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400Y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400Y1
KR200193400Y1 KR2020000004132U KR20000004132U KR200193400Y1 KR 200193400 Y1 KR200193400 Y1 KR 200193400Y1 KR 2020000004132 U KR2020000004132 U KR 2020000004132U KR 20000004132 U KR20000004132 U KR 20000004132U KR 200193400 Y1 KR200193400 Y1 KR 20019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aby
bent
infa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택
Original Assignee
최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택 filed Critical 최윤택
Priority to KR2020000004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69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supported by the inf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이 편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젖병(1)의 몸체(1a)에 있어서 상부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구성시켜 유아가 편히 내용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몸체(1a)의 하부는 직경이 좁게 요홈형상의 만곡부(4)로 구성하고 동시에 손잡이(5)를 부착하여 안정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며, 몸체 외부면에 걸이부재(6)를 형성하여 유아가 젖병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떨어뜨릴 염려가 없도록 하였으며, 몸체 저부를 완전 개방시켜 상기 개방부(7)를 덮개(8)로 밀봉 혹은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세척의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세척력이 향상되므로 위생적인 젖병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A NURSER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젖병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켜 유아가 젖병내에 들어있는 내용물 예로써, 우유를 먹을때 보다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젖병의 둘레부에 마치 목걸이와 같이 목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젖병의 떨어뜨림을 해소시키고, 또한 유아가 손으로 잡는 부위를 직경을 좁게 구성시키고 동시에 손잡이를 부착시켜 잡기가 편리하도록 하며, 젖병의 하부에 별도의 개폐용 덮개를 형성시켜 젖병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젖병(1)의 형상은 일반적인 병의 형상과 같이 길게 구성되고 상부의 뚜껑(2)에 젖꼭지(3)가 끼워져 젖병(1)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은 젖병(1)은 몸체(1a)자체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유아 특히 영아의 경우 직접 손으로 잡고 우유를 먹기가 곤란하며, 또한 젖병자체가 수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유를 먹을 때는 세워주어야 하였던 것으로 이러한 경우 보호자가 적절히 잡아주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유아가 성장하여 혼자 걸을 수 있는 경우 본인이 직접 젖병을 들고 다니면서 먹게 되는데 이렇게 움직일 경우 젖병을 안전하게 잡지 못하기 때문에 젖병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던 것으로 세척에 따른 번거로움을 주게되고 또한 세척을 안할 경우 위생상에 좋지 못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아들이 젖병에 내장된 내용물을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편히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젖병이 지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세척이 용이한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일부 절단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유아용 젖병의 정면도
도 4 는 종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젖병 1a :몸체
2 : 뚜껑 3 : 젖꼭지
4 : 만곡부 5 : 손잡이
6 : 걸이부재 7 : 개방부
8 : 덮개
도 1 내지 도 3 은 본 고안의 젖병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젖병(1)의 몸체(1a) 상부에 뚜껑(2)과 젖꼭지(3)는 종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몸체(1a)의 상부는 소정의 각도 예로써 40-50°로 절곡되고 하부는 내측방향으로 마치 허리와 같이 요홈형상으로 만곡부(4)가 형성되어 작은 직경으로 된다.
또한, 상기 요홈형상으로 된 만곡부(4)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의 사이에는 상하로 손잡이(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는 몸체(1a)의 좌우양측에 형성된다.
도면부호 6은 걸이부재로서 몸체(1a)의 대략 중앙부 양측에 링형상의 고리(6a)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 긴 끈(6b)이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a)의 저부는 완전히 개방되며 이 개방부(7)에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덮개(8)를 나사결합시켜 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젖병(1)은 대략 상부의 절반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유아가 내용물을 먹는데 불편함이 최소화되며, 동시에 하부가 만곡부(4)로서 직경이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손이 작은 유아들은 손으로 잡기가 편하여 안정된 상태로 잡을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5)를 양손으로 잡고 내용물을 먹을 경우 안정되게 잡고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아가 걸어 다닐 경우 고리부재(6)의 끈(6b)을 목에 걸면 젖병(1)자체가 마치 목걸이와 같이 목에 걸려 떨어지지 아니하므로 이와같이 끈(6b)을 이용하여 목에 걸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거나 휴대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젖병(1)이 지면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으므로 위생상 좋고 또한 별도로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젖병(1)을 세척할 경우 몸체(1a)의 저부에 나사결합된 덮개(8)를 해체하면 저부는 완전히 뚫린 것과 같이 개방되며 이때 개방부(7)를 통해 별도의 브러쉬형상의 세척구(도시생략)를 넣어 세척하면 되는 것으로 세척이 극히 편리하며 또한 세척력이 향상되므로 유아의 위생건강에도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원 고안의 젖병은 그 상부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유아가 내용물을 먹을때 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동시에 몸체 하부가 직경이 좁고 또한 손잡이가 있으므로 안정되게 손으로 잡고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걸이부재를 이용하여 목에 걸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좋아 지면에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저부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으므로 세척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1a)상부에 뚜껑(2)과 젖꼭지(3)가 결합된 젖병(1)에 있어서, 상기 몸체(1a)의 상부는 일정 각도로 절곡구성되고, 하부는 직경이 좁게 요홈형상으로 만곡부(4)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4)의 외측에 손잡이(5)를 형성하여 잡기가 편하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1a)외측으로 걸이부재(6)를 설치하고, 몸체(1a)저부를 개방부(7)로 구성하여 이 개방부(7)에 밀폐용 덮개(8)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2.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5)는 몸체(1a)의 좌우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a)상부의 절곡부의 각도는 40-50°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2020000004132U 2000-02-16 2000-02-16 유아용 젖병 KR200193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132U KR200193400Y1 (ko) 2000-02-16 2000-02-16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132U KR200193400Y1 (ko) 2000-02-16 2000-02-16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400Y1 true KR200193400Y1 (ko) 2000-08-16

Family

ID=1964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132U KR200193400Y1 (ko) 2000-02-16 2000-02-16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4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21A (ko) * 2002-06-28 2002-08-13 이영재 포유병 지지구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21A (ko) * 2002-06-28 2002-08-13 이영재 포유병 지지구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KR200488879Y1 (ko) * 2017-07-31 2019-04-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3043B1 (en) Feeding apparatus
US4570808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US5038948A (en) Nursing apparatus
EP2440171B1 (en) Infant feeding apparatus
US4750630A (en) Baby bottle with integral handle
KR200193400Y1 (ko) 유아용 젖병
KR20190054776A (ko) 노리개 젖꼭지
JPH02119865A (ja) 哺乳ビン
KR101663608B1 (ko) 유아용 과즙기
KR200307225Y1 (ko) 젖병
KR200202880Y1 (ko) 휴대용 목걸이가 부설된 유아용 음료용기
JP3004319U (ja) 吸い取り易い哺乳瓶及びカップのストロー
KR200374998Y1 (ko) 나들이용 우유 젖병
KR200258439Y1 (ko) 유아용 스푼
KR102291458B1 (ko) 유아용 숟가락
KR200259683Y1 (ko) 휴대용 젖병
CN209347661U (zh) 一种奶瓶
CN212546508U (zh) 一种筷子套及使用该筷子套的筷子及配套筷枕
KR200184526Y1 (ko) 개량 분유통
KR960002563Y1 (ko) 유아용 젖병
JP2001354260A (ja) ペットボトル用のストロー付き吸口キャップ
CN109527907A (zh) 一种组合式儿童餐具
KR860003627Y1 (ko) 위생용 캡을 부착할 수 있는 젖병마개
JP2003230475A (ja) 食品等収納容器
KR200255583Y1 (ko) 스푼 보관통이 결합 부착된 휴대용 분유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