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90B1 -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 Google Patents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90B1
KR101351690B1 KR1020120147701A KR20120147701A KR101351690B1 KR 101351690 B1 KR101351690 B1 KR 101351690B1 KR 1020120147701 A KR1020120147701 A KR 1020120147701A KR 20120147701 A KR20120147701 A KR 20120147701A KR 101351690 B1 KR101351690 B1 KR 10135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cup
reason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혁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2014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가 접철이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부가 회동 가능하여 휴대시 편리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은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통과 하단통으로 구성되며, 상단통 하부의 내경과 상기 하단통 상부의 외경이 동일하여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최하단통 하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태의 바닥부; 상기 하단통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통 하단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림부; 및 상기 바닥부에 일측이 링크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바닥부 외주면에 위치한 손잡이 삽입 홈 내지 상기 용기부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weaning cup}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가 접철이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부가 회동 가능하여 휴대시 편리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에 대한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젖꼭지로만 음식물을 섭취했던 아기들은 생후 8개월 전후로 빨대 컵을 이용해 음식물 섭취 습관을 기른다. 빨대 컵은 아기들의 구강발달 및 인지발달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일반 컵을 사용하기 전 꼭 거쳐야 할 필수 육아용품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서 유독 컵 사용을 시작하는 시기가 늦는 편이다. 돌이 넘도록 보리차, 주스 등의 음료를 젖병에 담아 먹는 아이도 꽤 많다. 하지만 컵을 일찍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다. 손의 협응력, 음식을 입으로 가져갈 수 있는 조정력을 기를 수 있으며, 소근육과 두뇌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기존의 젖병은 젖병뚜껑과 젖병마개와 젖병몸통으로 분리된다. 이때 기존의 젖병은 몸통부분이 하나로 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젖병의 몸통부분이 긴 젖병의 경우엔 적은 양의 분유를 수유할 때에는 분유의 양에 비하여 지나치게 큰 젖병을 사용하는 불편이 있었고, 수유한 후 젖병의 안과 밑바닥을 세척을 하려면 반드시 젖병입구를 통하여 세척봉을 사용하여 세척을 하여야만 하였다. 게다가 기존의 젖병은 분유를 제 때 씻지 않은 경우엔 세척봉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젖병 밑바닥에 눌러붙은 찌거기가 잘 세척되지 않아서 세척봉으로 여러 번 세척을 되풀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세척봉이 낡으면 그나마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젖병보다 젖병의 둘레는 커지고 속이 깊지 않는 젖병이 나왔지만, 이러한 젖병은 젖병의 둘레가 너무 커서 손이 작은 유아들이 젖병을 손에 쥐고 먹기에는 불편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젖병의 둘레는 기존의 젖병과 같으면서 젖병의 깊이가 깊지 않은 젖병이 나왔지만, 이러한 젖병은 수유량이 많은 아기들에게는 두 개의 젖병을 준비하거나 새로이 큰 젖병으로 교체해야하는 불편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225호는 젖병의 아래에 뚜껑을 제공하거나 젖병의 몸체를 둘로 나눈 젖병이 나왔으나 젖병의 몸통부분의 길이조절이 임의로 되지 않아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더 큰 용량의 젖병으로 바꾸어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을 내포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3891호는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로 완전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젖병을 제안하였으나, 젖병의 기능만 할 뿐 이유용 컵의 기능까지는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철이 가능한 용기부와 회동이 가능한 손잡이부 때문에 휴대가 편리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빨대 혹은 젖꼭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철이 가능하여 컵의 밑바닥 부분까지 세척이 용이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용기부가 혹시라도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가 있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은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통과 하단통으로 구성되며, 상단통 하부의 내경과 상기 하단통 상부의 외경이 동일하여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최하단통 하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태의 바닥부; 상기 하단통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통 하단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림부; 및 상기 바닥부에 일측이 링크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바닥부 외주면에 위치한 손잡이 삽입 홈 내지 상기 용기부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의 상부와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각각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 결합홈이 더 추가 구성된 것을 특징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나의 손잡이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두 개의 손잡이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손잡이가 서로 180도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뚜껑으로 막혀있는 평평한 상단, 상기 용기부 최상단통에 위치한 상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개구되어 있는 하단과 상기 용기부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결합 홈에 대응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삽입고정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부 상단 일측에 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 삽입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젖꼭지가 부설되어 있는 젖꼭지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용기부와 회동이 가능한 손잡이부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빨대 혹은 젖꼭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하여 컵의 밑바닥 부분까지 세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용기부가 혹시라도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측면도.
도 3는 걸림부의 모습.
도 4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접철이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접철이된 측면도.
도 6은 뚜껑부를 결합한 측면도.
도 7은 젖꼭지가 부설되어 있는 젖꼭지 뚜껑부를 설치한 모습.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측면도이며, 도 3는 걸림부의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은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통과 하단통으로 구성되며, 상단통 하부의 내경과 상기 하단통 상부의 외경이 동일하여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용기부(100), 상기 용기부(100)의 최하단통 하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태의 바닥부(200), 상기 하단통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걸림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통 하단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21)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림부(120) 및 상기 바닥부(200)에 일측이 링크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바닥부(200) 외주면에 위치한 손잡이 삽입 홈(210) 내지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결합 홈(1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부(100)의 하단통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걸림 돌기(122)와 상단통 하단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121)은 서로 끼워져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 돌기(122)의 상부와 상기 걸림턱(121)의 하부에는 각각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접철되기도 한다. 상기 나사 결합홈은 상기 걸림 돌기(122)와 걸림턱(121)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도 1과 도 2와 같이 상기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을 펼쳤을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바닥부(200)에 일측이 링크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통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결합 홈(110)에 끼워져 있어, 손잡이의 역할도 하고 상기 용기부(100)가 혹시라도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접철이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접철이된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은 보관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줄여서 보관을 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 돌기(122)와 걸림턱(121)이 끼움결합을 하게 되어 펼쳐지며 반대로 끼움결합을 해지하여 접어서 보관하게 된다. 접어서 보관을 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300)를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통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결합 홈(110)에서 빼내어서 상기 바닥부(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삽입 홈(210)에 삽입하여 보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의 경우, 하나로 구성이 될 수도 있고 두 개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하나로 구성이 될 경우 상기 바닥부(20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삽입 홈(210)에 삽입 보관하면 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결합 홈(110)에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가 두 개일때는 두가지 경우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손잡이부(300)가 한 개인 경우와 동일한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200)에 일측이 링크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삽입 홈(210)의 경우 상기 바닥부(200)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다. 보관시 삽입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 상기 손잡이 결합 홈(110)의 옆에 동일하게 또 하나의 손잡이 결합 홈(110)을 형성하여 나란하게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상기 손잡이부(300)와 180도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 삽입 홈(210)의 경우 동일하게 상기 바닥부(200)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결합 홈(110)과 일측을 고정하는 링크의 경우 180도 대칭된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300)의 경우 양쪽에 형성되게 된다.
도 6은 뚜껑부를 결합한 측면도이며, 도 7은 젖꼭지가 부설되어 있는 젖꼭지 뚜껑부를 설치한 모습이다.
도 6과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은 뚜껑으로 막혀있는 평평한 상단,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통에 위치한 상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개구되어 있는 하단과 상기 용기부(100)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겹합 홈(110)에 대응되어 상기 손잡이부(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삽입고정통공(420)으로 구성되는 뚜껑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뚜껑부(400)의 상단 일측에는 빨대 삽입구(410)가 형성되어 있어, 도면에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 빨대 삽입구(410)를 통해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400) 대신에 젖꼭지가 부설되어 있는 젖꼭지 뚜껑(600)으로 교체하여 젖병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태어날 때부터 젖꼭지로만 음식물을 섭취하던 아기들은 생후 8개월 전후로 빨대 컵을 이용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습관을 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젖병과 이유용컵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기에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한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이다.
100 - 용기부
110 - 손잡이 결합 홈
120 - 걸림부
121 - 걸림턱
122 - 걸림돌기
200 - 바닥부
210 - 손잡이 삽입 홈
300 - 손잡이부
400 - 뚜껑부
410 - 빨대 삽입구
420 - 손잡이 삽입고정통공
500 - 젖꼭지 뚜껑

Claims (8)

  1.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통과 하단통으로 구성되며, 상단통 하부의 내경과 상기 하단통 상부의 외경이 동일하여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최하단통 하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태의 바닥부;
    상기 하단통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통 하단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림부; 및
    상기 바닥부에 일측이 링크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바닥부 외주면에 위치한 손잡이 삽입 홈 내지 상기 용기부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상부와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각각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 결합홈이 더 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하나의 손잡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두 개의 손잡이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두 개의 손잡이가 서로 180도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뚜껑으로 막혀있는 평평한 상단, 상기 용기부 최상단통에 위치한 상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개구되어 있는 하단과 상기 용기부 최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결합 홈에 대응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삽입고정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 상단 일측에 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 삽입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젖꼭지가 부설되어 있는 젖꼭지 뚜껑을 더 포함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KR1020120147701A 2012-12-17 2012-12-17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KR10135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701A KR101351690B1 (ko) 2012-12-17 2012-12-17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701A KR101351690B1 (ko) 2012-12-17 2012-12-17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690B1 true KR101351690B1 (ko) 2014-01-14

Family

ID=5014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701A KR101351690B1 (ko) 2012-12-17 2012-12-17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742A (zh) * 2014-08-28 2014-12-24 江苏仓海工业设计有限公司 可折叠杯子
KR102078502B1 (ko) * 2019-03-20 2020-04-07 황상우 접힘 및 복원이 가능한 음료 보관 용기
KR20230118378A (ko) 2022-02-04 2023-08-11 이근원 휴대용 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A (ja) * 1990-06-26 1993-01-08 Junichi Tomisu 携帯用コツプ
JPH0910087A (ja) * 1995-06-29 1997-01-14 Okada Shozo 伸縮するコップ
KR200307225Y1 (ko) 2002-12-16 2003-03-12 박중범 젖병
KR200341274Y1 (ko) 2003-09-09 2004-02-11 이상규 등산용 다용도 절첩식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A (ja) * 1990-06-26 1993-01-08 Junichi Tomisu 携帯用コツプ
JPH0910087A (ja) * 1995-06-29 1997-01-14 Okada Shozo 伸縮するコップ
KR200307225Y1 (ko) 2002-12-16 2003-03-12 박중범 젖병
KR200341274Y1 (ko) 2003-09-09 2004-02-11 이상규 등산용 다용도 절첩식 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742A (zh) * 2014-08-28 2014-12-24 江苏仓海工业设计有限公司 可折叠杯子
KR102078502B1 (ko) * 2019-03-20 2020-04-07 황상우 접힘 및 복원이 가능한 음료 보관 용기
KR20230118378A (ko) 2022-02-04 2023-08-11 이근원 휴대용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364B1 (en) Nursing bottle ensemble
US6641094B2 (en) Plush bottle holder
US8783487B2 (en) Silicone resin container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20060213856A1 (en) Handled drinking container
KR101351690B1 (ko)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US20160089306A1 (en) Stackable baby bottle assembly with nestable cap and method therefor
US10653255B1 (en) Container cap with integrated straw
US20070221603A1 (en) Baby Bottle With Side by Side and Attached Compartments
TWM546953U (zh) 能伸縮折疊的容裝瓶
US20150272360A1 (en) Combined baby bottle, sippy cup, and dry storage container
WO2017197461A1 (en) Baby bottle assembly
KR200467504Y1 (ko) 간식의 흘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용기
CN202288903U (zh) 新型奶瓶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JP3134085U (ja) コップ
KR200453033Y1 (ko) 음료병 홀더 기능을 가진 스트로 케이스
KR20130135693A (ko) 다기능 젖병
US20140001144A1 (en) One-piece cap with flexible straw and sealing disk for baby bottle
CA2789293A1 (en) Feeding ba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CN204766594U (zh) 抛弃式奶瓶
CN201431634Y (zh) 一种双向组合式牛奶瓶
CN220256207U (zh) 一种套盖及具有该套盖的容器
KR20170035444A (ko) 접이식 케이스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