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589A - 케이블 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589A
KR20130112589A KR1020120035085A KR20120035085A KR20130112589A KR 20130112589 A KR20130112589 A KR 20130112589A KR 1020120035085 A KR1020120035085 A KR 1020120035085A KR 20120035085 A KR20120035085 A KR 20120035085A KR 20130112589 A KR20130112589 A KR 2013011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r
coupling
coupled
frame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982B1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씨피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시스템(주) filed Critical 씨피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2003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9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에 의한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체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밴드(10a,10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프레임 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24c)을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디바이더 어셈블리(30)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a,34a)를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에 들어가는 케이블 등에 의하여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수 개의 디바이더가 프레임 어셈블리(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체인{A cable chain}
본 발명은 케이블 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체인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등의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이블 체인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체인이라고 알려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내하기 위하여 자동화 라인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장치는, 사용시에는 직선 구간을 형성하기도 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구간을 형성하면서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장치는, 하나의 링크체가 연속하여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벤드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체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사이드밴드(2a,2b)와, 상기 사이드밴드(2a,2b)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이드밴드(2a,2b)는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연결되고 있다. 상기 사이드밴드(2a,2b) 및 프레임(4)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간 내부에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블 체인에 의하여 보호되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은 체이블 체인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체이블 체인은 이러한 케이블에 의한 하중을 받게 된다. 특히 전체적인 케이블 체인의 길이가 긴 경우 또는 좌우 폭이 큰 케이블 체인의 경우에는 케이블에 의한 하중도 커지게 되고,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케이블 체인은 이와 같은 케이블의 하중이 너무 크면 변형의 우려가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케이블 체인의 변형 또는 과응력에 의한 파손 등은 실질적으로 생산 라인에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케이블 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좌우 폭이 크거나 장거리용 케이블 체인에서 케이블의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케이블 체인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디바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디바이더 어셈블리의 결합돌기가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홈에 결합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하중이 프레임 어셈블리에 가해지더라도, 디바이더가 견고하게 프레임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바이더 어셈블리는,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에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탄성후크를 구비하는 제1디바이더와;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에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후크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제2디바이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디바이더와 제2디바이더의 결합돌기가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측에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디바이더 또는 제2디바이더의 대향하는 면의 일측에는 연속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연속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디바이더와 제2디바이더는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프레임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어셈블리는, 알미늄으로 성형되고, 전면의 일부가 개방된 가로 방향의 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삽입홈 내부에 삽입되며, 결합홈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 인서트;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드밴드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프레임 어셈블리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들어 있는 케이블의 하중이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하중을 디바이더 어셈블리가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하중의 분산은 물론이고, 지지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체인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의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바이더 어셈블리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디바이더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디바이더 어셈블리와 상하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예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어셈블리와 디바이더 어셈블리의 결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 어셈블리와 디바이더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체인의 결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체인의 결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디바이더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와 프레임의 결합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사이드밴드(10:10a,10b)와, 상기 사이드밴드(10a,10b)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세로로 설치되어 그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디바이더 어셈블리(30)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밴드(10a,10b)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밴드(10a,10b)는 양측으로 동일한 형태의 사이드밴드와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에서의 사이드밴드(10a,10b)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은 사이드밴드(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과 사이드밴드(10)의 연결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서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전후방에 끼워지는 인서트(24),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의 양측 단부에 끼워지는 엔드캡(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2)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강도 보강을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경량인 알미늄으로 성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2)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가로방향(측면 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의 삽입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a)은 개방된 전방부분 보다 내부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인서트(24)가 도 4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즉 측면으로만 삽입 또는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a)에 측면에서 삽입되는 인서트(24)의 뒷부분에는 걸림돌기(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24a)는, 인서트(24)가 삽입홈(22a)에 삽입되었을 때, 입구부분의 걸림부(22b)에 걸림으로써, 인서트(24)가 삽입홈(22a)에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24)의 전방(또는 후방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인서트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결함홈(2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4c)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결합돌기(32a,34a)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22)에 인서트(22)가 측면에서 삽입된 후, 프레임(22)의 양측 단부에는 엔드캡(26)이 결합된다. 상기 엔드캡(26)은 프레임(22)의 삽입홈(22a)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각의 엔드캡(26)의 내측에는 삽입홈(22a)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돌기(26a)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구성을 정리하면, 전면 및 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22)에 삽입되는 인서트(24)에 결함홈(24c)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의 양단부는 사이드밴드(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는데, 예를 들면 한 쌍의 엔드캡(26)을 통하여 사이드밴드(10)에 각각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프레임(22)은 알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레임 어셈블리(20) 자체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그 전면에 결합홈(24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양단부에 엔드캡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상하 한 쌍의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그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디바이더(3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디바이더는 프레임 어셈블리(20)에 사이에 단순히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더(30)는, 프레임 어셈블리(2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가해지는 하중(예를 들면 케이블에 의한 하중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있다. 즉, 하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방의 프레임 어셈블리(20)가 하중에 의하여 처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바이더(30)는, 전후방향으로 이분된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는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바이더(30)를 구성하게 된다.
제1디바이더(32) 및 제2디바이더(34)의 상단 및 하단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32a,34a)가 성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2a,34a)는 각각 3개로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2a,34a)는 프레임(22)에 삽입되는 인서트(24)의 결합홈(24c)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32a,34a)가 결합홈(24c)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32a,34a)가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각 디바이더(32,34)의 상단 및 하단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디바이더(32 또는 34)가 상하의 프레임(22)에, 각각 결합돌기(32a,34a) 및 결합홈(24c)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디바이더(32,3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프레임(22)은 하방으로 처지지 않는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의 결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더(32,34)는, 각각 프레임 어셈블리(20)와 결합돌기(32a,34a) 및 결합홈(24c)에 의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도 서로 결합된다. 즉, 도 3c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바이더(32)의 내측 상하단부에는 탄성후크(32b)가 구비되어 있고, 제2디바이더(34)의 대응부분에는 결합홈(3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디바이더(32)의 탄성후크(32b)가 상기 결합홈(34b)으로 삽입되면, 탄성후크(32b)의 걸림부(32c)가, 결합홈(34b)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 변형을 일으킨 후 결합단턱(34c)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의 탄성후크(32b)가 결합홈(34b)과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디바이더(32,34)의 상단 및 하단부분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디바이더(32) 및 제2디바이더(34)의 서로 접하는 중간부분에도, 양자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요철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의 대향면에는 요철구조를 구비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제1디바이더(32)의 중간부분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돌출부(32d)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디바이더(34)의 대응부분에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홈부(34d)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32d)는 홈부(34d) 속으로 결합되면서, 대응 부분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돌출부(32d)와 홈부(34d)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32d)와 홈부(34d)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는 서로 결합되는 상태가 되며,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가 결합됨과 같이, 상기 디바이더(30)가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결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20)는, 디바이더(30)의 결합돌기(32a,34a)가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그 상부에 올려지는 케이블 등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변형의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의 전체적인 조립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사이드밴드(10;10a,10b)를 프레임어셈블리(20)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프레임 어셈블리(20)와 사이드밴드(10)의 연결은 종래의 구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돌기부(29)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이드밴드(10a,10b)의 상면에는 결합홈(19)을 형성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결합홈(19)의 내측으로 열린 상태로 형성하고, 돌기(19b)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상기 결합돌기부(29)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밴드(10)와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연결을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사이드밴드(10a)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10c)은 홈 형태로 성형되어도 가능하지만, 사이드밴드(10a)의 측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성형되어도 가능하다. 다른 일측의 사이드밴드(10b)의 대응하는 높이의 상단부에는 핀결합공(10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일측(도면상 좌측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0c)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0a)를 결합홈(10c)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우측 단부를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시킨다.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결함홈(20b)이 사이드밴드(10b)의 핀결합공(10d)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결합핀(P)을 삽입하여 결합홈(20b)와 핀결합공(10d)을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프레임 어셈블리(20)가 양측의 사이드밴드(10a,10b)에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좌우측 단부가 사이드밴드(10a,10b)의 각 내측면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사이드밴드(10a,10b)의 내측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함홈(20a) 및 핀결함공(20b)가 형성된 각각의 사이드밴드(10a,10b)의 내측부분에서 상방이 개방된 홈을 일정한 깊이(세로 방향에 대하여)로 형성하여 두면,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결합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 또는 종래의 구조를 이용하여 프레임 어셈블리(20)와 양측의 사이드밴드(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30)를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를 상하의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디바이더(32) 및 제2디바이더(34)의 상하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32a,34a)는,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인서트(24)의 결합홈(24c)에 끼워진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하여, 프레임 어셈블리(20)와 디바이더 어셈블리(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디바이더(32)의 탄성후크(32b)는 제2디바이더(결합홈(34b)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디바이더(32)의 탄성후크(32b)가 상기 결합홈(34b)으로 삽입되면, 탄성후크(32b)의 걸림부(32c)가, 결합홈(34b)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 변형을 일으킨 후 결합단턱(34c)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고, 이는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디바이더(32)의 연속된 다수개의 돌출부(32d)는 제2디바이더(34)의 연속된 다수개의 홈부(34d)에 결합되고, 이는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살펴보면, 디바이더(32,34)의 결합돌기(32a,34a)가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결합홈(24c)에 끼워진 상태이고, 따라서 케이블 등의 하중이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가해져도 이러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더 어셈블리(30)가 한 쌍의 프레임 어셈블리(20) 사이에서 복수 개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케이블 등에 의한 하중이 복수 개의 결합돌기(32a,34a)를 통하여 디바이더 어셈블리(30) 및 프레임 어셈블리(20)에 분산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결합돌기(32a,34a) 및 결합홈(24c)를 통하여 복수 개의 디바이더 어셈블리(30) 및 프레임 어셈블리(20)에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 어셈블리(30)는, 프레임 어셈블리(20)의 전면 및 후면에서 결합되는 제1디바이더(32)와 제2디바이더(34)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결합돌기(32a)가 결합홈(24c)에 삽입되어 상하의 프레임 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른 변형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어느 일측의 디바이더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10a, 10b ..... 사이드밴드 20 ..... 프레임 어셈블리
22 ..... 프레임 22a ..... 삽입홈
24 ..... 인서트 24c ..... 결합홈
30 ..... 디바이더 어셈블리 32 ..... 제1디바이더
32a ..... 결합돌기 32b ...... 탄성후크
32d ..... 돌출부 34 ..... 제2디바이더
34a ..... 결합돌기 34d ..... 홈부

Claims (4)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10a,10b)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24c)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20);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디바이더 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 어셈블리는,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에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a)를 구비하고, 탄성후크(32b)를 구비하는 제1디바이더와;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에 결합홈(24c)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4a)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후크(32b)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34b)을 구비하는 제2디바이더로 구성되는 케이블 체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바이더 또는 제2디바이더의 대향하는 면의 일측에는 연속되는 돌기부(32d)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연속되는 홈부(34d)가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알미늄으로 성형되고, 전면의 일부가 개방된 가로 방향의 삽입홈(22a)이 형성된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의 삽입홈(22a) 내부에 삽입되며, 결합홈(24c)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 인서트(24);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엔드캡(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체인.




KR1020120035085A 2012-04-04 2012-04-04 케이블 체인 KR10135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5A KR101350982B1 (ko) 2012-04-04 2012-04-04 케이블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5A KR101350982B1 (ko) 2012-04-04 2012-04-04 케이블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89A true KR20130112589A (ko) 2013-10-14
KR101350982B1 KR101350982B1 (ko) 2014-01-14

Family

ID=4963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85A KR101350982B1 (ko) 2012-04-04 2012-04-04 케이블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7089A1 (de) * 2017-07-28 2019-01-3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Trennsteg
CN110356778A (zh) * 2019-08-19 2019-10-22 江苏冠超物流科技有限公司 链条组件及伸缩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807A (ja) * 1998-08-10 2000-04-28 Harmo Soken:Kk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KR200200519Y1 (ko) * 2000-05-25 2000-10-16 주식회사코닥터 케이블 베어용 디바이더
JP2006275155A (ja) * 2005-03-29 2006-10-12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890176B1 (ko) * 2008-08-27 2009-03-25 씨피시스템(주)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7089A1 (de) * 2017-07-28 2019-01-3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Trennsteg
EP3434933B1 (de) 2017-07-28 2019-09-25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Trennsteg
CN110356778A (zh) * 2019-08-19 2019-10-22 江苏冠超物流科技有限公司 链条组件及伸缩机
CN110356778B (zh) * 2019-08-19 2024-04-26 江苏冠超物流科技有限公司 链条组件及伸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982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04B1 (ko) 전기 커넥터
US921479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149682B1 (ko) 케이블 유지구
KR200469401Y1 (ko) 구름 볼 리테이너를 갖는 선형 슬라이딩 블록
US20210102645A1 (en) Assembly of cable trays
US20170005429A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KR101350982B1 (ko) 케이블 체인
US20130212825A1 (en)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assembly
CN202670260U (zh) 多组件尤其是二组件的塑料货架
KR100890176B1 (ko)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KR102343996B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080000729U (ko) 박스 커버의 체결구조
KR101818933B1 (ko) 윤활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
CN105637717A (zh) 连接器以及线束
US9711959B2 (en) Chain link
KR101195511B1 (ko) 슬라이드 레일 고정 장치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US20160157624A1 (en) Support body for a spring bed slat in a slatted frame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EP2762399A2 (en) Floating platform
KR101066397B1 (ko) 솔라웨이퍼 카세트
EP2757033A2 (en) Floating platform
JP2017085690A (ja) 電線ガイド
JP2014140743A (ja) すのこベッドフレーム用ブラケット
KR20070097670A (ko) 특장차용 사이드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