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454A -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454A
KR20150030454A KR20130109718A KR20130109718A KR20150030454A KR 20150030454 A KR20150030454 A KR 20150030454A KR 20130109718 A KR20130109718 A KR 20130109718A KR 20130109718 A KR20130109718 A KR 20130109718A KR 20150030454 A KR20150030454 A KR 2015003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content
information
mod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filed Critical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Priority to KR2013010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454A/ko
Priority to US14/484,291 priority patent/US20150074274A1/en
Publication of KR2015003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됨; 및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Multiple Devices and A Method for Accessing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가리킨다.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하다.
한편, 기존의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단일의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되었다. 즉, 컨텐츠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거나, 서버에 저장되어 해당 서버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텐츠 접속 방식에서는, 컨텐츠가 특정 디바이스에 의해서 실행되는 중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접속이 차단되었다.
그러나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이 활성화됨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이미지 파일이나 문서, 동영상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의 메인 서버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개인의 디지털 디바이스로 다운로드 하거나 업로드하여 정보를 보관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는 구름처럼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중앙 서버의 저장 공간을 필요한 만큼 빌려 쓸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에 접속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됨; 및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된 접속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냄; 상기 입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결과를 상기 출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되,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며,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 수단을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분배함으로, 효율적인 컨텐츠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텐츠 접속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제공자의 동일한 컨텐츠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이 수행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고,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1) 및 상기 서버(1)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1)는 웹 서버, 파일 서버, 클라우드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는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DB(3)를 구비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DB(3)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텐츠의 입력 및/또는 출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피씨, 오디오 플레이어, 스피커 유닛 등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출력 및/또는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마이크, 카메라 및 각종 센서 유닛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미도시)을 구비하여 서버(1)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컨텐츠의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서버(1)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에게 컨텐츠에 대한 특정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입/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가 서버(1)의 동일한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1)는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에게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1)와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오디오 출력 유닛(130), 센서 유닛(14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해당 컨텐츠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될 경우, 서버(1)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로써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가 부여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이용하여 서버(1)로부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디오 출력 유닛(130)은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130)은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프로세서(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오디오 출력 유닛(130)은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오디오 출력 유닛(130)이 구비될 경우, 서버(1)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로써 컨텐츠의 오디오 출력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드가 부여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이용하여 서버(1)로부터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오디오 출력 유닛(1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 유닛(1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을 디텍트하고 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40)은 유저의 입력을 디텍트하고 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유닛(14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4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1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마이크, 카메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상기 센서 유닛(140)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유저의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유닛(1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센서 유닛(140)이 구비될 경우, 서버(1)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로써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입력 모드가 부여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1)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 또는 클라우드에 접속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예를 들면 서버(1)의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텐츠 접속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3의 각 단계는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10)가 도 3의 각 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S110).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 제공자는 웹 서버, 파일 서버,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제공 수단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D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광의적으로는 이러한 DB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웹 페이지, 전자 문서, 게임,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등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유저의 계정 등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 로그인 할 수 있다. 로그인이 수행된 후, 로그인 된 유저의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되거나 실행된 컨텐츠와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계정으로 서비스 제공자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URL에 접속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에 접속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는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 이를테면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또는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한 경우, 컨텐츠 제공자는 해당 디지털 디지털 디바이스들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에게 부여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도 2에서 예시된 각 유닛(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 오디오 출력 유닛,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별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되는 접속 상황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서 설정된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모드는 키보드 입력 모드, 마우스 입력 모드, 터치 입력 모드, 음성 입력 모드, 제스처 입력 모드, 영상 입력 모드 및 센서 입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입력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 모드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오디오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에 접속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컨텐츠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 중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한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두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순차적으로 접속을 수행한 경우, 먼저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게는 출력 모드가, 나중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게는 입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접속을 수행한 네트워크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또는, 네트워크 주소, SSID)와 동일한 또는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액세스 포인트(또는, 네트워크 주소, SSID)로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하나일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입력 모드와 출력 모드가 모두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두 대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 모드가 각각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할 경우,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할 경우,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서로 연동되어 부여될 수 있다.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두 개 이상일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비교적 서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동일한 유저(또는, 유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가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일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 모드를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분배하기 위해, 특정 장소, 미팅 룸 등에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또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어떠한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입력 수단(이를 테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마이크, 카메라 또는 각종 센서 유닛) 만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로는 입력 모드가 우선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출력 수단(이를 테면, 디스플레이 유닛, 오디오 출력 유닛) 만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로는 출력 모드가 우선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구비한 입/출력 수단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함으로, 컨텐츠에 대한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서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를 컨텐츠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지 및/또는 출력 수단으로 사용할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서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정보가 직접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설정된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획득된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40). 즉,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컨텐츠 출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해당 출력 수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별도의 윈도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오디오 출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오디오 출력 유닛, 이를 테면 스피커 등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해당 입력 수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음성 입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마이크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제스처 입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터치 입력 모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구비된 터치 패드를 통해 센싱된 터치 입력을 컨텐츠에 대한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로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드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모드가 함께 부여될 수 있으며, 디지털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출력 수단과 입력 수단을 함께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디지털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수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제공자는 웹 서버, 파일 서버,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제공 수단을 통칭하는 개념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S210).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에 접속을 수행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어떠한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별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되는 접속 상황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서 설정된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수신된 접속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한다(S220). 본 발명에서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모드는 키보드 입력 모드, 마우스 입력 모드, 터치 입력 모드, 음성 입력 모드, 제스처 입력 모드, 영상 입력 모드 및 센서 입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입력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 모드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오디오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의 S130 단계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하여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부여되면, 컨텐츠 제공자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하여 컨텐츠의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는 입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30). 즉, 컨텐츠 제공자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영상 입력 및 기타 다양한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가 전송한 입력 명령은 유저에 의해 수행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센싱한 센싱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어한다(S240).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키보드 입력에 대응하여 문서 컨텐츠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음성 입력, 영상 입력 등에 대응하여 이를 컨텐츠에 삽입하거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진 컨텐츠의 확대, 축소, 삭제, 편집, 넘김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영상 컨텐츠의 다양한 재생 및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컨텐츠의 제어 결과를 출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 송신한다(S250). 출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S240 단계에서 변경된 컨텐츠를 해당 출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제공자의 동일한 컨텐츠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이 수행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디바이스 A(Device A) 및 디바이스 B(Device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서버(Server)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 중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한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두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순차적으로 접속을 수행한 경우, 먼저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게는 출력 모드가, 나중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게는 입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각 출력 모드 또는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디바이스 A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S110a). 서버로의 접속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을 포함하며, 해당 서버로의 로그인을 통한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서버의 특정 컨텐츠는 디바이스 A에 의해 실행되거나 선택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와 디바이스 A간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A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하면, 디비이스 A의 접속 상황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S120a).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상황정보는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A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서버는 접속된 디바이스 A의 접속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S210a). 또한, 수신된 디바이스 A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A에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아직 해당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 중인 디지털 디바이스가 없으므로, 서버는 디바이스 A에 출력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S220a). 디바이스 A는 서버가 부여한 출력 모드를 해당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로써 획득한다. 또한, 디바이스 A는 획득된 오퍼레이션 모드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40a). 만약, 디바이스 A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일 경우, 디바이스 A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별도의 윈도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 A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오디오 출력 모드일 경우, 디바이스 A는 오디오 출력 유닛, 이를 테면 스피커 등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A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한 이후에, 디바이스 B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S110b). 디바이스 B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하면, 디바이스 B의 접속 상황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S120b). S110b 및 S120b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S110a 및 S120a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서버는 접속된 디바이스 B의 접속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S210b). 또한, 수신된 디바이스 B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B에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서버의 컨텐츠에 먼저 접속 중인 디바이스 A가 있으므로, 서버는 디바이스 B에 입력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S220b). 디바이스 B는 서버가 부여한 입력 모드를 해당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로써 획득한다. 또한, 디바이스 B는 획득된 오퍼레이션 모드에 기초하여, 컨텐츠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40b). 만약, 디바이스 B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음성 입력 모드일 경우, 디바이스 B는 마이크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B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제스처 입력 모드일 경우, 디바이스 B는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B에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가 터치 입력 모드일 경우, 디바이스 B는 구비된 터치 패드를 통해 센싱된 터치 입력을 컨텐츠에 대한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바이스 B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여된 오퍼레이션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 B는 유저의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42). 디바이스 B는 부여된 입력 모드에 따라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영상 입력 및 기타 다양한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B는 수신된 입력 명령을 서버로 전송한다(S144).
서버는 디바이스 B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S230), 상기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어한다(S240). 예를 들어, 서버는 디바이스 B로부터 수신한 키보드 입력에 대응하여 문서 컨텐츠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디바이스로 B부터 수신한 음성 입력, 영상 입력 등에 대응하여 이를 컨텐츠에 삽입하거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는 디바이스 B로부터 수신한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진 컨텐츠의 확대, 축소, 삭제, 편집, 넘김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영상 컨텐츠의 다양한 재생 및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어 결과를 디바이스 A로 전송한다(S250). 디바이스 A는 컨텐츠 제어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S150). 디바이스 A는 S140a 단계에서 활성화 한 컨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20a 단계에서 디바이스 A에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출력 모드가 모두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B가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한 이후에는 디바이스 A에 대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만이 부여될 수 있다. 즉, 서버의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A 하나일 경우 디바이스 A가 해당 컨텐츠의 입/출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버의 컨텐츠에 디바이스 B가 추가로 접속할 경우 해당 컨텐츠의 입력 디바이스와 출력 디바이스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컨텐츠에 먼저 접속한 디바이스 A에 입력 모드(또는, 입력 모드와 출력 모드)를 부여하고, 나중에 접속한 디바이스 B에 출력 모드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고, 각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은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이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순서에 기초하여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결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서버(1)의 컨텐츠에 먼저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컨텐츠 출력 모드가, 해당 컨텐츠에 추가로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컨텐츠 입력 모드가 각각 부여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서버(1)의 컨텐츠에 디지털 디바이스 100a만 접속 중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디스플레이 유닛(120a) 상에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유닛 자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마련되는 별도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20a)이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가 함께 부여될 수도 있다.
한편, 유저는 도 6(a)의 디지털 디바이스 100a를 통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출력을 보다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별도의 입력을 수행하고자 할 때,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여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상황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100b가 서버(1)의 컨텐츠에 추가로 접속한 상황을 나타낸다. 디지털 디바이스 100a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중인 상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100b가 해당 컨텐츠에 추가로 접속하면,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는 입력 모드 이를테면, 키보드 입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20a)이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디스플레이 유닛(120a) 상에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구비한 키보드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 Zigbee 또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 수단을 구비한 키보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입력 모드가 부여되되,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 100b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키보드 입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입력과 출력 작업이 서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 100b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고, 디지털 디바이스 100a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 키보드 입력 모드가 부여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마우스 입력 모드, 터치 입력 모드, 음성 입력 모드 등 전술한 다양한 입력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도 7은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순서에 기초하여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결정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의 컨텐츠에 먼저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컨텐츠 출력 모드와 입력 모드가 함께 부여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에 추가로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있을 경우 상기 출력 모드와 입력 모드가 상기 컨텐츠에 접속 중인 서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서버(1)의 컨텐츠에 디지털 디바이스 100a만 접속 중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와 키보드 입력 모드가 함께 부여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디스플레이 유닛(120a) 상에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와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20a)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 100b가 서버(1)의 컨텐츠에 추가로 접속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와 키보드 입력 모드가 디지털 디바이스 100a 및 100b에 각각 분배된다.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키보드 입력 모드의 분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의 컨텐츠 접속 순서,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먼저 접속 중인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가, 추가로 접속을 수행한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는 키보드 입력 모드가 각각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디스플레이 유닛(120a) 상에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만을 제공하고,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는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서 함께 제공하던 컨텐츠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두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 100a 및 100b에서 분담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 부여된 복수의 입/출력 모드가 디지털 디바이스 100a 및 100b에 분배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 부여된 복수의 입/출력 모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키보드 입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 모드)가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 할당될 수 있지만,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초기에 부여된 복수의 입/출력 모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키보드 입력 모드)를 그대로 갖거나 새로운 입/출력 모드(예를 들어, 터치 입력 모드)를 추가로 부여 받을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이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25)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결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25)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25)로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 100a, 100b, 100c는 각각 액세스 포인트 25a, 25b, 25c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하고 있다.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이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25a, 25b, 25c)를 통해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하면,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서로 독립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면,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가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에 부여될 수 있다. 만약,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 중 입력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가 있을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컨텐츠 입력 모드가 함께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에 부여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될 수 있다. 다만, 도 8의 실시예에서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에 부여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에 무관하게 부여된다.
다음으로 도 9는 디지털 디바이스 100a, 100b, 100c가 모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25)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25)를 통해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두 대 이상일 경우,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에 연동되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입출력 모드는 서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에 각각 분배되어 부여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 100a에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가, 디지털 디바이스 100b에는 컨텐츠 재생 컨트롤 모드가, 디지털 디바이스 100c에는 오디오 출력 모드가 각각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를,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컨텐츠 재생 컨트롤 인터페이스(62)를, 디지털 디바이스 100c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52)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간의 오퍼레이션 모드 분배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텐츠 접속 순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100a는 TV를, 디지털 디바이스 100b는 태블릿 피씨를, 디지털 디바이스 100c는 스피커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TV(디지털 디바이스 100a)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출력을 제공 받고, 태블릿 피씨(디지털 디바이스 100b)를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스피커(디지털 디바이스 100c)를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25)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에 접속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두 개 이상일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비교적 서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동일한 유저(또는, 유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25)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가 컨텐츠 접속을 수행하였을 때에만,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가 접속을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25)가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일 경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의 오퍼레이션 모드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 모드를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100a, 100b, 100c)에 분배하기 위해, 특정 장소, 미팅 룸 등에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2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25)를 통해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들(100a, 100b, 100c)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접속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페어링 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제품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해당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어떠한 입/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별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1)의 컨텐츠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접속 상황 정보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접속 상황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1)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접속 상황 정보 및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 및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1)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를 수신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송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송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는 페어링 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로 키보드 입력 모드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오퍼레이션 모드(200)로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가 부여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상에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출력 인터페이스(5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10의 실시예에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접속 상황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서버(1)에게 전송되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션 모드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서버(1)로부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에 각각 분배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서버(1)는 수신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available) 오퍼레이션 모드를 디지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200)에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오퍼레이션 모드의 분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 : 서버 100 : 디지털 디바이스

Claims (13)

  1. 디지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됨; 및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키보드 입력 모드, 마우스 입력 모드, 터치 입력 모드, 음성 입력 모드, 제스처 입력 모드, 영상 입력 모드 및 센서 입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드 및 오디오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에 접속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 중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컨텐츠에 접속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일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되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서 설정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페어링 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부여된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된 접속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모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입력 모드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냄;
    상기 입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제어 결과를 상기 출력 모드를 부여 받은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3.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에 접속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되, 상기 접속 상황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상기 접속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며,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KR20130109718A 2013-09-12 2013-09-12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KR2015003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18A KR20150030454A (ko) 2013-09-12 2013-09-12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US14/484,291 US20150074274A1 (en) 2013-09-12 2014-09-12 Multiple devices and a method for accessing cont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18A KR20150030454A (ko) 2013-09-12 2013-09-12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54A true KR20150030454A (ko) 2015-03-20

Family

ID=5262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718A KR20150030454A (ko) 2013-09-12 2013-09-12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74274A1 (ko)
KR (1) KR201500304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55A (ko) * 2013-09-12 2015-03-20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포터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1690A1 (en) * 2005-05-11 2006-11-30 Jaz Banga Developing customer relationships with a network access point
US7624417B2 (en) * 2006-01-27 2009-11-24 Robin Du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media content via the internet
US20070257888A1 (en) * 2006-05-03 2007-11-08 Chan Weng C Adaptive text input mod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8843974B2 (en) * 2008-08-27 2014-09-23 Albert John McGowan Media playback system with multiple video formats
US8874748B2 (en) * 2010-06-04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or blending multiple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in a broadband gateway
US8706464B2 (en) * 2010-01-31 2014-04-22 Vladimir Shusterman Health data dynamics, its sources and linkage with genetic/molecular tests
US8886710B2 (en) * 2010-09-24 2014-11-11 Amazon Technologies, Inc. Resuming content across devices and formats
US20130053007A1 (en) *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based input mode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KR101857792B1 (ko) * 2012-03-1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8935726B2 (en) * 2012-05-11 2015-01-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Generation of dynamic content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74274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673B1 (ko) 주변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872751B1 (ko)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
KR101085709B1 (ko) 간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69351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출력 제어 방법
KR20200028481A (ko)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조작 방법
US20140340344A1 (en) Display processor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KR102345649B1 (ko) 휴대용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TWI555390B (zh) 控制電子設備的方法與電子裝置
KR2012009231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CN112119623B (zh) 基于帐户组共享内容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TW201621706A (zh) 使用近場通訊來以權限控制進行共享內容
KR20140034339A (ko) 컨텐츠 업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컨텐츠 다운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들의 컨텐츠 공유 방법
US201200112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13874828A (zh) 用于通过外部电子装置提供屏幕共享服务的电子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20150138742A (ko) 컨텐츠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48029A (ko) 콘텐츠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속성을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3462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492329A (zh) 用于从多个对象中识别目标对象的装置、方法和系统
US20130057709A1 (en) Wireless data transfer card
US969040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KR20200079081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30454A (ko)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KR20190032754A (ko) 디바이스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 좌표 간격을 이용하여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WO2016070371A1 (zh) 移动终端和web终端之间互连及流传输和流媒体播放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