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044A - 분말형 탈취제 - Google Patents

분말형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044A
KR20130113044A KR1020120035308A KR20120035308A KR20130113044A KR 20130113044 A KR20130113044 A KR 20130113044A KR 1020120035308 A KR1020120035308 A KR 1020120035308A KR 20120035308 A KR20120035308 A KR 20120035308A KR 20130113044 A KR20130113044 A KR 2013011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activated carbon
biotite
od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831B1 (ko
Inventor
조일호
Original Assignee
조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호 filed Critical 조일호
Priority to KR102012003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8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의 분말형 탈취제는 규산질광물 또는 규산알루미늄광물 중 어느 하나의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첨착활성탄 40~70중량% 및 흑운모 20~50중량%를 혼합하여 분쇄시킨 분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말형 탈취제{POWDERY DEODORANT}
본 발명은 분말형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첨착활성탄 및 흑운모가 함유되어 탈취작용을 제공하는 분말형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제조공장, 수산물 가공공장, 가축우리,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악취발생원이 있으며, 이러한 악취를 발생하는 물질로써는 암모니아, 메르캅탄, 황화수소, 아민류,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적인 악취의 원인은 그 보다 더 복합적이며 다양한 성분에 의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은 필수적이며, 그 발생 장소가 다양함에 따라 광범위한 부분에서 연구가 실행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악취제거 기술로는 통상적으로 악취의 발생원에 효소 및 방부제를 직접적으로 살포하여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원을 억제시키는 생물학적 탈취방법, 방향성 물질의 향기로써 악취를 가리는 마스킹법, 활성탄소 등과 같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악취의 유발물질을 흡착하는 흡착법, 산 또는 염기성 물질로 악취발생물질을 중화시켜 제거하는 산-염기 중화법 및 오존의 산화작용을 이용하여 악취를 산화, 분해시키는 오존 산화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다섯가지 방법에서는 각각의 특성상 사용되는 부분에 있어서 한계절 및 사용상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러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탈취방법은 탈취효과의 개시가 늦으므로 탈취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며, 악취발생원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야 하므로 수분이 없는 곳이나 악취발생원과 접촉이 어려운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며 탈취효과 또한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마스킹법에 의한 탈취방법은 악취발생원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이 아니고 강한 향으로 악취를 은폐시켜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므로 방향제의 향이 사라지게 되면 다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방향제와 악취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활성탄소 등에 의한 흡착법은 악취물질의 포집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는 있지만 흡착물질의 흡착능력이 자기체적의 0.5배 정도로 완벽한 탈취처리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흡착물질의 양이 많아야 하며, 흡착물질의 탈취처리 할 수 있는 범위의 한계가 있고, 특히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가스에 대한 흡착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의 발생원은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악취이며 산성취, 중성취 및 염기성취로 그 산 또한 다르므로 산염기 중화법에 의한 탈취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악취발생원의 중화제거에 효과적인 화학반응 물질을 탈취성분으로 선택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탈취성분의 선택이 난이하며, 탈취성분이 화학물질이므로 고도의 처리관리 기술이 필요하며, 2차 공해 부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오존산화법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복합 냄새성분 중에서 황화합물 계통의 냄새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암모니아 및 저급 아민류에 대해서는 탈취효과가 낮으며, 또한 탈취 처리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에 오존이 포함되어 있어 오존의 특유한 냄새로 인하여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존을 분해,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제거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취급이 용이한 분말형 탈취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말형 탈취제는 규산질광물 또는 규산알루미늄광물 중 어느 하나의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첨착활성탄 40~70중량%; 및 흑운모 20~50중량%;를 혼합하여 분쇄시킨 분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질재료는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한 후 280~330메쉬(mesh)의 입도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 분쇄한 분말에 제올라이트 1~5중량%를 더 포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탈취제는 악취제거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말형 탈취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분말형 탈취제는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분쇄한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첨착활성탄은 40~70중량%를 구성하며, 규산질광물(자광석) 또는 규산알루미늄광물 중 어느 하나를 분쇄한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무기질재료는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준비된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한 후 280~330메쉬(mesh)의 입도로 분쇄한다.
그리고,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 분쇄한 분말에 제올라이트 1~5중량%를 추가로 혼합이 가능하다.
상기 첨착활성탄은 입자 하나하나에 잘 발달된 무수한 미세공(Micro Pore, Transitional Pore, Macr Pore)으로 이루어진 무정형의 탄소 집합체로 그 미세공은 상호 연결되는 무수한 통로로 구성되어 넓은 내부표면적을 가진다.
이 표면적은 상대분자 크기에 따른 세공의 크기의 적합성과 함께 활성탄소의 생명인 흡착능력을 좌우하게 되고, 활성탄소 1g은 1,000~1,600m2의 넓은 표면적을 갖고 있으며, 세공의 분포는 10
Figure pat00001
로 존재하는 해면상의 다공질이다.
이러한 첨착활성탄은 중화작용을 하여 미생물에 의한 산화반응에 유래하는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아민, 메르캅탄, 황화수소 등과 반응하여 악취물질의 분자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탈취효과에 기인하여 상기와 같은 악취물질을 분해, 제거하고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효과적인 탈취효과를 얻으며, 야자껍질, 갈탄, 목탄, 섬유 등의 원료에 탄화공정을 거친 후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등으로 활성화시켜 내부에 미세기공을 형성시켜 만드는 것으로 그 기공을 통해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또는 가스상 오염물질, 악취 등을 흡착 제거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분말형 탈취제는 수소이온농도(pH)가 중성범위(pH6.5~7.5)에 이르게 되어 산성취, 중성취, 염기성취에 모두 탈취능력이 좋으며, 산화-환원, 흡착중화에 의한 악취의 분해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악취제거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취급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규산질광물 또는 규산알루미늄광물 중 어느 하나의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첨착활성탄 40~70중량%; 및
    흑운모 20~50중량%;를 혼합하여 분쇄시킨 분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탈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재료는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탈취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한 후 280~330메쉬(mesh)의 입도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탈취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착활성탄과 흑운모를 혼합, 분쇄한 분말에 제올라이트 1~5중량%를 더 포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탈취제.

KR1020120035308A 2012-04-05 2012-04-05 분말형 탈취제 KR10141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08A KR101411831B1 (ko) 2012-04-05 2012-04-05 분말형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08A KR101411831B1 (ko) 2012-04-05 2012-04-05 분말형 탈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44A true KR20130113044A (ko) 2013-10-15
KR101411831B1 KR101411831B1 (ko) 2014-06-30

Family

ID=4963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308A KR101411831B1 (ko) 2012-04-05 2012-04-05 분말형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1A (ko) * 2015-06-30 2017-01-10 (주)기륭산업 하수 또는 폐수 슬러지의 악취 및 함수율 저감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771B1 (ko) * 2019-01-02 2020-03-06 이승진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061B1 (ko) * 2021-08-06 2023-03-31 박경환 음식물쓰레기 건조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악취 제거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98B1 (ko) 2003-05-12 2005-03-10 이동수 천연섬유의 원적외선 발생 처리방법
KR100749916B1 (ko) * 2006-02-02 2007-08-16 제창국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KR100895867B1 (ko) 2007-11-28 2009-04-30 (주)동화라이징 다공성 복합소결체의 제조방법
KR20110011770A (ko) * 2009-07-29 2011-02-09 신소연 탈취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1A (ko) * 2015-06-30 2017-01-10 (주)기륭산업 하수 또는 폐수 슬러지의 악취 및 함수율 저감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771B1 (ko) * 2019-01-02 2020-03-06 이승진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831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831B1 (ko) 분말형 탈취제
KR20190096466A (ko) 간수를 이용한 비소제거용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07565B1 (ko) 황산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유발 오염물질의 악취 제거방법
JP5567288B2 (ja) 脱臭剤の製造方法
JP2011036843A (ja) バクテリア担体の培養、付着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81778A (ko) VOCs 저감장치
JP4662613B2 (ja) 多孔質粉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20060088610A (ko) 오·폐수 슬러지 재활용용 분산재 및 혼화재
JP2010247045A (ja) 焼却灰の触媒能と吸着能の賦活化方法
KR101333778B1 (ko) 천연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복합악취 제거방법
KR20110080454A (ko)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가공방법 및 탈취제
KR101450264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흡착제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착제
KR20190073794A (ko) 광물분말을 이용한 무자극 천연 살균 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7305B1 (ko) 액상 탈취제
JPH0365239A (ja) 脱臭剤
KR100415264B1 (ko) 토양 개량제의 조성물
KR102081146B1 (ko) 염기성 냄새 제거효과 강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620539B2 (ja) 脱臭剤
KR10145522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복합 탈취시스템
KR20140027766A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슬러지용 기능성 고화재
JP3943619B2 (ja) 有機質汚泥の消臭方法
CN108067189A (zh) 基于活性炭废水除臭剂
KR100523756B1 (ko) 폐수처리용 악취제거제
KR10028964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산업용탈취제 및 이의 사용방법
Han A Study on Deodorization of Slu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