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64A -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64A
KR20130110664A KR1020120032800A KR20120032800A KR20130110664A KR 20130110664 A KR20130110664 A KR 20130110664A KR 1020120032800 A KR1020120032800 A KR 1020120032800A KR 20120032800 A KR20120032800 A KR 20120032800A KR 20130110664 A KR20130110664 A KR 2013011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hair loss
cosmetic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108B1 (ko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김명숙
김태완
이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김태완, 이연근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12003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1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천연 한방 소재인 쑥추출물, 대황추출물, 당귀추출물, 황기 추출물, 석창포 뿌리·줄기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산뽕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로서, 머리를 감음으로써 유효한 탈모방지 및 건강한 두피 유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은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loss of hair containing nine times-steaming Ginseng extract and natural oriental medicine extracts}
본 발명은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머리를 감음으로써 유효한 탈모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탈모(loss of hair)의 원인과 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남성 탈모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남성호르몬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탈모 관련 유전자는 완전히 구명되고 있지는 않고 여러 유전자가 탈모에 관여하고 그 유전자 발현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그 원인을 두고 있다.
특히 여성의 탈모는 대부분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연령대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낸다. 20대 여성의 경우에는 다이어트에 의한 영양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30대 여성의 경우는 임신 및 출산 등으로 인한 급격한 호르몬 변화와 육아에 의한 스트레스가 탈모의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40대 여성의 탈모 원인은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에 대한 상대적 불균형에 의해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이런 결과로 최근 탈모 및 발모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으로 수 많은 연구자가 그 해결책을 위해 수 많은 추론과 임상적 발모의 가능성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육모와 양모 그리고 탈모 예방에 있어서 가장 우선 순위는 탈모예방이 가장 중요함을 누구도 부정하지 않고 있다.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와 미용적 심적 부담으로 수 많은 제품의 발모에 많은 관심을 귀기울이고 있고 수많은 제품들이 탈모예방이 아닌 발모에 초점을 맞추어 탈모 환자나 진행자에게 더욱 큰 스트레스와 고통을 주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십년 전부터 관심이 되고 있는 인삼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와 천연 식물 유래 추출물을 활용하여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을 조합하여 가장 우선적인 탈모예방에 대응하고자 수행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104804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표 조성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53771 흑삼 및 흑삼 농축액 제조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67529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im, S. N. and Kang, S. J. Effects of black ginseng on hypoglycemic action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s on the steaming process. Korean J. Food Scil. Technol. 41(1):77-81 (2009) Park, J. Y., Lee, C. Y. and Won, J. Y. Analytical optimum of ginsenosides according to the gradient elution of mobile phase i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3):215-219 (2007) Nam, K. Y.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Panax ginseng C.A. Meyer). J.Ginseng Res. 29:1-18 (2005) Li, W. and Fitzloff, J. F. HPLC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content in ginseng dietary supplements using ultraviolet detection. J. Liq. Chromatogr. R.T. 21:2485-2500(20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탈모이거나 탈모가 진행됨으로서 고민하고 있는 수 많은 탈모 인구의 탈모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는 저자극이면서 탈모를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많은 탈모로 고민하는 사람에게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은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의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의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의 구중구포 인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와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의 건강한 두피 유지를 위하여 에탄올이 함유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저자극이며 다양한 조성물 함량 실시예에 의한 피시험자의 시험으로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구중구포 인삼의 증포 과정과 증포 단계별 인삼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기 수삼 단계에서부터 구증구포 마지막 단계에서 검은 흑삼으로 변화된 상태를 정확히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구증구포 인삼 및 천연 한방 추출물 함유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탈모 방지 검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 1에서 4까지는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만을 함유한 조성물 사용으로 얻은 탈모방지효과이며 실시예 5에서 8까지는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만을 함유한 조성물의 사용으로 얻은 탈모방지 효과이다. 그리고 실시예 9에서 12까지가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얻은 탈모 방지 효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은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다.
인삼(ginseng C. A. Meyer)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두릅나무과의 인삼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수삼 ; 생 것), 홍삼(찐 것) 그리고 흑삼(구중구포)로 구분하여 생산과 가공품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인삼은 한의학에서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인삼의 약리작용으로는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가,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암 그리고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런 우수한 약리작용에 더하여 증숙, 건조 등의 과정을 9번 거친 구중구포 인삼을 흑삼이라고 불리우며 많은 사람들이 이 흑삼의 우수성에 관심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흑삼은 일반적인 인삼(수삼, 백삼)에 비하여 그 유효성분인 사포닌(saponin)의 성분이 다양하고 독특한 함량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명칭하고 있다. 이 진세노사이드는 최근 분리분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약 30종의 인삼 사포닌 화학구조가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는 최근 많은 사람들에 의해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인삼의 기본적 약리작용과 더불어 피로회복 촉진, 지구력 증진, 두뇌 활동 촉진, 여성 피부 치료 및 마사지, 뇌세포 성장 촉진, 노인성 치매, 간장 보호, 숙취 제거, 면역기능 증강, 골다공증 예방, 여성 갱년기 장애 효과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방사능 방어 작용 및 에이즈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쑥 추출물(Artemisia Vulgaris Extract)의 쑥은 한약 이름으로 "애엽"이라 하며 옛날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히 동의보감에서 쑥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위장과 간장, 신장의 기능을 강화해 복통 치료에 좋다고 알려져 왔다. 이러한 쑥은 피가 맑아지고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기능과 해독작용, 간기능 개선과 노화방지, 각종 부인병에 효과가 있으며, 위장과 장 기능을 강화 및 환경오염물질로부터 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대황 추출물(Curcuma Longa Root Extract)의 대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심황, 울금, 을금, 걸금, 천을금, 옥금, 울금초, 금모세, 마술, 황제족 등의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황은 변비치료 효과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항균소염작용이 뛰어나 각종 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구내염, 편도선염, 급성결막염 등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황은 객혈, 배변혈, 비혈 등을 치료하는 지혈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 습진이나 피부 화상에 바르면 효능이 있으며 치질이나 자궁의 외용약으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귀 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의 당귀는 심장 강화 및 혈액 순환 촉진 ,기억력 증진과 치매예방, 변비해소등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주는 영양소가 있어서 몸이 차가운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당귀의 주성분인 쿠마린(cumarine)은 피부의 보습, 항아토피, 혈행작용촉진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 뿐만 아니라 피부에 혈액을 원활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 면역력 강화, 영양공급, 항염증, 항균 작용, 세포 재생에 의한 노화방지 작용 등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황기 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의 황기는 전신 기능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한약재로서 인삼과 버금가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식욕 부진 이나 심한 피로 등에 쓰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황기는 면역력 증강의 강정작용, 비장 위장 등의 소화기 기능 촉진, 심장의 수축력을 강하게 하고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혈압을 낮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피부에는 체액의 유통을 개선시켜 부종에 효과를 나타내며, 땀샘을 조절하여 다한증을 개선하는 약재로서 매우 많이 알려져 있다.
석창포 뿌리·줄기 추출물(Acorus Gramineus Root/Stem Extract)의 석창포는 한의학에서 귀와 눈이 밝아지고 목소리가 고와지며 몸이 따뜻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창포의 뿌리와 줄기에는 몸의 해독과 중풍 개선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에는 습진이나 피부 가려움증에 매우 좋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잎 추출물(Ginkgo Biloba Leaf Extract)의 은행잎은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유로 혈액순환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은행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어 현기증 치료 및 기침가래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은행잎의 프로스타글란딘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낮추어서 혈전을 막아주며 고혈압 예방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초혈관 개선에 의해 기억력 감퇴 및 집중력 장애에 효과가 있고, 징크 플라톤이라는 성분에 의해 혈관의 탄력을 좋게하여 모발의 모근에 까지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탈모를 예방하고 흰머리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뽕나무잎 추출물(Morus Bombycis Leaf Extract)의 산뽕나무잎은 맛은 쓰고 달며 서늘한 성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과 간경화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출혈을 멈추게 하며, 눈병 및 고혈압, 당뇨에도 교화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동맥경화 예방 및 숙취해소, 자양강장 효과로 허약한 체질 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항암 효과 및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부기를 빼주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인삼(수삼)은 4년근 이상 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수삼을 엄선하여 선택하고 세척과 수분제거를 한후 85도씨 이하로 장시간 저온증숙하고, 30∼40도씨 상온에서 장시간 자연건조하는 과정을 9회 반복하면 수삼이 홍삼으로, 홍삼이 구중구포 인삼(흑삼)으로 변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중구포 인삼은 구증구포와 자연건조숙성을 거치면서 비교적 구조가 큰 다당체의 연결고리가 끊어짐으로 말미암아 비교적 구조가 미세하여 소화흡수에 유리하고 약리효과가 크다고 밝혀진 성분으로 바뀐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건조숙성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증숙된 인삼을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숙성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파동에너지를 방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촉매 블록을 사용하였다. 촉매블럭은 75% 이성의 수분을 함유한 증숙삼을 3일간 건조숙성하는 동안 곰팡이와 세균발생을 억제하여 자연건조숙성 시에 증숙된 삼이 충분한 숙성시간을 가지고 숙성되어 최상의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함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 1에 구중구포 인삼의 증포 및 자연건조방법과 그 과정에서 확인된 증포 인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구중구포 인삼은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500메시(mesh)이상의 분말로 분쇄한 다음 구중구포 인삼 분말 500그램과 80중량% 에탄올 5리터를 10리터 플라스크에 취한후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멘털히터에 설치하고 50도씨에서 12시간 교반 추출한 다음 왓트만페이퍼 1여과지로 여과 하여 그 여액을 모아 1차 추출물을 만든다. 추출액을 분리한 구중구포 인삼 잔류물에 50중량% 에탄올 4리터를 첨가하고 80도씨에서 10시간 동안 재추출하여 1차 추출물 과정과 동일하게 여과한 후 2차 추출액을 분리한다. 2차 추출과정을 1회 더 반복하여 3차 추출물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증류수 2.5리터를 첨가하여 90도씨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여 4차 추출물을 만들었다. 1차에서 4차 추출과정을 경유하여 분리한 추출액을 합쳐서 60도씨 이항에서 감압농축 한 후 원심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건조 분말화함으로써 추출 농축액을 제조한다.
2.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7종의 천연 한방 소재를 준비한다. 쑥추출물, 대황추출물, 당귀추출물, 황기 추출물, 석창포 뿌리·줄기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산뽕나무잎 추출물은 각 건조된 소재를 1킬로그램(kg) 씩 준비하여 7일간 자연건조를 추가로 수행한다. 완전히 자연건조된 7종의 한방 소재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500메시(mesh)가 되도록 분쇄하여 세정용 화장료 조성에 투입되었을시 잘 혼합되도록 분쇄한다. 각각 분쇄된 천연 한방 소재는 구중구포 인삼 추출법과 마찬가지로 분말 소재와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물을 준비한다.
3.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정량분석
진세노사이드 분석은 Li와 Fitzloff (2002) 방법에 준하여 수행한다. 흑삼분말 0.5그램을 250밀리리터 추출 용기에 넣고, 50밀리리터 메탄올을 첨가한 후, 50도씨 온수조에서 20분간 추출한다. 추출용액은 3,000 알피엠(rpm)에서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0.4마이크로미터(um) 막여과지로 여과한 후, 50도씨에서 감압 농축한다. 감압 농축 잔류물을 1밀리리터 메탄올에 용해시켜 HPLC 로 분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을 통해 확인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함량은 표1과 같다.
[표 1]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에서 확인된 진세노사이드 함량(mg/g) 및 상대비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구중구포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Rg3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보고와 같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파낙스디올(Panax Diol ; PD = Rb1+Rb2+Rc+Rd+Rg3)계와 파낙스티올(Panax Tiol ; PT = Re+Rg1+Rh1)간의 상대비로 구중구포 인삼의 성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Kim 과 Kang(2009)).
[표 2] 종래 구포 단계별 파낙스 디올과 파낙스 티올 함량비와 본 발명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의 비교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구포 단계별 파낙스 디올(PD)과 파낙스 티올(PT) 상대 함량비를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 사용된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의 함량비가 8증포와 9증포 사이로 나타나 구증구포 인삼이 맞다고 확인할 수 있다.
4.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 준비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인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조처방의 기준 처방으로 준비하며, 비교예 1, 2 그리고 3을 준비한다.
[비교예 1]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 제조처방 비교예
Figure pat00003
[비교예 2]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 제조처방 비교예
Figure pat00004
[비교예 3]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 제조처방 비교예
Figure pat00005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에서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이 나타내는 탈모방지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비교예 1, 2 및 3의 기준처방과 비교예를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시험군에 사용하게 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첨가물별 탈모방지 효과 테스트
시험군은 세부 실시예1 부터 실시예8 별로 각각 탈모 초기 증세이거나 진행중인 30∼45세 남녀 25명씩으로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기간은 총 5주로 하였으며, 세부 실시예1부터 실시예 4를 사용하는 시험군은 먼저 기준처방 1이 제공하는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2일 간격으로 사용하고 1주를 쉬고 나머지 2주 동안 실시예1부터 실시예4가 제공하는 세정 화장료를 2일 마다 사용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세부 실시예5부터 실시예 8을 사용하는 시험군은 먼저 기준처방 2가 제공하는 모발 및 두피 세정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2일 간격으로 사용하고 1주를 쉬고 나머지 2주 동안 세부 실시예5부터 실시예8가 제공하는 세정 화장료를 2일 마다 사용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탈모예방의 정도는 피시험자들이 머리를 감은 후 느끼는 관능으로 1) 탈모가 심해졌다 2) 사용전과 다름없다 3) 탈모가 조금 나아졌다 4) 탈모가 매우 개선되었다 로 구분하여 각 시험품 사용이 끝난 뒤 설문조사하여 효과를 산출하였다.
[표 3]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별 탈모방지 효과
Figure pat00006
기준처방1은 이미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피시험자에게서는 대부분 사용전과 동일한 탈모진행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모 진행 피시험자 들은 탈모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결과에 매우 민감하였다.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이 2.0, 5.0, 7.0 그리고 10.0으로 처방된 실시예1부터 실시예4의 사용후 결과는 실시예3인 인삼 추출물 7.0에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시예4의 인삼 추출물 10.0에서도 탈모 방지 효과가 일부 나타났다.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이 2.0, 5.0, 7.0 그리고 10.0으로 처방된 실시예5부터 실시예8의 사용후 결과는 실시예8인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 10.0에서 매우 약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시예4의 인산 추출물 10.0에서도 탈모 방지 효과가 일부 나타났다.
이러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처방3으로부터 실시예9 부터 실시예12에 따라 구중구포 인삼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동시에 처방하여 피시험자에게 시험을 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 동시 탈모방지 효과
Figure pat00007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이 7.0과 10.0으로 처방되고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이 5.0과 7.0으로 처방된 실시예9부터 실시예12의 사용후 결과는 실시예9인 인삼추출물 7.0과 한방추출물 5.0에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시예12의 인삼 추출물 10.0과 한방추출물 7.0에서 매우 높은 탈모 방지 효과 나타났다. 특히 세부 실시예12의 인삼 추출물 10.0과 한방추출물 7.0에서는 "사용전과 변함없다"라는 대답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볼 때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 혼합물의 공동처방으로 탈모방지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세부 실시예1부터 실시예 12까지의 탈모방지 효과를 그래프로 도 2에 나타내었다.

Claims (3)

  1. 구궁구포 인삼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세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중구포 인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두피세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추출물, 대황추출물, 당귀추출물, 황기 추출물, 석창포 뿌리·줄기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산뽕나무잎 추출물이 혼합되어 있는 천연 한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인체 모발 및 애견 두피세정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32800A 2012-03-30 2012-03-30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00A KR101390108B1 (ko) 2012-03-30 2012-03-30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00A KR101390108B1 (ko) 2012-03-30 2012-03-30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64A true KR20130110664A (ko) 2013-10-10
KR101390108B1 KR101390108B1 (ko) 2014-04-28

Family

ID=4963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800A KR101390108B1 (ko) 2012-03-30 2012-03-30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0778A (zh) * 2019-11-23 2020-04-14 广东天仁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育发液及其制备方法
KR102630068B1 (ko) 2023-09-05 2024-01-29 주식회사 태후코스메틱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592A (ko) 2017-01-25 2018-08-02 김보경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6711B1 (ko) 2020-05-28 2021-05-25 김홍중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20B1 (ko) 2006-01-24 2006-11-01 (주)코리아하우스 오비채 천연한방 두피클리닉샴푸 조성물
KR100834108B1 (ko) 2007-01-17 2008-06-02 (주)주환바이오.셀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10067529A (ko) * 2009-12-14 2011-06-22 박천정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7709B1 (ko) 2010-04-14 2011-02-2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0778A (zh) * 2019-11-23 2020-04-14 广东天仁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育发液及其制备方法
KR102630068B1 (ko) 2023-09-05 2024-01-29 주식회사 태후코스메틱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108B1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4090B2 (ja) 高脂血症を治療及び/又は予防する医薬組成物、その製法及びその使用
CN101804165B (zh) 一种清肾毒,强健五脏六腑,增强体质延缓衰老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816413B (zh) 一种黑枸杞原花青素面膜粉及其制备方法
CN106420531B (zh) 一种含藏荆芥具有美白保湿功效的中药组合提取物及应用
CN102846852A (zh) 一种降血脂、调节免疫力的组合物
KR101390108B1 (ko)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3142848B (zh) 一种抗衰老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850319A (zh) 一种具有保健养生功能速溶茶粉的制备方法
CN1557382A (zh) 一种甙类化合物制剂及制备方法
CN1288168C (zh) 一种多糖类化合物制剂及制备方法
CN105943619A (zh) 全麻素在制备防治老年痴呆症药物中的应用
CN105709020A (zh) 一种含艾叶药渣的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5558243A (zh) 一种玛卡提取物、玛卡糖果片及其制备方法
CN101248877A (zh) 抗衰老的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CN109628265A (zh) 一种含有总黄酮的护肝保健分子酒及其制备方法
CN104225573A (zh) 一种降血糖、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20630B1 (ko)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 및 양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및 에센스
CN108079219A (zh) 一种治疗烧烫伤的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435658B (zh) 一种用于缺血性脑中风预防和治疗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812115A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
CN107412462A (zh) 一种黄龙咳喘胶囊的制备方法
CN1115159C (zh) 一种含紫丹参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22798A (zh) 一种主治冠心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991517A (zh) 一种用于气阴两虚型糖尿病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9805229A (zh) 一种具有预防心血管疾病功能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