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419A - 위생 용품 클로저 탭 - Google Patents

위생 용품 클로저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419A
KR20130113419A KR1020137000935A KR20137000935A KR20130113419A KR 20130113419 A KR20130113419 A KR 20130113419A KR 1020137000935 A KR1020137000935 A KR 1020137000935A KR 20137000935 A KR20137000935 A KR 20137000935A KR 20130113419 A KR20130113419 A KR 2013011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mechanical fastening
width
closure tab
separ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커 하우쉴트
랄프 게 외르텔
페테르 키체르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11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Abstract

기저귀, 성인용 실금 용품 또는 여성용 위생 용품과 같은 위생 용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개시된다. 클로저 탭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영역 및 임의의 체결 수단이 없는 핑거리프트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영역을 갖는 배킹 층을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은 핑거리프트 부분에 인접하여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1 을 갖는다.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2 를 가지며,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은 분리 거리 d 1 보다 크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크다.

Description

위생 용품 클로저 탭{HYGIENE ARTICLE CLOSURE TAB}
본 발명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closure tab), 특히 기계적 체결 수단을 채용한 클로저 탭에 관한 것이다.
위생 용품, 특히 일회용 위생 용품은 유아용 기저귀(infant diaper)(때때로, 기저귀(nappy)로도 알려짐), 여성용 위생 용품(예컨대, 생리대 또는 생리용 냅킨 및 팬티 라이너), 및 성인용 실금 의복(예를 들어, 실금 패드 및 일회용 내의)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를 갖는다. 이들 용품 각각은 액체 및 다른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또는 보유하도록 설계되며, 공통적으로 용품이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정위치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용품을, (유아용 기저귀 및 일회용 내의의 경우) 용품이 착용자를 둘러싸도록 용품 자체에 직접, 또는 (여성용 위생 용품 및 성인용 실금 패드의 경우) 의류 아이템에, 또는 (여성용 위생 용품 및 실금 패드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기저귀 및 일회용 내의와 같은 위생 용품의 경우, 용품을 용품 자체에 직접 접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흔히 클로저 탭이 제공된다. 클로저 탭은 전형적으로 사용자 단부(user end) 및 제조자 단부(manufacturer end)로 분할되는 부직 재료(non-woven material)의 긴 스트립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클로저 탭은 위생 용품의 전방 부분 또는 후방 부분 중 하나의 연장된 부분인, 기저귀와 같은 용품의 이어 패널(ear panel)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제조자 단부가 이어 패널과 일체형이므로 사용자 단부만을 갖는다. 사용자 단부에는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 사이에서 클로저 탭을 움켜잡을 수 있어서 탭이 폐쇄(위생 용품의 표면과 맞물리거나 그에 견고하게 접착됨) 및 개방(위생 용품의 표면으로부터 해제됨)될 수 있게 하는, 전형적으로는 무-체결(fastening-free) 영역을 포함하는 핑거리프트(fingerlift) 부분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접착제 및/또는 기계적 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클로저 탭의 제조자 단부는 역시 무-체결 영역이며, 클로저 탭이 위생 용품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는 접착제, 또는 열 또는 초음파 용접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 재료는 클로저 탭의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보강될 수 있으며, 핑거리프트 부분은 사용자가 클로저 탭의 사용자 단부를 위생 용품의 표면으로부터 보다 쉽게 들어올리게 하는, 예를 들어 스캘럽형 에지(scalloped edge)를 제공함으로써 형상화될 수 있다.
핑거리프트 부분이 위생 용품의 사용자에게 이점을 제공하는 하나의 특정한 상황은 위생 용품의 표면으로부터 클로저 탭을 개방하거나 제거하는 동안이다. 예를 들어, 클로저 탭을 위생 용품에 체결하기 위해 기계적 체결 수단이 채용되는 경우, (후크(hook), 스템(stem) 또는 컵형 돌출부와 같은) 기계적 체결 수단의 요소는 랜딩 구역(landing zone)으로서 사용되는 위생 용품의 영역의 섬유와 맞물릴 것이다. 클로저 탭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랜딩 구역의 섬유로부터 체결 요소를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소정 수준의 힘을 제공하여야 한다. 핑거리프트 부분에 인접한 선단 에지 및 제조자 단부에 인접한 후단 에지를 갖는, 클로저 탭 상에 제공된 기계적 체결 수단의 특정 폭에 대해, 이를 제거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선단 에지를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초기 값으로부터 후단 에지가 최종적으로 자유롭게 될 때까지 꾸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로저 탭이 제거되는 동안 당김에 대한 증가되는 저항과, 후단 에지가 최종적으로 자유롭게 된 때의 갑작스러운 감소를 경험한다. 이는 클로저 탭이 제1 배치로 적절하게 고정되지 않았었던 것으로 사용자가 느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제거의 어려움 또는 부적절한 고정에 대한 이러한 사용자의 지각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기계적 체결 수단을 클로저 탭의 폭에 걸쳐, 그리고 사용자 단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6,030,373호에 논의되어 있다. 체결 탭이 서로로부터 측방향 이격 거리만큼 분리된 선단 및 후단 에지를 갖는 사용자 접합 부분을 포함하고, 선단 및 후단 에지 각각에서 (기계적 체결 수단과 같은) 고정 메커니즘을 갖는다. 측방향 이격 거리는 폐쇄 응력을 보다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을 돕는다. 기저귀 상에 제공된 이어 패널의 표면 상에 후크 체결 재료가 제공되는 유럽 특허 제1 663 095 B1호에 유사한 효과가 기술되어 있다. 후크 재료는 일정 간극만큼 분리된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 간극은 체결 재료들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유도된 응력이 다른 하나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이는 결국 체결 재료들 중 하나가 이러한 응력으로 인해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유사하게, 유럽 특허 제0 755 665 A1호는 후크 및 루프 체결 재료의, 단일 영역보다는 2개의 영역의 사용을 논의하는데, 이는 이러한 것이 의도하지 않게 체결이 결합해제되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들 문헌 각각은 클로저 탭이 확실하게 체결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사용자의 지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것이 위생 용품이 고정되었음을 사용자가 얼마나 잘 느끼는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지의 여부에 관한 문제, 및 잘 고정된 클로저 탭이 랜딩 구역으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용이함에 관한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영역 및 임의의 체결 수단이 없는 핑거리프트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영역을 갖는 배킹(backing) 층; 핑거리프트 부분에 인접하여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1 을 갖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 및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2 를 가지며,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되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은 분리 거리 d 1 보다 크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큰,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로로부터 작은 분리 거리만큼 분리된 기계적 체결 수단의 2개의 영역을 사용함으로써(여기서 작다는 것은 분리 거리가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냄), 사용자는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제거 또는 개방하려고 시도할 때 클로저 탭이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저항을 경험한다. 또한, 기계적 체결 수단의 2개의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체결 수단이 랜딩 구역 재료로부터 최종적으로 해제될 때 갑작스러운 급격한 동작(jerk)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탭이 더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으로 지각한다. 기계적 체결 수단의 비대칭 영역들을 제공하는 것은 최대 박리력(peel force) 및 박리력과 전단력(shear force)의 분리 둘 모두에 관한 지각에 대해 유리한 효과를 가져서, 사용자에게 제거 및 고정 체결의 용이함에 관한 지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후크, 스템 또는 컵 형상의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보풀형 부직(fluffy non-woven) 재료, 압출-접합 루프(extrusion-bonded loop) 재료, 편성 루프(knitted loop) 재료 중 하나와 결합하도록 그리고 백시트(backsheet) 재료와 후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기계적 체결 요소 및 랜딩 구역 재료는 위생 용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은 박리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전단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체결 수단의 체결 요소의 특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체적인 경험이 또한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2 ㎜ 범위 내에 있다. 분리 거리 d 1 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범위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원하는 느낌 및 응답을 생성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은,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3 를 가지며,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2 만큼 분리되는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체결 수단의 영역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초기 박리력 및 용이함 둘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와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와 동일하지 않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 d 1 은 제2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3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 d 2 와 동일할 수 있다.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4 를 가지며,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3 만큼 분리되는 제4 기계적 체결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선택 사항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 또는 개방되는 확실하게 체결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에 관한 지각을 갖는 것을 여전히 보장하면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설계에서의 전체적인 유연성을 제공한다.
배킹 층은 부직 재료 층 및 접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탭이 용품 자체에 별도로 형성되는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유아용 기저귀에 특히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배킹 층은 위생 용품의 백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형성하기 위해 백시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폐쇄 메커니즘이 전형적으로 위생 용품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일부 기저귀 설계 또는 여성용 위생 용품을 위해 본 발명을 클로저 탭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이제 단지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
<도 3>
도 3은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박리력을 도시하는 차트.
<도 4>
도 4는 기계적 체결 수단의 상이한 폭 및 상이한 분리 거리에 대해,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피크 박리력을 도시하는 차트.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
본 발명에서,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에 제공되는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을 신중하게 선택함으로써, 하나의 체결 수단이 부주의로 해제되는 위험, 즉 클로저 탭이 위생 용품에 얼마나 잘 고정되었을지에 관한 사용자의 지각이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힘의 양에 관한 사용자의 지각도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은 유아용 기저귀 및 일회용 내의, 특히 실금 패드 기능을 갖는 것들과 같은 위생 용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들 실시예 각각에서 클로저 탭은 긴 스트립의 측면에서 기술되지만, 각각의 실시예는 긴 스트립이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 체결 수단이 이어 패널 자체 상에 직접 장착되는 이어 패널 부분을 갖는 위생 용품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한데, 이는 기계적 체결 수단이 그 상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위생 용품과 일체형이 되는, 윙(wing) 부분을 포함하는 여성용 위생 용품 또는 이어 패널을 가진 기저귀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위생 용품에 윙 또는 다른 유사한 부분이 제공되지 않고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위생 용품, 예를 들어 팬티 라이너와 같은 여성용 위생 용품의 백시트 재료와 효과적으로 일체형이 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이다. 이 도면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밑면에 대한 것이어서, 기계적 체결 수단을 보여준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1)은 부직 재료(도시 안됨)의 층을 지지하는 배킹 층으로부터 형성된, 2개의 대향하는 긴 변 및 2개의 대향하는 짧은 변을 갖는 긴 스트립의 형태이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1)에는 사용자 단부(2) 및 제조자 단부(3)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부(2)은 스캘럽형 에지를 갖는 핑거리프트 부분(4), 배킹 층 상에 지지되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5), 및 역시 배킹 층 상에 지지되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6)을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5)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6) 각각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폭에 걸쳐 연장되고, 긴 스트립의 대향하는 짧은 변과 평행한 에지를 갖는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5)은 폭 w 1 을 갖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6)은 폭 w 2 를 가지며, 여기서 제2 기계적 체결 수단(6)의 폭 w 2 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크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5)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6)은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체결 수단(6)의 폭 w 1 은 분리 거리 d 1 보다 크다. 분리 거리 d 1 을 최소화함으로써, 임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이 없는 표면적의 비율이 최소화되지만, 2개의 분리된 기계적 체결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는 유지된다.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및 분리 거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이다. 이 도면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밑면에 대한 것이어서, 기계적 체결 수단을 보여준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7)은 부직 재료(도시 안됨)의 층을 지지하는 배킹 층으로부터 형성된, 2개의 대향하는 긴 변 및 2개의 대향하는 짧은 변을 갖는 긴 스트립의 형태이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7)에는 사용자 단부(8) 및 제조자 단부(9)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부(8)은 스캘럽형 에지를 갖는 핑거리프트 부분(10), 배킹 층 상에 지지되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11), 역시 배킹 층 상에 지지되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 및 역시 또한 배킹 층 상에 지지되는 제3 체결 수단(13)을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11),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 및 제3 기계적 체결 수단(13) 각각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폭에 걸쳐 연장되고, 긴 스트립의 대향하는 짧은 변과 평행한 에지를 갖는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11)은 폭 w 1 을 갖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은 폭 w 2 를 가지며, 여기서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의 폭 w 2 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크다. 제3 기계적 체결 수단(13)은 폭 w 3 를 갖고, 여기서 제3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제1 체결 수단(11)의 폭 w 1 보다 크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체결 수단(12)의 폭 w 2 와는 동일하다. 역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1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은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기계적 체결 수단(12)은 제3 기계적 체결 수단(13)으로부터 분리 거리 d 2 만큼 분리된다. 제1 체결 수단(11)의 폭 w 1 과 제2 체결 수단(12)의 폭 w 2 와 제3 체결 수단(13)의 폭 w 3 는 분리 거리 d 1 보다 크고, 분리 거리 d 2 보다 크다. 2개의 분리 거리 d 1 d 2 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선택되는 랜딩 구역 재료 및 기계적 체결 수단에 따라 더 좁거나 더 넓게 선택될 수 있다. 역시,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및 제2 분리 거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최적화될 수 있다. 폭 w 4 를 갖고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3 만큼 분리되는 제4 기계적 체결 수단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2개의 분리 거리 d 2 d 3 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제4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4 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선택되는 랜딩 구역 재료 및 기계적 체결 수단에 따라 더 좁거나 더 넓게 선택될 수 있다. 역시,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및 제2 분리 거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실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엷은 선)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박리력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차트는 y-축을 따라 힘(N 단위), 및 x-축을 따라 배킹 재료로부터 제거되는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단위의 거리로 도시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접착제 코팅된 부직 배킹 층에 접착된, CHK-02220 후크(미국 55144-1000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쓰리엠 센터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함)를 포함하는 2개의 기계적 체결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형성하였다. 핑거리프트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사용자 단부 상에 커버층이 제공된다. 제1 체결 수단은 핑거리프트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3 ㎜의 폭 w 1 을 가지며, 10 ㎜의 폭 w 2 를 갖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0.5 ㎜의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된다.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스트립은 동일한 기본 구성의 것이었지만, 13 ㎜의 폭을 갖는 단일 기계적 체결 수단을 가졌다. 각각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압출 접합 루프 재료(미국 55144-1000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쓰리엠 센터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EBL-소프트(Soft))로부터 형성된 랜딩 구역 상에 배치하였고, 인장 시험기에서 180° 박리력을 가했다. 초기에, 표면을 가로질러 롤링되는 2 kg 중량체를 사용하여 랜딩 구역 재료 상에서 샘플을 가압하였고, 1 kg 중량체가 로딩된 샘플을 10초 동안 수직으로 현수시켰다. 이어서, 샘플의 양 단부를 인장 시험기에 배치하여, T-박리 모드 180° 박리 시험을 실행하였다. 박리력 시험을 8회 반복하였으며, 평균하여 도 3에 도시된 곡선을 생성하였다.
도 3은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경우, 기계적 체결 수단이 랜딩 구역으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박리력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증가가 요구된다는 것을 예시한다. 이는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사용자에게 클로저 탭이 제거하기에 어렵다는 인상을 주며, 완전하게 해제될 때까지 증가하는 힘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시점에서 증가하는 힘이 더 이상 가해질 필요가 없는지를 알지 못하므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랜딩 구역으로부터 갑작스럽게 자유롭게 당겨짐에 따른 불쾌한 느낌이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는 또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제거하는 데 요구되는 초기 힘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반드시 확실하게 체결된 것은 아니라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경우, 요구되는 박리력의 양은 효과적으로 2개의 단계로 된다는 것을 또한 예시한다: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과 비교할 때 박리력의 더 큰 증가율을 갖는 제1 단계, 및 제1 영역과 비교하여 박리력의 더 낮은 증가율을 갖는 제2 단계. 이들 2개의 영역은 제1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에 의해 설명되는 박리력의 하락에 의해 분리된다. 짧은 박리 거리에 걸쳐 초기에 경험되는 박리력의 더 큰 증가율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개방 과정을 시작하는 데 상당한 가해지는 힘을 필요로 하므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확실하게 체결되었음을 즉각 느끼게 된다. 박리력의 하락에 이어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제거될 때까지 박리력의 더 낮은 증가율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주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랜딩 구역에 견고하게 폐쇄 또는 부착되었다고 지각한다는 사실로 인한,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과 연관된 동일한 갑작스러운 해제를 경험하지 않는다. 이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이 분리 거리 d 1 보다 크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가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큰 것을 보장함으로써 달성된다.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상이한 폭을 갖고 분리 거리만큼 분리되는 2개의 기계적 체결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2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힘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초기에, 사용자는 박리력, 즉 랜딩 구역과 접촉하고 있을 때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직력은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선단 에지에서 기계적 체결 요소가 랜딩 구역의 재료와 결합해제되게 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은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선단 에지와 후단 에지 사이의 전체 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수직력을 가함으로써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사실상 전부가 제거될 것이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 전체가 랜딩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시점에, 제1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에서 가해지는 힘의 하락이 경험된다.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기계적 체결 요소의 제1 열을 해제하는 데에 초기에 작은 수직력이 요구되지만, 힘의 대부분은 랜딩 구역과 접촉하고 있을 때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즉 전단력이 사용자에 의해 자연적으로 가해진다.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에서, 기계적 체결 요소를 랜딩 구역 재료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수직 박리력이 초기에 가해지고, 이어서 평행 전단력이 가해진다. 박리력에 대한 필요성과 후속하는 전단력에 대한 필요성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직력과 평행력의 조합에 의해 동시에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랜딩 구역으로부터 뜯어내려고 하게 된다. 이는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점점 제거 또는 개방하기에 어렵게 되고, 또한 확실하게 체결 또는 폐쇄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인상을 생성한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의 역할은 또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이 확실하게 체결 또는 폐쇄되어 있지만, 또한 용이하게 개방 또는 제거된다는 인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핵심인 것이다. 초기에, 수직력이 가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개방 과정에서 운동량(momentum)을 증대시키며, 이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이 랜딩 구역으로부터 완전하게 해제된 시점에 자연적으로 중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량을 완전하게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기계적 체결 요소의 제1 열이 동일한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랜딩 구역의 재료로부터 용이하게 결합해제되도록, 분리 거리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이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잔여부를 랜딩 구역의 재료로부터 해제시키는 평행한 전단력으로의 완만한 이행을 보장한다. 분리 거리가 너무 큰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제1 피크와 제2 피크 사이의 가해지는 박리력의 하락이 더 클 것이며, 이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을 랜딩 구역의 표면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이 일종의 세게 당기는(tugging) 운동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지각을 사용자에게 준다. 분리 거리가 너무 작은 경우, 사용자는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에 관하여 요구되는 힘의 유사한 증가율을, 사용 시의 이와 연관된 지각과 함께 경험하게 된다. 분리 거리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한 실험적인 결정은 이것은 0.5 ㎜ 내지 1.0 ㎜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도 4는 기계적 체결 수단의 상이한 폭 및 상이한 분리 거리에 대해,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개방 또는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피크 박리력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적층된 배킹 재료(42 g/㎡ 스펀본드된(spunbound) 부직 재료의 층 및 20 g/㎡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층)를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배킹 재료에 부착된 폴리프로필렌 후크(100 g/㎡의 평량(base weight)을 가짐)를 지지하는 25 ㎜ 폭의 시험-스트립에 90° 박리 시험을 가했다. 초기에, 금속 기부 플레이트에 부착된 편성 루프 랜딩 구역 상에 역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샘플을 배치하였고, 후크와 루프 재료 사이의 맞물림을 달성하기 위해 2 kg 롤러 프레스를 사용하여 롤링시켰다. 2초 동안 1 kg 중량체에 의해 제공되는 수평 당김력을 포함하는 전단 처리를 행하였고, 이어서 편성 루프 랜딩 구역으로부터 시험 스트립을 제거하기 위해 300 ㎜/분 당김 속도의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후크 영역과 분리 거리의 조합을 사용하여, 각각의 시험 샘플에 대해 대략 20 ㎜의 총 체결 영역 폭을 생성하였다. 폭 및 분리 거리의 하기 값들을 사용하였다:
ㆍ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 3 ㎜, 10 ㎜
ㆍ 분리 거리 d: 1 ㎜, 2 ㎜, 3 ㎜, 4 ㎜, 5 ㎜
각각의 폭 w와 각각의 분리 거리 d를 조합한 샘플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루프 재료로부터 박리하는 데 요구되는 피크력을 (25 ㎜ 폭당 N 단위로) 기록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분리 거리 d의 최적 값은 1 ㎜이고, 이때 피크력은 기계적 체결 수단의 각각의 폭 w에 대해 분리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또한, 종래의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w 2 의 합계는 7 내지 22 ㎜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의 바람직한 범위는 1.0 ㎜ 내지 5.0 ㎜이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의 경우는 5.0 ㎜ 내지 18.0 ㎜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후크, 스템 또는 컵 형상의 기계적 체결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둘 모두가 동일한 기계적 체결 요소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술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에 가해지는 상이한 유형의 힘을 고려한 결과로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은 박리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전단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체결 요소에 대한 특정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또는 기계적 체결 요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최적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랜딩 구역은 보풀형 부직 재료, 압출-접합 루프 재료, 편성 루프 재료와 같은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백시트 재료와 후크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기계적 체결 수단은 선택된 재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을 위한 적합한 배킹 층은 부직 재료 층 및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하나의 표면 상에 접착제 층을 갖는 부직 테이프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킹 층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PP와 PE) 재료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필름과 같은 열가소성 필름에 기반한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2가지의 실시예에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은 기저귀와 같은 위생 용품에, 기저귀의 백시트에 또는 백시트 및 프런트시트 재료에 대한 연장부에 의해 제공되는 이어 패널에 직접 부착되는 탭으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이한 폭을 갖고 분리 거리만큼 분리되는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사용은 별도의 클로저 탭이 제공되지 않는 다른 위생 용품, 예컨대 윙 부분을 포함하는 생리대 및 이어 패널을 가진 기저귀에 적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들 상황 각각에서, 위생 용품 클로저 탭은 위생 용품 자체와 일체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클로저 탭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이다. 이는 백시트가 가장 위에 있는 상태로 윙 부분을 갖는 생리대와 같은 여성용 위생 용품의 도면을 도시하지만, 이 실시예는 기저귀의 이어 패널에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향하는 종방향 측부(15, 16) 및 대향하는 횡방향 측부(17, 18)를 갖는 대체로 긴 형상의 생리대(14)에 각각의 대향하는 종방향 측부(15, 16)를 따라 대략 중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윙 부분(19) 및 제2 윙 부분(20)이 제공된다. 각각의 윙 부분(19, 20)은 프런트시트 및 백시트 재료의 연장부로부터 형성되며, 이때 흡수 코어(도시 안됨)가 생리대(14)의 중앙 영역 내에서 프런트시트와 백시트 사이에 제공된다. 제1 윙 부분(19) 및 제2 윙 부분(20) 각각에 제1 기계적 체결 수단(21, 23)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22, 24)이 제공되며, 제1 기계적 체결 수단(21, 23)은 폭 w 1 을 갖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22, 24)은 폭 w 2 를 가지며,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된다. 모든 다른 측면에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21, 23)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22, 24) 및 분리 거리 d 1 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윙 부분(19, 20)은 기계적 체결 수단에 의해 착용자의 내의의 거싯(gusset)의 밑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윙 부분(19, 20) 중 단지 하나에 기계적 체결 수단이 제공되고, 다른 윙의 프런트시트 재료가 랜딩 구역으로서 사용되어, 사용 시에 윙들이 생리대를 고정하기 위해 중첩되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 용품 상의 기계적 체결 수단의 위치설정의 개략도이다. 이는 백시트가 가장 위에 있는 상태로 생리대와 같은 여성용 위생 용품의 도면을 도시하지만, 이 실시예는 기저귀의 이어 패널에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생리대(25)는 대향하는 종방향 측부(26, 27) 및 대향하는 횡방향 측부(28, 29)를 갖는 대체로 긴 형상이다. 백시트에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이 제공되며,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은 폭 w 1 을 갖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은 폭 w 2 를 가지며,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된다. 모든 다른 측면에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 및 분리 거리 d 1 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위생 용품을 착용자의 의류에 고정하기 위해, 기계적 체결 수단은 착용자의 내의의 거싯의 내부 면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 둘 모두에서, 기계적 체결 수단은 위생 용품의 제거 방향에 수직하도록 위치되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힘 인가 및 지각 효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위생 용품은 용품의 상부 에지(횡방향 측부(28))에서 시작하여 의복으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제거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종방향 에지(26, 27) 중 하나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의복으로부터 위생 용품을 벗겨낼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경우, 기계적 체결 수단(30, 31, 32, 33)은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이 항상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에 앞서 의복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선택된 에지에 평행하게 위치될 것이다. 유사하게, 도 6이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의 배열을 생리대의 두 위치 모두에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지만, 생리대의 중심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통과하는 반사선에 대해 각자의 거울상으로서 위치되는 배열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두 제2 기계적 체결 수단(31, 33)이 서로 가장 근접하게 놓이게 하고, 두 제1 기계적 체결 수단(30, 32)의 경우 대향하는 횡방향 측부(28, 29)에 인접하여 놓이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된 제3 및 제4 기계적 체결 수단과 같은 추가적인 기계적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개념이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 w 3 를 갖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d 2 의 분리 거리만큼 분리되는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이 백시트 상에 또는 윙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폭 w 4 를 갖고,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3 만큼 분리되는 제4 기계적 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3)

  1. 위생 용품 클로저 탭(closure tab)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영역 및 임의의 체결 수단이 없는 핑거리프트(fingerlift)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영역을 갖는 배킹(backing) 층;
    핑거리프트 부분에 인접하여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1 을 갖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 및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2 를 가지며,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1 만큼 분리되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은 분리 거리 d 1 보다 크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는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보다 큰 클로저 탭.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후크(hook), 스템(stem) 또는 컵 형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클로저 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보풀형 부직(fluffy non-woven) 재료, 압출-접합 루프(extrusion-bonded loop) 재료, 편성 루프(knitted loop) 재료 중 하나와 결합하도록 그리고 백시트(backsheet) 재료와 후크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클로저 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은 박리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체결구를 포함하고,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은 전단력에 저항하는 데 최적화된 체결구를 포함하는 클로저 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1 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의 합계는 7 내지 22 ㎜ 범위 내에 있는 클로저 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거리 d 1 은 0.2 내지 1.2 ㎜ 범위 내에 있는 클로저 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3 를 가지며,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2 만큼 분리되는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로저 탭.
  8. 제7항에 있어서,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와 동일한 클로저 탭.
  9. 제7항에 있어서, 제3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3 는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의 폭 w 2 와 동일하지 않은 클로저 탭.
  10.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1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2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 d 1 은 제2 기계적 체결 수단과 제3 기계적 체결 수단 사이의 분리 거리 d 2 와 동일한 클로저 탭.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킹 층 상에 지지되고, 폭 w 4 를 가지며, 제2 기계적 체결 수단으로부터 분리 거리 d 3 만큼 분리되는 제4 기계적 체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로저 탭.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킹 층은 부직 재료 층 및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클로저 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킹 층은 위생 용품의 백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클로저 탭.
KR1020137000935A 2010-06-21 2011-06-15 위생 용품 클로저 탭 KR20130113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6719A EP2397115A1 (en) 2010-06-21 2010-06-21 Hygiene article closure tab
EP10166719.4 2010-06-21
PCT/US2011/040415 WO2011163020A1 (en) 2010-06-21 2011-06-15 Hygiene article closure ta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419A true KR20130113419A (ko) 2013-10-15

Family

ID=4350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935A KR20130113419A (ko) 2010-06-21 2011-06-15 위생 용품 클로저 탭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00466B2 (ko)
EP (2) EP2397115A1 (ko)
JP (1) JP5856158B2 (ko)
KR (1) KR20130113419A (ko)
CN (1) CN102946837B (ko)
BR (1) BR112012032155B1 (ko)
ES (1) ES2613241T3 (ko)
MX (1) MX2012014911A (ko)
PL (1) PL2582344T3 (ko)
TW (1) TW201204332A (ko)
WO (1) WO2011163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8031B2 (en) 2011-02-16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mechanical fastening strip and reticulated mechanical fastening strip therefrom
CN104519767B (zh) 2012-05-16 2017-06-20 3M创新有限公司 使用冠状表面制造机械紧固件的方法
CN104661551B (zh) 2012-05-16 2017-06-09 3M创新有限公司 使用发散圆盘制造机械紧固件的方法
CN104321040B (zh) 2012-05-18 2017-03-08 3M创新有限公司 制备机械紧固件的方法以及包括具有突起的辊的设备
US9713558B2 (en) 2012-11-16 2017-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169786B2 (ja) 2013-05-03 2017-07-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伸張性積層体を含む吸収性物品
US9314962B2 (en) 2013-05-10 2016-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separating strands on a stretching surface
US9649824B2 (en) 2013-05-23 2017-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minates including a reticulate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5066210A1 (en) 2013-10-30 2015-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stening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BR112017010279A2 (pt) 2014-11-17 2018-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go absorvente e laminado de fixação
WO2017030856A1 (en) 2015-08-14 2017-0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fabric including structured film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19524283A (ja) * 2016-08-12 2019-09-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耳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
EP3496692B1 (en) 2016-08-12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CN113633467B (zh) 2016-08-12 2022-10-11 宝洁公司 用于装配吸收制品的方法和设备
EP3600196B1 (en) 2017-03-27 2021-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laminates with crimped spunbond fiber webs
WO2018185677A1 (en) 2017-04-05 2018-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apper ear stock material with fastening component and multiple folds
US11370211B2 (en) 2018-04-25 2022-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laminate
US11944522B2 (en) 2019-07-01 2024-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613A (en) * 1959-02-20 1962-02-13 Louis H Morin Ladder-like burr separable fastener
JPS5629288A (en) 1979-08-20 1981-03-24 Hirofumi Kani Player guiding device for key instruments
JPS59112005A (ja) * 1982-12-15 1984-06-28 ユニ・チャ−ム株式会社 締結片
US4699622A (en) * 1986-03-21 1987-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an improved side closure
US4753648A (en) * 1987-05-08 1988-06-28 Personal Products Company Sanitary napkin adhesively attached via elastic member
US5321855A (en) * 1993-03-12 1994-06-21 Ronald J. Chisena Fastening system for pairing socks, hosiery and gloves
US5692271A (en) * 1995-03-07 1997-12-02 Velcro Industries B.V. Enhanced flexibility fastener,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king, and product incorporating it
US6030373A (en) 1995-04-13 2000-0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attachment fastening system
JP3167889B2 (ja) 1995-07-28 2001-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11678B2 (ja) * 1996-07-1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0941730A1 (en) * 1998-03-13 1999-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ing tape
US7219403B2 (en) * 2002-07-23 2007-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member comprising shaped tab
JP3652691B2 (ja) 2003-05-23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WO2005016211A1 (en) * 2003-07-25 2005-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member comprising shaped tab
JP3648237B2 (ja) * 2003-08-19 2005-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953807B2 (ja) * 2006-12-28 2012-06-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ァスニングテー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5279A1 (en) 2013-04-18
CN102946837A (zh) 2013-02-27
WO2011163020A1 (en) 2011-12-29
CN102946837B (zh) 2017-02-15
ES2613241T3 (es) 2017-05-23
EP2582344B1 (en) 2016-11-16
US9700466B2 (en) 2017-07-11
EP2397115A1 (en) 2011-12-21
PL2582344T3 (pl) 2018-02-28
JP5856158B2 (ja) 2016-02-09
BR112012032155B1 (pt) 2020-04-22
JP2013529501A (ja) 2013-07-22
BR112012032155A2 (pt) 2016-11-16
TW201204332A (en) 2012-02-01
EP2582344A1 (en) 2013-04-24
MX2012014911A (es)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3419A (ko) 위생 용품 클로저 탭
JP5628762B2 (ja) ファスニングフィルムシステムおよび基材を備えるアセンブリ
JP4201841B2 (ja) 機械的閉鎖方式と粘着閉鎖方式を組み合わせた1回限りの使用のための衛生用品
KR101488554B1 (ko) 흡수 패드
EP1629813B1 (en) Wearing article
EP0826352A2 (en)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having disposal securing means
KR20100051690A (ko) 내의에 부착되는 흡수 용품을 위한 부착 패턴
WO2008050275A2 (en) Release tape-free fastener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the same
CZ313696A3 (en) Layered absorption sanitary pa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RU2568566C1 (ru) Одноразов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временным клейким прикреплением и способы,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US6443937B1 (en) Fastening system for garment
JP2001503293A (ja) 吸収物品のための固定手段
US6645188B2 (en) Absorbent article
JP2000506427A (ja) 吸収体用の改良された雌留め具部分
WO2018133026A1 (en) Diaper tab assembly with z-fold and multiple fastening components
EP1566157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RU2294726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EP2338453A1 (en) Hygiene Article
US20220265490A1 (en) Closure Tape Tab with an Inner Tab Portion Having Mechanical Fastening Elements
JP2004530512A (ja) 固定具を含む衛生吸収物品
MXPA01002359A (en) Diaper fast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