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796Y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796Y1
KR200212796Y1 KR2020000024095U KR20000024095U KR200212796Y1 KR 200212796 Y1 KR200212796 Y1 KR 200212796Y1 KR 2020000024095 U KR2020000024095 U KR 2020000024095U KR 20000024095 U KR20000024095 U KR 20000024095U KR 200212796 Y1 KR200212796 Y1 KR 200212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body
screw portion
op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희
Original Assignee
홍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희 filed Critical 홍승희
Priority to KR2020000024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796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의 대향측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외폭이 상기 개구의 내폭보다 축소된 축소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병본체와; 상기 병본체의 개구영역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젖꼭지조립체의 암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내부에 분유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상호 중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후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FEEDING BOTTLE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분유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중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젖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젖병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우유 또는 분유 등을 수용하는 병본체(111)와, 병본체(1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젖꼭지조립체(113)와, 젖꼭지조립체(113)의 둘레에 배치되는 뚜껑부재(1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병본체(111)는 비교적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외주면에 소정의 수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젖꼭지조립체(113)는, 위생적인 고무부재 등으로 형성되는 젖꼭지(115)와, 젖꼭지(115)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재(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나사결합부재(117)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병본체(111)의 수나사부(1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아에게 포유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젖꼭지조립체(113)를 병본체(111)로부터 분리하고, 분유 등을 계량스푼 등을 이용하여 소정량을 병본체(111)의 내부에 주입한다. 다음, 병본체(111)의 내부에 온수를 주입하여 분유와 골고루 섞이도록 한 상태에서 유아에게 포유를 실시하게 된다.
통상, 포유후에는 병본체(111)로부터 젖꼭지조립체(113)를 분리하여 각각을 세척한 후 가열 등의 방법으로 살균/소독을 실시한 후 건조시켜 재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는, 병본체(111)의 입구가 병본체(111)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어 병본체(111)의 내부에 분유 등을 주입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세척시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본체(111)는 단순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이어서, 유아를 동반한 외출시, 세척건조된 여러 개의 유아용 젖병 및 분유통을 지참하게 될 경우에는, 짐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분유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중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젖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아용 젖병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유아용 젖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본체뚜껑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병본체 13 : 축소구간부
14 : 눈금표시부 15 : 제1돌기부
16 : 암나사부 17 : 경사부
19 : 제2돌기부 21 : 수나사부
31 : 병목부재 32 : 제1수나사부
34 : 제2수나사부 36 : 차단부재
41 : 젖꼭지조립체 51 : 뚜껑부재
61 : 지지부재 63 : 원통부
64 : 암나사부 66 : 손잡이
71 : 본체뚜껑부재 72 : 수나사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의 대향측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외폭이 상기 개구의 내폭보다 축소된 축소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병본체와; 상기 병본체의 개구영역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젖꼭지조립체의 암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병본체와 상기 병목부재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병본체와 상기 병목부재사이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병본체의 축소구간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축소구간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병본체를 지지하며,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아용 젖병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유아용 젖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본체뚜껑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유아용 젖병은,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하부영역이 개구의 내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이 가능한 복수의 병본체(11)와, 병본체(11)의 개구를 차단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병목부재(31)와, 병목부재(3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젖꼭지조립체(41)와, 젖꼭지조립체(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재(51)와, 병본체(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병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1)와, 병본체(11)의 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본체뚜껑부재(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젖꼭지조립체(41)는, 종래의 유아용 젖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경면에 암나사부(44)가 형성된 나사결합부재(43)와 실리콘고무부재 등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부재(43)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젖꼭지(45)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부재(51)는 나사결합부재(43)의 둘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젖꼭지조립체(41) 및 뚜껑부재(51)는 종래의 젖꼭지조립체 및 뚜껑부재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병본체(11)는, 종래의 병본체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병본체와 거의 동일한 용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종래의 병본체(11)의 직경에 비해 확장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병본체(11)와 상하방향을 따라 중첩이 가능하도록 각 병본체(11)의 하부영역에는 다른 병본체(11)의 개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상부영역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는 축소구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병본체(11)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의 용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눈금표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병본체(11)의 상단면에는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의 내경면에는 소정의 암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영역과 축소구간부(13)의 경계영역의 내측에는 중앙영역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경사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17)의 외측영역에는 다른 병본체(11)의 제1돌기부(15)와 상호 요철결합될 수 있도록 제2돌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축소구간부(13)의 상부영역에는 다른 병본체(11)의 개구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와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병목부재(31)는, 병본체(11)의 개구영역을 차단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반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에는 젖꼭지조립체(41)의 암나사부(4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된 제1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병목부재(31)의 하부영역에는 병본체(11)의 암나사부(16)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된 제2수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병본체(11)의 제1돌기부(15)의 대응영역에는 실리콘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병본체(11)와의 결합시 병본체(11)와 병목부재(31)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부재(36)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6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병본체(11)의 축소구간부(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63)와, 원통부(63)의 외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손잡이(66)를 가진다. 각 손잡이(66)는 원통부(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를 향할수록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부(63)의 수용공의 내측 양단에는 병본체(11)의 수나사부(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체뚜껑지지부재(71)는 병본체(11)의 개구영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원반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병본체(11)의 암나사부(1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측 표면의 중앙영역에는 병본체(11) 및 지지부재(61)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73)가 함몰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73)의 둘레영역에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돌기(7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각 병본체(11)의 내부에 1회 분량의 분유를 계량하여 주입한다. 이 때, 병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부(17)는 분유가 퇴적됨이 없이 저부영역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분유의 주입이 완료되면, 병본체(11)의 축소구간부(13)가 다른 병본체(11)의 개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호 중첩된 병본체(11)가 이탈되지 않도록 병본체(11)의 축소구간부(13)에 형성된 수나사부(21)와 개구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가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병본체(11)를 차례로 결합하고 최상측에 배치된 병본체(11)의 개구영역에 병목부재(31)를 나사결합한다. 병목부재(31)가 결합되면 젖꼭지조립체(41) 및 뚜껑부재(51)를 차례로 결합하고, 최하측에 배치된 병본체(11)의 축소구간부(13)에 지지부재(61)를 나사결합한다. 지지부재(61)의 하측에 형성된 암나사부(64)에는 본체뚜껑부재(71)의 수나사부(72)가 나사결합하여 본체뚜껑부재(71)가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지지부재(61)는 상대적으로 넓은 측이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병본체(11)에 대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아에게 포유를 실시하고자 할 때는, 최상측에 배치된 병본체(11)를 그 하측에 배치된 병본체(11)로부터 분리해 낸 후, 다시 병목부재(31)를 병본체(11)로부터 분리하여 병본체(11)의 내부에 온수를 주입하여 분유와 온수가 골고루 섞이도록 한다. 다음, 최하측에 위치된 병본체(11)로부터 지지부재(61)를 분리해내고, 지지부재(61)의 하단에 결합된 본체뚜껑부재(71)를 분리한 후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진 단부가 젖꼭지조립체(41)측 즉, 상측을 향하도록 지지부재(61)를 돌려서 병본체(11)의 축소구간부(13)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면 유아가 병본체(11)를 놓치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젖꼭지를 빨수 있게 된다. 이 때, 지지부재(61)로부터 분리된 본체뚜껑부재(71)는 개구가 개방된 병본체(11)의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구영역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병본체의 개구 내경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병목부재에 수나사부를 마련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암나사부 및 수나사부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끼워맞춤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본체뚜껑부재의 수나사부의 대향측 표면이 반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표면에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수나사부의 대향측을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지지돌기를 형성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의 대향측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개구의 내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는 축소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병본체와 병본체의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병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병목부를 마련함으로써, 내부에 분유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중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젖병은, 유아가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던 종래의 유아용 젖병과는 달리, 병본체에 결합되어 병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병본체의 직경을 확대시킬 경우에도 유아가 병본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의 대향측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외폭이 상기 개구의 내폭보다 축소된 축소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병본체와; 상기 병본체의 개구영역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젖꼭지조립체의 암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본체와 상기 병목부재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병본체와 상기 병목부재사이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본체의 축소구간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축소구간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병본체를 지지하며,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2020000024095U 2000-08-25 2000-08-25 유아용 젖병 KR200212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5U KR200212796Y1 (ko) 2000-08-25 2000-08-25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5U KR200212796Y1 (ko) 2000-08-25 2000-08-25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796Y1 true KR200212796Y1 (ko) 2001-02-15

Family

ID=7305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95U KR200212796Y1 (ko) 2000-08-25 2000-08-25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0808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US4678092A (en) Disposable baby bottle
US4700856A (en) Baby bottle with disposable liner
US5038948A (en) Nursing apparatus
KR20040102120A (ko) 유아 수유 및 저장 시스템
US5950689A (en) Baby feeding bottle having a receptacle for a fluidized mas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9708098B2 (en) Fully eversible beverage receptacle
KR20050029204A (ko) 액체 영양 보충제를 계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24291B1 (ko) 일회용 젖병 키트
US20020121454A1 (en) Combined pill and water container
US4750630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JP2002519149A (ja) 経口哺乳瓶
KR200212796Y1 (ko) 유아용 젖병
US5377852A (en) Calf sucker bottle holder
KR100806760B1 (ko) 분리형 젖병
US11576843B2 (en) Vessel for a fluid having a silicone continuity
US20140209610A1 (en) Fully eversible beverage receptacle
KR20000007501U (ko) 이중구조의 무공해 포유병
US20070221806A1 (en) Bottle Holder
WO2010010548A1 (en) Formula dispens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nursing bottle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200307225Y1 (ko) 젖병
WO2006059890A1 (en) Beverage container
US20100089858A1 (en) Convertible baby feeding bottle for use with or without a disposabl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