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25Y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25Y1
KR200307225Y1 KR20-2002-0037400U KR20020037400U KR200307225Y1 KR 200307225 Y1 KR200307225 Y1 KR 200307225Y1 KR 20020037400 U KR20020037400 U KR 20020037400U KR 200307225 Y1 KR200307225 Y1 KR 200307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piral
storage container
coupling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범
Original Assignee
박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범 filed Critical 박중범
Priority to KR20-2002-0037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젖병 보관통의 중앙을 분리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한 젖병에 관한 것으로, 우유를 수용하며 상단부에는 나선을 형성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나선에 체결되며 상단으로는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부재의 결합시 패킹고정되는 실리콘등으로 형성되는 젖꼭지부로 구성되는 젖병에 있어서,상기 보관통은 중앙이 분리되도록 저면이 밀폐되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으로는 나선을 형성한 하부부재와,상기 하부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결합나선을 형성한 상부부재와,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체결시 개재되어 수용되는 우유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젖병용 보관통을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전용청소솔이 불필요하면서 보관통의 세척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젖병{A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이 용이하도록 젖병 보관통의 중앙을 분리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우유를 수용하는 보관통의 상단부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이 나선에 체결되며, 상단으로는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는 실리콘등으로 형성되는 젖꼭지부와 젖병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젖꼭지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마개로 이루어져 있었다.
아기에게 모유를 대신하여 우유를 수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젖병은 아기가 자라나면서 우유를 많이 먹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50ml내지 300ml정도의 우유를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잡기 편리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진다.
도 1은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젖병용 보관통을 세척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젖병용 보관통(1)은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2)와, 이 몸통부(2)에서 만곡된 만곡부(3)를 형성하고, 이 만곡부(3)에 연결되어 젖꼭지부가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선을 형성한 출구부(4)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젖병용 보관통(1)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보관통(1)과 결합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젖병전용솔(5)을 사용하여 보관통(1)에 삽입한 상태에서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척하였다.
따라서 상기 보관통(1)의 입구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보관통의 저면과 외벽이 연결된 각 진 부분이나 만곡부(3)를 닦기 위해서는 별도의 젖병전용솔을 구비하여 세척하므로써 불편함이 있었으며 젖병을 휴대하여 여행이나 이동할 때에도 젖병전용솔(5)을 휴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젖병의 보관통이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이 보관통의 구석구석까지 도달하여 세척가능하도록 구성한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우유를 수용하며 상단부에는 나선을 형성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나선에 체결되며 상단으로는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부재의 결합시 패킹고정되는 실리콘등으로 형성되는 젖꼭지부로 구성되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보관통은 중앙이 분리되도록 저면이 밀폐되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으로는 나선을 형성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결합나선을 형성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체결시 개재되어 수용되는 우유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젖병용 보관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보관통의 일부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관통 11 : 하부부재
12 : 나선 13 : 단턱
14 : 상부부재 15 : 결합나선
16 : 만곡부 17 : 출구부
18 : 폐킹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분해사시도이다.
젖병(50)은 우유를 수용하는 보관통(10)과 이 보관통(10)에 상단에 형성된 체결나선에 체결되는 결합부재(30)와 이 결합부재(30)에 형성된 통공(31)에 삽입되고 우유가 나오는 젖꼭지부(20)와 사용하지 않을때에 젖꼭지부(20)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마개(40)를 형성한다.
상기 보관통(10)은 저면이 밀폐되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내측으로는 너트형의 나선(12)을 형성하며, 이 나선(12)의 하단에는 패킹(18)이 위치하도록 단턱(13)을 형성한 하부부재(11)를 구성한다.
또한 하부부재(11)의 상단내측으로 형성된 너트형의 나선(12)과 체결되도록 하단외측으로 볼트형의 결합나선(15)을 형성하고, 이 결합나선(15)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부(16)와 이 만곡부(16)의 끝단으로는 외경에 나선을 형성한 출구부(17)를 갖는 상부부재(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1)와 상부부재(14)가 체결이 되었을 때에 하부부재(11)의 단턱(13)에 개재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링형으로 형성된 폐킹(18)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하부부재(11)의 상단내측으로 형성된 나선(12)에 상부부재(14)의 하단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나선(15)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부재(14)를 정회전시키게 되면 체결된다.
이때에, 상기 하부부재(11)의 단턱(13)에는 패킹(18)을 위치시켜 체결될때에 상부부재(14)와 하부부재(11)가 완전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보관통의 하부부재의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젖병용 보관통(10)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부재(11)를 잡은 상태에서 상부부재(14)를 역회전시키면 상부부재(14)와 하부부재(11)가 분리된다.
따라서 상부부재(14)와 하부부재(11)의 나사결합이 분리되면 상부부재(14)에 형성된 만곡부(16)나 하부부재(11)의 각이 진 부분등 구석구석까지 사용자의 손으로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젖병용 전용청소솔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깨끗하게 세척이 이루어져 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젖병용 보관통을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전용청소솔이 불필요하면서 보관통의 세척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우유를 수용하며 상단부에는 나선을 형성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나선에 체결되며 상단으로는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부재의 결합시 패킹고정되는 실리콘등으로 형성되는 젖꼭지부로 구성되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보관통은 중앙이 분리되도록 저면이 밀폐되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으로는 나선을 형성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도록 하단 외측으로 결합나선을 형성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체결시 개재되어 수용되는 우유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20-2002-0037400U 2002-12-16 2002-12-16 젖병 KR200307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00U KR200307225Y1 (ko) 2002-12-16 2002-12-16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00U KR200307225Y1 (ko) 2002-12-16 2002-12-16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25Y1 true KR200307225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400U KR200307225Y1 (ko) 2002-12-16 2002-12-16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96B1 (ko) 2010-11-26 2012-12-18 (주)엠이씨 기능성 젖병
KR101351690B1 (ko) 2012-12-17 2014-01-14 최준혁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KR20180093459A (ko) 2017-02-13 2018-08-22 김정현 최적의 수유각도 가이드 기능이 겸비된 이중구조 기반의 향상된 보온성 및 세척용이성을 가진 젖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96B1 (ko) 2010-11-26 2012-12-18 (주)엠이씨 기능성 젖병
KR101351690B1 (ko) 2012-12-17 2014-01-14 최준혁 접철이 가능한 이유용 컵
KR20180093459A (ko) 2017-02-13 2018-08-22 김정현 최적의 수유각도 가이드 기능이 겸비된 이중구조 기반의 향상된 보온성 및 세척용이성을 가진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0856A (en) Baby bottle with disposable liner
US20030052018A1 (en) Tobacco dipping cup with saliva reservoir
US6343612B1 (en) Portable pacifier cleaner and container
KR200307225Y1 (ko) 젖병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KR100806760B1 (ko) 분리형 젖병
WO2013192371A2 (en) Variable size washable baby bottle
KR200225655Y1 (ko) 우유병
KR200374998Y1 (ko) 나들이용 우유 젖병
KR200489168Y1 (ko) 젖꼭지 보관 케이스
TWM580924U (zh) Cup lid structure
KR200185414Y1 (ko) 우유젖병
CN215959272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旋转水杯
US10143631B2 (en) Pacifier with sanitizing component
KR200212804Y1 (ko) 분유 나눔통을 결합 및 분리하는 우유병
KR200205426Y1 (ko) 젖병 세척기구
KR200193400Y1 (ko) 유아용 젖병
CN211272455U (zh) 适合婴儿嘴型的奶瓶
KR200222704Y1 (ko) 휴대용 분유 저장용기
JPH09183448A (ja) 吸い口管付き飲料容器の蓋体
KR200401322Y1 (ko) 젖병 세척용 뚜껑
KR200212796Y1 (ko) 유아용 젖병
KR200280817Y1 (ko) 포장용 용기
KR200219681Y1 (ko) 젖병
KR200484185Y1 (ko)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