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50A -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50A
KR20160109450A KR1020150033843A KR20150033843A KR20160109450A KR 20160109450 A KR20160109450 A KR 20160109450A KR 1020150033843 A KR1020150033843 A KR 1020150033843A KR 20150033843 A KR20150033843 A KR 20150033843A KR 20160109450 A KR20160109450 A KR 2016010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related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5003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450A/ko
Publication of KR2016010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06Q50/30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장치를 판독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당 서비스의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정보를 이용자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상기 서비스제공 고유 식별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며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서비스제공 정보를 수신 시 생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및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장치와, 해당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내에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로 관련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요청 정보와 제공정보를 맵핑하여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공급자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급자의 전자장치 등을 통하여 설정된 관련 서비스 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를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판독하여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호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출 방식의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가 콜센터를 통해 요청하면 해당 서비스 요청을 접수한 상담원이 특정 차량을 연결시켜주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또한 이와 다른 방식으로써, 호출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콜센터에 호출 서비스를 요청하면, 콜센터에서 수신된 호출 서비스 요청정보에 따라 특정 차량을 연결시켜주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GPS 수신장치를 통해 호출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호출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가 반드시 콜센터에 전화를 하거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콜센터에 접속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히,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는 방식의 경우 사전에 해당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관련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호출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의 경우 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호출 서비스를 이용코자 하는 이용자는 반드시 관련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전자장치에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을 원활히 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어린이나 노인이 해당의 호출 서비스 이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시각 또는 청각 기능에 장애가 있어 눈으로 보거나 말하고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이용자의 경우 상술한 것처럼 관련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콜센터에 전화를 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공급자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급자의 전자장치의 설정된 정보를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을 통하여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 이용자 전자장치를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판독하여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 공급자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호출 관련 서비스정보를 매칭 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입력 저장된 서버 또는 전자장치 메모리와, 서버 또는 전자장치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상세정보와 위치알림을 알리기 위한 위치정보 전달 체계의 변화에 따라 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주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존 공급자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 된 공급자 전자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와 지도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입력 저장된 연락할 연락정보로 그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세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가 속한 위치를 정확하고 간결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공급자정보는 차량번호 성명 소속관련회사 전화번호 지역별 구분(도·시·군·구·읍·면·동·리·지번)·고유 식별정보(제공할 관련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수신된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를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하고,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위치 상세주소를 전송하는 위치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의 신호를 통하여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상품)정보와 위치정보 검색을 하고 서비스 이용 및 결과를 미리 입력 저장된 보호자 연락번호로 자동으로 매칭되어 서비스 이용정보와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호출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급자의 전자장치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급자 모두가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함께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것만으로 서비스제공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이용자 전자장치로 공급자가 제공하는 호출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및 URL정보를 원터치 동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관련 호출의 신청·예약·이용 및 위치 알림서비스가 자동으로 전달되어 차량 및 관련 기사를 호출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인 등이 호출 차량을 통한 교통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출발지 및 도착지의 정보를 해당 관리서버에 등록한 다음, 각 장애인 본인이 소유한 전자창치 기기를 통해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전자장치정보를 해당 전자창치 기기를 통해 판독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등록된 관리서버에 차량 호출 관련 신호를 전송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정보를 생성 후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로 호출 서비스 이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APP이 자동 실행되어 서비스 공급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 있어 편리성으로 인하여 서비스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 및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하였을 시 아이콘 및 URL정보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요청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를 통하여 다른 분야에 응용하여 이용자 증가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및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호출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 시 현재 정확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및 전자장치로 전송,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알림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의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호출서비스 관련 정보 및 위치를 맵핑하여 저장하며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의 전자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 전송 시 기 저장된 해당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 신호를 상기 서비스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미리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서비스 이용 시 호출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서비스 통합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정확한 위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 서비스 이용요금, 서비스 공급자가 홍보 또는 판매할 상품, 서비스 공급자의 소속 회사(상호), 서비스 이용내역을 연락할 수 있는 가능한 전화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 차량 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성명, URL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정보를 생성 후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APP이 자동 실행되어 서비스 공급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 할 관련 상품정보를 더 입력한 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발신번호와 맵핑되어 등록된 정보와 서비스호출 요청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서비스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서비스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URL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판독되는 URL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URL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상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또는 지정한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정보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입력된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의 판독 시 수신된 서비스 관련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더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이용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는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를 전송할 연락할 전화번호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의 생성 시 현재 위치정보로써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 지정된 위치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요청 신호에 포함된 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 지정된 위치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와,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서비스 전자장치의 발신번호와 위치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정보 추출부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서비스제공 신호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 승인에 따라 처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및 관련 서비스정보 검색과 추출을 할 수 있는 추출부(검색부),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요청신호의 생성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이용자 전자장치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에서 서비스 제공·요청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공급자 전자장치와,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 시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가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또는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더 생성하기 위한 정보 입력,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의 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맵핑 후 저장을 통해 회원 등록되며,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제공 신호를 외부의 서버에 중계하는 서비스 공급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서버에 회원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서버 및 전자장치로부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신호의 수신 시 기저장된 해당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가지고 서비스 이용을 하기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로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한 위치 또는 희망하는 지점의 위치로 설정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서비스 이용 시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등록되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신호를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된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제공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신호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서비스공급자 고유 식별정보로써 URL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호출 및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인 서비스를 제공할 정확한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공급자의 소속 회사,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 차량 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성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공급자의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유 식별정보별로 해당 정보 값이 입력되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생성한 서비스를 요청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로 전송되는 서비스호출 및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를 해당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와 연계되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요청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 상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요청 관련 신호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수신되는 서비스제공 관련 신호가 서비스이용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승인 거부 시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다른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따른 서비스제공 관련정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승인 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를 통해 해당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가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승인한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안내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GIS 기반의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회원 등록한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요청 관련 신호를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중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신호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요청 관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요청 관련 신호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 회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장치를 통해 판독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급자의 전자장치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급자 모두가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것만으로 서비스제공 및 서비스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 장애인 등이 호출 차량을 통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출발지 및 도착지 등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및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하였을 시 본인이 소유한 전자장치의 아이콘 및 URL정보를 터치 또는 음성에 의해 서비스이용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상품 신청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P설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상품 신청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상품 요청 또는 제공 이용 시스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장치 해상도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장치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전송 방법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어떠한 전자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으로부터 위치 신호 수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 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전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은 서비스 요청 및 서비스제공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는 관련 서비스를 요청할 상황이 발생 시 전자 장치가 현재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서비스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는 관련 서비스를 요청 할 상황이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에 구비된 GPS 수신부를 통해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 등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서비스를 제공할 전자장치와 관련하여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장치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무선 랜 모듈과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과 다른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통신방법은 복수 개의 통신 방법으로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이다. 예컨대,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은 전자 장치의 소유자에게 서비스제공·이용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용자는 서버에 구비된 서비스요청·제공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이용 할 서비스 관련 제공·요청 정보를 전자 장치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서로 맵핑된 회원별 서비스 이용방법 정보를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통합관리서버(300)는 웹서버(140), 발신자번호 추출부(120), SMS처리부(130), 데이터베이스(11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 50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모듈(미도시)를 통해 통신망(200)과 연결된 통합관리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은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전자 장치(400, 500)는 구비된 입력부(42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한 서비스제공·요청정보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통합관리서버(300)에 구비된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인 공급자 전자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서비스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구비된 입력부(420)와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4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이용자 전자 장치(400)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 전자 장치(400)는 구비된 통신망(200)을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4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과 서비스 공급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정확한 위치정보(미도시)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와 서버(110)가 이용자 전자장치(400)를 다른 공급자 전자장치(500)와 식별 가능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지정한 위치 식별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유 식별 정보는 이용자 장치(400)의 구비된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생성된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공급자 전자 장치(500)는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공급자 전자장치(500)는 공급자회원 서버(112)에 서비스를 제공할 위치정보와 서비스내용을 미리 등록 되어 이용자 전자장치(400)와 동일한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장치(500)로서, 공급자 전자장치(5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점으로 미리 설정된 알림 반경 내에 위치한 서비스요청(411) 상황을 알 수 있는 전자장치(500)이다. 알림 반경은 통합관리 서버(300)의 운영자에 의해 설정 및 재설정되어 관리서버(150)에 구비된 저장부(152)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통신)망(200)은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에서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400,500)는 통신모듈(430), 입력부(420), 디스플레이부(440), GPS수신부(450), 제어부(460), 저장부(470) 및 메모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 500)는 성능에 따라 통신부에 이동 통신 모듈(430), 무선 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400)가 다른 전자 장치(500) 또는 외부 서버(300)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5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미도시) 또는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통신)망(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400)와 외부 전자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0)는 이용자 입력(예컨대, 화면 터치)에 의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450)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400)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 모듈(45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GPS 신호 전파의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의 위치 값과 또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미리 지정한 위치 값(미도시)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GPS 수신부(450)를 통해 GPS 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 값으로부터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미도시) 및 키패드(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미도시)은 전자장치(4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장치(400)의 제어를 위해 이용자로부터 키입력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4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 또는 디스플레이부(4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4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470), 제어부(46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컨대,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전자 장치(400)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다른 전자 장치(500), 외부 서버(300) 등)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들,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잠금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기계(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매체(non - 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서비스 관리 식별 정보 및 관련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전자장치(400, 500)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고유 식별정보는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400,500)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 설정 정보 및 서비스 사움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통신부(430), 디스플레이부(440), GPS 수신부(450), 입력부(420), 저장부(470), 키패드(480), 메모리(490) 및 전원공급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통신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네트워크(통신)망(200)과 연결된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서비스제공 상황을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이 구비된 입력부(42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저장부(470)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440) 된 화면에 추가로 정보 입력(42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이용자 입력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제공(요청) 정보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460)는 전자 장치(400, 5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GPS 수신부(450)에서 산출된 위치 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미도시)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을 통해 이동 통신 회사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된 경우, 복수 개의 기지국들의 고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과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터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요청 시 이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통해 서비스요청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경우, 제어부(460)는 현재 연결된 무선 액세스 포인터의 무선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통신 모듈(430)과 다른 전자 장치(500)의 통신 모듈 간(미도시)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통신 모듈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의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60)는 통신 모듈 간의 서비스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서버가 전자장치(400)를 다른 전자 장치(500)와 식별 가능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전자 장치(400)의 이용자에게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요청 정보를 추가 입력(213)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생성된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송한 서비스요청(411) 정보가 통합관리 서버(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다른 전자 장치, 다른 외부 서버)에 전송된 서비스요청(411) 확인 정보의 전송 결과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110)는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 공급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400)를 통해 등록한 서비스를 이용할 관리 정보가 전자 장치(400)의 식별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를 이용할 관리 정보는 서비스요청(214)에 대한 정보 또는 이용한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요청(214)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상품 이용 시 특이 사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400)를 통해 등록한 서비스를 이용할 상품, 이용결제정보, 서비스 위치 정보, 연락할 전화번호 등이 식별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정보는 서비스요청(411)에 대한 정보, 예약, 신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는 이용자 전자장치 번호, 성명, 연락할 번호, 결제계좌, 방법 등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는 전자 장치(400)의 정보와 서로 맵핑된 이용할 서비스 정보들이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정보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400)로부터 서비스제공자 전자장치(5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관련 서비스정보를 송·수신 받을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전자장치(500)에서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맵핑된 통합관리 서버(300)로 부터 서비스요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수신된 서비스제공 정보를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1)에 식별 정보와 맵핑되도록 송신하여 전자장치(400)가 서비스 신청(예약)(411) 정보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추출된 위치 정보로부터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전자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전자장치(500)가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며 서비스제공자 전자장치(500)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500)를 식별하기 위해 응답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500)는 서버(100)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500)에서 사용 중인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제어부(152)는 네트워크(통신)망 (2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400)로부터 서비스요청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제어부(152)는 수신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장치(400) 또는 서버(1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제어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제어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5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요청(411)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식별정보를 전자장치별로 전송하여 서비스 이용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APP을 쉽게 설치(224)하여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216)할 수 있는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정보가 서버(111) 및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장치를 포함하며, 통신(200)을 통하여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서비스신청(예약)(214) 방법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서비스신청(예약)요청 정보를 생성(212)하되, 서비스신청(예약)에 전자장치(400)를 통한 위치 정보 및 전자장치 식별정보(21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생성된 서비스신청(예약)(212)를 통신망(200)을 통해 외부의 서버(300)에 전송하는 휴대용 전자장치(400)이다.
또한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부(470)에 저장되며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를 생성(212) 후 생성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2)를 상기 서비스신청(예약)할 위치 정보(213)를 기준으로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사전 설정된 서비스신청(예약)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214)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214)의 수신 시 서비스신청(예약)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 서비스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공급자 식별정보를 검출(215)하고 검출된 서비스신청(예약)을 통합관리서버에 등록 할 수 있는 관리 서버(150)를 포함한다.
한편 무선통신부와 외부는 근거리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신청(예약) 정보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수신된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현재 위치(213)에서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신청(예약)(411) 화면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된 서비스신청(예약)(411)을 사용자가 선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식별정보는 회원정보, 이용자가 이용할 서비스 관련정보, 서비스상품 이용 정보, 할인정보(회원 등) 이용요금 결제방법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440)부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4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서비스신청(예약)(214)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비스신청(예약)(411)상황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정보들을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검색하고 회원 및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을 자동 분류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회원정보를 저장한 이용자 회원 데이터베이스(111), 상기 관련 서비스를 공급할 회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급자 회원 데이터베이스(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장치(400)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이용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기 공급자 회원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검출 후 검출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에 해당되는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신청(예약)요청 정보(214)를 신청할 수 있게 상기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을 위한 웹서버(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상기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를 검색하고, 상기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들 중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신청(예약)요청 정보는 상기 웹서버(140)를 통해 호출서비스 신청(예약)·관련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상황정보(411)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호출서비스신청(예약)·관련 서비스 정보들을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저장되는 호출서비스신청(예약)·관련 서비스 정보와 휴대용 전자장치(400)로 사용자 식별정보 및 호출서비스신청(예약)·관련 서비스이용 요청 정보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호출서비스신청(예약)·관련 서비스이용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440)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여기서 관리서버(150)는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회원 및 이용자 등 이용대상을 자동 분류하여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별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장치(400)를 이용하여 차등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장치(4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법(미도시)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수신한 전자장치(400)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또는 서비스 공급자가 미리 지정한 정확한 위치 주소 값 설정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한 위치 또는 희망하는 지점의 위치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장치(400)는 서비스상품·서비스 관련 정보·이용 요청 정보에 이용자가 지정한 정보를 포함시키며, 또한 관리서버(150)는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상품·서비스 관련 정보·이용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상품·서비스 관련 정보·이용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해당 서비스의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관리서버에 서비스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서비스이용자 전자장치별 식별 가능한 상태로 입력 저장하고(211) 여기서 서비스이용자 전자장치의 입력부(420)를 통해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가 입력(212)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를 생성(213)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장치(400)에서 생성된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214)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에 저장된 휴대용 전자장치(400)별 사용자 식별정보 중에서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신청(예약)요청 정보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를 검출(212)하고 관리 서버(150)가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신청(예약) 요청 정보(214) 및 검출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신청(예약)(411)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공급자 관리 서버(112)에서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110)에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들이며 상기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들 중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사전에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로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들 중에서 선택하고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5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사전 미리 설정된 전자장치에 통신망(200)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공급자 관리 서버(112)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및 검출된 사용자 식별정보(212)를 기반으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수신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4)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공급자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112)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공급자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검출된 서비스를 제공할 위치 값 정보에 해당되는 공급자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검출한다.
또한 공급자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2)가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212)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합관리 서버(300)에 전자장치(400)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전자장치별 식별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며 상기 전자장치(400)에서 위치 정보 및 장치 식별정보가 포함된 이용할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생성(212)하고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입력부(420)를 통해 이용할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212)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장치(400)에서 생성된 이용할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4)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별 고유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이용할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4)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이용할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4)를 생성(215) 하여 저장(216)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생성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4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해당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들을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확인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을 위한 웹서버(140)와 통신망(200)을 통하여 호 접속 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발신자번호 추출부(120)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들을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저장한 공급자회원 데이터베이스(112) 및 회원 또는 이용자 등 서비스 대상을 자동 분류 할 수 있는 회원정보를 저장한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111),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90),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480)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 웹서버(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200) 접속된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접수되면 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상기 웹서버(140)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전자장치(400)에 등록회원임을 확인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전자장치(400)로 전송하는 통합관리 서버(300)를 구비한다.
웹서버(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200) 접속된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접수되면 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웹서버(140)를 통하여 접속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등록회원임을 확인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장치(400)로부터 통신망(200)을 통한 전화 호 접속이 있으면 호 접속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발신자 번호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번호와 수신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한 후, 서비스요청 결과를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전송한다.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200)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호 접속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430) 수신된 URL 정보 및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90)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480)
통합관리 서버(300)를 통해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메모리(49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440)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된 아이콘 및 URL 정보 표시부분이 터치되면 아이콘 및 URL 정보에 의해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을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이용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서비스 신청·제공 정보가 접속된 서버에 비 등록된 회원정보임이 확인되면 통신모듈(430)을 통하여 서버에 서비스관련 정보를 신청·제공 등록을 수행하는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공급자 전자장치(5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와 이 송신된 데이터에 의해 처리한 거래내역을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과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공급자 전자장치(500) 통합관리 서버로(300)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확인 또는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호 접속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430)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90)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480) 휴대용 전자장치(500)를 통해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상기 메모리(490)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440)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된 URL 정보에 의해 상기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300)에 데이터 통신을 접속하여 서비스 관리정보를 확인하고, 전송된 서비스제공 정보가 접속된 서버에 등록된 정보임을 확인하는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수신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할 현재위치에 진입 시 이용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자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서비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부로 구성되어 제어한다.
또한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서비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부로 구성되는 제어부(460)를 통해 서비스제공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주출하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및 URL에 대한 제공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수신된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440)된 위치를 보고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용할 서비스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440) 된 서비스제공 관련(411)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을 추가 입력(213)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는 서비스상품 체계에 따라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서비스 상품등 공급자회원 서버(112)와 서버에 연결되어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112)와, 전자장치(500)에서 접속된 상기 서버 및 전자장치에 등록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상기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하고 이용자의 전자장치(400)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는 관련 서비스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서버(300)와,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회원, 이용자 등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자동 분류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차등 제공하여 서비스를 이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접속된 서버 또는 전자장치에 등록된 서비스제공에 대한 정보를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접속된 서버 또는 공급자 전자장치(500)에서 송신된 서비스 이용정보를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수신하여 확인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전자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예를 보인 해상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수신된 서비스상품을 제공하는 근접 위치에서 통신망(200)인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Beacon장치를 통해 제공할 서비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용자 전자장치(40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할 위치에 진입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식결과를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송신하여 각 서비스 이용 여부 가능 및 서비스 이용 상황을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서비스제공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40)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 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한 상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상황을 관리자의 전자장치(500)로 통보한다.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이용자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서비스제공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이용자에게 전자장치(400)를 이용한 시각적으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440)부, 상기 전자장치(400)에서 표시된 URL 정보를 터치하면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전자장치(400)에서 접속된 서버에 송신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서비스제공 관련 식별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할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서버에 등록된 관련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와 서비스 체계에 따라 제공될 관련 서비스 내용을 생성하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할 서비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이용할 시 미리 서비스이용에 대한 설정된 방법으로 자동 실행되며 추출된 정보 및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요청의 자동입력 및 추가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이용시간 및 제어방법과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이용 테이블을 보유하며 이용한 서비스이용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전송된 정보가 등록된 회원인지를 판단하고 서버에서 추출된 발신자번호를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214)와 연계시켜 서비스요청 확인을 서버에 등록(216)하고 서버에서 상기 정보가 등록된 회원이면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비스요청 확인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제공 관련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등록 완료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 등의 입력(213) 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액세스하여 처리한 정보를 관리기관 또는 관리회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휴대용 전자장치(400)에서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리드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표시(212)하는 단계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표시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터치하면 상기 서버에 리드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212) 상기 패킷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하며 서버에서 수신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에 의해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입력된 정보(213)가 회원 등록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전자장치(400)로 전송(214)하고 전자장치(400)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가 확인 수신되면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서버에 등록(216)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위해 서버에서 통신망(200)을 통하여 호 접속된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발신자 번호를 추출(120)하며 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발신자번호를 상기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215)와 연계시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서버(216)에 등록한다.
한편 서버에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공급자 전자장치(500)로 전송하며 공급자 전자장치(500)에서 서비스요청(예약)확인 정보(215)가 수신되면 서비스요청(예약)확인 등록 완료(216)를 이용자 전자장치(400)화면상에 표시한다.
우선 서비스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상품이 상기 공급자 회원서버(112)에 서비스상품이 등록되었는지(214)를 판단하고 관리하며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처리 내역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440)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전자장치(500)를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리드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212)를 확인하고 아이콘, URL 정보 및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표시한 디스플레이(440)를 통하여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표시된 상기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터치하면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버(300)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300)에서 수신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에 의해 추가 입력된 정보(213)가 회원 등록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접속된 서버(300)에 리드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214)를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회원정보를 저장한 회원 데이터베이스(111) 및 웹서버(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200) 접속된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웹서버(140)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등록회원임을 확인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비회원일 경우 휴대용 전자장치(400)로부터 통신망(200)을 통한 호 접속된 발신자 번호를 발신자 번호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번호와 수신된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를 매칭(215)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216)한 후, 서비스요청(예약) 관련 정보의 등록결과를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3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 : 데이터베이스
111 :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 112 : 공급자회원 데이터베이스
120 : 발신자번호 추출부 130 : SMS처리부
140 : 웹 서버 150 : 관리서버
151 : 검색부(추출부) 152 : 저장부
153 : 제어부 200 : 통신망
300 : 통합관리서버 400 : 이용자 휴대용 전자 장치
420 : 입력부 430 : 통신 모듈
440 : 디스플레이부 450 : GPS수신
460 : 제어부 470 : 저장부
480 : 키패드 490 : 메모리
500 : 공급자 휴대용 전자 장치

Claims (35)

  1. 서비스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전자장치별로 제공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보급할 서비스 관련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전자장치별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서버;
    상기 공급자의 관련 서비스제공을 위한 공급자 전자장치에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제공할 서비스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정보의 신호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관련 서비스제공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전자장치로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제공 정보의 송·수신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요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 시 상기 현재 생성된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요청 신호의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요청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제공되는 서비스 위치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등록된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전송 시 기 저장된 해당의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 식별정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할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서버;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가변하는 탐색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를 탐색하여 선택하고,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공급자의 전자장치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이용자는 이용자의 전자장치를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수신하여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서버 및 전자장치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을 통하여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제공·이용요청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입력 정보에 서비스 제공·이용요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전자장치를 통한 위치 정보 및 전자장치 식별정보·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되며, 생성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전자장치;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정보의 상기 이용자가 미리 저장한 고유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를 생성 후 생성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서비스요청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 위치, 서비스내용, 서비스 공급자의 소속 회사,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 차량 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성명, URL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이용 시 상기 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하고, 상기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통합관리서버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한 후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제공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더 추가 입력한 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공급자의 전자장치별로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생성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의 전자장치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공급자는 통신망을 통하여 전자장치별로 전송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관리서버에서 정보입력 및 생성된 정보를 전자장치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발신번호와 맵핑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는 URL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 현재 위치에서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형태로 상기 URL 정보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여 배치된 서비스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URL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상기 서비스제공·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 시 판독된 서비스요청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서비스요청 신호를 전송한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를 검색하고, 상기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들 중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급자가 제공할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검색된 서비스 공급자 정보가 올바른 정보인지 시간 전자장치간의 거리간격 설정을 통하여 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위치는,
    상기 서비스공급자가 미리 지정한 정확한 위치 주소 값 설정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한 위치 또는 희망하는 지점의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반경은,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요청 시 설정 또는 상기 서버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에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들이며 상기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들 중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로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서비스 공급자들의 선택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위치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지정 또는 가까운 순서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 시 현재 위치 정보로써 지정된 위치정보, GPS 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요청 신호에 포함된 지도와 지정된 위치정보,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발신자번호 추출부와 서비스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상품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서비스 정보 추출 및 동작 제어 그리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저장 및 정보 검색과 추출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정보의 생성 기능을 갖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서비스요청 알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8.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 시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및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알림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정보의 맵핑 저장을 통해 회원 등록되며,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외부 전자장치에 중계하는 서비스 공급자 회원서버;
    상기 서비스 공급자 서버에 회원 등록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공급자 서버로부터 이용자가 이용할 서비스 요청 정보의 수신 시 기 저장된 해당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요청 정보를 등록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상기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요청되며,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또는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19.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서비스를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고유 식별정보 입력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0.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전송될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고유 식별정보로써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인 서비스를 이용할 위치, 제공될 서비스 내용, 서비스 공급자의 소속 회사,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소유 차량 번호, 서비스 공급자의 성명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별로 생성되는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해당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와 연계되는 상기 서비스제공 방법과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고유 식별정보별로 해당 정보 값이 입력되어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 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의 저장을 통해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관련 서비스를 요청한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수신하는 서비스제공 관련 상품정보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승인 거부 시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다른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에 따른 서비스 정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승인 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전자장치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 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이용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승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및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지정된 정확한 위치 및 GIS 기반의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대한 지정된 정확한 위치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지정한 연락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3.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가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회원 등록한 서비스 공급자회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급자회원 서버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중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요청 정보와 설정된 시간과 매칭하여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일정한 시간 및 전자장치간 일정 거리, 또는 위치 검색조건을 저장되는 통합관리 서버;
    상기 회원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일정한 시간, 전자장치간 거리, 위치 검색조건을 분류하여 서비스이용을 할 수 있는 이용자 회원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상기 공급자 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 후 검출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값 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공급자 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를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접속을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신청·서비스이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서버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의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을 저장되는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와 이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상기 전자장치로 서비스요청 관련정보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6. 통합 관리서버에 전자장치의 공급자·이용자 식별정보가 전자장치별로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단계;
    상기 공급자·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위치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 후 통합 관리서버에서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전자장치별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수신된 서비스 관련 정보 및 URL, 아이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입력부를 통해 더 필요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생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전자장치별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관련 정보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관련 정보 및 검출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해당 전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 및 검출된 이용자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수신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서비스 공급자 데이터베이스 및 공급자 전자장치로부터 검출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이용할 고정 또는 이동하는 위치 값, 설정된 시간정보, 전자장치간 거리간격에 해당되는 서비스제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 및 이용자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되어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정보를 고정 또는 이동하는 위치 값, 설정된 시간정보를 더 확인하고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8. 상기 통합서버에 전자장치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전자장치별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고정 또는 이동하는 위치 값, 설정된 시간정보 및 전자장치 식별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가 더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생성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가 저장된 상기 전자장치별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에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에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 및 검출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제공 또는 요청정보를 기초로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고정 또는 이동하는 위치 값, 설정된 시간정보)으로 검색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고정 또는 이동하는 위치 값, 설정된 시간정보)에서
    상기 공급자 및 이용자의 전자장치가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위치, 이동하는 위치 또는 간격 조건 등으로 공급자 및 이용자의 전자장치로 진위여부를 더 확인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0. 상기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을 위한 웹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SMS 통신 접속을 위한 SMS처리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호 접속 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 추출부;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목적지 주변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저장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회원정보를 저장한 회원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신된 URL 정보 및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
    상기 통합관리 서버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서비스제공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된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서비스요청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전자장치에 등록회원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된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서비스요청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이 아니면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 접속이 있으면 호 접속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발신자 번호 추출부를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번호와 수신된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2.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장치;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통한 서비스요청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기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호 접속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요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 및
    상기 통합관리 서버를 통해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및 URL 정보 표시부분이 터치되면 아이콘 및 URL 정보에 의해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을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가 접속된 서버에 비 등록된 회원정보임이 확인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서버의 서비스 관련 회원등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3. 통합관리 서버에서 관리자(공급자)전자장치로 송신된 데이터와 이 송신된 데이터에 의해 처리한 거래내역을 관리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과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장치;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아이콘 및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확인 또는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호 접속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 및
    상기 통합관리 서버를 통해 수신된 URL 정보 및 서비스제공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RL 정보에 의해 상기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을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관련 관리정보를 확인하여 응답하고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가 접속된 서버에 등록된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4.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현재위치 및 지정된 위치를 통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서비스제공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위치지도 데이터를 주출하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수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 위치를 보고 설정하여 서비스요청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에 이용자의 정보와 서비스요청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요청 등록하는 단계; 는
    상기 서비스제공 디스플레이 된 서비스제공·요청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을 추가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방법.
KR1020150033843A 2015-03-11 2015-03-11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60109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43A KR20160109450A (ko) 2015-03-11 2015-03-11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43A KR20160109450A (ko) 2015-03-11 2015-03-11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50A true KR20160109450A (ko) 2016-09-21

Family

ID=570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43A KR20160109450A (ko) 2015-03-11 2015-03-11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474B1 (ko) * 2019-08-26 2021-01-22 강승훈 머신러닝 기반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474B1 (ko) * 2019-08-26 2021-01-22 강승훈 머신러닝 기반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791B2 (en) Selecting a messaging protocol for transmitting data in connection with a location-based service
US8817712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2457617B (zh) 移动终端以及在其中管理对象相关信息的方法
US20140006451A1 (en) Remote-Controllable Kiosk
KR102366744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601197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receiver recommendation service
US10194273B2 (en) Position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918193B1 (en) Hybrid electronic navigation and invitation system
CA29994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KR2016012237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99545A1 (en)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lication apparatus
KR101642739B1 (ko)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057713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enhanced services by using machi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20170030251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10052304A (ko) 위치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70034542A (ko) 긴급차량이 이동할 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26234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맞춤형 피오아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31942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60109450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50104504A (ko)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364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 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20160043555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6013914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20160107849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