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916B1 -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916B1
KR100749916B1 KR1020060010319A KR20060010319A KR100749916B1 KR 100749916 B1 KR100749916 B1 KR 100749916B1 KR 1020060010319 A KR1020060010319 A KR 1020060010319A KR 20060010319 A KR20060010319 A KR 20060010319A KR 100749916 B1 KR100749916 B1 KR 10074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weight
functional mortar
eco
house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창국
Original Assignee
제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창국 filed Critical 제창국
Priority to KR102006001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25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e.g. materials containing special additives to afford skin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1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2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3
)·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4
)·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5
)·산화나트륨()·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7
)·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8
)로 이루어지되, 300 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시킨 무기질 재료 10~30중량%에 시멘트 70~90%를 배합하고, 여기에 모래와 물을 혼합, 반죽시켜 내부 미장마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공성 물질, 무기질 재료, 몰탈, 새집증후군

Description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을 이용하여 시공된 건물 벽체의 내부 미장마감을 보여주는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을 이용하여 시공된 건물의 온돌바닥을 보여주는 시공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기능성 몰탈 12: 벽지
20: 벽체, 콘크리트바닥 22: 단열재
24: 기포층 26: 장판
본 발명은 기능성 몰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주택 내지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또는 사무용 건물의 벽체 미장 또는 바닥 미장에 시공되어 새집 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징의 예로서,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은 집이나 건물 등을 신축할 때 사용되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배출된 유해물질로 인해,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 문제 및 불쾌감을 이르는 용어이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오염물질로 배출되고, 여기에는 벤젠·톨루엔·클로로포름·아세톤·스틸렌·포름알데히드 등의 발암물질 및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암물질 및 오염물질은 통상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면서 아토피 피부염,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건물 신축 후 일정한 기간 동안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환기를 시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거나, 황토 또는 맥반석, 옥과 같은 천연 무기질 소재를 이용하여 중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새집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간, 예를 들면 6개월에서 1년 가까운 장기간의 환기기간이 필요하여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며, 특히 천연 무기질 소재는 그 표면이 불규칙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마감재의 탈락이 쉽게 발생하고, 작은 조각으로 쉽게 부스러져 도리어 오염물질을 역으로 재생산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건물의 내부 마감미장 등에 적용되도록 천연 무기질 재료와 시멘트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모래 및 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몰탈을 형성시켜 각종 건물의 내부 마감미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의 무기질 재료는,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09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0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1
)·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2
)·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3
)·산화나트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4
)·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5
)·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7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8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19
)·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0
)·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1
)·산화나트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2
)·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3
)·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4
)로 이루어지되, 300 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시킨 무기질 재료 10~30중량%에 시멘트 70~90%를 배합하고, 여기에 모래와 물을 혼합, 반죽시켜 내부 미장마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5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6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7
)·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8
)·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29
)·산화나트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0
)·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1
)·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2
)로 이루어지되, 300 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시킨 무기질 재료는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6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3
당 100~400kg을 혼합시켜 온돌바닥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질 재료는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4
)40~84중량%,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5
)10~30중량%,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6
)1~5중량%·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7
)1~5중량%·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8
)1~5중량%·산화나트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39
)1~5중량%·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0
)1~5중량%·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1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을 이용하여 시공된 건물 벽체의 내부 미장마감을 보여주는 시공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을 이용하여 시공된 건물의 온돌바닥을 보여주는 시공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은 규산(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2
)·알루미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3
)·산화제이철(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4
)·산화칼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5
)·산화마그네슘(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6
)·산화나트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7
)·산화칼륨(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8
)·이글로스(
Figure 112007012381208-pat00049
)로 이루어지되, 300 메쉬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시킨 무기질 재료 10~30중량%에 시멘트 70~90%를 배합하고, 여기에 모래와 물을 혼합, 반죽시켜 내부 미장마감(10)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몰탈은 미장시 사용되는 통상의 몰탈처럼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몰탈은 통상의 시멘트와, 다공성의 재질로서 흡착력이 뛰어나고, 강도가 우수한 규산 또는 장석질 광물의 계통을 분쇄한 후 배합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이 다공성 재질인 무기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내지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시멘트로부터 방출되는 시멘트독인 암모니아의 방출 및 중금속의 냄새 등을 흡착시키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무기질 재료는 바람직하게 규산질 광물, 규산 알루미늄광물, 장석질 원료 등이 택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다공성 재료는 선택된 규산질 광물, 규산 알루미늄광물, 장석질의 원료로부터 채취한 규산·알루미나·산화제이철·산화칼슘·산화마그네슘·산화나트륨·산화칼륨·이글로스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재질인 무기질 재료는 일실시예로서, 규산40~84중량%, 알루미나10~30중량%, 산화제이철1~5중량%·산화칼슘1~5중량%·산화마그네슘1~5중량%·산화나트륨1~5중량%·산화칼륨1~5중량%·이글로스1~5중량%로 마련되고, 공통적으로 내화도(1250~1300℃)가 높으며, 후술하겠지만 열을 축적하였다가 내뿜는 방열효과가 있어 온돌바닥시공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성분 들은 고유의 흡착작용이 있어 전술한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건물의 각종 세정제, 접착제 등에서 방출되는 기체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흡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무기질 재료 10~30중량%에 시멘트 70~90%를 배합시켜 기능성 몰탈(10)의 시공준비를 한다.
배합된 무기질 재료와 시멘트는 강도 및 부착을 위해서 시공면적에 알맞는 모래와 물을 투입하여 상기 기능성 몰탈(10)을 완성한다.
이때, 기능성 몰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몰탈(10)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액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이러한 기능성 몰탈을 이용해 벽체 및 온돌바닥을 시공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몰탈(10)은 신축 건물 또는 기존에 마감몰탈이 미장되어 있는 내부 벽체(20)의 벽면에 0.5cm~5cm의 두께로 미장되어 벽체(20)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기능성 몰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질이므로 시멘트를 흡착시켜 견고한 미장이 되도록 하고, 탈취기능에 의해서 시멘트의 독성분 내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착, 탈취하여 중화시킨 후 기능성 몰탈(10)에 고착시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 예를 들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특히, 미장된 기능성 몰탈(10)의 위로는 벽지(12)가 붙여지게 되고, 이때 벽지(12)와 기능성 몰탈(1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나,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몰탈(10)의 상술한 기능에 의해서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성분은 중화, 제거 또는 흡착된다.
계속하여, 도 2는 기능성 몰탈(10)이 온돌바닥,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에는 전술한 벽체(20)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바닥(20) 등의 상부에 미장되는 마감면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실시예에 의해서 콘크리트바닥(20)의 상면에는 단열재(22)가 마련되어 있고, 단열재(22) 위에는 보일러의 배관을 포함하는 기포층(24)이 타설되어 있으며, 기포층(24)위로 본 발명의 기능성 몰탈(10)이 3~5cm의 두께로 미장마감되어 있다.
위와 같이, 온돌바닥으로 적용되는 기능성 몰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포층에서 방출되거나, 콘크리트바닥(20)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성분을 중화, 제거 또는 흡착시키고, 인체에 유해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기능성 몰탈(10) 위에는 장판(26) 등으로 최종 마감되므로, 기능성 몰탈(10)과 장판(26)을 부착시키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때에도 기능성 몰탈(10)은, 상기 접착제의 유해한 성분을 제거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몰탈(10)을 제공하여 새집증후군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기포층(20)에 위와 같은 무기질 재료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기질 재료는 타설되는 기포콘크리트 6
Figure 112006017249665-pat00050
당 100~400kg을 혼합시켜 온돌바닥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 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신축 또는 기존 건물의 내부 마감미장 등에 적용되도록 천연 무기질 재료와 시멘트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모래 및 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몰탈을 형성시켜 각종 건물의 내부 마감미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집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규산질 광물, 규산 알루미늄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질 재료가 구비되고, 상기 무기질 재료는 규산(
    Figure 712007002945849-pat00078
    ) 40중량% ~ 84중량%, 알루미나(
    Figure 712007002945849-pat00079
    ) 10중량% ~ 30중량%, 산화제이철(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0
    ) 1중량% ~ 5중량%, 산화칼슘(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1
    ) 1중량% ~ 5중량%, 산화마그네슘(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2
    ) 1중량% ~ 5중량%, 산화나트륨(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3
    ) 1중량% ~ 5중량%, 산화칼륨(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4
    ) 1중량% ~ 5중량%, 이글로스(
    Figure 712007002945849-pat00085
    ) 1중량% ~ 5중량%로 구비되어 이를 300메쉬의 입도로 분쇄시킨 다음 기포콘크리트 6
    Figure 712007002945849-pat00067
    당 100kg ~ 400kg을 혼합시켜 온돌바닥 시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0319A 2006-02-02 2006-02-02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KR10074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319A KR100749916B1 (ko) 2006-02-02 2006-02-02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319A KR100749916B1 (ko) 2006-02-02 2006-02-02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916B1 true KR100749916B1 (ko) 2007-08-16

Family

ID=3861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319A KR100749916B1 (ko) 2006-02-02 2006-02-02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831B1 (ko) * 2012-04-05 2014-06-30 조일호 분말형 탈취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514A (ko) * 2003-08-23 2005-03-04 (주) 금하 기능성 마감제
KR20060006368A (ko) * 2004-07-15 2006-01-19 이은재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514A (ko) * 2003-08-23 2005-03-04 (주) 금하 기능성 마감제
KR20060006368A (ko) * 2004-07-15 2006-01-19 이은재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831B1 (ko) * 2012-04-05 2014-06-30 조일호 분말형 탈취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28B1 (ko) 비산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레미콘 조성물
KR100886696B1 (ko)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29330B (zh) 一种环保型防火内墙干粉砂浆
Gualtieri Recycling asbestos-containing material (ACM)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DW)
KR100749916B1 (ko)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JP6584115B2 (ja) 化学物質を吸着・吸収する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1846B1 (ko)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건축마감재용 모르타르 조성물
KR20060092175A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20160049066A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20120114948A (ko) 벽돌층 및 펠렛층으로 이루어진 온돌바닥층을 갖는 온돌바닥 시공구조
KR100823662B1 (ko) 친환경 기능성 콘크리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이루어진 건축구조물
KR100741514B1 (ko) 나노복합 기능성 무기질 조성물과 이로 이루어진 건축자재
JP2007106671A (ja) 建材組成物
KR100991434B1 (ko) 경량 단열 방수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e et al. Fabrication of humidity control ceramics from drinking-water treatment sludge and Onggi soil
JP4413005B2 (ja) 断熱壁構造
JP2002338327A (ja) 調湿建材の製造方法
KR101198282B1 (ko) 생황토를 이용한 토목 내지 건축 공사 재료용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돌 제작 방법과 기계화 시공법
KR101042492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바이오 몰탈 조성분
KR102095786B1 (ko)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106B1 (ko) 카오린을 이용한 원적외선 복사 건축재의 제조방법
KR20110096002A (ko) 건축용 황토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030073764A (ko) 난방구조를 갖는 방바닥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
JP2009256897A (ja) 籾殻炭利用の建築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277153Y1 (ko) 난방구조를 갖는 방바닥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