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13B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13B1
KR101524413B1 KR1020140128599A KR20140128599A KR101524413B1 KR 101524413 B1 KR101524413 B1 KR 101524413B1 KR 1020140128599 A KR1020140128599 A KR 1020140128599A KR 20140128599 A KR20140128599 A KR 20140128599A KR 101524413 B1 KR101524413 B1 KR 10152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uter cup
container
bottle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박명옥
Original Assignee
박상규
박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박명옥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4012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1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inner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6Separate rigid or semi-rigid trays or cups joined together, e.g. separate trays connected by single foil closure or crimp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주입구(101)를 형성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는 젖꼭지(30)를 구비한 공지의 젖병에 있어서, 주벽에 걸림돌부(401)과 제1통공부(402)를 형성하여 상기 주입구(101)에 설치하는 외컵(40)과; 상기 외컵(4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케 하고, 주벽에는 상기 제1통공부(402)와 연통되는 제2통공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외컵(4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내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젖병을 빨다가 내용물을 남기는 과정에서 유아의 구강 내의 침이나 구토물 등이 섞인 내용물이 젖병 내부로 재유입되어 젖병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젖병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게 하고, 젖병 내부에 남은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재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젖병 {Baby bottle}
본 발명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젖병을 빨다가 내용물을 남기는 과정에서 유아의 구강 내의 침이나 구토물 등이 섞인 내용물이 젖병 내부로 재유입되어 젖병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젖병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게 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젖을 먹는 유아에게 분유나 우유, 미음 등(이하 '내용물'이라 함)을 먹일 때 사용하는 젖병은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된 용기의 주입구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연질의 소재로 된 젖꼭지를 상기 주입구에 고정캡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젖을 먹는 유아가 젖꼭지를 입에 물고 빨게 되면, 용기 내부에 담긴 내용물이 젖꼭지를 통해 배출되어 유아가 이를 먹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젖병은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한 상태인 신생아나 유아들이 분유 등을 먹을 때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매우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함으로써 젖병을 이용하는 유아의 보호자들은 젖병의 세척과 소독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특히 젖병 소독은 신생아나 유아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각종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끓는 물에 젖병을 소독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물을 끓여 소독하는데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세척만으로도 충분한 살균 성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젖병 전용 세정제가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유아들이 좀더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젖병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품과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1707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78622호
상술한 바와 같이 젖병을 이용해 내용물을 섭취하는 어린 유아들을 위하여 다양한 젖병이 개발된 바 있으나, 종래의 젖병은 주로 유아들이 젖병을 이용해 내용물을 섭취할 때 좀더 쉽고 편하게 내용물을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어린 유아들은 내용물을 먹는 과정에서 '단순 역류'라 불리는 구토를 자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토 과정에서 유아의 위 속으로 들어갔던 내용물가 다시 입 밖으로 배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구토 과정에서 유아의 입 안이나, 입 주변은 구토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단순 역류의 경우에는 유아가 크게 울거나 보채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보호자가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유아들이 젖병을 이용해 내용물을 먹는 과정에서 소량의 단순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구토물을 입 안에 머금고 있다가, 젖병을 빠는 과정에서 내용물과 함께 다시 삼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단순 역류가 발생하면 입안에 구토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젖병을 빨지 않고 젖꼭지를 한참 동안 물고 있다가 뱉어내는 유아도 많은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젖병을 빠는 과정에서 단순 역류가 발생하여 입안에 소량의 구토물을 머금은 상태로 젖꼭지를 물고 있으면, 젖꼭지뿐만 아니라, 젖병 내부에 담긴 내용물도 구토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크지만, 보호자가 유아의 단순 역류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보호자는 유아가 젖병을 이용해 내용물을 먹다가 남기면 남은 내용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젖병의 뚜껑을 닫아서 보관하였다가, 잠시 후 다시 유아에게 내용물가 남은 젖병을 물리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인데, 이러한 경우 젖병 내부에 남은 내용물은 구토물이나 침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칫 오염된 내용물의 섭취로 인해 식중독이나 장염 등이 발병하여 유아들의 건강이 위협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젖병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주입구(101)를 형성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는 젖꼭지(30)를 구비한 공지의 젖병에 있어서,
컵 형상으로 되어 내주면에는 걸림돌부(401)를 형성하고, 주벽에는 제1통공부(402)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상기 주입구(101)에 거치되는 플랜지부(403)를 형성하여 상기 주입구(101)에 설치하는 외컵(40)과;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401)가 끼워지는 안내홈부(501)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컵(4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케 하고, 주벽에는 슬라이딩 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통공부(402)와 연통되는 제2통공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외컵(4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내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젖병을 빨다가 내용물을 남기는 과정에서 유아의 구강 내의 침이나 구토물 등이 섞인 내용물이 젖병 내부로 재유입되어 젖병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젖병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게 하고, 젖병 내부에 남은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재섭취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젖병은 유아가 젖병을 빨다가 내용물을 남기는 과정에서 유아의 구강 내의 침이나 구토물 등이 섞인 내용물이 젖병 내부로 재유입되어 젖병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젖병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게 하여 젖병 내부에 남은 내용물을 유아가 재섭취할 때 위생적인 재섭취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파절 상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젖병의 실시 예에 따른 내통 내부의 잔여 내용물과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젖병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젖병은 상부에 주입구(101)를 형성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는 젖꼭지(30)와,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설치하는 외컵(40)과; 상기 외컵(4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내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용기(10)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상부에 주입구(101)를 형성하고 주입구(10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01a)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01)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림턱(202)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202) 내측으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소재 등으로 된 젖꼭지(30)를 끼울 수 있게 한 환형의 고정수단(20)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젖꼭지(30)를 분해 조립 가능케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용기(10)의 외표면에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용량을 쉽게 계량할 수 있는 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젖꼭지(30)는 에어빼기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설치하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된 상기 외컵(40)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401)를 형성하고, 주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통공부(402)를 형성하여 제1통공부(402)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외컵(4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상단부에는 상기 주입구(101)에 거치되는 플랜지부(403)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수단(20)을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형성된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하는 결합력에 의해 외컵(40)의 플랜지부(403)가 젖꼭지(30)의 저면과 주입구(101)의 상면 사이에서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외컵(40)은 상기 용기(10)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컵(4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상기 내통(50)은 상기 외컵(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부(401)와 동일한 수의 안내홈부(501)를 외주면의 하단부에서 상향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부(401)가 안내홈부(501)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상기 안내홈부(501)의 하단부에는 내통(50)의 하단부까지 이어지는 "ㄱ" 자 형태로 된 굴절부(501a)를 형성하여 상기 굴절부(501a)를 통해 상기 외컵(40)의 걸림돌부(401)를 안내홈부(501) 내부에 끼워 넣게 되며, 굴절부(501a) 일측에는 안내홈부(501)에 끼워진 걸림돌부(401)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50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50)의 주벽에는 상기 외컵(40)의 걸림돌부(401)를 따라서 슬라이딩 되는 위치에 따라서 외컵(40)의 주벽에 형성된 제1통공부(402)와 연통되는 제2통공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제2통공부(502)를 통해 유입되는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제2통공부(502)와 연통되는 제1통공부(402)를 통해 내통(50)으로 유입된 후 젖꼭지(30)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내통(50)은 상기 용기(10)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젖병의 사용 방법과 그에 따른 주요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젖병을 이용하여 유아에게 분유 등을 먹이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10)의 주입구(101)에 젖꼭지(30)를 분해 조립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구(101)에 나사 결합된 고정수단(20)을 풀어서 용기(10)의 주입구(101)를 완전히 개방한 후, 용기(10) 내부에 물에 녹인 분유나 우유 등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량 주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외컵(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부(401)를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부에 내통(50)을 삽입 설치한 외컵(40)을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로 투입하여 외컵(40)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03)가 주입구(101)의 상단부에 거치되도록 안착시킨다.
용기(10)의 주입구(101)에 외컵(40)의 안착이 완료되면, 고정수단(20) 내부의 걸림턱(202)에 젖꼭지(30)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수단(20)을 상기 주입구(101)의 수나사부(101a)에 조여서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20)에 의해 젖꼭지(30)와 외컵(40)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젖병은 유아에게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먹이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젖꼭지(30)가 아래로 향하도록 용기(10)를 기울이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주입구(101) 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주입구(101)에는 외컵(4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컵(40)의 주벽에 형성된 제1통공부(402)를 통해 외컵(4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외컵(4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내통(50)은 젖꼭지(30)가 아래로 향하도록 용기(10)가 기울어짐에 따라서 용기(10)의 기울기를 따라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면서 젖꼭지(3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내통(50)의 주벽에 형성된 제2통공부(502)가 상기 외컵(40)의 주벽에 형성된 제1통공부(402)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은 외컵(40)의 제1통공부(402)를 통해 유입되어 내통(50)의 제2통공부(502)를 통해 내통(50)으로 유입된 후 젖꼭지(3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10)를 기울인 상태로 유아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 섭취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용기(10)를 바로 세우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은 용기(10) 내부의 바닥면으로 모이게 되고, 외컵(40) 내부에 설치된 내통(50)은 외컵(40) 내부로 하강하여 하게 된다. 이때, 내통(50) 내부에는 젖꼭지(30)를 통해 모두 배출되지 못한 일부 내용물이 남아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외컵(40) 내부에서 내통(50)이 하강함에 따라서 외컵(40)의 주벽에 형성된 제1통공부(402)와 내통(50)의 주벽에 형성된 제2통공부(502)의 위치가 서로 멀어짐으로써 외컵(40) 내부에 남은 내용물의 일부는 용기(10)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지 않고, 외컵(40) 내부에만 남이 있게 됨으로써 유아가 젖꼭지(30)를 물고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젖꼭지(30)를 통해 유입되는 유아의 구토물 또는 침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 섭취 중 남긴 용기(10) 내부의 잔여 내용물에 유아의 구토물 또는 침이 혼합되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호자는 유아가 먹다가 남긴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아에게 다시 먹이고자 할 때는 용기(10)의 주입구에 나사 결합된 고정수단(20)을 열고,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거치된 외컵(40)을 주입구(101)에서 꺼내어 외컵(40) 내부에 담긴 잔여 내용물을 버리고, 내통(50)과 외컵(40)을 가볍게 물로 세척한 후 외컵(40)을 다시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거치한 상태로 고정수단(20)을 재조립한 후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유아에게 먹이게 되면, 내용물의 변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위생적인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용기 101: 주입구
101a: 수나사부 20: 고정수단
201: 암나사부 202: 걸림턱
30: 젖꼭지 40: 외컵
401: 걸림돌부 402: 제1통공부
403: 플랜지부 50: 내통
501: 안내홈부 501a: 굴절부
501b: 돌출턱 502: 제2통공부

Claims (2)

  1. 상부에 주입구(101)를 형성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주입구(101)에 고정수단(20)으로 결합하는 젖꼭지(30)를 구비한 공지의 젖병에 있어서,
    컵 형상으로 되어 내주면에는 걸림돌부(401)를 형성하고, 주벽에는 제1통공부(402)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상기 주입구(101)에 거치되는 플랜지부(403)를 형성하여 상기 주입구(101)에 설치하는 외컵(40)과;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401)가 끼워지는 안내홈부(501)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컵(4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케 하고, 주벽에는 슬라이딩 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통공부(402)와 연통되는 제2통공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외컵(4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내통(5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통(50)의 안내홈부(501) 하단부에는 굴절부(501a)를 형성하고, 상기 굴절부(501a)에는 상기 안내홈부(501)에 끼워지는 상기 외컵(40)의 걸림돌부(401)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턱(501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2. 삭제
KR1020140128599A 2014-09-25 2014-09-25 젖병 KR10152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99A KR101524413B1 (ko) 2014-09-25 2014-09-25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99A KR101524413B1 (ko) 2014-09-25 2014-09-25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413B1 true KR101524413B1 (ko) 2015-05-29

Family

ID=5339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599A KR101524413B1 (ko) 2014-09-25 2014-09-25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375A (ko) *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WO2022240141A1 (ko) * 2021-05-10 2022-11-17 양진석 음료 용기의 이물질 역류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374Y1 (ko) * 2001-06-11 2001-10-17 장양아 유아용 젖병
KR200279719Y1 (ko) * 2002-03-23 2002-06-24 이영목 우유 병의 개폐장치
KR200281202Y1 (ko) * 2002-04-18 2002-07-13 박대현 슬라이드식 개폐가 가능한 내용물 유출방지용 젖병
KR20020090471A (ko) * 2001-05-28 2002-12-05 (주)아이디어피아 젖병의 우유 유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471A (ko) * 2001-05-28 2002-12-05 (주)아이디어피아 젖병의 우유 유출 방지 장치
KR200247374Y1 (ko) * 2001-06-11 2001-10-17 장양아 유아용 젖병
KR200279719Y1 (ko) * 2002-03-23 2002-06-24 이영목 우유 병의 개폐장치
KR200281202Y1 (ko) * 2002-04-18 2002-07-13 박대현 슬라이드식 개폐가 가능한 내용물 유출방지용 젖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375A (ko) *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KR101894739B1 (ko) 2016-12-21 2018-09-04 박상규 젖병
WO2022240141A1 (ko) * 2021-05-10 2022-11-17 양진석 음료 용기의 이물질 역류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CN106029043B (zh) 具有通气奶嘴的奶瓶总成
US20110155684A1 (en) Baby bottle and feeding system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KR101894739B1 (ko) 젖병
KR101356390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실리콘 병
PL222083B1 (pl) Przyrząd do karmienia niemowląt
US3200980A (en) Nursing bottle
KR101524413B1 (ko) 젖병
WO1995024177A1 (en) Improvements in infant feeders and feeder accessories
US10137059B2 (en) Nursing bottle with integrated collar and nipple flange venting structure
US20190117518A1 (en) Air-free, flow-control feeding bottle
US20140299613A1 (en) Geriatric Cup Feeder and Method of Use
KR101081430B1 (ko) 수유용 젖병
KR102488451B1 (ko) 배앓이 방지 수유 젖병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KR102372867B1 (ko) 젖병용 젖꼭지 모듈
KR100623902B1 (ko) 약 먹이는 젖병
CN210301750U (zh) 一种儿童颗粒剂喂药器
KR200378031Y1 (ko) 커플링 및 이 커플링을 갖는 젖병
KR101536223B1 (ko) 유아용 음료병
KR100775951B1 (ko) 노리개 젖꼭지
KR20170026989A (ko) 위생 빨대
KR200248232Y1 (ko) 유아용 다용도 용기의 수유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