝 타임(예를 들어, playback length)이 기록된다. 콘텐트가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인 경우에 러닝 타임 필드에 소정의 시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용량 필드(84)에는 콘텐트 파일의 용량 값이 기록되며,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필드(85)에는 콘텐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애플리케이션 필드(86)에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콘텐트의 실행을 위하여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 정보 필드(87)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전송 조건 필드(88)에는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제공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전송 조건 필드(88)에는,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및 전송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 회사의 보안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회사 건물 내에 위치하고, 전송 시간이 7:00 ~ 13:00일 때 콘텐트 ‘AA.mpg’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 조건 필드(88)에 조건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전송 대상 필드(89)에는 콘텐트를 제공할 대상인 제 2 디바이스(2000)의 식별 값이 기록된다. 전송 대상 필드(89)에는,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의 전화 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는, 제 2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표시되어 제 2 디바이스(2000)가 소정의 콘텐트를 전송해 줄 것을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요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연관 정보로부터 콘텐트 명, 종류, 러닝 타임, 저작자, 및 이용가능한 전송 방법의 특성 등을 확인하고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2000)는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해 줄 것을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의 연관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의 종류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어떤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의 종류가 동영상이고 콘텐트의 용량이 고용량인 경우에, 콘텐트를 WIFI를 통하여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콘텐트의 종류가 문서 파일이고 콘텐트의 용량이 저용량인 경우에,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의 연관 정보는, 제 2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를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콘텐트의 실행에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이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콘텐트의 실행에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이 제 2 디바이스(2000)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이용된 애플리케이션과 호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동영상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0)를 제 2 디바이스(2000)에 근접시키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선택된 동영상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됨으로써,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동영상이 실행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실행 중인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동영상에 관한 연관 정보 및 동영상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에 관한 연관 정보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되고, 이후에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이 선택되고, 제 2 디바이스(2000)가 선택된 동영상의 전송을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 근접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을 자동으로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되었을 때,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된 동영상을 재생할 것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요청이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거나, TV(3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을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되고 있으며,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가 서로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때,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신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 통신 범위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의 종류 및 동영상의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에 기초하여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동영상에 관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0)를 제 2 디바이스(2000)에 근접시키면, 제 1 디바이스(1000)의 폰북에서 선택된 사용자 목록(10)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목록(12)이 이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고, 통신이 확립되고, 폰북이 제 1 디바이스(10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면, 제 1 디바이스(1000)는 폰북 정보가 전송될 데이터라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살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전송될 데이터로 결정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디스플레이된 폰북에서 사용자 목록(10)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사용자 목록(10) 및 사용자 목록(10)에 관한 연관 정보가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전송될 데이터는 사용자 목록(10) 내의 단일의 엔트리(single entry)만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0)는 엔트리 또는 사용자 목록(10)이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되었을 때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된 엔트리 또는 사용자 목록(10)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할 것을 자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이 엔트리 또는 사용자 목록(10)을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거나, 제 2 디바이스(20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엔트리 또는 사용자 목록(10)을 저장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목록(10)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되고 있고,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가 서로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디스플레이된 엔트리 또는 사용자 목록(10)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되고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리가 선택되면, 엔트리가 전송되고 재생될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목록 및 연관 정보의 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목록 및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목록(10)에 관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사용자 목록(10)을 실행시킬 폰복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폰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목록(10)을 폰북에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된 폰북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디바이스(2000)에서 실행된 폰북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는,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목록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의 폰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해석될 수 있도록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의 폰북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목록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 목록을 제 2 디바이스(2000)의 폰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해석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사용자 목록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TV(300)에게 문서 파일을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TV(300)에 근접시키면, 문서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과 TV(300)가 통신을 형성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서 파일은, TV(300)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TV(300)에서 문서 파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재생 중인 문서 파일을 TV(3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으며, 문서 파일에 관한 연관 정보 및 문서 파일을 TV(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문서에 관한 연관 정보가 TV(300)에게 제공되고, 이후에 동영상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TV(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문서 파일이 TV(300)에게 전송되었을 때 TV(300)에게 제공된 문서 파일을 재생할 것을 TV(300)에게 자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이 문서 파일을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거나, TV(3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서 파일을 재생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재생 중이고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TV(300)가 서로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재생되고 있는 문서 파일은 자동적으로 TV(300)에게 전송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신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 통신 범위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파일(예를 들어, document file, file extension of the document file) 의 종류 및 문서 파일의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문서 파일을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에 기초하여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TV(300)는 문서 파일에 관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문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하여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린터(400)에게 문서 파일을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린터(400)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고, 문서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선택된 문서 파일이 TV(300)에게 제공됨으로써, 프린터(400)에서 문서 파일이 프린팅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이 형성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문서 파일을 프린터(4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으며, 통신이 형성되었을 때 문서 파일에 관한 연관 정보 및 문서 파일을 프린터(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문서에 관한 연관 정보가 프린터(400)에게 제공되고, 이후에 프린터(400)에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서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프린터(4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린터(400)에 근접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중인 문서 파일이 프린터(400)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문서 파일이 프린터(400)에게 전송될 때 프린터(400)에게 전송된 문서 파일을 출력할 것을 프린터(400)에게 자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이 문서 파일을 출력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거나, 프린터(4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서 파일을 출력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재생되고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프린터(400)가 서로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200) 상에 재생되고 있는 문서 파일이 프린터(400)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되고 출력될 수 있다. 통신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 통신 범위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문서 파일의 종류 및 문서 파일의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문서 파일을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에 기초하여 연관 정보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400) 문서 파일에 관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콘텐트의 공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디바이스(1000) 또는 제 2 디바이스(2000)일 수 있다.
이동 통신부(1001)는 3G/4G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과의 호 설정,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1002)는 NFC, Zigbee, Wifi, Bluetooth 등의 통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부(1003)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카메라부(1004)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광학 소자들을 포함한다.
센서부(1005)는 멀티 비전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람의 근접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1006)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0)은 외부 기기나 사람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버튼(1011), 마이크(1012), 스피커(1013), 진동 모터(1014), 커넥터(1015), 키패드(1016)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018)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017)는 터치 스크린(1018)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1050)에 전달한다. 전원 공급부(1019)는 멀티 비전 컨트롤러(1019)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소스와 연결된다.
제어부(105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동 통신 모듈(1061), Wi-Fi 모듈(1062), 블루투스 모듈(1063), DMB 모듈(1062), 카메라 모듈(1065), 센서 모듈(1066), GPS 모듈(1067), 동영상 재생 모듈(1068), 오디오 재생 모듈(1069), 전원 모듈(1070), 터치 스크린 모듈(1071), UI 모듈(1072),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Zigbee 통신 모듈(미도시) 및 NFC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1000)인 경우에, 제어부(1050)는 각 모듈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선택하고 제 2 디바이스(20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0)는 각 모듈을 이용하여 콘텐트의 연관 정보를 생성하고, 콘텐트 또는 연관 정보를 제공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0)는 결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콘텐트,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2000)인 경우에, 제어부(1050)는 각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 요청할 콘텐트를 선택하고, 제 1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0)는 각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000)로부터 콘텐트,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50)는 CPU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일 수 있으며, 메모리(1060)는 상술한 도면들에서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더욱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의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0)는, 통신 채널 형성부(1100), 콘텐트 선택부(1200), 연관 정보 획득부(1300), 통신 채널 결정부(1400), 인증부(1500), 데이터 제공부(1600), 저장부(1700), 송수신부(1800) 및 제어부(1900)를 포함한다.
통신 채널 형성부(11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는 복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 형성부(1100)는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의 NFC 통신 범위 내에 근접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2000)와 NFC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콘텐트 선택부(12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한다. 콘텐트 선택부(12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콘텐트 선택부(1200)는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콘텐트가 재생되면, 재생된 동영상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A’를 통하여, ‘a.mpg’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에, 콘텐트 선택부(1200)는 ‘a.mpg’ 파일을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 선택부(12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됨에 따라, 통신 채널이 형성될 때 실행 중인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트 선택부(1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00)에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선택 목록에서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 선택부(1200)는 화면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에는 소정의 링크 정보가 연관될 수 있다. 객체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0)는 문서 파일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트 선택부(1200)는 콘텐트를 선택하면서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할 전송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콘텐트 선택부(1200)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콘텐트 선택부(1200)는 폰북, 주소록 및 전화번호부에 표시된 사용자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사용자에 매칭된 디바이스를 전송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관 정보 획득부(1300)는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획득한다.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트의 이름, 종류, 용량, 저작자, 러닝 타임, 및 선택된 콘텐트에 대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정보 획득부(13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이전에,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선택된 콘텐트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에 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는,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건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가 회사 내에 위치하고, 콘텐트의 전송 시간이 평일 오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친구 또는 가족 관계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가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전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NFC, Bluetooth 및 WIFI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콘텐트의 종류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용량이 20KB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트의 종류가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통신망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사이의 NFC 통신이 불가능해진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0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Zigbee, Bluetooth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미리 수신된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채널 결정부(14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 복수의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인증부(1500)는 제 2 디바이스(2000)로의 콘텐트의 전송을 인증한다. 인증부(1500)는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 콘텐트의 전송 날짜, 콘텐트의 전송 요일, 콘텐트의 전송 시간,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용량,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부(1500)는 미리 설정된 콘텐트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전송을 인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 채널이 결정된 경우에, 데이터 제공부(1600)는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각각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채널이 결정된 경우에, 데이터 제공부(1600)는 복수의 콘텐트를 각각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디바이스의 위치, 시간, 콘텐트의 용량, 콘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부(1600)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태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디바이스가 포함된 네트워크의 상태,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은, 디바이스가 위치한 곳의 날씨, 온도, 디바이스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 디바이스의 리소스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부(16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할지 연관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 제 2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 제 1 디바이스(1000)에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에 대한 연관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가 선택될 때 콘텐트의 전송 대상이 매칭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부(1600)는 선택된 콘텐트에 매칭된 전송 대상에 관한 정보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콘텐트 및 콘텐트의 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부(160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제공부(1600)는, 저장된 연관 정보를 형성된 통신 채널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연관 정보를 NFC 통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부(1600)는, 연관 정보의 용량이 클 경우, 연관 정보를 복수로 분할하여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부(1600)는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1600)는 제 1 디바이스(1000)와 제 2 디바이스(2000) 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2000)로부터의 콘텐트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0)는 콘텐트 및 콘텐트의 연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0)는 통신 채널에 관한 정보, 제 1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바이스(20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부(1800)는 제 2 디바이스(2000)와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900)는 제 1 디바이스(1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 및 콘텐트에 관한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 채널 형성부(1100), 콘텐트 선택부(1200), 연관 정보 획득부(1300), 통신 채널 결정부(1400), 인증부(1500), 데이터 제공부(1600), 저장부(1700) 및 송수신부(1800)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내에서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들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내에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에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며,
    상기 절차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콘텐트를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link)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NFC 통신과 다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bandwidth) 및 상기 콘텐트의 상기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인, 방법.
  13. 제 1 디바이스 상에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제어부;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며,
    상기 절차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콘텐트를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link)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NFC 통신과 다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bandwidth) 및 상기 콘텐트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며, 상기 분할된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25.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동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 및 상기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될 절차(procedure)를 나타내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절차를 수행하는 것인, 시스템.
KR1020130037663A 2012-04-07 2013-04-05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6407 2012-04-07
KR1020120036407 2012-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05A true KR20130114005A (ko) 2013-10-16
KR102011361B1 KR102011361B1 (ko) 2019-08-16

Family

ID=4808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663A KR102011361B1 (ko) 2012-04-07 2013-04-05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628145B2 (ko)
EP (1) EP2648427B1 (ko)
KR (1) KR102011361B1 (ko)
CN (2) CN104221306B (ko)
AU (1) AU2013203005B2 (ko)
WO (1) WO2013151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54B1 (ko) * 2009-10-30 2016-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이용 이력에 기반한 네트워크 컨텐트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3058423A1 (ko) * 2011-10-21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EP2654275A1 (en) * 2012-04-21 2013-10-2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pplication data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227011A1 (en) * 2013-05-29 2016-08-04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WO2015074194A1 (zh) * 2013-11-20 2015-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设备
CN103686361B (zh) * 2013-12-04 2018-11-30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获取智能电视分享内容的方法、系统及智能电视
JP2015158729A (ja) * 2014-02-21 2015-09-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4980326A (zh) * 2014-04-03 2015-10-14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之间分享应用内容的方法及装置
CN111698669A (zh) * 2014-04-15 2020-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共享应用信息方法和装置
KR20160001286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US11121740B2 (en) 2014-09-05 2021-09-14 Momentum Dynamics Corporation Near field, full duplex data link for resonant induction wireless charging
US10289284B2 (en) * 2014-11-25 2019-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ewing selected zoomed content
JP6423710B2 (ja) * 2014-12-22 2018-11-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機器、通信システム、通信接続方法、及び通信接続プログラム
EP3176954B1 (de) * 2015-12-02 2018-09-26 etatronix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analoger und digitaler information bei der übertragung von energie
US20170170874A1 (en) * 2015-12-11 2017-06-15 Bgm Engineering, In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electronic control devices
CN105487763B (zh) * 2016-01-14 2019-12-0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显示方法和系统
CN106131299A (zh) * 2016-06-15 2016-11-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文字传输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0462286B2 (en) * 2016-08-29 2019-10-29 Vonage Busin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riving contact names
US10530970B2 (en) * 2016-09-02 2020-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output metadata determination based on output device and substrate
KR102397892B1 (ko) * 2018-02-22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074116B2 (en) 2018-06-01 2021-07-27 Apple Inc.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CN109274596B (zh) * 2018-08-23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US11403634B2 (en) 2019-06-10 2022-08-0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al-time interaction based assistance interface
CN110442366B (zh) * 2019-08-09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258982B2 (en) 2019-08-16 2022-02-22 Logitech Europe S.A. Video conference system
US11095467B2 (en) 2019-08-16 2021-08-17 Logitech Europe S.A. Video conference system
US11088861B2 (en) 2019-08-16 2021-08-10 Logitech Europe S.A. Video conference system
US11038704B2 (en) * 2019-08-16 2021-06-15 Logitech Europe S.A. Video conference system
CN111404790A (zh) * 2020-03-23 2020-07-10 北京如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转移的方法及装置
US20220182352A1 (en) * 2020-12-09 2022-06-09 Neustar, Inc. Optimizing display of caller identity on communication devices
KR102402811B1 (ko) * 2021-01-13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579712B2 (en) * 2021-03-23 2023-0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vice interactions
US11642598B2 (en) * 2021-06-02 2023-05-09 Yariv Glazer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personal sp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6732A1 (en) * 2008-09-22 2010-03-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100130125A1 (en) * 2008-11-21 2010-05-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Data Associated with Proximate Devices
US20110106954A1 (en) * 2008-09-26 2011-05-05 Manjirnath Chatterjee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67068A (zh) *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20080278408A1 (en) * 1999-05-04 2008-11-13 Intellimat, Inc. Floor display systems and addition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ing floor display systems and additional display system
US6651253B2 (en) * 2000-11-16 2003-11-18 Mydtv, Inc.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programming events
US7193688B2 (en) * 2001-12-12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sound,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US7647392B2 (en) * 2002-10-16 2010-01-12 Xerox Corporation Device model agent
CN1981502A (zh) * 2004-06-30 2007-06-13 诺基亚有限公司 用于生成终端的物理邻近区中的设备列表的系统和方法
US7590589B2 (en) * 2004-09-10 2009-09-15 Hoffberg Steven M Game theoretic prioritization scheme for mobile ad hoc networks permitting hierarchal deference
US7970813B2 (en) * 2004-10-08 2011-06-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event notification administration and subscription
JP4181108B2 (ja) * 2004-11-30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20090103124A1 (en) 2005-08-31 2009-04-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865571B2 (en) 2007-01-08 2011-01-04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personal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US7852789B2 (en) * 2007-06-20 2010-12-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s, systems, and/or devices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US8099455B2 (en) * 2007-08-16 2012-01-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otifying remote devices of available content
CN101796798B (zh) * 2007-09-03 2013-05-22 Nxp股份有限公司 用于传输内容的方法和设备
US8099599B2 (en) * 2008-08-29 2012-01-1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data streams
US8255964B2 (en) * 2008-09-12 2012-08-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EP2371110A4 (en) 2008-12-29 2017-04-19 IDTP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pplications on nfc-enabled devices
US8412185B2 (en) 2009-09-14 2013-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5387368B2 (ja) 2009-11-27 2014-01-1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81780A1 (en) * 2010-01-25 2011-07-28 Barton James M Displaying Content on Detected Devices
US20110183654A1 (en) * 2010-01-25 2011-07-28 Brian Lanier Concurrent Use of Multiple User Interface Devices
KR20120088008A (ko) * 2010-09-13 201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텐츠 연동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US20120079541A1 (en) 2010-09-25 2012-03-29 Yang Pan One-Actuation Control of Synchronization of a Television System Terminal and a Mobile Device Display
US8171137B1 (en) * 2011-05-09 2012-05-01 Google Inc. Transferring application state across devices
WO2013033522A1 (en) * 2011-09-01 2013-03-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tracking
US8930492B2 (en) * 2011-10-17 2015-01-0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ent sh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6732A1 (en) * 2008-09-22 2010-03-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110106954A1 (en) * 2008-09-26 2011-05-05 Manjirnath Chatterjee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US20100130125A1 (en) * 2008-11-21 2010-05-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Data Associated with Proximat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361B1 (ko) 2019-08-16
EP2648427B1 (en) 2018-11-07
CN108429814B (zh) 2023-01-10
EP2648427A1 (en) 2013-10-09
CN104221306B (zh) 2018-04-13
US20190089415A1 (en) 2019-03-21
US20170195008A1 (en) 2017-07-06
WO2013151374A1 (en) 2013-10-10
US10135495B2 (en) 2018-11-20
US20130267172A1 (en) 2013-10-10
US9628145B2 (en) 2017-04-18
CN108429814A (zh) 2018-08-21
AU2013203005B2 (en) 2015-12-10
US10439678B2 (en) 2019-10-08
CN104221306A (zh) 2014-12-17
AU2013203005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361B1 (ko)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0965767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filtered services and content based on user context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49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53308B1 (ko) 커뮤니케이션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10572431A (zh) 一种卡片分享方法、装置及系统
US9232396B2 (en) Data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653552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77444B2 (ja) 画像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624894B1 (ko)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KR20180037715A (ko)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JP2016532966A (ja) リソース共有方法及び装置
JP201401170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86663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negotiating a group owner for a P2P network having external network connectivity
KR101931141B1 (ko)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219798B2 (en)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WO2017042983A1 (ja) 画面共有装置、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26562B1 (ko) 사용자 단말장치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 기능에 부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선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30454A (ko)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KR20090118482A (ko) 중계 서버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접속 방법
KR20090013277A (ko) 실시간 ucc 동영상 방송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76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