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905A -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905A
KR20130110905A KR1020120033234A KR20120033234A KR20130110905A KR 20130110905 A KR20130110905 A KR 20130110905A KR 1020120033234 A KR1020120033234 A KR 1020120033234A KR 20120033234 A KR20120033234 A KR 20120033234A KR 20130110905 A KR20130110905 A KR 2013011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pbat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resin
cellulose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092B1 (ko
Inventor
이영관
조미숙
이상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Preparation of cellulose esters of organic acids
    • C08B3/06Cellulose acetate, e.g. mono-acetate, di-acetate or tri-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8Plastic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PBAT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BIODEGRA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CELLULOSE DERIVATIVES AND PBA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 고분자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만들어진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천연고분자 물질로 주로 목재나 목화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다. 셀룰로오스는 약 70%의 결정부분을 함유하고 있어 매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말단의 O-H 그룹 사이의 수소결합으로 분자 간 강한 결합력과 결정화도가 높아 가공하는 데에 문제점이 따른다.
셀룰로오스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OH 그룹을 니트로화, 아세틸화 또는 에테르화로 치환하여 수소결합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CN),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메틸 셀룰로오스(MC), 에틸 셀룰로오스(EC)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공이 용이하여 산업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는 분자 내의 수산 기 2개가 아세틸기(-OC(O)CH3)로 치환된 유기 에스테르계 천연재로서 일반적으로 아세테이트 섬유의 원재료로 알려져 있다. CDA는 아세톤 등을 용매로 하여 주로 용액방사에 의해 제조되었다. 그러나 용액방사를 이용하려면 용매의 재회 수 등의 어려움이 있고, 이에 의해 추가 공정이 발생하여 제품의 단가가 비싸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용융가공으로 전환하여 압출, 사출이 가능하게 되면 기존의 석유계 범용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CDA는 범용플라스틱에 비교하여 높은 유리전이온도(Tg)와 가공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Tg를 감소시켜 가공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CDA를 용융가공법으로 가공하기 위해 Tg 감소와 용융온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CDA의 효과적인 가소화를 위해 친환경적 가소제로 트리아세틴(triacetine, TA)를 첨가하여 용융가공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의 첨가는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강화제 또는 충진제로, 몬모릴로나이트릴 또는 천연섬유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이들 복합체는 몬모릴로나이트릴의 수급이 다소 용이하지 못하여 낮은 단가 유도에 미흡한 단점이 있고 천연 섬유는 탈왁스, 알칼리 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강화제의 수급이 용이하며,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으며,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섬유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섬유에 주목하였다.
PVA 섬유는 일반적으로 fiber reinfoced concrete(FRC)로 사용되며 인체에 해로운 유리섬유를 대체하여 인장력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FRP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에 무기, 금속계열인 유리섬유, 흑연섬유, 금속섬유 등을 첨가하여 강화시킨 플라스틱 복합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사용 후 폐기 또는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비해 PVA 섬유는 화학 합성계 생분해성 고분자로 미생물에 의해서 생 분해가 가능하다는 것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고, 합성섬유 중에서 강도와 탄성률이 가장 높으며, 내후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도 우수하고, 또한 식품포장재에 쓰일 정도로 인체에 무해하다. 일반적으로 PVA 섬유는 스테이플(staple)과 필라멘트사로 크게 구분 적용되고 있는데 섬유의 강도는 10∼18 g/d 수준으로 범용 섬유 중에서 가장 높으나, 가공 온도가 높은 플라스틱과의 블렌딩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실험은 인장 강도를 중심으로 한 기계적 물성의 시험이었고, 충격 강도는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는 깨짐(brittleness) 성질을 나타내고 이에 의해 사출물이 충격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충격 강도에 관한 기계적 물성의 증가에 관한 내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수한 셀룰로오스에 비해 수소결합이 상대적으로 약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단순 강화재가 아닌 주 매트릭스로 하여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PBAT를 포함시킴에 따라 신율과 충격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용화제를 포함시킴에 의해 신율 및 충격 강도가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이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소제에 의해 가소화 처리될 수 있다.
가소제는 트리아세틴(TA), 트리 에틸 시트레이트(TEC)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 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으며, 상용화 제를 추가로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 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이 경우 상용화제는 에폭시기(epoxy group)를 포함한 물질일 수 있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소제에 의해 가소화 처리될 수 있다. 가소제는 트리아세틴(TA),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EC) 및 글리세린으로 이 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용화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70 내지 90 중량부에 2 내지 6 중량부로 첨가된다.
도 1은 CDA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A/PBAT 70:30(w/w)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a-3c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CDA/PBAT/ADR 70:30:2, 70:30:4, 70:30:6(w/w)의 각각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는 상용화제(Joncryl ® ADR-4386)의 첨가량에 따라 신율 및 인장 강도가 증가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 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 경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한편,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유도체;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유도체; 셀룰로오스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디부틸레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부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부틸레이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유도체;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phr(part per hundred resin))에 대하여 7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성형물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PBAT는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으로서, 생분해성 고분자이고, 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신율과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소제(plasticizer)를 이용하여 가소화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로 트리아세틴(TA),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EC), 또는 글리세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트리아세틴이다.
상기 가소제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성형물 제조 시 성형 및 사출의 용이성에 있어 더욱 좋다.
* 셀룰로오스 유도체; PBAT ;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유도체; PBAT;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 경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한편,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PBAT, 가소제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상용화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상용화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신율과 충격 강도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용화제는 에폭시기(에폭시 그룹; epoxy group)을 포함한 물질로서, 그 예로는 styrene-acrylic multi-functional oligomeric chain extenders이 있다.
상용화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70 내지 90 중량부에 2 내지 6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성형물 제조 시 성형 및 사출의 용이성에 있어 더욱 좋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1)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2) 셀룰로오스 유도체; PBAT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신율과 충격 강도가 셀룰로오스 유도체 자체에 비해 증가하였음을 확인한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1-1. 시약 및 기구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 Mw. ca. 265,660 g/mol, 아세틸치환도 2.46]는 Celanese사로 부터 구입했으며, 가소제로 사용한 트리아세틴(triacetine, TA)은 대신 합성공업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로는 S-EnPol사의 [EnPol PBG 7070]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용화제로 styrene-acrylic multi-functional oligomeric chain extenders를 사용하였으며 [ADR4368S; Mw: 6,800g/mol, epoxy equivalent weight: 285g/mol] 제품을 BASF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2. CDA / PBAT 수지 및 CDA / PBAT / ADR 수지의 제조
CDA와 TA 비율은 80:20(w/w)으로, super mixer기를 이용하여 CDA를 가소화 하였다. 이 혼합물의 충분한 가소화와 수분흡수 방지를 위하여 70℃ 대류식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CDA와 PBAT를 각각 90:10, 80:20, 70:30(w/w/w)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였다.
또한, CDA/PBAT/ADR을 70:30:2, 70:30:4, 70:30:6(w/w) 비율로 혼합하여 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이축압출기는 BAU-TECH사의 BT-19로 스크류 직경은 19 mm이며 L/D 40의 동 방향 치합형(intermeshing corotating) modular기이다. 본 실험의 구배온도는 호퍼 부분에서부터 다이 부분까지 각각 120, 140, 160, 180, 200, 200, 190, 180℃로 유지하였으며 스크류 속도는 80rpm으로 일정하게 하였다. 다이를 통해 나온 수지는 냉각 수조를 거쳐 pelletizer에서 펠렛 형태로 성형 한 후 70℃ 대류식 건조기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1-3. 시편 제조
대류식 오븐에 건조된 펠렛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BAU-TECH사의 미니 사출기를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시편 제작 시 사출압력은 900psi, 온도는 220℃, 순환가공시간은 3분으로 하였다. 시편의 개수는 최소 6개로 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ASTM D 1708에 의거하여 제조하였다. 충격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ASTM D 256에 의거하여 제조하였다.
1-4. 신율 및 충격 강도 측정
신율은 UTM으로 측정하였는데, LLOYD사의 LR30K를 사용하였으며, 하중 1KN, Cross-head speed 10mm/min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충격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편을 V 노치 커터(notch cutter)로 notch를 만든 후 Izod식 충격강도기를 사용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노치 커터는 KEE PAE TRADING 사에 KPM-080, 충격강도 측정기는 DAEKYUNG TECH & TESTERS사의 DTT-602를 사용하였다.
2. CDA / PBAT 수지에서 PBAT 함량에 따른 신율 및 충격강도 변화
(1) CDA/PBAT 수지의 신율 변화
가소화 CDA 수지의 신율 값은 8.12로 나타났으며 CDA/PBAT 수지는 PBAT의 함량에 따라 신율이 9.16, 12.7, 16.7로 PBAT가 혼합되지 않은 CDA보다 높은 신율 값을 나타내었다. (표 1 참고)
수지 종류 신율 (%)
CDA 8.12
CDA/PBAT(90:10 wt. %) 9.16
CDA/PBAT(80:20 wt .%) 12.7
CDA/PBAT(70:30 wt. %) 16.7
(2) CDA/PBAT 수지의 충격 강도의 변화
가소화 CDA 수지의 충격강도 값은 2.4로 나타났으며 CDA/PBAT 수지는 PBAT의 함량에 따라 충격강도가 3.4, 6.1, 6.8로 PBAT가 혼합되지 않은 CDA보다 높은 충격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표 2 참고)
수지 종류 충격강도(kJ/m2)
CDA 2.4
CDA/PBAT(90:10 wt. %) 3.4
CDA/PBAT(80:20 wt .%) 6.1
CDA/PBAT(70:30 wt. %) 6.8
3. CDA / PBAT / ADR 수지에서 PBAT 함량에 따른 신율 및 충격강도 변화
(1) CDA/PBAT/ADR 수지의 신율의 변화
CDA/PBAT(70:30 wt. %) 수지에 상용화제(ADR)를 첨가하면, 신율이 16.3, 18.4, 20.8 로 상용화제를 첨가되지 않은 수지보다 높은 신율 값을 나타내었다. (표 3) 이러한 내용은 도 4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수지 종류 ADR 첨가량 신율 (%)
CDA/PBAT(70:30 wt. %) 0 (phr) 16.7
CDA/PBAT(70:30 wt. %) 2 (phr) 16.3
CDA/PBAT(70:30 wt. %) 4 (phr) 18.4
CDA/PBAT(70:30 wt. %) 6 (phr) 20.8
(2) CDA/PBAT/ADR 수지의 충격 강도의 변화
CDA/PBAT(70:30 wt. %) 수지에 상용화제를 첨가하면 충격강도가 6.5, 7.1, 8.5 로 상용화제를 첨가되지 않은 수지보다 높은 신율 값을 나타내었다. (표 4) 이러한 내용은 도 4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수지 종류 ADR 첨가량 충격강도(kJ/m2)
CDA/PBAT(70:30 wt. %) 0 (phr) 6.8
CDA/PBAT(70:30 wt. %) 2 (phr) 6.5
CDA/PBAT(70:30 wt. %) 4 (phr) 7.1
CDA/PBAT(70:30 wt. %) 6 (phr) 8.5
위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PBAT를 포함시킴에 따라 신율과 충격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용화제를 포함시킴에 의해 신율 및 충격 강도가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소제에 의해 가소화 처리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트리아세틴(TA),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EC)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는 90:1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으며,
    상용화제를 추가로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R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O)-X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단 R이 모두 수소인 것을 제외한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에폭시기(epoxy group)를 포함한 물질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가소제에 의해 가소화 처리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트리아세틴(TA),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EC)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70 내지 90 중량부에 2 내지 6 중량부로 첨가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20120033234A 2012-03-30 2012-03-30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40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34A KR101407092B1 (ko) 2012-03-30 2012-03-30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34A KR101407092B1 (ko) 2012-03-30 2012-03-30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05A true KR20130110905A (ko) 2013-10-10
KR101407092B1 KR101407092B1 (ko) 2014-06-13

Family

ID=4963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234A KR101407092B1 (ko) 2012-03-30 2012-03-30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2825A (zh) * 2015-03-12 2015-06-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聚己二酸对苯二甲酸丁二醇酯/纳米纤维素可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17546B1 (ko) 2023-03-29 2023-12-28 주식회사 프로팩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제조공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258B1 (ko) 2019-09-30 2021-11-11 김선형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용기용 펠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98B1 (ko) * 2008-01-14 2009-08-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5492904B2 (ja) * 2008-11-06 2014-05-14 トリスターノ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生分解性ポリマー組成物
JP2011132434A (ja) 2009-12-25 2011-07-07 Fujifilm Corp 成形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電子機器用筐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2825A (zh) * 2015-03-12 2015-06-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聚己二酸对苯二甲酸丁二醇酯/纳米纤维素可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17546B1 (ko) 2023-03-29 2023-12-28 주식회사 프로팩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제조공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092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hori et al. Performance properties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as a reinforcing agent in wood plastic composites
CN101195707B (zh) 一种玻璃纤维增强尼龙6-聚丙烯合金材料
CN112111133A (zh) 一种聚对苯二甲酸己二酸丁二酯/聚乳酸/淀粉三元共混吹膜树脂的制备方法
CN108822514B (zh) 一种完全生物降解聚乳酸基吹塑薄膜及其制备方法
CN108929527B (zh) 一种兼具高延展性和高阻隔性能的pbat/改性淀粉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276921A (zh) 一种低气味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387732A (zh) 一种透明抗撕裂聚乳酸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01875768B (zh) 一种耐老化玻纤增强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552655B (zh) 适用于制备薄膜的改性纤维素填充pbat/pla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CN103382297A (zh) 一种低翘曲碳纤增强pet/聚酯合金及其制备方法
CN108017887A (zh) 一种pla-pbsa吹塑薄膜及其制备方法
CN113956630A (zh) 一种完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407092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pbat를 포함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PT104704A (pt) Compósitos à base de cortiça reforçados com fibras
KR100912698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01445654B (zh) 一种填料和玻璃纤维增强尼龙6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163983A (zh) 一种苎麻纤维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工艺
KR101013446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화학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04974487A (zh) 一种高韧性聚乳酸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20070119304A (ko)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04231515A (zh) 一种耐摩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JP4953597B2 (ja) ポリブチレンサクシネート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れからなる成形体
CN109825065B (zh) 一种传感器外壳的制备工艺
CN110317392B (zh) 一种可降解复合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Development of a self-reinforced starch-derived film with biocompat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