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270A -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270A
KR20180117270A KR1020170050161A KR20170050161A KR20180117270A KR 20180117270 A KR20180117270 A KR 20180117270A KR 1020170050161 A KR1020170050161 A KR 1020170050161A KR 20170050161 A KR20170050161 A KR 20170050161A KR 20180117270 A KR20180117270 A KR 2018011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op box
connection
interworking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009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5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0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270A/ko
Priority to KR1020220014714A priority patent/KR102381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댁내 진입 시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페어링 된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연동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연동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셋탑 박스, 특히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용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정에서 다양한 구성원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기기의 성격상 채널 구성, 인터페이스 설정, 시청 시간대 제한, 성인 인증 등의 서비스가 개인화되지 못하고 단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또한,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정보 또는 공인인증서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IPTV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획일화된 방송 채널 구성에서 벗어나 개인별 선호도에 따른 채널 조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용자가 직접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 형태로서 사용자 개인 단말과 댁내 셋탑 박스를 연결하여 연동하기 위한 페어링(연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단말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원터치플레이 앱)을 실행하여 댁내 셋탑을 찾아 연결한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7786호(2015.07.13.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와이파이감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셋탑연결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셋탑연결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거나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연결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연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셋탑 박스 간의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 셋탑연결요청부; 및 (c)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d)는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단계 (b)에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댁내 진입 시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셋탑박스(3), 액세스포인트(4), 및 연동 서비스 서버(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2), 액세스포인트(4), 셋탑박스(3), 및 연동 서비스 서버(5)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사용자 단말(2)은 고객(사용자)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3)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로서의 셋탑 박스(Set-top Box)를 나타낸다.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4)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 주는 중계 장치로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댁내 설치되어 통신망(1)의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댁내 셋탑박스(3)와 모바일 단말로서의 사용자 단말(2) 간의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과 액세스 포인트(4) 간은 Wi-Fi 방식의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4)와 셋탑 박스(3) 간은 LAN과 같은 유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액세스포인트(4)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2)과 셋탑 박스(3) 간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연동 서비스 서버(5)는 셋탑박스(3)와 사용자 단말(2)의 페어링 시 통신망(1)을 매개로 셋탑박스(3) 및/또는 사용자 단말(2)과의 통신으로 각종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에 구비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감시부(21), 셋탑연결요청부(23), 셋탑연결확인부(25), 및 연결정보제공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감시부(21)는 사용자 근처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4)가 있는지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진입하여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면 이를 실시간 인지할 수 있다.
셋탑연결요청부(23)는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유선 연결되어 있는 댁내 셋탑 박스(3)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와이파이감시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된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로부터 액세스 포인트(4)를 통하여 댁내 셋탑 박스(3)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사용자 단말(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연결확인부(25)는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유선 연결되어 있는 댁내 셋탑 박스(3)와 사용자 단말(2) 간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셋탑연결요청부(23)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셋탑 박스(3)로부터 사용자 단말(2)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승인 메시지는 적어도 셋탑 박스(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정보제공부(27)는 연결된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셋탑연결확인부(25)를 통해 셋탑 박스(3)로부터 연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셋탑 박스(3)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예로 그 셋탑 박스(3)의 정보를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트리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셋탑 박스(3)는 사용자 단말(2)의 셋탑연결요청부(23)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전달하여,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장치에서 수행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2)은 주변의 와이파이 신호를 검색하여 댁내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고(S301), 단계 S301의 감시 결과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댁내 셋탑 박스(3)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댁내 셋탑 박스(3)로 전송한다(S303).
이어, 댁내 셋탑 박스(3)는 단계 S303에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한다(S305).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5에서 수신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기초로 셋탑 박스(3)와 연결되었음을 인지하고 그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셋탑 박스(3)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S307),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의 진행이 시작되도록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S311).
또한, 셋탑 박스(3)는 단계 S305에서 사용자 단말(2)과의 연결을 승인한 다음, 단계 S303에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S309),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의 진행이 시작되도록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S313).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3: 셋탑 박스(Set-top Box)
4: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5: 연동 서비스 서버
21: 와이파이감시부
23: 셋탑연결요청부
25: 셋탑연결확인부
27: 연결정보제공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와이파이감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셋탑연결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셋탑연결확인부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연결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제공부는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매개로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6.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단계 (b)에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50161A 2017-04-19 2017-04-19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6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ko) 2017-04-19 2017-04-19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ko) 2017-04-19 2022-02-04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ko) 2017-04-19 2017-04-19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14A Division KR102381338B1 (ko) 2017-04-19 2022-02-04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270A true KR20180117270A (ko) 2018-10-29
KR102361009B1 KR102361009B1 (ko) 2022-02-10

Family

ID=64101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ko) 2017-04-19 2017-04-19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ko) 2017-04-19 2022-02-04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ko) 2017-04-19 2022-02-04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1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1B1 (ko) * 2021-01-13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4765776A (zh) * 2021-01-14 2022-07-19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机顶盒自动连接wifi的方法、机顶盒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16B1 (ko) * 2013-11-25 2014-06-27 조준상 유무선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1421B1 (ko) * 2011-12-08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101537786B1 (ko) 2014-01-23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78B1 (ko) 2008-12-16 2015-02-09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81160A (ko) * 2009-01-05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ptv 단말기와 연동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421B1 (ko) * 2011-12-08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101410316B1 (ko) * 2013-11-25 2014-06-27 조준상 유무선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7786B1 (ko) 2014-01-23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1B1 (ko) * 2021-01-13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02596A (ko) *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4765776A (zh) * 2021-01-14 2022-07-19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机顶盒自动连接wifi的方法、机顶盒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338B1 (ko) 2022-04-01
KR102361009B1 (ko) 2022-02-10
KR20220020870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wireless device
KR102254849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810324B1 (ko)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프라이버시 향상
US20190090174A1 (en) Vehicle as public wireless hotspot
US8838815B2 (en) Systems and methods to make a resource available via a local network
US20100325695A1 (en) Content delivery server, content providing server,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providing method,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038556A1 (en) Mobility Device Security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25695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64916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
KR102381338B1 (ko)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3441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증정보 업데이트 방법
CN102612052A (zh) 无线通信装置、程序及无线通信系统
US9591485B2 (en) Provisioning subscriptions to user devices
KR20120068275A (ko) 휴대 단말기의 AP(Access Point)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41228B1 (ko) 홈 네트워크용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9238A (ko) 티켓 취소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티켓 취소 안내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10385204A1 (en) Acoustic signal-based authentication to a content delivery platform
KR10075655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tv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3579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US11323263B2 (en) Sharing of secret information for accessing a wireless computing network
KR20220006655A (ko) 이동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539598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41101B1 (ko) Ap 접속 승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0235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액세스 포인트, 그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