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711A -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711A
KR20130110711A KR1020120032880A KR20120032880A KR20130110711A KR 20130110711 A KR20130110711 A KR 20130110711A KR 1020120032880 A KR1020120032880 A KR 1020120032880A KR 20120032880 A KR20120032880 A KR 20120032880A KR 20130110711 A KR20130110711 A KR 2013011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nipple
body portion
bottle cap
baby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2003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711A/ko
Publication of KR2013011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젖병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젖병 꼭지 및 상기 몸체부가 가지는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젖병 꼭지에 대한 삼킴을 방지하는 삼킴 방지부를 포함하는 젖병 캡을 제공하여, 영유아가 소형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을 입안으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BOTTLE CAP AND FEEDING BOTT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젖병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젖병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젖병은 젖병 꼭지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몸체와,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젖병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통상적으로, 젖병 캡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는 젖병 꼭지와 단단한 소재로 구성되는 용기 몸체가 연통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젖병 캡은 용기 몸체의 입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젖병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용기 몸체의 크기가 일반적인 음료 용기보다 넓게 구성되는 점을 고려할 때, 젖병 캡의 직경은 영유아가 삼키기 힘든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조제유 및 영유아용 음료 용기에 바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작은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은 시판되는 조제유 및 영유아용 음료수등의 용기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편의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은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영유아들이 강하게 젖병 꼭지를 빠는 경우, 젖병 꼭지 및 젖병 캡을 삼킬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유아가 소형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을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젖병 꼭지 및 상기 몸체부가 가지는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젖병 꼭지에 대한 삼킴을 방지하는 삼킴 방지부를 포함하는 젖병 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병 꼭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젖병 꼭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나산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는, 길이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의 상면은 중심에서 테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 및, 상기 젖병 꼭지와 상기 용기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젖병 꼭지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방사방향으로 돌출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젖병 꼭지에 대한 삼킴을 방지하는 젖병 캡을 포함하는 젖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병 캡은, 상기 젖병 꼭지와 상기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확장 형성되는 삼킴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병 꼭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젖병 꼭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용기 수용부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수용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는, 길이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킴 방지부의 상면은 중심에서 테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에 따르면, 젖병 꼭지 및 젖병 캡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삼킴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영유아가 소형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을 입안으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과 용기 몸체의 탈부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과, 용기 몸체의 일례로서 영유아용 음료 용기의 탈부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젖병 꼭지 및 젖병 캡 보다 크기가 작은 소형 젖병 꼭지와 젖병 캡을 포함하는 젖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젖병 캡은 젖병 이외에, 통상적인 젖병 보다 입구가 작은 조제유 및 영유아용 음료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은 몸체부(210)와 삼킴 방지부(220)로 구비된 젖병 캡(20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젖병 캡(200)은 젖병 꼭지(100)와 용기 몸체(30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젖병 꼭지(10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용기 몸체(300)는 딱딱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젖병 꼭지(100)와 용기 몸체(30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젖병 꼭지(100)와 용기 몸체(3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젖병 캡(200)이 이용된다.
젖병 캡(200)의 상부에는 젖병 꼭지(100)가 결합하며, 젖병 캡(200)의 하부에는 용기 몸체(3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젖병 캡(200)을 그 형태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크게 구분지어 설명하면, 젖병 캡(200)은 젖병 꼭지(100) 및 용기 몸체(300)와 결합하는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에서 돌출 형성되는 삼킴 방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젖병 캡(200)의 몸체부(210)와 삼킴 방지부(220)는, 그 형태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예시한 것일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음을 밝힌다.
먼저, 몸체부(2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210)는 젖병 캡(200)의 외형을 이루며, 젖병 꼭지(100)와 용기 몸체(300)가 결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는 상부에 젖병 꼭지(100)가 결합하고, 하부에 용기 몸체(300)가 결합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상면에는 끼움구(221)가 마련된다. 끼움구(221)는 몸체부(210)의 상면의 중심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끼움구(221)에 젖병 꼭지(100)의 하단이 끼워짐으로써, 젖병 꼭지(100)가 몸체부(210)에 결합한다. 젖병 꼭지(100)는 끼움구(2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젖병 꼭지(100)를 세척하거나 소독할 때에는, 몸체부(210)로부터 젖병 꼭지(100)를 분리한다.
몸체부의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된다. 이 나사산(211)에 용기 몸체(300)의 입구가 회전 체결된다.
한편, 몸체부(210)는, 용기 몸체(300)와 젖병 꼭지(100)의 결합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어느 정도 경도가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몸체부(210)의 외형을 원통형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공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삼킴 방지부(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삼킴 방지부(220)는 영유아가 젖병 꼭지를 입안으로 넘기려 할 때, 입주변에 거치되는 확장 영역을 제공하여, 젖병 꼭지를 포함하는 젖병 캡이 입안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삼킴 방지부(220)는 젖병 꼭지(100) 및 몸체부(210)의 최대 직경보다 적어도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젖병 꼭지(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삼킴 방지부(220)는 몸체부(210)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확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즉, 삼킴 방지부(220)는, 몸체부(210)에 결합되는 젖병 꼭지(100)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삼킴 방지부(220)의 폭(도 3의 x축방향을 기준할 때, 삼킴 방지부(220)의 너비)은 영유아의 평균적인 입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삼킴 방지부(220)로서, 라운드 형태의 돌출 영역이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한 삼킴 방지부(220)는 전체적으로 나비 모양의 돌출 영역을 가진다. 도 4에서 나비 모양의 삼킴 방지부(22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젖병 꼭지(100) 및 몸체부(210)의 최대 직경보다 적어도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모양이라면,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 하면, 삼킴 방지부(220)의 상면은 중심에서 테두리를 항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과 용기 몸체의 탈부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젖병 캡과, 용기 몸체의 일례로서 영유아용 용기의 탈부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젖병 캡(2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몸체(300)와 회전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젖병 캡(200)에는, 용기 몸체(300)로서, 젖병 이외에 영유아용 음료용기(400)가 체결될 수 있다.
젖병 캡(200)과 용기 몸체(300)의 결합 형태는 회전 체결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푸쉬-풀(push-pull) 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젖병 꼭지
200 : 젖병 캡
210 : 몸체부
211 : 나사산
220 : 삼킴 방지부
221 : 끼움구
300 : 용기 몸체
400 : 영유아용 음료용기

Claims (17)

  1. 젖병 꼭지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젖병 꼭지 및 상기 몸체부가 가지는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젖병 꼭지에 대한 삼킴을 방지하는 삼킴 방지부;
    를 포함하는 젖병 캡.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 꼭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젖병 꼭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나산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는, 길이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의 상면은 중심에서 테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캡.
  9. 젖병 꼭지;
    용기 몸체;및
    상기 젖병 꼭지와 상기 용기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젖병 꼭지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돌출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젖병 꼭지에 대한 삼킴을 방지하는 젖병 캡;
    을 포함하는 젖병.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 캡은,
    상기 젖병 꼭지와 상기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확장 형성되는 삼킴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 꼭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젖병 꼭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는, 길이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 방지부의 상면은 중심에서 테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1020120032880A 2012-03-30 2012-03-30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KR2013011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80A KR20130110711A (ko) 2012-03-30 2012-03-30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80A KR20130110711A (ko) 2012-03-30 2012-03-30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711A true KR20130110711A (ko) 2013-10-10

Family

ID=4963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880A KR20130110711A (ko) 2012-03-30 2012-03-30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7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3389A1 (en) Bottle Feeding Device
US20040256345A1 (en) Single use recyclable infant feeding bottl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WO2016061226A1 (en)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US20130277327A1 (en) Heat-insulation safety nursing bottle
TWI661823B (zh) 雙組態之瓶總成
US8827093B1 (en) Bottle nipple device
KR20130110711A (ko) 젖병 캡과 이를 포함하는 젖병
KR101351690B1 (ko)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US20180064272A1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US20040169002A1 (en) Bottle sipper adapter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21181713A1 (ja) 直付け構造を有する乳首
EP3059180B1 (en) Weaning clip
US7481324B2 (en) Nipple adapter for beverage bottle
KR101524413B1 (ko) 젖병
EP1297814A1 (en) Thick feed baby teat
JP2012245185A (ja) 哺乳瓶の乳首と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を連結する連結器具
KR101536223B1 (ko) 유아용 음료병
JP3200914U (ja) 弁付きストロー
CN205903438U (zh) 偏头奶嘴奶瓶
KR200271916Y1 (ko) 추달린 스트로우의 젖병
KR200307225Y1 (ko) 젖병
GB2500404A (en) A spoon engageable with a food package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US20220110833A1 (en) Baby bott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