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08A -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08A
KR20130110608A KR1020120032700A KR20120032700A KR20130110608A KR 20130110608 A KR20130110608 A KR 20130110608A KR 1020120032700 A KR1020120032700 A KR 1020120032700A KR 20120032700 A KR20120032700 A KR 20120032700A KR 20130110608 A KR20130110608 A KR 2013011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pression
present
cheonm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맹성호
홍순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608A/ko
Publication of KR2013011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마우스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 test) 및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에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목적의 건강식품의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apid acting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comprising extract of Gastrodia elata Blu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이용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정신적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핵가족화로 인해 개인의 고독감이 증가하고 높은 이혼율과 치열한 경쟁에서 오는 심리적 스트레스의 영향이다. 현대사회에 만연한 만성적 심리적 스트레스는 결과적으로 우울증을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서구사회에서 우울증과 관련된 약물은 처방약 중에서 가장 높은 처방률을 보이는 약물군에 해당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에 이르면 우울증이 미국 및 서구 유럽에서 가장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도시화가 가속되면서 빈부격차, 소외감등이 심화되어 우울증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도시 근로자들이 많은 서울시의 경우 환경적 스트레스 인한 우울증은 심각한 노동력의 저하를 초래하며 특히 30~40대 가장의 우울증은 가정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지대하여 가정의 불화, 자라는 소아 및 청소년에 영향을 미쳐 평생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남긴다.
우울증은 정신장애 중에서 기분장애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Regier DA, Boyd JH, Burke JD, Jr., Rae DS, Myers JK, Kramer M, Robins LN, George LK, Karno M, Locke BZ: One-month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fiv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ites. Arch Gen Psychiatry 1988, 45:977-986.; 이정균, 이희, 정영숙, 김용식, 한진희, 최진옥: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조사 연구. 서울의대 정신의학 1986, 11:121-296.), 우울증의 진단 준거에 미치지 못하는 우울 증상의 시점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20%까지도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99, 4:1-14.; Boyd JH, Weissman MM: Epidemiology of affective disorders. A reexamination and future directions. Arch Gen Psychiatry 1981, 38:1039-1046.). 높은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많은 우울증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않지만(Weissman MM, Klerman GL, Prusoff BA, Sholomskas D, Padian N: Depressed outpatients. Results one year after treatment with drugs and/or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rch Gen Psychiatry 1981, 38:51-55.; Koenig, J. L: Psychological aspects of depression: Toward a cognitive-interpersonal integration. I. H. Gotlib and C. L. Hammen. John Wiley & Sons, Inc., Chichester, UK, 1992. 330 pp. Depression 1994, 2:115-116.), 우울증이 기능과 경제적인 손실, 자살, 환자 자신뿐 아니라 주변의 사람들의 적응 문제 등을 초래하는 부담과 위험이 높은 질병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우울 장애 중에서 주요 우울 장애(MDD)는 5개의 우울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며, 이 5개의 증상 중 최소한 하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우울 기분(dysphoria)이나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anhedonia)이 있는 한번 이상의 우울증 삽화로 특징지어지며, 조증, 혼재성, 경조증 삽화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ask Force on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IV. 4th ed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ask Force on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IV-TR. 4th ed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의 주요 우울장애의 시점 유병률은 구조화된 진단 면접을 실시한 조사에서 낮게는 1% 미만에서 높게는 6%까지 보고되었으며(Merikangas KR, Angst J: The challenge of depressive disorders in adolescence. In Psychosocial disturbances in young people : challenges for prevention. Edited by Rutter M.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xix, 403 p.), WHO 정신과질환 역학조사(2000)에서 성인표본에서의 유병률은 2-4%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DD의 평생 유병률은 진단 면접을 실시한 조사에서 낮게는 6%, 높게는 25%까지 보고되었으며(Lewinsohn PM, Rohde P, Seeley JR, Fischer SA: Age and depression: unique and shared effects. Psychol Aging 1991, 6:247-260.; MM W, ML B, PJ L, lp F, CⅢ J: Affective disorders. In Psychiatric Disorders in America: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Edited by LM Robis DR. New York: Free Press; 1991), 미국 공병률 조사(Kessler RC, McGonagle KA, Zhao S, Nelson CB, Hughes M, Eshleman S, Wittchen HU, Kendler KS: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 Gen Psychiatry 1994, 51:8-19.)에서는 15.8%가 MDD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국내의 경우 보건복지부에서 구조화된 면접에 의한 전국적 규모의 역학조사에 의하면, MDD의 1개월 유병률은 1.3%, 일년 유병률은 1.8%, 평생 유병률은 4.0%였다(국립정신병원: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2001-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서울: 중앙문화사; 2001.). 이전에 국내에서 구조화된 면접을 통한 조사 연구에서 보고된 MDD의 평생 유병률을 살펴보면, 이정균(이정균, 이희, 정영숙, 김용식, 한진희, 최진옥: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조사 연구. 서울의대 정신의학 1986, 11:121-296.)은 전국에서 3.37%로 보고하였고, 이호영(이호영, 남궁기, 이만홍, 민성길, 김수영, 송동호, 이은설, R. R: 강화도 정신과 역학연구-주요 정신질환의 평생유병률. 신경정신의학 1989, 28:984-998.)는 강화도 지역에서 1.28%를 보고하였다.
우울증의 발생기전과 우울증의 치료제인 항우울제의 작용기전을 완벽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아직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 내에 모노아민(monoamine)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세로토닌(serotonin),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 도파민(dopamine) 등이 부족하게 되면 우울증이 유발된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그래서 현재의 항우울제는 대부분 중추 세로토닌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이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항우울제는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여주는 메커니즘에 따라 크게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MAOI;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항우울제가 비교적 효과적이기는 하나, 일부에서 심한 부작용 및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있다. 약물 투여로 인해 시냅스 내 모노아민의 농도는 즉시 증가하나 우울감의 개선 등 증상의 호전에는 통상 2주 가량의 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항우울증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Thase et al. 2001), 재발률이 높으며(Frank et al. 1991), 심한 부작용에 의해 약물복용이 불가능한 환자들도 많다(Gumnick and Nemeroff 2000).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TCA)인 이미프라민(imipramine), 데스프라민(desipramine)등은 저혈압, 심장기능장애 등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난다. 가장 널리 쓰이는 플루옥세틴(fluoxetine)이나 서트랄린(sertraline) 등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구역, 위장관 출혈 또는 성기능 장애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존 항우울제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 개발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 개발을 위해 여러 제약회사에서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신약 개발이 가져오는 경제 사회적 효과는 지대하나 그 개발 비용이 막대하여 쉽게 개발에 나서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약이나 천연물에는 여러 가지 알려져 있지 않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우리 선조들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경험의 축적으로 비교적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Newman, D.J., G.M. Cragg, and K.M. Snader, Natural products as sources of new drugs over the period 1981-2002. J Nat Prod, 2003. 66(7): p. 1022-37.). 따라서, 한의학은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기존에 많은 약용 식물들이 스트레스, 슬픔, 불안, 우울에 치료에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Zhang, Z.J., Therapeutic effects of herbal extracts and constituents in animal models of psychiatric disorders. Life Sci, 2004. 75(14): p. 1659-99.).
한방에서는 우울 또는 불안 및 신경과민 등을 혈허(血虛) 및 기허(氣虛) 혹은 간(肝), 심(心), 비(脾)에 열(熱)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에 의해 우울, 불안, 불면, 다몽, 공포, 경련, 광란, 번조 등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장조(臟躁), 기역(氣逆), 분돈기(奔豚氣), 경계(驚悸)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주로 공황장애로 분류한다. 강력한 스트레스에 대하여 현저한 정신장애가 일어난 경우에 기란(氣亂)이라고도 하여 현대 의학의 우울증 또는 불안증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신 신경계 질환을 주로 안신약물(安神藥物)이라는 약물군으로 치료하는데, 이러한 약물은 우울 또는 불안을 감소시키며, 진정최면 작용 및 항경련 작용이 있다. 안신약물에 속하는 약물들은 각각 약물들 고유의 특성이 있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신경 안정의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송본극산(松本克産), 신경증의 동의학적 고찰, 동양의학, pp65-8, 1986). 안신 작용을 갖는 약물에 대한 신경 약리학적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는데, 특히 천마 (Zyziphus jujuba Mill., 酸棗仁)은 저용량에서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며 고용량에서는 진정 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Wu S.X., et al.,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18, pp685-704), 안신 약물군 외에도 천마(Gastrodia elata Blume., 天麻)는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에서 자발운동량의 감소 및 펜토바비탈(phentobarbital)에 의해 유도된 수면의 연장 작용 등 진정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Huang J.H., Yi Xue Ke Xue Yuan Xue Bao., 11, pp147-50, 1989).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백합목 난초과 (Orchidachae)에 속하는 고등식물로서 잎과 뿌리가 없어 자가 영양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뽕나무 버섯 균사와의 기생에 의해서 서식하는 기생식물에 해당된다. 키 30∼100 ㎝ 정도의 외줄기로 곧게 자라며, 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져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 월에 싹이 나서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다. 참나무 뿌리가 삭은 곳에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또한,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이라 불리며, 특히 두통, 중풍과 같은 두뇌의 질환에 뚜렷한 효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 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뛰어난 효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마는 디아스타제가 풍부하여 소화기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나타내며, 천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끼쳐 동맥경화증을 개선해줄 뿐만 아니라 숙면을 유도하기도 하며, 심장 수축력 강화, 모세혈관의 확장을 도모하며, 특히 정력 증강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재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천마 추출물이 마우스 강제 수영 검사(Forced Swim Test; FST) 및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에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므로,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은 마우스 강제 수영 검사(Forced swim test) 및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에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목적의 건강식품의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농도별(100, 400 및 1600 mg/kg)로 투여한 후, 투여 한 시간 후 마우스의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 test)의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나타낸 도이다:
GE extract 100: 천마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GE extract 400: 천마 추출물 400 mg/kg 투여군;
GE extract 1600: 천마 추출물 1600 mg/kg 투여군; 및
vehicle: 증류수 투여군.
도 2는 천마 추출물을 농도별(100, 400 및 1600 mg/kg)로 투여한 후, 투여 한 시간 후 마우스의 꼬리 매달기 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의 부동시간을 나타낸 도이다:
GE extract 100: 천마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GE extract 400: 천마 추출물 400 mg/kg 투여군;
GE extract 1600: 천마 추출물 1600 mg/kg 투여군; 및
vehicle: 증류수 투여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마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천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천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천마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3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천마 건조물 856g을 40% 에틸알콜 1500 ㎖양으로 상온에서 침출시켜 감압 여과하여, 천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마 추출물의 항우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의 우울 관련 행동을 관찰하고, 항우울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마우스 강제수영검사(Forced swim test)를 수행한 결과, 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마 추출물의 항우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의 우울 관련 행동을 관찰하고, 항우울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를 수행한 결과, 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마우스 강제 수영 검사 및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에서 유의적으로 우울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천마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천마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마우스 강제 수영 검사 및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에서 유의적으로 우울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마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천마( Gastrodia elata Blume ) 추출물의 제조
천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천마 건조물을 무주 천마사업단(Muju Chunma Cluster Agency, 한국)에서 제공받아, 건조물 856 g을 40% 에틸알콜 1500 ㎖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360분간 80℃ 환류 추출한 후 상청액을 포집하였다. 그런 다음, 여과한 여액을 감압여과기(Eyela. 일본)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428 g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천마 추출물의 항우울효과
<1-1> 실험동물의 준비
7주령의 C57B1/6 수컷 마우스(20 - 22 g)를 (주)오리엔트바이오(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143-1번지, 한국)에서 공급받아 경희의료원 동물사육실 아크릴 우리(22×27×12 cm)에서 1주일 이상 사육하여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2 ± 2 ℃) 및 명암주기 (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각 실험에 1군당 7-8 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모든 실험은 09시에서 15시 사이에 수행하였다.
<1-2> 통계처리
통계 분석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PASW Statistics 18; SPSS Inc., Chicago, IL). 데이터는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통계는 양측검정(2-tailed)으로 진행하였으며, p<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1-3> 강제수영 검사( Forced swim test )
천마 추출물의 항우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의 우울 관련 행동을 관찰하고, 항우울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마우스 강제수영 검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강제 수영 측정법은 지름 12 cm, 깊이 24 cm의 실린더에 24 ± 1℃의 물을 16 cm 채워서 마우스의 꼬리가 실린더 바닥에 닿지 않게 하였다. 그런 다음,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마 추출물 100, 4000 및 1600 ㎎/㎏ 또는 대조군인 증류수를 각각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 마우스를 실린더에 넣은 후, 6분 동안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여 녹화하였다. 강제수영을 하는 생쥐는 활동과 부동자세(Immobility time)를 교대로 보이는데, 항우울제는 용량 의존적으로 부동자세를 보이는 시간(부동시간)을 감소시키므로, 부동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항우울 활성을 확인하였다. 기록된 동영상은 처음 2분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을 기준으로 마우스가 머리만 물 위로 내어 놓고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인 부동시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천마 추출물이 유의적인 항우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1-4> 꼬리 매달기 검사( Tail suspension Test ; TST )
천마 추출물의 항우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의 우울 관련 행동을 관찰하고, 항우울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마우스 꼬리 매달기 검사를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꼬리 매달기 측정법은 높이 80 cm의 모서리에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를 마우스 꼬리 끝 1~2 cm에 붙여서 마우스를 매달아 부동시간 측정을 통해 항우울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마 추출물 100, 4000 및 1600 ㎎/㎏ 또는 대조군인 증류수를 각각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 마우스를 매달아 6분 동안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여 기록하였으며, 기록된 동영상은 6분 동안 마우스가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부동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단시간에 유의적인 부동시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천마 추출물의 유의적인 항우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3)

  1. 천마(Gastrodia elata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및 스트레스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


KR1020120032700A 2012-03-29 2012-03-29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110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00A KR20130110608A (ko) 2012-03-29 2012-03-29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00A KR20130110608A (ko) 2012-03-29 2012-03-29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08A true KR20130110608A (ko) 2013-10-10

Family

ID=4963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700A KR20130110608A (ko) 2012-03-29 2012-03-29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36B1 (ko) * 2021-12-22 2022-09-05 주식회사 엠제이블루밍알앤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36B1 (ko) * 2021-12-22 2022-09-05 주식회사 엠제이블루밍알앤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11B1 (ko) 쌀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20130086459A (ko) 산조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속효성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348044B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6529B1 (ko)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6631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102339923B1 (ko) 혈행 개선용 식치제호탕 조성물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KR20130110608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49474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51678A (ko)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능력 향상 또는 기억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1470347B1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28510B1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526628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함유한 조성물
KR20210070699A (ko) 홍삼, 원지, 복령, 모렐 및 초석잠의 혼합발효물로부터 얻어지는 인지능 개선용 옥고
KR10265618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7128B1 (ko)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779626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KR1026815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02224B1 (ko)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