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811B1 -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811B1
KR102402811B1 KR1020210004669A KR20210004669A KR102402811B1 KR 102402811 B1 KR102402811 B1 KR 102402811B1 KR 1020210004669 A KR1020210004669 A KR 1020210004669A KR 20210004669 A KR20210004669 A KR 20210004669A KR 102402811 B1 KR102402811 B1 KR 10240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s
heterogeneous
differen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혁
이성헌
이승락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0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811B1/ko
Priority to KR1020220047480A priority patent/KR102426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서로 다른 서비스들(예를 들어, 두 개의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을 통합(결합)하여 디바이스-서비스 간 호환 서비스를 제공(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에서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그리고 위치 정보와 같은 민감 정보의 수집 없이 두 디바이스가 동시점에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 조건에서 이종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호환 서비스 안내 마케팅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해당 고객이 적시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terchangeably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본 발명의 개시는 이종 단말간에 각각 제공되는 이종 서비스를 서로 호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MMS 등과 같은 각종 서비스는 휴대폰, IPTV, 및/또는 PC 등의 각종 단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밖에서 자신의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동일 동영상을 집에서는 대형 화면의 IPTV나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등 동일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디바이스(또는 단말이라 칭함)에 대해 동일한 서비스(예를 들어, 가입/회원체계가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중인 경우에는, 다른 디바이스일지라도 동일한 ID(회원체계)를 기반으로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와 같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많은 고객이 쉽게 인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서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 A와 B)에서 각기 서비스 중인 서로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가입/회원체계가 다른 서비스 1과 2)에 대해서 서로 다른 디바이스-서비스 일지라도 서비스 결합(또는 호환이라 칭함)을 통해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예를 들어, 디바이스 A에서 서비스 2를 또는 디바이스 B에서 서비스 1을 제공)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서비스 결합에 대해서 고객이 쉽게 인지하지 못하여 사용율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2와 같은 별도의 안내(마케팅)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호환)을 유도하기 위한 종래의 서버 기반 마케팅 팝업 제공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케팅 서버에 결합 안내 마케팅 팝업 정보(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인 IPTV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인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정보 등)가 운영자 작업에 의해 등록된 상태에서(S101), 디바이스 A(예를 들어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서 서비스 1(예를 들어 모바일 TV 서비스)이 실행되면(S103), 디바이스 A는 마케팅 서버에서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을 위한 안내(마케팅) 정보를 조회하고(S105), 조회 결과 등록된 마케팅 팝업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S107) 해당 결합 안내 마케팅 정보를 팝업하여 노출하거나(S109) 미노출하고 종료한다(S111).
도 2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호환)을 유도하기 위한 종래의 서버 기반 마케팅 푸시 제공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케팅 서버에 결합 안내 마케팅 푸시 정보(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인 IPTV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인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정보 등)가 운영자 작업에 의해 등록된 상태에서(S201), 마케팅 서버가 푸시 발송 서버에게 해당 마케팅 푸시 정보의 발송을 요청하고(S203), 푸시 발송 서버가 해당 마케팅 푸시 정보를 디바이스 A로 푸시 발송하여(S205), 디바이스 A의 화면상에 해당 결합 안내 마케팅 푸시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이다(S207).
그러나, 전술한 도 1-2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은 디바이스 A에게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 결합 안내를 위한 마케팅 서버 및/또는 푸시 발송 서버 등의 서버 장치를 별도로 구축하여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 서비스 중인 서로 다른 서비스는 동일한 ID(회원체계)가 아니므로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며, 두 디바이스를 동시점에 동일한 공간에서 보유한 시점에만 서비스 결합이 가능한데,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로 도 1,2와 같이 결합 안내 마케팅(팝업 안내 또는 푸시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여도 안내를 제공받는 시점에 고객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의 근처에 있지 않아)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로 도 1,2와 같이 결합 안내 마케팅(팝업 안내 또는 푸시 메시지) 정보를 제공받은 시점이 얼마간 경과한 이후 고객이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황에 도래(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의 근처로 고객이 이동)하여도 이전에 수신 받은 안내(마케팅 내용)를 망각할 가능성이 높은 등의 서비스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 1-2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가 동시점에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결합 안내 마케팅(위치 기반 마케팅)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기술 또한 위치기반 타겟 마케팅 서버와 같은 별도의 서버 장치를 구축해야 하고, 민감 정보로서의 위치정보 수집에 따른 고객 동의 절차와 강화된 보완 기술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675호(2011.06.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회원체계(가입자 정보. Ex. ID)를 가진 서로 다른 서비스들(예를 들어, 두 개의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을 통합(결합)하여 디바이스-서비스 간 호환 서비스를 제공(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에서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그리고 위치 정보와 같은 민감 정보의 수집 없이 두 디바이스가 동시점에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 조건에서 이종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호환 서비스 안내 마케팅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해당 고객이 적시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은,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으로서, (a)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의 실행 시작 시 관련된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송출하기 위한 단계; (b)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및 (c)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팝업창을 노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노출된 안내팝업창의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기 다른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모바일 TV 서비스와 IPTV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로부터 송출된 특정 정보의 수신 시 그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해 응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는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각각 복수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정보 및 응답 정보는 mDNS(Multicast Domain servi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는, 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로서,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의 실행 시작 시 관련된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송출하기 위한 송출부;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 및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팝업창을 노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노출된 안내팝업창의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각기 다른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모바일 TV 서비스와 IPTV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로부터 송출된 특정 정보의 수신 시 그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해 응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각각 복수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정보 및 응답 정보는 mDNS(Multicast Domain servi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회원체계(가입자 정보. Ex. ID)를 가진 서로 다른 서비스들(예를 들어, 두 개의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을 통합(결합)하여 디바이스-서비스 간 호환 서비스를 제공(예를 들어,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에서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디바이스 A의 서비스 1에서 디바이스 B의 서비스 2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그리고 위치 정보와 같은 민감 정보의 수집 없이 두 디바이스가 동시점에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 조건에서 이종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호환 서비스 안내 마케팅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자신이 원하는 적시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종래의 서버 기반 마케팅 팝업 제공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서비스 간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종래의 서버 기반 마케팅 푸시 제공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 A,B의 동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서,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3)를 통해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5)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디바이스 A(3), 디바이스 B(5),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디바이스 A(3), 디바이스 B(5),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7)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무방하다.
디바이스 A(3)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A(3)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일 예로 설명한다.
디바이스 B(5)는 디바이스 A(3)와 구분되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B(5)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IPTV(또는 스마트 TV)를 일 예로 설명한다.
디바이스 A(3)와 디바이스 B(5)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은 디바이스 A(3)에 서비스 1을 제공하고 디바이스 B(5)에 서비스 2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1과 서비스 2는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각기 다른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3)로서의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모바일 TV 서비스를 포함하고,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5)로서의 IPTV 단말에 제공되는 IPTV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40)의 구성도로서,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3)를 통해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5)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40)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디바이스 A(3) 및/또는 디바이스 B(5)에 포함될 수 있고, 송출부(41), 판단부(43), 및 제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부(41)는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에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의 실행 시작 시 관련된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바이스 A(3)로서의 모바일 단말에서 서비스 1로서의 모바일 TV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앱(APP)의 실행이 시작되면 이와 관련된 특정 정보를 생성하여 와이파이를 통해 주변에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정 정보는 mDNS(Multicast Domain servi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43)는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의 송출부(41)에서 송출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가 근처에서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바이스 A(3)로서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생성된 특정 정보가 와이파이를 통해 주변에 뿌려지면, 주변의 디바이스 B(5)로서의 IPTV(의 셋탑박스)가 해당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와이파이를 통해 디바이스 A(3)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 A(3)는 디바이스 B(5)로부터의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B(5)가 자신의 근처에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디바이스 B(5)도 디바이스 (A)가 자신의 근처에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는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로부터 송출된 특정 정보의 수신 시 그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해 응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45)는 판단부(4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즉,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디바이스 A(3)의 서비스 1과 디바이스 B(5)의 서비스 2 간의 결합(호환) 제공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에서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에서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의 서비스 2(또는 서비스 1)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의 안내팝업창을 통해 안내하고,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에서 노출된 안내팝업창의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 시스템(7)에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 시스템(7)으로부터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의 서비스 2(또는 서비스 1)을 통해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의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5)는 또한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에서 복수의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로부터 각각 복수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복수의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의 정보를 안내팝업창에 띄우고 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디바이스 B(5)(또는 디바이스 A(3))를 통해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의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 A(3)로서의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TV 서비스 앱을 댁내에서 켜서 구동을 시작하면, 근처에 있는 댁내 디바이스 B(5)로서의 IPTV(의 셋탑박스) 단말과 와이파이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해당 IPTV 단말의 IPTV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TV 서비스와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안내받고, 해당 안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IPTV 단말의 IPTV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TV 서비스와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의 흐름도로서,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3)를 통해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5)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도 3-4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디바이스 A(3)의 서비스 1이 실행되면(S501), 디바이스 A(3)는 단계 S501에 관련된 제1 정보를 Wifi(1)를 통해 주변의 디바이스 B(5)로 송출하고(S503-S505), 디바이스 B(5)는 디바이스 A(3)로부터 제1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1 정보에 대응하여 응답하는 제2 정보를 Wifi(1)를 통해 디바이스 A(3)로 전송한다(S507-S509).
이어, 디바이스 A(3)는 주변의 디바이스 B(5)로부터 제1 정보에 응답하는 제2 정보가 수신되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11), 수신되었다면 '서비스2와 연결하여 큰 화면에서 시청하세요'와 같은 결합 안내 마케팅 팝업을 노출하고(S513), 수신되지 않았다면 결합 안내 마케팅 팝업을 미노출한다(S514).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A(3)(또는 디바이스 B(5))의 안내팝업창에 표시된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 제공 시스템(7)은 디바이스 B(5)의 서비스 2를 통해 디바이스 A(3)의 서비스 1과 동종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예컨대 모바일 단말의 작은 화면이 아닌 IPTV의 큰 화면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S517).
도 6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 A,B의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댁내에서 디바이스 A(3)로서의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TV 서비스 앱을 시작하면, 모바일 단말(3)은 와이파이(1)를 통해 근처에 있는 댁내 디바이스 B(5)로서의 IPTV 단말을 탐색하여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를 팝업창에 표시하고, 표시된 디바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 B(5)로서의 IPTV 단말(5)과 모바일 단말(3) 간에 와이파이를 통해 양방향 연결되어 서로 연결된 해당 IPTV 단말(5)의 IPTV 서비스를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3)의 모바일 TV 서비스와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안내받고, 해당 안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IPTV 단말(5)의 IPTV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3)의 모바일 TV 서비스와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3: 디바이스 A
5: 디바이스 B
7: 서비스 제공 시스템
40: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41: 송출부
43: 판단부
45: 제어부

Claims (21)

  1.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으로서,
    (a)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의 실행 시작 시 관련된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송출하기 위한 단계;
    (b)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및
    (c)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팝업창을 노출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노출된 안내팝업창의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모바일 TV 서비스와 IPTV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로부터 송출된 특정 정보의 수신 시 그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해 응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는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각각 복수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 및 응답 정보는 mDNS(Multicast Domain servic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10. 각기 다른 서비스가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 특화되어 서비스 1은 디바이스 A에서 제공되며 서비스 2는 디바이스 B에서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을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로서,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의 실행 시작 시 관련된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송출하기 위한 송출부;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송출된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 및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팝업창을 노출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상기 노출된 안내팝업창의 안내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과 IPTV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모바일 TV 서비스와 IPTV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는 서로 다른 회원체계를 가진 서비스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로부터 송출된 특정 정보의 수신 시 그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해 응답하도록 설정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A(또는 디바이스 B)에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로부터 각각 복수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복수의 디바이스 B(또는 디바이스 A)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실행 시작된 서비스 1(또는 서비스 2)과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 및 응답 정보는 mDNS(Multicast Domain service) 정보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장치.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04669A 2021-01-13 2021-01-13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0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69A KR102402811B1 (ko) 2021-01-13 2021-01-13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47480A KR102426376B1 (ko) 2021-01-13 2022-04-18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69A KR102402811B1 (ko) 2021-01-13 2021-01-13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80A Division KR102426376B1 (ko) 2021-01-13 2022-04-18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811B1 true KR102402811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69A KR102402811B1 (ko) 2021-01-13 2021-01-13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47480A KR102426376B1 (ko) 2021-01-13 2022-04-18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80A KR102426376B1 (ko) 2021-01-13 2022-04-18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28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158A (ko) *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모바일 단말기
KR20110060675A (ko)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티브이 기반의 셋탑박스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80117270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1361B1 (ko) * 2012-04-07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37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158A (ko) *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모바일 단말기
KR20110060675A (ko)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티브이 기반의 셋탑박스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1361B1 (ko) * 2012-04-07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7270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0837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596A (ko) 2022-07-20
KR102426376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101707549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484114A (zh) 数据转移方法、移动终端及数据转移系统
CN110164057A (zh) 基于智能柜机的包裹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介质
KR20170029238A (ko) 티켓 취소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티켓 취소 안내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11557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CN10602763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2381338B1 (ko)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27505A (ko)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02811B1 (ko)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50233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비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14113A (ko) 매장 qr코드 기반의 이벤트 쿠폰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80111217A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13017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51092A (ko) 방문 차량을 위한 주차장소 예약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59929B1 (ko) 차량 제어용 설정 데이터의 공유 방법
KR101365238B1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 및 종료 시의 알림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70006128A (ko) Dsp 연동 시 로그 처리를 위한 광고 송출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장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dsp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448178B2 (ja) 情報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06661B1 (ko) 단말과 서버,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1695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단말 장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033138A (ko) 인공지능 기반 화상 고객센터 서비스 방법
US11632814B2 (en) Method for providing accessibility feature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20160109450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80112194A (ko) 반응형 웹을 이용한 문자 기반 상담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